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968B1 -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8968B1 KR101638968B1 KR1020160008564A KR20160008564A KR101638968B1 KR 101638968 B1 KR101638968 B1 KR 101638968B1 KR 1020160008564 A KR1020160008564 A KR 1020160008564A KR 20160008564 A KR20160008564 A KR 20160008564A KR 101638968 B1 KR101638968 B1 KR 1016389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mortar
- double
- adhesive
- li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B65D90/042—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 B65D90/043—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fixed pointwise or linewise the liners being in the form of tiles 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콘크리트 저수조를 시공 또는 보수시 콘크리트벽체에 도포된 점착성 몰탈 또는 접착재와 강한 부착력을 가지는 구조와 수축 또는 팽창 수압을 받을 경우 신축거동하는 구조를 가져 탈리 및 균열 발생을 억제한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탄성부가 형성된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 외판과; 외판에 결합되고,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가 분출되는 분출구가 형성된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 내판과;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에 형성되어 몰탈 또는 접착재의 충전 공간과 외판 탄성부의 신축거동시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저수조 라이닝용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탄성부가 형성된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 외판과; 외판에 결합되고,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가 분출되는 분출구가 형성된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 내판과;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에 형성되어 몰탈 또는 접착재의 충전 공간과 외판 탄성부의 신축거동시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저수조 라이닝용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콘크리트 저수조를 친환경적으로 시공 또는 보수할 수 있도록 내식성 소재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구비하여 몰탈 또는 접착재에 압착시켜 부착력을 증대시키면서 수압에 대응하여 신축거동하는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수지 또는 주거용 아파트의 대용량 물탱크를 포함한 대부분의 건축 구조물에는 음용수용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가 시공된다. 이러한 저수조는 종래 콘크리트 소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로 제작되었다.
콘크리트 저수조는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대용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콘크리트 표면에 에폭시, FRP 등으로 마감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마감제(에폭시, FRP 등)의 탈리로 인한 외부 침출수 유입등의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최근 저수조들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부 표면에 스트인레스 타일을 시공한 저수조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 지어진 건축 구조물의 저수조들은 대부분 스테인레스 타일로 라이닝된 콘크리트 저수조가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기존 콘크리트 벽체에 여러 가지 라이닝재를 사용하여 보수 보강하는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기존 콘크리트 저수조의 라이닝 기술로는 에폭시 코팅, FRP 라이닝, PP shoe T 라이닝, 스테인레스/글래스 접착식 라이닝 기술 및 스테인레스 타일 라이닝 기술 등이 있다.
상기 에폭시 코팅(EPOXY Coating) 기술은 바탕면 준비(고압수처리로오염물 제거)후 균열부위를 퍼티(Putty) 및 연마지로 마무리 작업후 프라이머 도포후 에폭시 도장하여 시공된다. 수명은 3 ~ 5년 주기로 재방수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코팅 기술의 장점으로는 건조한 면에 시공시 방수 및 접착성능이 우수하고, 식수오염 방지에 비교적 우수하며, 시공이 용이하고 숙련공의 확보가 용이하고, 방수 및 방식에 효과적이며,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도막 두께 조절능력과 위생 및 청결을 요하는 장소에 적합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라이닝 기술중 하나이다. 단점으로는 신축성이 없어 크랙에 따라 균열발생의 우려가 있고, 습윤면에 에폭시(EPOXY) 도장시 도막 분리현상이 일어나 하자 발생 우려가 있고, 인화성 물질로 밀폐된 장소에서는 작업 곤란하고 동절기(10℃이하)에는 작업이 불가능한 점, 모체건조 후 시공해야 하므로 공기가 많이 소요된다는 점, 환경 호르몬 검출 위험이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글래스 접착식 라이닝 기술은 콘크리트 벽체에 스테인레스와 글래스를 접착 시공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 위에 초벌바름 및 재벌바름을 실시하여 그 위에 붙임 몰탈을 바르고 휴대용 진동기(Hand vibrator)를 사용하여 타일의 면을 고르는 밀착공법/ 타일의 뒤쪽에 붙임몰탈을 올려놓고 평평하게 고른 다음 초벌바름을 넣어 붙이는 떠 붙임 공법/ 기초바탕콘크리트 위에 초벌바름 및 재벌바름을 실시하여 그 위에 붙이는 몰탈을 바르고 다시 타일을 비벼넣는 것처럼 누르는 압착공법으로 시공된다. 수명은 50년(반영구적) 정도의 수명을 가진다. 이와 같은 스테인레스/글래스 접착식 라이닝 기술의 장점으로는 인체에 무해하며 표면이 매끄러워 오염물질의 부착이 곤란하고, 내구성이 뛰어(반영구적)나고, 정기적인 청소만으로 유지가 가능하므로 유지관리비가 절감되고, 청소 및 유지관리 방법이 간단하다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초기 공사비가 비교적 고가이고, 시공시 숙련공이 필요하고, 대기온도 및 콘크리트 표면온도가 5℃ 이하에서는 작업이 곤란하다는 점이다.
