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840B1 -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840B1
KR101639840B1 KR1020130142611A KR20130142611A KR101639840B1 KR 101639840 B1 KR101639840 B1 KR 101639840B1 KR 1020130142611 A KR1020130142611 A KR 1020130142611A KR 20130142611 A KR20130142611 A KR 20130142611A KR 101639840 B1 KR101639840 B1 KR 10163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customer
subscrib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660A (ko
Inventor
엄흥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8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에 따른 결제 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결제를 수행한 가입자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설정된 고객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고객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가입자의 결제 금액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라고 불리는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소셜 커머스는 인터넷이나 웹상에서 사용자들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해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소셜 커머스 사이트를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이하, 상품이라 통칭함)을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전자상거래의 일종이다. 이러한 소셜 커머스는 통상 일정 수 이상의 구매자를 모집하여 파격적인 할인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판매 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소셜 커머스는 온라인상에서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판매상품을 개발하거나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므로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다. 예를 들면, 소셜 커머스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다. 소셜 커머스의 판매상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셜 커머스 서비스 제공자에 속한 사람이 오프라인상에서 직접 상품 판매자를 찾거나 판매자가 판매상품을 개발한 후 소셜커머스 관계자와 오프라인상에서 접촉하여 판매 의뢰를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현재의 소셜 커머스 시장은 판매상품의 파격적인 할인 가격으로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나 파격적인 할인 가격으로 인하여 판매상품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고, 오프라인 기반이라는 한계점으로 인하여 개발된 판매상품을 신속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프로모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의 보다 안정적인 수익 확보를 위해서, 현재의 소셜 커머스의 비지니스 모델과는 다른 비지니스 모델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상기 서비스 이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결제에 따른 결제 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결제를 수행한 가입자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고객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상기 서비스 이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결제에 따른 결제 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결제를 수행한 가입자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설정된 고객의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고객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상품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의 주체는 가입자로부터 결제 받은 예수금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자본 및 조달 금리가 불필요한 상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입자는 친구, 부모님 등과 같은 지인에게 선물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입자 본인이 소비하기 위한 선물을 본인에게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품 정보 획득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품 정보 획득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서비스 가입자 단말 장치(100), 서비스 수신자 단말 장치(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상거래 서버(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먼저, 서비스에 가입하려는 고객은 자신의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S201).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 장치(100)에 서비스 가입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가입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0)은, 가입자 정보(11), 결제 예정 금액 정보(12), 결제 예정 시점 정보(13),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14),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15),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16)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은 가입자 본인이거나 가입자와는 다른 타인이(예를 들어, 고객의 부모님 또는 친구 등과 같은 지인)거나 가입자 본인 및 타인 모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는 상기 영역들에 정보를 입력(S202)하고 가입 요청(17)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03).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0)은 결제 예정 금액(12), 결제 예정 시점(13), 서비스를 제공 받을 시점(14)이 미리 정해진 4개 중에서만 선택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으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가입자가 직접 결제 예정 금액(12), 결제 예정 시점(13), 서비스를 제공 받을 시점(14)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예를 들어, 결제 예정 시점(13)의 경우 1일 부터 31일 사이의 날짜를 가입자가 직접 지정 가능)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0)은 가입자 정보(11), 결제 예정 금액 정보(12), 결제 예정 시점 정보(13),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14),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15),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16) 모두를 가입자가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가입자 정보(11),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15)만을 가입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결제 예정 금액 정보(12), 결제 예정 시점 정보(13),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14),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16)는 고객이 입력할 수 없고 서비스 가입 약관에 기초하여 지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가입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서비스 가입자 단말 장치(100)에 통지할 수 있다(S204).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 장치(100)에서 수신된 서비스 가입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205).
