KR101639967B1 -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 Google Patents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967B1
KR101639967B1 KR1020157036034A KR20157036034A KR101639967B1 KR 101639967 B1 KR101639967 B1 KR 101639967B1 KR 1020157036034 A KR1020157036034 A KR 1020157036034A KR 20157036034 A KR20157036034 A KR 20157036034A KR 101639967 B1 KR101639967 B1 KR 10163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ption
water
detection sheet
soil
wate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398A (ko
Inventor
료 오리하라
Original Assignee
캐비노티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비노티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캐비노티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4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Abstract

소망의 정도까지 토양이 건조한 것을 가시화하여 이용자에게 알리게 할 수가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는, 물을 투과하지 않는 재질에 의해 중공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의 근방에 배치된 흡수용 개구(5), 타단의 근방에 배치된 증산용 개구(7), 및 타단의 근방에 설치되고 중공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표시부(6)를 가지는 본체부(2)와, 본체부(2)의 내부에 있어서, 적어도 흡수용 개구로부터 표시부까지 충전된 흡수재(3)와, 본체부(2)의 내부의 표시부(6)의 위치에 있어서 흡수재(3)를 덮어 배치되고, 흡수 상태와 건조 상태에서 색조가 변화하는 물검출 시트(4)를 구비한다. 본체부에는 토양에 삽입해야 할 깊이의 기준으로 되는 안내선(8)이 설치되면 좋다.

Description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SOIL MOISTURE INDICATOR}
본 발명은 식물의 육성에 적합한 토양의 수분량을 유지시키기 위해 물주기 타이밍을 나타내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육성에 적합한 토양의 수분량을 유지시키기 위해 수분량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흙습도 감지부의 전기저항의 변화에 기초하여 토양의 습도를 계측하는 식물용 전자 흙습도 계측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나, 흡수력(吸水力)을 가지는 흡수재와 접촉하도록 흡액 상태와 비흡액 상태에서 투명성을 달리하는 다공질층을 설치하고, 토양속의 수분량에 따라 색채를 다르게 하는 인디케이터(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외에도 pF 미터로 불리는 측정기가 시판되고 있지만,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지시된 수치를 읽어낼 필요가 있고 가격도 고액이기 때문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흙의 축축한 상태는 「pF치」로 불리는 값으로 표시된다. 이 pF치는 흙속의 물이 흙의 모세관력에 의해 끌어당겨지고 있는 세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압력의 단위이다. 충분히 물을 포함하고 있는 흙의 경우, pF치는 작아지고 식물의 뿌리가 물을 빨아들이기 쉬운 것을 나타낸다. 역으로 흙이 건조하게 되면 pF치는 높아지고, 물을 빨아올리는데는 높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밭의 경우 통상 pF치는 1.5~2.7(성장 유효수(水))이고 이것 이하에서는 수분 과다로 되고, 이것 이상에서는 수분 부족으로 된다.
식물이 스트레스를 가지지 않는 pF치는 육성하는 식물의 품종에 차이는 있지만 pF 1.7~2.3의 범위이다. 이 때문에 인디케이터는 식물에 따라 적절한 pF치를 초과했을 때에 토양이 너무 건조한 것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식물용 전자 흙습도 계측장치에서는 수분량의 측정에 전기적 수단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지가 필요하게 되고, 전지가 다 되었을 때에는 측정을 할 수 없게 되어 표시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 디지털 표시를 읽어내지 못하면 수분량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토양의 건조도나 물주기의 요부를 간단히 알 수가 없다. 또, 특허문헌 2의 인디케이터에서는 전지는 불필요하게 되지만, 색채의 변화가 생기는 수분량(pF치)을 육성하는 식물의 품종에 따른 적절한 값으로 조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실용신안등록 제3070450호 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136622호 공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소망의 정도까지 토양이 건조한 것을 가시화하여 이용자에게 알리게 할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는, 물을 투과하지 않는 재질에 의해 중공(中空)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의 근방에 배치된 흡수(吸水)용 개구, 타단의 근방에 배치된 증산(蒸散)용 개구, 및 타단의 근방에 설치되고 중공의 내부를 시인(視認) 가능하게 형성된 표시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에 있어서, 적어도 흡수용 개구로부터 표시부까지 충전된 흡수재와, 본체부의 내부의 표시부의 위치에 있어서 흡수재를 덮어 배치되고, 흡수 상태와 건조 상태에서 색조가 변화하는 물검출 시트를 구비한다.