상기 스테인레스 타일 라이닝 기술은 기존 콘크리트 저수조의 콘크리트 벽체에 몰탈을 바르고 스테인레스 타일을 부착하는 비교적 단순한 시공방법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가 높지 않아도 되고, 시공비도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시공 후 균열현상, 들뜸현상, 박리/ 박락 현상과 같은 여러 시공상의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상기 균열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벽체 콘크리트 골조와 바탕몰탈의 재료의 차이에 의한 신축 발생과, 바탕 몰탈의 건조 수축으로 인한 균열과 타일 뒷면 공극으로 인한 동결로 부풀움과 균열이 발생된다.
또한 들뜸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콘크리트 벽체와 바탕 몰탈의 재료차에 의한 박리현상과 온도, 습도, 수압에 의한 팽창수축 그리고 부착력 부족, 철의 녹 등에 의한 부식과 콘크리트 산화에 의한 팽창 때문에 발생된다.
또한 박리/ 박락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부적절한 시공에 의한 부착력 및 부착강도 저하와, 타일과 타일 사이의 줄눈의 부식에 의한 수분 침투로 발생된다.
상기에서 살펴 본 기존 콘크리트 저수조의 라이닝 기술들 중 수명이나 시공방법과 시공비 등을 고려시 STS 라이닝 기술이 가장 현실적인 라이닝 공법이나, 이러한 스테인레스 타일은 외형을 이루는 스테인레스 타일 내부 공간에 몰탈을 채워 일체로 개별 타일을 제작 후 콘크리트 벽체에 몰탈을 도포 후 부착하기 때문에 내부에 이미 경화된 몰탈이 채워진 스테인레스 타일을 견고히 부착지지할 몰탈(접착제)의 도포 두께가 충분하지 않거나 일정치 않을 경우 충분한 부착 강도를 제공하지 못해 스테인레스 타일의 탈리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평판 형태의 스테인레스 타일과 그 내부를 몰탈이 채우고 있는 타일 구조로 인하여 저수조 내에 물을 채울 때와 비울 때 발생하는 수축 팽창력이 스테인레스 타일에 가해질 경우 이를 저감할 구조가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체와 몰탈 그리고 타일간의 부착 부위로 전파되어 충격을 가하게 됨으로써 지속적인 수축 팽창력을 받게 되면 균열 및 크랙이 발생되면서 심할 경우 스테인레스 타일 및 몰탈이 탈리되어 콘크리트 벽체가 다시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노출될 수 있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타일을 이용한 라이닝 시공 구조 및 공법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저수조를 시공 또는 보수시 콘크리트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와 강한 부착력을 가지는 구조와 수축 또는 팽창 수압을 받을 경우 신축거동하는 구조를 가져 탈리 및 균열 발생을 억제한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구성하는 내식성 재질의 외판에 신축수단이 설치되어 수압을 받을 경우 추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판의 신축거동을 돕도록 함으로써 물의 주입 및 배출시 발생하는 수축 팽창력에 의한 콘크리트 벽체 및 몰탈의 탈리 및 균열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고정하는 몰탈, 이웃하는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간의 틈새를 메꾸는 줄눈부재를 라텍스 함유 콘크리트 몰탈 또는 신축성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으로써 신축거동력과 방수력을 함께 제공하여 수압에 의한 탈리 및 균열 발생을 억제시킨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탄성부가 형성된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 외판과;
외판에 결합되고,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점착성 몰탈 또는 접착재가 분출되는 분출구가 형성된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 내판과;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에 형성되어 몰탈 또는 접착재의 충전 공간과 외판 탄성부의 신축거동시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 공간부에는 외판의 내측 탄성부쪽에 설치된 신축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판은 내판이 끼움 결합되는 일측면만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원형 탄성부 둘레에는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이중 절곡 성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판의 개방면 쪽 측면 하단부에는 적어도 마주보는 양측면 일지점에는 각각 외판의 빠짐을 방지하는 절곡지지부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내판은 일측면만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되, 표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분출구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를 압착시 분출되어 도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판은 4각형, 5각형 또는 6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각형태로 구성되어 이웃하는 외판과 연속적으로 배열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외판은 탄성부가 형성된 상부면과 측면 사이 모서리가 경사지게 가공되고, 내판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분출구는 원뿔통 형상, 원통형상, 사각뿔통 형상, 사각통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신축수단은 외판의 내측면에 설치된 외통과; 외통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과;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내판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에 접하는 로드;로 이루어져 탄성부의 신축거동시 연동되어 수축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신축수단은 외판의 내측면에 설치된 코일형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탄성부의 신축거동시 연동되어 수축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내식성 소재는 내식성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내판 또는 외판에 동일한 것으로 구성하거나 서로 다른 것으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양태로,
