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927B1 -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927B1
KR101638927B1 KR1020160012829A KR20160012829A KR101638927B1 KR 101638927 B1 KR101638927 B1 KR 101638927B1 KR 1020160012829 A KR1020160012829 A KR 1020160012829A KR 20160012829 A KR20160012829 A KR 20160012829A KR 101638927 B1 KR101638927 B1 KR 10163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drying
laminating
carbonized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술
최병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디자인
Priority to KR102016001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B27K3/021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28Spraying apparatus, e.g.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78Processes; Apparatus involving an additional treatment during or afte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8Impregnating by pressure, e.g. vacuum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85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된 목재를 끓는 소금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는 준비단계, 대차 상부로 상기 건조된 목재를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목재가 적층된 대차를 챔버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투입된 목재를 섬유포화점 상태까지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 황칠추출물과 희석재와 물의 혼합도료를 주입하는 함침단계, 상기 함침단계를 마친 목재를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 열을 주입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탄화된 목재를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지는 탄화목 제조방법 및 목재에 황칠액 함침이 고르게 분포되고, 부피 변화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의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해서 생산된 목재는 내구성이 높고, 황칠도료의 특징인 금빛을 내면서 나뭇결의 아름다움을 향상 시키며, 본 발명의 적층장치에 의하여 설치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을 절감 시키고, 목재의 부피변화에 따른 목재형상의 변형을 방지해 준다.

Description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Hwangchil liquid impregnated wood carbonization method, and laminating device for use thereof}
본 발명은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된 목재를 끓는 소금물에 침지시킨 후 건조하는 준비단계, 대차 상부로 상기 건조된 목재를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목재가 적층된 대차를 챔버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투입된 목재를 섬유포화점 상태까지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 황칠추출물과 희석재와 물의 혼합도료를 주입하는 함침단계, 상기 함침단계를 마친 목재를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 열을 주입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탄화된 목재를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지는 탄화목 제조방법 및 목재에 황칠액 함침이 고르게 분포되고, 부피 변화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다.
벌목(伐木)된 목재는 세포막 내부와 세포 사이에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목재가 건조될 때에는 세포 사이의 수분이 먼저 건조되고, 상기와 같이 세포사이의 수분이 완전히 증발한 상태를 섬유포화점(Fiber saturation point)이라 하며 이때 함수율은 목재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30%내외이다. 또한, 공기중의 습도와 평형될 때까지 건조되어 함수율이 13%내외가 되는 상태를 기건상태(Air dride condition)라고 한다. 상기의 섬유포화점 상태에서 기건상태로 진행 될때 서서히 건조되면서 목재의 수축이 일어나 균열과 뒤틀리는 현상이 나타나며 건축자재로 사용시 목재간의 맞춤부분이 이완되는 현상과 뒤틀리는 단점이 나타난다.
상기 목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1990년대 유럽에서는 고온의 가열 압로에서 처리한 목재(이하 탄화목이라 한다)를 상용화 및 대량 생산을 하였으며, 상기의 탄화목은 목재의 수산기가 활발한 반응을 일으키며 농도가 감소되어 목재의 방흡수성 및 치수 안정성이 높아지며 고온 처리 하는 과정에서 화학 반응으로 인해 목재 부후균이 좋아하는 영양물질이 감소되어 균로 및 충류가 번식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상기의 탄화목은 방부목과 달리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열과 증기만으로 자연 방부 효과를 가지게 되어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친환경 목재이다.