흡수재는 유분이 제거된 면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모세관 현상에 의한 흡수력을 높여, 긴 본체부에서도 인디케이터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면의 유분을 제거하는데는 정련 표백 가공을 충분히 행하면 좋다.
증산용 개구는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물주기를 할 때에 수분이 증산용 개구로부터 본체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증산용 개구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부보다도 타단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증산하는 수분이 표시부를 통과하므로 인디케이터에 의한 표시를 안정시킬 수가 있다.
흡수용 개구는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양에 삽입할 때에 흙이 본체부의 내부로 밀어넣어지지 않게 할 수가 있어, 흡수용 개구와 토양의 접촉 조건이 삽입 방향에 따라 바뀌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본체부는 수지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양속의 수분이나 미생물의 작용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여, 장기간에 걸쳐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에 의하면, 소망의 정도까지 토양이 건조한 것을 가시화하여 용이하게 알리게 할 수가 있다.
도 1은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일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의 외관도를 나타내고, 도 2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듯이,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는 본체부(2)와 흡수재(3)와 물검출 시트(4)를 구비한다.
본체부(2)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에 의해 중공으로(예를 들면 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체부(2)는 구체적으로는 ABS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이 물을 투과하지 않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상관없지만, 토양속의 수분이나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열화하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고, 이 점에서 ABS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체부(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의 근방 측면에는 흡수용 개구(5)가 설치된다. 본예에 있어서 흡수용 개구(5)의 형상은 타원형으로 하고 있지만, 개구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의 크기는 토양으로부터의 흡수가 충분히 가능한 크기로 조정된다. 흡수용 개구(5)는 복수 설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듯이, 본체부(2)의 길이 방향이나 외주 방향에 대해 다른 위치에 2개의 개구가 설치되도록 하면 좋다.
본체부(2)의 타단의 근방에는 중공의 본체부(2)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형성된 표시부(6)가 설치된다. 표시부(6)는 투명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체부(2)의 내부에 배치되는 물검출 시트(4)의 색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면 색의 유무, 투명도를 묻지 않는다. 또, 본체부(2)의 표시부(6)를 제외한 부분은 어떠한 색이라도 혹은 투명해도 상관없다. 표시부(6)는 본체부(2)의 전 둘레에 걸쳐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예를 들면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는 각도에 의하지 않고 물검출 시트(4)의 색조를 확인할 수가 있다.
본체부(2)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적어도 흡수용 개구(5)로부터 표시부(6)까지의 부분에는 흡수재(3)가 충전된다. 흡수재(3)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토양속의 수분을 표시부(6)의 높이까지 중력을 거슬러 빨아올린다. 충분한 흡인력을 발휘하기 위해 흡수재(3)는 눈이 미세한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재(3)는 유분이 충분히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면에 대해 정련 표백 가공을 행함으로써 면에 포함되는 유분인 면랍을 제거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흡수재(3)로서 정련 표백 가공하여 유분을 제거한 면포를 꼬아 봉 모양으로 한 것을 이용하면 좋다. 흡수재(3)에 방부제를 스며들게 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사용시에 흡수재(3)의 내부에서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방부제를 스며들게 함으로써 흡수재(3)의 흡수력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흡수력의 변화를 상쇄하여 소망의 pF치로 물검출 시트(4)의 색조 변화가 생기도록 흡수용 개구(5)나 증산용 개구(7)의 위치나 크기 등을 조정하면 좋다. 본체부(2)의 측면에는 토양속에 삽입해야 할 깊이의 기준으로 되는 안내선(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선(8)은 흡수용 개구(5)로부터 증산용 개구(7)가 설치된 단부의 방향으로 5cm 정도의 위치에 설치되고,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는 안내선(8)이 토양의 표면과 대략 일치하는 깊이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사용 상태에 있어서 흡수용 개구(5)로부터 노출된 흡수재(3)가 토양속의 수분을 빨아올린다.