콘크리트 저수조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준비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수조의 내벽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내벽체면에 몰탈 또는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연속적으로 몰탈 또는 접착재가 도포된 콘크리트 내벽체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배열시공하여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내판에 형성된 분출구로 몰탈 또는 접착재를 분출시켜 압착시키는 단계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시공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간의 틈새에 신축성 줄눈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와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내판으로 분출된 몰탈 또는 접착재간을 일체화시키는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몰탈 또는 줄눈부재는 점착성 몰탈 또는 라텍스가 함유된 콘크리트(LMC: Latex Modified Concrete)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수조를 시공 또는 보수 보강 시공시 몰탈 또는 접착재와 결합되는 내판과 이 내판에 결합되어 저수조의 물과 접하고 외판으로 이루어진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진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저수조 벽체에 도포시킨 몰탈에 내판을 압착시키면 내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츨구를 통해 몰탈 또는 접착재가 분출되어 주변의 내판 부위에 도포됨으로써 양생되어 경화시 내판과 몰탈 또는 접착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강한 부착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외판이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쉽게 탈리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내식성 재질의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구성하는 외판과 내판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공간부를 가지게 형성되어 외판에 형성된 중앙부 탄성부가 신축거동할 수 있게 되어 저수조로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시 발생하는 강한 수압에 의한 수축 팽창력에 대응할 수 있게 되어 탈리 및 균열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구성하는 내판과 외판 사이 공간부에 신축수단이 설치되어 외판이 수압을 받을 경우 보조적인 탄성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외판의 신축거동을 돕도록 함으로써 물의 주입 및 배출시 발생하는 수축 팽창력에 의한 콘크리트 벽체 및 몰탈의 탈리 및 균열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고정하는 몰탈 또는 접착재 및 이웃하는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간의 틈새를 메꾸는 줄눈부재를 라텍스 함유 콘크리트 몰탈 또는 신축성 합성수지재를 사용함으로써 신축거동력과 방수력을 함께 제공하여 수압에 의한 탈리 및 균열 발생을 억제시켰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여러 장점을 가진 본 발명은 피스 결합이나 용접에 의하지 않고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타일 내부로 외부 유입수를 차단할 수 있고, 장기 내구수명이 20년 정도 늘어나고, 몰탈의 부착강도도 300% 이상 늘어난다는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내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신축 거동한 모습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축수단이 설치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이용한 저수조 시공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내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신축 거동한 모습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축수단이 설치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이용한 저수조 시공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내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신축 거동한 모습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콘크리트 벽체(5)에 도포된 몰탈(또는 접착재)(2)을 압착하여 설치된다.