한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제에 따른 결제 금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206).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에 따른 결제 금액 정보를 가입자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207).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결제를 수행한 가입자의 정보에 매핑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8).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품 거래에 관련된 쇼핑몰 서버, 경매 서버 등과 같인 상거래 서버(400)와 연계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획득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본인 및/또는 가입자와는 다른 타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209)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검출부(330), 상품 정보 획득부(340), 제어부(35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외부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통신부(310)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가입자의 정보, 결제 예정 금액 정보, 결제 예정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에 따른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10)는 온라인/오프라인 결제를 중계하는 VAN(Value Added Network) 및 PG(Payment Gateway)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카드사 서버(5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정보는, 결제를 수행한 결제자 정보, 결제에 따른 결제 금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저장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된 서비스 가입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하기 표 1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가입자의 정보 결제 예정 금액 정보 결제 예정 시점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A 10,000 매월 초 매월 10일 A 자동차 용품, 아웃도어 용품, 생활가전
B 30,000 매월 말 매월 20일 B, C B: 여성화장품, 주방용품
C : 건강기능용품
또한, 저장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수신된 가입자의 결제 금액 정보를 하기 가입자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32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32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된 외부 데이터 베이스(DB)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검출부(33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검출부(33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표 1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는 가입자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330)는 검출된 가입자 정보에 매핑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를 저장부(320)에 저장된 표 1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검출부(33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표 1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는 가입자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330)는 검출된 가입자 중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예를 들어, 결제 예정 금액)을 초과하는 가입자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330)는 검출된 가입자 정보에 매핑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를 저장부(320)에 저장된 표 1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부(33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개은, 가입자 및 가입자와는 다른 타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 획득부(340) 고객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점은, 저장부(320)에 저장된 표 1을 참조할 때,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에 대응되는 시점이거나 또는 가입자의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결제 예정 금액)을 초과한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제 예정 시점에 결제를 수행하지 않는 가입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는, 상품의 모델명, 일련번호, SPEC, 이미지, 동영상, 설명서, 상품 가격 정보 등과 같은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획득된 상품은,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시점인 기 설정된 시점에서의 상품의 가치가 가입자가 결제한 결제 금액보다 큰 상품에 대한 상품일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정보 획득부(340)의 구체적인 상품 정보 획득 동작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품 정보 획득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정보 획득부(340)는 상품 거래에 관련된 상거래 서버에 가입자가 결제한 결제 금액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S501).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거래 서버에 전송되는 정보는, 결제 금액 정보를 반드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거래 서버(400)는, 쇼핑몰 서버, 경매 서버 등과 같이 상품 거래에 관련된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거래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부합하는 상품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전송된 정보가 결제 금액 정보, 고객 정보(고객 나이, 고객 성별 등) 및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TV)인 경우, 상거래 서버(300)는 결제 금액 정보에 부합하는 TV 중 고객 나이/성별에 가장 인기있는 TV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거래 서버(400)는 검출된 상품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고, 상품 정보 획득부(340)는 상품 정보를 수신(S502)하면, 수신된 상품 정보에서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S503)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된 상품 정보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가 반영되지 않은 정보인 경우, 상품 정보 획득부(340)는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시점인 기 설정된 시점에서의 상품의 가치가 가장 높을 것 같은 상품 정보를 획득(기 저장된 상품 가격 통계 정보 이용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수신된 상품 가격 통계 정보 이용하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품 정보 획득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품 정보 획득부(340)는 상품 거래에 관련된 상거래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01). 이 경우, 수신된 상품 정보는, 상거래 서버(400)에서 거래 가능한 모든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정보 획득부(340) 수신된 상품 정보 중 가입자가 결제한 결제 금액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02). 여기서 S602 동작은 상술한 상거래 서버(400)의 상품 정보 검출 동작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6에서는 상품 정보 획득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관리자가 MD(Merchandiser)가 되어 제조처 등을 직접 컨택하여, 신규 상품, 할인 가능 상품 등을 협의하여 가입자의 결제 금액 한도 내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상품을 제공 받을 고객에 대한 상품 카테고리, 상품을 제공 받을 고객의 연령 및 성별, 상품을 제공받을 시점 등을 이용하여 관리자가가 구매한 상품들을 복수의 고객들에게 할당하며, 관리자가 할당에 따른 결과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업로드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관리자가 MD가 되어 제조처 등을 직접 컨택하여, 신규 상품, 할인 가능 상품 등을 협의하여 가입자의 결제 금액 한도 내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서버 관리자가 구매된 상품을 서버에 업로드하면, 상품 정보 획득부(340)가 상품을 제공 받을 고객에 대한 상품 카테고리, 상품을 제공 받을 고객의 연령 및 성별, 상품을 제공받을 시점 등을 이용하여 구매한 상품들을 복수의 고객들에게 할당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상품 정보 획득 동작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의 상품 선택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검출부(330), 상품 정보 획득부(3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50)는 서비스 가입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가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에게 서비스가 제공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통지는,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가입자에게 수행될 수 있고, 가입자와는 다른 타인(예를 들어, 가입자가 선물 제공하기로 설정한 지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가입자 및/또는 타인에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지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SNS(Social Network Service), IM(Instant Message), E-mail, 전화 등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획득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5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이 획득된 상품에 대한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어부(35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이 상품에 대한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801)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의 상품 선택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품(도 8에서는 세 개의 상품 선택 가능)에 대한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은, 도 8(a)과 같이 획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비공개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한 개의 상품(802)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서는, 제공받을 상품으로 두 개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품이 선택되면, 제어부(350)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비공개 정보를 도 8(b)와 같이 공개 상태로 전환하여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다른 상품(804)에 대해서는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선택 영역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선택한 상품을 선택한 고객에게 할당하여 저장하도록 저장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은, 획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비공개하여 제공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 따라서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획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803 같이 공개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고객의 상품 선택은,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가입자가 수행할 수 있고, 가입자와는 다른 타인(예를 들어, 가입자가 선물 제공하기로 설정한 지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가입자 또는 타인이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입자의 정보, 결제 예정 금액 정보, 결제 예정 시점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701).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가입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가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S702).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된 서비스 가입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703).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에 따른 결제 금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704).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705). 여기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은, 가입자 및 가입자와는 다른 타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06). 여기서 기 설정된 시점은,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에 대응되는 시점이거나 또는 가입자의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을 초과한 이후의 시점일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획득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707). 여기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707)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이 획득된 상품에 대한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적어도 한 개의 상품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품을 고객에게 할당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획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공개하거나 또는 비공개하고,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적어도 한 개의 상품이 선택되면, 나머지 다른 상품의 선택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기 위한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설치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서비스 가입자 단말 장치 200 : 서비스 수신자 단말 장치