본체부(2) 내의 표시부(6) 부분에는 물검출 시트(4)가 흡수재(3)를 덮도록 배치된다. 물검출 시트(4)는 하이드로크로믹(hydrochromic) 잉크를 포함한 시트상 소재이다. 하이드로크로믹 잉크는 흡수 상태와 건조 상태에서 색조가 변화한다. 즉, 물검출 시트(4)는 토양속에 수분이 충분히 있어 흡수재(3)가 수분을 빨아들여 축축할 때와, 토양속이 건조하고 그에 따라 흡수재(3)도 건조할 때에 다른 색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건조시에는 백색, 흡수시에 적색, 청색 등의 색조를 나타내는 잉크와 같이, 흡수 상태와 건조 상태에서 색조가 명확히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조의 변화는 표시부(6)로부터 관찰할 수가 있다. 표시부(6)가 본체부(2)의 전 둘레에 걸쳐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예를 들면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물검출 시트(4)는 흡수재(3)에 있어서의 표시부(6)로부터 시인 가능한 범위를 전 둘레에 걸쳐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검출 시트(4)를 이루는 시트상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나 천을 이용 가능하지만, 흡수재(3)가 건조한 상태에 있어서 시트상 소재가 수분을 보지(保持)하지 않게, 흡수재(3)보다도 보수력이 떨어지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물검출 시트(4)는 하이드로크로믹 잉크가 정착하기 쉬운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재(3)로서 유분을 제거한 면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물검출 시트(4)를 이루는 시트상 소재로서 부직포, 흡수재(3)보다도 많은 면랍을 남긴 면포, T/C 브로드(면과 폴리에스터의 혼방사에 의한 브로드 포지(broad 布地)) 등을 이용하면 좋다.
본체부(2)의 타단의 근방 측면에는 증산용 개구(7)가 설치된다. 증산용 개구(7)는 표시부(6)보다도 타단측의 위치에만 설치되어도 좋고, 표시부(6)보다도 일단(즉 흡수용 개구(5)가 설치되어 있는 단부)측의 위치에만 설치되어도 좋지만, 본예에 있어서는 증산용 개구(7)는 표시부(6)의 양측에 설치된다. 증산용 개구(7)는 복수의 세공으로서 설치되면 좋고, 세공의 수에 의해 색조 변화가 생기는 pF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증산용 개구(7)의 형상은 원형으로 하고 있지만, 개구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2)의 양측의 선단은 ABS 수지 등의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소재에 의해 봉지한다. 흡수용 개구(5)가 설치되는 일단을 봉지하는 것, 및 흡수용 개구(5)가 본체 측면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토양에 일단을 삽입할 때에 흙이 본체부(2)의 내부로 밀어넣어지지 않게 할 수가 있어, 흡수용 개구(5)와 토양의 접촉 조건이 삽입 방향에 따라 바뀌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 증산용 개구(7)가 설치되는 측의 단부(타단)를 봉지함으로써, 물주기를 할 때에 수분이 단부로부터 본체부(2)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흡수용 개구(5)가 설치되는 측의 단부는 예를 들면 원추형과 같은 선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선단 형상에 의해 토양에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사용 상태에 있어서 화분 등의 용기의 가장자리로부터 표시부(6)가 노출되도록 본체부(2)는 전체 길이 5~40cm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토양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경은 5~1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내경은 4~8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2)는 최종적으로 상술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면 어떠한 방법에 의해 제작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 관 모양의 소재를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고, 통 모양의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분할한 형상의 부재에 흡수재(3)를 넣고 나서 접합하는 방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가 색조 변화를 나타내는 pF치는 여러 가지의 파라미터에 의해 조정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증산용 개구(7)의 단면적의 대소에 의해 흡수재(3)의 건조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물검출 시트(4)의 색조 변화가 생기는 pF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증산용 개구(7)의 단면적을 크게 하면 흡수재(3)가 보다 빨리 건조하기 때문에, 색조 변화를 나타내는 pF치를 작게(즉 토양속의 수분이 많지 않으면 반응하지 않게) 조정할 수가 있다. 증산용 개구(7)가 복수의 세공으로서 형성되면, 세공의 수에 의해 색조 변화를 나타내는 pF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의 증산용 개구(7) 외에 본체부(2)의 길이(특히, 흡수용 개구(5)로부터 표시부(6)까지의 길이), 내경, 흡수용 개구(5)의 단면적 등에 의해 색조 변화를 나타내는 pF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는 흡수용 개구(5)가 설치된 일단을 토양속에 삽입하여 사용된다. 이 사용 상태에서 흡수용 개구(5)로부터 노출된 흡수재(3)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토양속의 수분을 빨아올리려고 한다. 토양속에 충분한 수분이 있어 pF치가 낮은 경우에는 표시부(6) 부근까지 흡수재(3)가 축축한 상태로 되고, 표시부(6)를 덮는 물검출 시트(4)가 수분에 반응하여 흡수 상태의 색조로 된다. 한편, 토양속에 충분한 수분이 없어 pF치가 높은 경우에는 표시부(6) 부근의 흡수재(3)가 건조한 상태로 되고, 표시부(6)를 덮는 물검출 시트(4)는 건조 상태의 색조로 된다. 토양이 건조한 때에 색조가 변화함으로써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는 이용자에 대해 토양의 건조를 표시할 수가 있다.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는 물주기와 토양의 건조에 따라 흡수 상태와 건조 상태를 천이하면서 몇번이나 반복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하의 조건에 의해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를 제작하였다.