상기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의 접착 및 이웃하는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간의 경계면 틈새의 줄눈부재(4)에는 점착성 몰탈 또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재 실란트로 접착 또는 마감하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방수력과 탄성력을 가진 접착재용 콘크리트 몰탈인 라텍스가 함유된 콘크리트인 LMC(Latex Modified Concrete)를 사용하여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균열 및 탈리가 잘 일어나지 않도록 시공하는 것이 좋다. 물론 LMC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공지의 마감용 시멘트 몰탈 또는 신축성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콘크리트 저수조에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LMC(Latex Modified Concrete)는 유동성, 방수성이 뛰어난 콘크리트로 상용 또는 필요한 물성을 가지게 스틸렌 부타디언계 폴리머를 물속에 고르게 분산시킨 라텍스를 콘크리트에 일정량 혼합하여 콘크리트의 성능을 크게 개선시킨 라텍스 혼합 개질 콘크리트이다.
상기와 같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으로 보수 보강 시공된 콘크리트 저수조는 물 유입구(51)를 통해 물을 저장시 발생하는 공급수압에 의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표면에 가해지는 수축력 또는 저장된 물을 사용처에 물 공급하거나 내부 청소를 위해 물을 배출구(52)로 배수시 발생하는 배출 수압에 의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표면에 가해지는 팽창력에도 종래의 일반적인 라이닝재로 사용되는 평판형 스테인레스 타일처럼 직접적으로 몰탈 및 콘크리트 내벽체에 전파되지 않고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스스로 신축거동하면서 완충력을 제공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에 신축 및 팽창력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균열 및 탈리가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으로 보수 보강된 콘크리트 저수조는 안정적인 방수력을 유지하면서 콘크리트로부터 독소나 냄새가 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된 물로 인한 물이끼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체에 도포된 몰탈(2) 또는 접착재에 부착되는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 내판(12)과, 이 내판(12)과 결합되어 저수조에 저장된 물과 접하는 내식성 재질의 외판(11)이 무용접방식으로 결합된 이중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내판 또는 외판에 사용되는 내식성 소재로는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내식성 금속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내판 또는 외판에 동일한 것으로 구성하거나 서로 다른 것으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판(11)과 내판(12) 사이에 공간부(13)를 형성하여 몰탈(2)의 유입 공간을 제공하면서 외판(11)이 신축 거동할시 내판(12)과 충돌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공간을 구성한다.
외판(11)은 내판(12)이 결합되는 일측면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막힌 구조의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내판(12)은 상기 외판(11)의 개방면쪽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일측면만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내판(12)의 폭은 동일한 축 방향의 외판(11)의 내부 폭 크기로 형성하여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내판(12)과 외판(11)이 끼움 결합되어 일체로 조립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은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를 압착하여 부착된다. 이때 박스형태으 내판과 외판은 개방면 끝단이 콘크리트 벽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외판(11)은 중앙부에 원형 탄성부(111)가 형성되게 가공된다. 탄성부(111)는 내판(12)의 반대 방향 즉, 물과 접촉하는 방향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게 가공된다. 탄성부(111)는 수압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되어 신축 거동하게 된다. 내판(12)과 외판(11) 사이에 형성시킨 공간부(13)는 이와 같은 외판(11)의 신축거동시 수축 작용을 할 때 내판(12)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공간부(13) 높이를 가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으로 이루어진 탄성부(111)의 둘레에는 이중절곡성형부(112)가 가공되어 탄성부(111)가 신축거동시 탄성력을 더욱 증가시키는 스프링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외판(11)은 몰탈 또는 접착재가 양생 후 경화되어 콘크리트 내벽체에 부착된 후 수압에 의해 외판(11)이 내판(12)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내판(12)이 끼워지는 외판(11)의 개방면 쪽 측면 하단부에는 적어도 마주보는 양측면 일지점에 각각 절곡지지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지지부(113)는 원활한 