300 : 서비스 제공 서버 400 : 상거래 서버
310 : 통신부 320 : 저장부
330 : 검출부 340 : 상품 정보 획득부
350 : 제어부

Claims (18)

  1.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상기 서비스 이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결제에 따른 결제 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결제 금액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고객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고객 정보 및 상기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에게 상품 선택이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획득된 상품을 상기 고객에게 할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MMS, SNS, IM, E-mail, 전화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통해 상기 서비스가 제공되었음을 상기 가입자 및 상기 고객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품 거래에 관련된 상거래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 중 가입자가 결제한 결제 금액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의 결제 금액 한도 내에서 구매된 상품 중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에게 할당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정보, 결제 예정 금액 정보, 결제 예정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가입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입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은,
    상기 가입자 본인 및 상기 가입자와는 다른 타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점은,
    상기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에 대응되는 시점이거나 또는 상기 가입자의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을 초과한 이후의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이 선택 가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품 거래에 관련된 상거래 서버에 상기 가입자가 결제한 결제 금액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거래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된 정보들을 토대로 검출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에서 상기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품 거래에 관련된 상거래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 중 상기 가입자가 결제한 결제 금액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이 상기 획득된 상품에 대한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적어도 한 개의 상품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상품을 상기 고객에게 할당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획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공개하거나 또는 비공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적어도 한 개의 상품이 선택되면, 나머지 다른 상품의 선택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상기 서비스 이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결제에 따른 결제 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결제 금액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설정된 고객의 고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고객 정보 및 상기 결제 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설정된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상품 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설정된 고객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설정된 고객에게 상품 선택이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획득된 상품을 상기 고객에에 할당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MMS, SNS, IM, E-mail, 전화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통해 상기 서비스가 제공되었음을 상기 가입자 및 상기 고객에게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 획득부는, 상품 거래에 관련된 상거래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 중 가입자가 결제한 결제 금액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의 결제 금액 한도 내에서 구매된 상품 중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에게 할당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정보, 결제 예정 금액 정보, 결제 예정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의 정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가입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통지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 가입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은,
    상기 가입자 본인 및 상기 가입자와는 다른 타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점은,
    상기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에 대응되는 시점이거나 또는 상기 가입자의 결제 금액이 기 설정된 금액을 초과한 이후의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획득부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이 선택 가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획득부는,
    상품 거래에 관련된 상거래 서버에 상기 가입자가 결제한 결제 금액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상거래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된 정보들을 토대로 검출된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에서 상기 고객에게 기 설정된 시점에 제공할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획득부는,
    상품 거래에 관련된 상거래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상품 정보 중 상기 가입자가 결제한 결제 금액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 정보,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시점 정보,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받을 고객이 상기 획득된 상품에 대한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적어도 한 개의 상품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을 상기 고객에게 할당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획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공개하거나 또는 비공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적어도 한 개의 상품이 선택되면, 나머지 다른 상품의 선택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30142611A 2013-11-22 2013-11-22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10163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11A KR101639840B1 (ko) 2013-11-22 2013-11-22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11A KR101639840B1 (ko) 2013-11-22 2013-11-22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660A KR20150059660A (ko) 2015-06-02
KR101639840B1 true KR101639840B1 (ko) 2016-07-14

Family

ID=5349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611A KR101639840B1 (ko) 2013-11-22 2013-11-22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8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887A (ko) * 2001-03-16 2002-09-28 김한길 선결제 방식에 의한 인터넷 상에서의 상품 구매방법
KR20030055002A (ko) * 2001-12-26 2003-07-02 최원준 통신망을 통한 쇼핑몰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20024170A (ko) * 2002-01-30 2002-03-29 (주)매트릭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개인 생애 대소사 관련 맞춤 이벤트상품 및 서비스 판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660A (ko) 201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210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fficient shopping
US20150262236A1 (en) Follow-up messages after in-store shopping
US20150088642A1 (en) Intelligent shopping cart service
JP6322680B2 (ja) 受信者選択型モバイル景品引換券の提供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KR20160109076A (ko)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120417A1 (en) Method for providing favorite store management service in electronic commerce using interne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US20220044306A1 (en) Electronic commerce method capable of integrated ordering and integrated delivery, and server therefor
US11928657B2 (en) Social media marketplace
US201302824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sumer preference and intention data to merchants
US201500325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on-line transactions and/or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US112887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delayed purchase based on input from another
KR20140118655A (ko) 전자 메뉴판을 이용한 전자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76874B1 (ko)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94181A (ko) 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639840B1 (ko)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US20140297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related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service
JP2019179517A (ja)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50538A (ja) 購買情報管理装置及び方法、購買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11120472B2 (en) Techniques for retail location-aware services
KR2016007336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할인쿠폰 자동 적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6666A (ko) 온라인 쇼핑몰 적립 포인트 운영 시스템
KR101569864B1 (ko) 한정 판매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0098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58723B1 (ko)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2272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주문옵션 관리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