본체부(2)로서 외경 φ6mm, 내경 φ4mm, 관의 벽두께 1mm, 전체 길이 15cm의 투명의 ABS 수지관을 이용하여, 관의 일단의 벽면을 깎아 장경(長徑) 약 15mm, 단경(短徑) 2mm의 대략 타원형의 흡수용 개구(5)를 설치하고, 관의 타단에는 증산용 개구(7)로서의 세공(φ2mm)을 표시부(6)로 되는 위치의 양측에 각 8개(합계 16개) 설치하였다. 흡수재(3)로서 정련 표백 가공을 행하여 유분을 제거한 면포를 꼬아 봉 모양으로 한 것을 준비하고, 본체부(2)의 관 내에 삽입했을 때에 표시부(6)로부터 보이는 위치를 물검출 시트(4)로 덮었다. 물검출 시트(4)는 백색의 T/C 브로드 포지에, 흡수 상태에서 적, 건조 상태에서 백의 색조를 나타내는 하이드로크로믹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미리 제작하였다. 이 흡수재(3)와 물검출 시트(4)를 본체부(2)의 관 내에 삽입하고, 본체부(2)의 양단을 봉지하였다.
상기의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를 폴센로즈(Poulsen rose)를 육성하고 있는 화분에 삽입하였다. 이때 흡수용 개구(5)가 토양 표면으로부터 5cm 정도의 깊이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또,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가 색조 변화를 일으키는 pF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pF 미터를 함께 삽입하였다. 이 상태에서 화분에 물주기를 하면 물검출 시트(4)가 적색으로 되었다. 그 후 물주기를 행하지 않고 방치하여 물검출 시트(4)의 색조가 백색으로 변화했을 때의 pF 미터의 읽기를 확인하였다. 상기의 물주기와 방치를 반복한 바, 물검출 시트(4)의 색조가 백색으로 변화하는 pF치는 2.1~2.2였다.
[실시예 2]
증산용 개구(7)로서의 세공(φ2mm)의 수를 표시부(6)로 되는 위치의 양측에 각 4개(합계 8개)로 한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물주기와 방치를 반복한 바, 물검출 시트(4)의 색조가 백색으로 변화하는 pF치는 2.6이었다.
상기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의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에 의하면, 토양의 수분량을 물검출 시트(4)의 색조 변화로서 재현성 좋게 가시화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증산용 개구(7)의 단면적과 같은 구조상의 파라미터에 의해, 물검출 시트(4)의 색조 변화가 생기는 pF치를 조정할 수가 있어, 여러 가지 식물에 적합한 인디케이터를 제작할 수가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는 화분이나 플랜터(planter) 등의 토양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토양이 소망의 건조도로 되어 있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식물의 재배에 이용할 수 있다.