내판(12)의 끼움을 위해 1개 측면의 변 전체 길이만큼 형성하지 않고 일부 지점에만 형성해도 충분하다, 한 실시예에 따라 절곡지지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내판(12)은 탄성적으로 약간 구부려지면서 외판(11) 내부쪽에 끼워질 수 있고, 아니면 내판의 대응하는 지점에 홈이나 홀을 가공하여 삽입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판(12)과 외판(11)간에는 박스형태로 구성된 외판(11)의 측면 높이 때문에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되는데 끼움 결합된 내판(12)이 공간부(13) 내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도시된 간극재가 공간부(13)에 설치되거나 외판(11)의 내측면에 스톱퍼 등을 설치하여 내판(12)을 몰탈(2)에 압착시 밀림 현상을 방지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판(11)의 평단면 형상은 4각형 형상 뿐만 아니라 5각형 또는 6각형의 다각형태로 구성되어 이웃하는 외판(11)과 연속적으로 배열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외판(11)은 탄성부(111)가 형성된 상부면과 측면 사이 모서리가 경사지게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 가공하면 탄성부(111)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외판(11)의 가공방법은 외판(11) 형상을 한 금형에 판상의 외판(11)을 올려 놓고 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공 방법 뿐만 아니라 외판(11)의 탄성부(111)와 이중절곡성형부(112) 형상을 만족하기만 한다면 단일 가공이든 다단 가공이든 상관은 없다. 이와 같은 성형이 끝나면 측면 하단부에 절곡지지부를 형성하면 된다. 절곡지지부는 용접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하단부 일부를 절개 후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내측 공간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판(12)은 외판과 같이 일측면만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되 표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분출구(121)가 형성된다. 이 분출구(121)는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을 콘크리트 내벽체 표면에 도포된 일정 두께의 몰탈 또는 접착재에 부착시 내판(12)을 강하게 몰탈(2)쪽으로 압착하게 되면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 중 일부가 분출구(121)를 통해 내판(12)의 내측면 공간부(13)쪽으로 분출되면서 주변으로 도포되어 일정 두께로 공간부(13) 영역에 충전되게 된다. 분출된 몰탈 또는 접착재는 양생되어 경화시 분출구(121)의 내외측을 연결하는 몰탈 또는 접착재가 형성되어 내판(12)이 탈리되는 것을 막는 일종의 걸림턱 또는 스톱퍼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출구(121)를 구비함으로써 내판(12)의 부착력은 현저하게 증대되게 된다.
분출구(121)의 형상은 한실시예로 몰탈 또는 접착재의 분출이 용이하게 되도록 상부쪽이 좁게 원뿔통 형상으로 가공하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은 형상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로 원통형상, 사각뿔통 형상, 사각통 형상 중에서 선택된 형상으로 가공해도 된다.
내판(12)의 가공방법은 내판(12) 형상을 한 금형에 판상의 내판(12)을 올려 놓고 가압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공 방법 뿐만 아니라 분출구(121)의 형상을 만족하기만 한다면 단일 가공이든 다단 가공이든 상관은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은 콘크리트 저수조 벽체에 도포시킨 몰탈 또는 접착재에 내판(12)을 압착시키면 내판(12)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츨구를 통해 몰탈 또는 접착재가 토출되어 주변의 내판(12) 부위에 도포됨으로써 양생되어 경화시 내판(12)과 일체로 형성되어 강한 부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인해 외판(11)이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쉽게 탈리되지 않는다.
또한 외판(11)과 내판(12)이 일정 간격 이격된 공간부(13) 때문에 외판(11)의 중앙부에 형성된 탄성부(111)가 신축거동하여 콘크리트 저수조로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시 발생하는 강한 수압에 의한 수축 팽창력에 대응하여 신축거동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축수단이 설치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 예시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을 구성하는 내판(12)과 외판(11) 사이 공간부(13)에 신축수단(3)이 설치되어 외판(11)이 수압을 받을 경우 보조적인 탄성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외판(11)의 신축거동을 돕도록 구성된다.
신축수단(3) 수단은 수축과 팽창 작용을 할 수 있으면 어떤 방식을 사용해도 되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한 실시예와 같이 외판(11)의 내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외통(31)을 설치하고, 이 외통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형 스프링(32)과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내판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에 접하는 로드(33)를 설치하여 외판(11)의 신축거동에 따라 연동되어 수축 팽창하도록 구성한다.
이외에도 단순한 형태로 코일 스프링 단독으로 설치해도 된다. 다만 코일 스프링 단독으로 구성시는 외총과 로드가 없기 때문에 정교한 신축 거동시에는 제약이 따른다.
또한 코일 스프링 방식이 아닌 내판(12)쪽으로 볼록하게 곡률을 가지는 판 스프링을 외판(11)의 내측면 탄성부(111) 쪽에 형성하여 신축거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신축수단이 구비되면 물의 주입 및 배출시 발생하는 수축 팽창력을 탄성부(111)와 함께 신축거동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벽체 및 몰탈의 탈리 및 균열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신축수단은 외판(11)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형성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이용한 저수조 시공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을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시공 방법은, 먼저 상기 설명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지는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을 제조하여 구비하는 단계(S100)를 가진다.
이후 콘크리트 수조의 내벽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200)를 가진다. 이와 같은 단계는 시공 또는 보수 보강시 일반적인 단계로 이물질에 의한 몰탈 또는 접착재의 부착강도 저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후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벽체면에 몰탈 또는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S300)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몰탈은 일반적인 시멘트계 몰탈 대신 방수력과 탄성력을 가진 접착재용 콘크리트 몰탈인 라텍스가 함유된 콘크리트인 LMC(Latex Modified Concrete)를 사용하여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균열 및 탈리가 잘 일어나지 않도록 시공한다. 또한 접착재로는 실리콘과 같은 방수 및 신축성 있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몰탈 또는 접착재의 시공두께는 시공될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1)의 형태에 따라 달리 시공할 수 있으면 내판(12)에 분출된 몰탈 또는 접착재의 양을 감안하여 필요로 부착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두께를 도포하면 된다.
이후 미리 준비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연속적으로 몰탈 또는 접착재가 도포된 콘크리트 내벽체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배열시공하여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내판(12)에 형성된 분출구(121)로 몰탈 또는 접착재를 분출시켜 압착시키는 단계(S400)를 가진다. 이와 같은 몰탈 또는 접착재의 분출에 의해 분출구(121) 주변 및 공간부(13)에 일정 부피의 몰탈 또는 접착재가 충전되게 된다.
이후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시공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간의 틈새에 신축성 줄눈부재(4)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가진다. 이때 사용되는 신축성 줄눈부재는 콘크리트 내벽체에 도포되는 점착성 몰탈과 같이 방수력과 탄성력을 가진 접착재용 콘크리트 몰탈인 라텍스가 함유된 콘크리트인 LMC(Latex Modified Concre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외에도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와,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내판(12)으로 분출된 몰탈 또는 접착재간을 일체화시키는 양생단계(S600)를 가진다. 이와 같은 양생이 끝나면 몰탈 또는 접착재에 의한 강한 부착력에 의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공단계가 완료되면 콘크리트 저수조에 물을 주입하거나 배출시 발생하는 수압에 의한 수축 도는 팽창력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에 가해지면 외판(11)에 형성된 탄성부(111)가 내판(12)과 외판(11)간에 형성된 공간부(13) 영역내에서 신축거동하면서 완충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2) : 몰탈(또는 접착재)
(3) : 신축수단 (4) : 줄눈부재
(5) : 콘크리트 벽체 (11) : 외판
(12) : 내판 (13) : 공간부
(31) : 외통 (32) : 스프링
(33) : 코일 스프링로드 (51) : 유입구
(52) : 배출구 (111) : 탄성부
(112) : 이중절곡성형부 (113) : 절곡지지부
(121) : 분출구
(3) : 신축수단 (4) : 줄눈부재
(5) : 콘크리트 벽체 (11) : 외판
(12) : 내판 (13) : 공간부
(31) : 외통 (32) : 스프링
(33) : 코일 스프링로드 (51) : 유입구
(52) : 배출구 (111) : 탄성부
(112) : 이중절곡성형부 (113) : 절곡지지부
(121) : 분출구
Claims (13)
- 탄성부가 형성된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 외판과;
외판에 결합되고,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가 분출되는 분출구가 형성된 내식성 소재로 이루어진 내판과;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에 형성되어 몰탈 또는 접착재의 충전 공간과 외판 탄성부의 신축거동시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부와;