1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2  본체부
3  흡수재
4  물검출 시트
5  흡수용 개구
6  표시부
7  증산용 개구
8  안내선

Claims (16)

  1. 물을 투과하지 않는 재질에 의해 중공(中空)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의 근방에 배치된 흡수(吸水)용 개구와, 타단의 근방에 배치된 증산(蒸散)용 개구, 및 상기 타단의 근방에 설치되고 중공의 내부를 시인(視認) 가능하게 형성된 표시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흡수용 개구로부터 상기 표시부까지 충전된 흡수재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상기 표시부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를 덮어 배치되고, 흡수 상태와 건조 상태에서 색조가 변화하는 물검출 시트를 구비하고,
    육성하는 식물에 적합한 pF치인 때에 상기 물검출 시트가 상기 흡수 상태로 되도록, 상기 흡수용 개구와 상기 증산용 개구의 적어도 일방의 위치와 크기, 및 상기 흡수재의 흡수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육성하는 식물에 적합한 pF치인 때에 상기 물검출 시트가 상기 흡수 상태로 되도록, 상기 증산용 개구의 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육성하는 식물에 적합한 pF치가 2.1~2.6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유분을 제거한 면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검출 시트가 하이드로크로믹 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검출 시트는 상기 흡수재보다도 보수력이 떨어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에 방부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방부제를 포함한 상기 흡수재의 흡수력에 의해, 육성하는 식물에 적합한 pF치인 때에 상기 물검출 시트가 상기 흡수 상태로 되도록, 상기 흡수용 개구와 상기 증산용 개구의 적어도 일방의 위치와 크기가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검출 시트는 상기 흡수재보다도 보수력이 떨어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에 방부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방부제를 포함한 상기 흡수재의 흡수력에 의해, 육성하는 식물에 적합한 pF치인 때에 상기 물검출 시트가 상기 흡수 상태로 되도록, 상기 흡수용 개구와 상기 증산용 개구의 적어도 일방의 위치와 크기가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육성하는 식물에 적합한 pF치가 2.1~2.6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유분을 제거한 면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검출 시트가 하이드로크로믹 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검출 시트는 상기 흡수재보다도 보수력이 떨어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에 방부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방부제를 포함한 상기 흡수재의 흡수력에 의해, 육성하는 식물에 적합한 pF치인 때에 상기 물검출 시트가 상기 흡수 상태로 되도록, 상기 흡수용 개구와 상기 증산용 개구의 적어도 일방의 위치와 크기가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검출 시트는 상기 흡수재보다도 보수력이 떨어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에 방부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방부제를 포함한 상기 흡수재의 흡수력에 의해, 육성하는 식물에 적합한 pF치인 때에 상기 물검출 시트가 상기 흡수 상태로 되도록, 상기 흡수용 개구와 상기 증산용 개구의 적어도 일방의 위치와 크기가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KR1020157036034A 2013-06-06 2014-06-03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KR101639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03209 2013-06-06
JPJP-U-2013-003209 2013-06-06
JPJP-P-2013-152916 2013-07-23
JP2013152916A JP5692826B2 (ja) 2013-06-06 2013-07-23 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
PCT/JP2014/064716 WO2014196521A1 (ja) 2013-06-06 2014-06-03 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98A KR20160004398A (ko) 2016-01-12
KR101639967B1 true KR101639967B1 (ko) 2016-07-14

Family

ID=5200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034A KR101639967B1 (ko) 2013-06-06 2014-06-03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23867A1 (ko)
EP (1) EP3006936A4 (ko)
JP (1) JP5692826B2 (ko)
KR (1) KR101639967B1 (ko)
CN (1) CN105358973A (ko)
WO (1) WO2014196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7474B (zh) * 2015-07-27 2017-08-08 北京师范大学 一种原位土壤蒸发量测量装置
CN105717279A (zh) * 2016-04-09 2016-06-29 王本 一种花盆湿度测试管
JP2018014985A (ja) * 2016-07-25 2018-02-01 裕人 吉添 植木鉢及び水やり時期判定方法
CN106645131B (zh) * 2017-01-24 2023-09-05 浙江工业大学 试纸型便携式测土壤含水率装置
CN106770271B (zh) * 2017-01-24 2023-09-05 浙江工业大学 一种简易测量含水率的装置
WO2019050037A1 (ja) * 2017-09-08 2019-03-14 キャビノチェ株式会社 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に用いられる水検出ユニット、本体ケース、水検出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の製造方法
CN110890015A (zh) * 2018-09-09 2020-03-17 迈博高分子材料(宁波)有限公司 一种吸液指示部件和液体检测装置