상기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 중 일부가 분출구를 통해 내판의 내측면 공간부쪽으로 분출되면서 주변으로 도포되며, 양생되어 경화시 분출구의 내외측을 연결하는 몰탈 또는 접착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판과 내판 사이 공간부에는 외판의 내측 탄성부쪽에 설치된 신축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판은 내판이 끼움 결합되는 일측면만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원형 탄성부 둘레에는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이중 절곡 성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판의 개방면 쪽 측면 하단부에는 적어도 마주보는 양측면 일지점에는 각각 외판의 빠짐을 방지하는 절곡지지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판은 일측면만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되, 표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분출구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를 압착시 분출되어 도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판은 4각형, 5각형 또는 6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각형태로 구성되어 이웃하는 외판과 연속적으로 배열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판은 탄성부가 형성된 상부면과 측면 사이 모서리가 경사지게 가공되고, 내판도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원뿔통 형상, 원통형상, 사각뿔통 형상, 사각통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외판의 내측면에 설치된 외통과; 외통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과; 일측단이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내판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에 접하는 로드;로 이루어져 탄성부의 신축거동시 연동되어 수축 팽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외판의 내측면에 설치된 코일형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탄성부의 신축거동시 연동되어 수축 팽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내식성 소재는 내식성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내판 또는 외판에 동일한 것으로 구성하거나 서로 다른 것으로 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 콘크리트 저수조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외판, 내판 및 외판과 내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이루어진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준비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수조의 내벽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내벽체면에 몰탈 또는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연속적으로 몰탈 또는 접착재가 도포된 콘크리트 내벽체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배열시공하여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내판에 형성된 분출구로 몰탈 또는 접착재를 분출시켜 압착시키는 단계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시공된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간의 틈새에 신축성 줄눈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몰탈 또는 접착재와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의 내판으로 분출된 몰탈 또는 접착재간을 양생하여 경화된 몰탈 또는 접착재가 분출구의 내외측을 일체로 연결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몰탈 또는 줄눈부재는 점착성 몰탈 또는 라텍스가 함유된 콘크리트(LMC: Latex Modified Concre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을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8564A KR101638968B1 (ko) | 2016-01-25 | 2016-01-25 |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8564A KR101638968B1 (ko) | 2016-01-25 | 2016-01-25 |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8968B1 true KR101638968B1 (ko) | 2016-07-12 |
Family
ID=5650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8564A KR101638968B1 (ko) | 2016-01-25 | 2016-01-25 |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896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8822B1 (ko) | 2017-06-16 | 2017-11-16 | 방만혁 | 콘크리트 벽체의 높낮이 기복에 무관하게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는 라이닝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보수용 스테인리스강 라이닝 구조 |
CN114112304A (zh) * | 2021-11-30 | 2022-03-01 | 西南石油大学 | 一种模拟水力压裂套管射孔流动冲蚀的实验装置及方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1263B1 (ko) * | 2003-08-11 | 2005-04-07 | (주식회사)문창 | 정수 및 폐수처리용 저류조의 벽체패널 |
KR100563986B1 (ko) | 2005-10-12 | 2006-03-23 | 주식회사 현진기업 | 정수장 및 저수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
KR100625861B1 (ko) | 2005-03-07 | 2006-09-20 | 김기완 |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
KR100666614B1 (ko) | 2005-12-26 | 2007-01-10 | 주식회사 성지기공 | 스테인레스 타일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및 시공방법 |