CN109490506B (zh) * 2018-10-15 2021-06-01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土壤水分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KR102233827B1 (ko) * 2019-06-14 2021-03-30 대명물산 주식회사 수분공급시기 표시장치
CN113229114B (zh) * 2021-06-07 2022-07-29 塔里木大学 一种沙漠公路防护林滴灌装置
CN113940259A (zh) * 2021-09-09 2022-01-18 姬翠娥 一种塑料纤维渗灌管
USD1024816S1 (en) * 2024-01-25 2024-04-30 Xinhua Tan Soil meter
USD1024817S1 (en) * 2024-02-01 2024-04-30 Yanhao Song Water quality det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886A (ja) 2001-05-11 2002-11-27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簡易土壌水分計
JP2006098285A (ja) 2004-09-30 2006-04-13 Pilot Ink Co Ltd 土壌用可逆性水分インジケ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9638A (en) * 1959-11-02 1962-02-06 William F Klein Moisture indicating device
US3951098A (en) * 1975-02-12 1976-04-20 Enviro-Gro, Inc. House plant water content indicator
JPS5250792U (ko) * 1975-10-09 1977-04-11
JPS5336381U (ko) * 1976-09-03 1978-03-30
CA1091987A (en) * 1976-11-24 1980-12-23 Bernard Slepak Moisture indicator
DE2747621A1 (de) * 1977-10-24 1979-04-26 Max Wirth Anzeigegeraet fuer die bodenfeuchtigkeit
JPS63175851U (ko) * 1987-05-02 1988-11-15
JPH0915237A (ja) * 1995-06-30 1997-01-17 Hama Denshi:Kk 水分検知器
JP3070450U (ja) 1999-05-25 2000-08-04 義孝 佐野 植物用電子土湿度計測方式と装置
CN1230673C (zh) * 1999-12-22 2005-12-07 株式会社荏原制作所 粗土壤pF值的测定方法和浇水控制方法
US7931701B2 (en) 2002-12-27 2011-04-26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Composition for dyeing of cellulosic fabric
US20070157702A1 (en) * 2006-01-10 2007-07-12 Masatami Hamada Humidity indicator labels
JP4840803B2 (ja) * 2006-01-18 2011-12-21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低水分領域における土壌水分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US20100012017A1 (en) * 2006-09-27 2010-01-21 Luvgear In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hange in a predetermined condition
JP3136622U (ja) * 2007-08-22 2007-11-01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土壌用可逆性水分インジケーター
GB0919158D0 (en) * 2009-11-02 2009-12-16 Onslow Leigh M The Viscountess Multi-function moni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0886A (ja) 2001-05-11 2002-11-27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簡易土壌水分計
JP2006098285A (ja) 2004-09-30 2006-04-13 Pilot Ink Co Ltd 土壌用可逆性水分インジケ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6936A4 (en) 2016-08-03
CN105358973A (zh) 2016-02-24
KR20160004398A (ko) 2016-01-12
EP3006936A1 (en) 2016-04-13
JP2014238381A (ja) 2014-12-18
WO2014196521A1 (ja) 2014-12-11
JP5692826B2 (ja) 2015-04-01
US20160123867A1 (en) 2016-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967B1 (ko) 토양용 수분 인디케이터
US3951098A (en) House plant water content indicator
JP2023071707A (ja) 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に用いられる水検出ユニット、本体ケース、水検出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の製造方法
JP2014238381A5 (ko)
US3019638A (en) Moisture indicating device
US20090206853A1 (en) Sensor for sensing moisture in soils
EP3130218A1 (en) Culture medium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CN105052594B (zh) 园林盆栽容器
US6058647A (en) Moisture content indicator system for growing medium
KR20110006150A (ko) 난초용 화분
JP2015152341A (ja) 土壌用水分インジケータ
JP2007192631A (ja) 低水分領域における土壌水分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5179334B2 (ja) 給液装置
CN202562916U (zh) 一种插入式土壤水分、气分测定装置
CN201742775U (zh) 贮水养分循环预警花盆
KR200454648Y1 (ko) 화분 속의 수분 표시기
KR200479280Y1 (ko) 교체시기가 표시되는 습기제거용기
WO2023065015A1 (en) Moisture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CN205623968U (zh) 一种人工蚁巢
KR100782906B1 (ko) 토양용 습도측정기
CN204090638U (zh) 一种自动供水花盆
FI72812C (fi) Anordning foer kontroll av fuktighet i vaextunderlaget.
US3135117A (en) Moisture sensitive elem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219046804U (zh) 一种双层保湿透气花盆
CN212116351U (zh) 用于浇水时可干湿分离的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