KR100669523B1 (ko) | 2006-05-04 | 2007-01-16 | 주식회사 현진기업 | 정수장 및 저수조의 스테인리스 라이닝보강 공법 |
KR100955345B1 (ko) * | 2009-10-30 | 2010-04-29 | (주식회사)문창 | 콘크리트벽체 방수용 유리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0985432B1 (ko) * | 2010-02-08 | 2010-10-05 | (주)동명산업 | 조립식 물탱크용 단위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101159793B1 (ko) * | 2011-12-22 | 2012-06-26 | (주)금강 | 복합 패널,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유체 저장탱크 및 , 이를 이용한 조립식 유체 저장탱크 시공방법 |
-
2016
- 2016-01-25 KR KR1020160008564A patent/KR1016389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1263B1 (ko) * | 2003-08-11 | 2005-04-07 | (주식회사)문창 | 정수 및 폐수처리용 저류조의 벽체패널 |
KR100625861B1 (ko) | 2005-03-07 | 2006-09-20 | 김기완 |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
KR100563986B1 (ko) | 2005-10-12 | 2006-03-23 | 주식회사 현진기업 | 정수장 및 저수조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
KR100666614B1 (ko) | 2005-12-26 | 2007-01-10 | 주식회사 성지기공 | 스테인레스 타일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및 시공방법 |
KR100669523B1 (ko) | 2006-05-04 | 2007-01-16 | 주식회사 현진기업 | 정수장 및 저수조의 스테인리스 라이닝보강 공법 |
KR100955345B1 (ko) * | 2009-10-30 | 2010-04-29 | (주식회사)문창 | 콘크리트벽체 방수용 유리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0985432B1 (ko) * | 2010-02-08 | 2010-10-05 | (주)동명산업 | 조립식 물탱크용 단위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101159793B1 (ko) * | 2011-12-22 | 2012-06-26 | (주)금강 | 복합 패널,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유체 저장탱크 및 , 이를 이용한 조립식 유체 저장탱크 시공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8822B1 (ko) | 2017-06-16 | 2017-11-16 | 방만혁 | 콘크리트 벽체의 높낮이 기복에 무관하게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는 라이닝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물탱크 보수용 스테인리스강 라이닝 구조 |
CN114112304A (zh) * | 2021-11-30 | 2022-03-01 | 西南石油大学 | 一种模拟水力压裂套管射孔流动冲蚀的实验装置及方法 |
CN114112304B (zh) * | 2021-11-30 | 2024-03-12 | 西南石油大学 | 一种模拟水力压裂套管射孔流动冲蚀的实验装置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8968B1 (ko) | 신축이 자유로운 이중 엠보싱 압착형 라이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 시공방법 | |
US20150322988A1 (en) | Thin gel gasket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KR100688468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크랙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장치 | |
AT519577B1 (de) | Schachtbodenausklei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achtbodenauskleidung | |
KR101480098B1 (ko) | 욕실용 방수 시공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 |
US10094506B2 (en) | Corrugated metal pipe repair system and method | |
KR101472524B1 (ko) | 부틸고무테이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외벽방수공법 | |
US2899820A (en) | Prestressed joint between bottoms | |
KR101966982B1 (ko) | 줄눈이 형성되는 타일 및 그 시공방법 | |
CN217266961U (zh) | 一种用于浇筑桥梁墩柱的复合模板 | |
US8658072B2 (en) | Support gasket for use in a concrete mold for vertically forming concrete panels | |
KR101075568B1 (ko) | 중간벽이 설치된 폴리우레아 물탱크 | |
KR101031261B1 (ko) |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 |
KR101496103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공법 | |
JP6364674B2 (ja) | コンクリート打継目形成方法 | |
CN113775197A (zh) | 一种混凝土外墙穿墙螺栓孔封堵及防渗漏施工方法 | |
KR100884824B1 (ko) | 콘크리트 바닥면에의 마루바닥재 하자 방지 시공방법 | |
JP2021055431A (ja) | 防水シートの敷設工法 | |
CN220813692U (zh) | 一种引水隧洞衬砌混凝土板结构缝新型橡胶止水结构 | |
KR20180080156A (ko) | 타일 배면 접합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 방법 | |
CN221372442U (zh) | 改扩建污水处理厂水池墙壁混凝土施工缝止水装置 | |
CN220167190U (zh) | 一种不同材料接缝处防水构造 | |
JPH08128179A (ja) | 床用パネル、この床用パネルを用いて構成された床、及 び床の構成方法 | |
KR101048719B1 (ko) | 턴버클이 설치된 폴리우레아 물탱크 | |
CN116752683A (zh) | 一种具有自防水功能的蜂巢芯及其防水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