추가로 탄화목의 장점으로는 하중 강도에 실질적으로 변화가 없고, 경도의 차이는 목재의 수종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일반적으로 열처리 목재의 경도는 높아지며, 전원자재에 비하여 변형이 40~50%까지 줄어들어 치수 안정성을 가지고, 수분 침투성이 낮아지며, 탄화전 목재에 대비하여 열전도율이 20~25% 줄어든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의 탄화목을 제조하는 방법들이 개량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66350호(2010. 06. 28.)의 과열증기를 이용한 목재 건조 탄화장치로 상기 탄화장치는 고열저장 탱크와 과열증기실과 챔버와 제습장치로 구성된 과열증기를 이용한 목재 건조 탄화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과열증기실은 밀폐된 관으로서 열풍기로부터 발생된 열이 유입되는 열풍유입구와 상기 열풍유입구로 유입된 열이 고열저장탱크로 이송되는 열풍통과관과 고열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포화증기가 유입되는 포화증기유입구와 과열증기실을 밀착하여 감싸고 열풍기의 열과 함께 고열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된 포화증기를 가열하여 130~300℃의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히터와 상기 생성된 130~300℃의 과열증기를 챔버로 유출하는 과열증기 유출구 및 제습장치에서 수분이 제거된 제습증기가 유입되는 제습증기유입구를 제공하고 있으나 과열증기에 의하여 목재를 탄화할 때 발생되는 목재의 부피 변화에 따른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목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195383호(2012. 10. 23.)은 고열처리 탄화목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제조방법은 긴 판형으로 가공한 다수의 목재를 수평으로 밀착되게 배열한 후에 그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이격부재를 직교되게 배치하고, 상기 이격부재의 상면에 다시 목재를 수평으로 밀착되게 배열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열처리 챔벙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입방체 형태의 목재 적층단을 형성하는 목재 적층단 형성 단계와; 상기 목재 정층단의 양측면으로 소정의 위치에 상호 대응되게 한 쌍씩 다수의 측면가압대를 세우고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을 상기 목재 적층단을 내측을 가로질러 그 일측면에 있는 측면가압대와 타측면에 있는 측면가압대에 관통되게 배치하는 가압장치 배치 단계와; 상기 측면가압대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상기 나사봉에 가압볼트를 나사결합시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상기 측면가압대로 상기 목재 적층단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적층단 측면 가압 단계와; 상기 측면가압대에 의해 측면이 가압되는 상태의 상기 목재 적층단을 상기 열처리 챔버에 탑재하는 목재 적층단 탑재 단계와; 상기 열처리 챔버를 밀폐시킨 상태로 고온 고압 하에서 상기 열처리 챔버의 내부에 탑재된 상기 목재 적층다능ㄹ 가열하여 요구되는 함수율을 가지도록 상기 목재를 열처리시키는 고온고압 열처리 단계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에서 가압장치는 설치에 따른 초기자본이 많이 발생할 뿐만아니라 목재를 적층함에 있어서도 복잡한 단계를 걸쳐야 하고, 운영비가 많이 든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탄화목은 함수율을 낮추어 치수안정성을 가진다고 할지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라짐 및 휨 현상이 발생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일부 사용자들은 색감에 있어서 거부감이 들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6350호(2010. 06. 28.) 한국등록특허 제10-1195383호(2012. 10. 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탄화목 및 탄화목 제조와 관련한 선행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시간의 지남에 따라서 휘거나 갈라지는 탄화목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적층된 목재가 탄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변형을 저비용으로 방지하며, 친환경 도료인 황칠액을 함침하여 심미감을 줄 수 있고, 치수 안정성을 더 향상 시키는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은 목재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된 목재를 끓는 소금물에 20~24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5일 이상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는 준비단계; 대차 상부로 상기 건조된 목재를 적층장치를 이용하여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목재가 적층된 대차를 챔버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투입된 목재의 수분함량이 28~35%가 되도록 감량하여 섬유포화점 상태까지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 챔버 측면 하부에 설치된 무화장치를 통하여 황칠추출물, 희석재 및 물의 혼합도료를 주입하는 함침단계; 상기 함침단계를 마친 목재를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 2차 건조단계를 마친 후 목재를 탄화하기 위해 챔버 측면에 가열구를 통하여 열을 주입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탄화된 목재를 40~50℃까지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준비단계에서 소금물의 물과 소금의 혼합비율은 1:0.3~0.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층단계에서 목재의 적층은 대차 상부로 복수개의 이격대를 동일한 방향 등간격 배치하고, 그 상부로 가공된 목재를 직교방향으로 밀착되게 배치한 후, 그 상부에 상기와 동일하게 이격대를 배치하며, 배치된 목재의 좌우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대를 두고, 이격대와 이격대의 사이 공간에 측면 가압대를 위치하되 상기의 수직대의 외면에 고정나사로 결합 설치하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목재를 적층한다.
상기 함침단계는 1차 건조단계 후 바로 실시하고, 실시전 챔버내부를 감합한 후 희석재로 희석된 황칠액 물과 혼합하여 무화장치를 통해 챔버 내부로 주입하며, 주입과 동시에 가압을 실시하여 소정 시간내에 함침 한다.
상기 황칠액의 희석재는 물과 혼화성이 우수한 알코올류를 사용하고, 첨가제를 추가 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세락을 사용한다.
상기 2차 건조단계는 함침을 마친 목재를 25~35℃온도와 18~22%습도에서 건조한다.
상기 가열단계의 온도는 140~260℃로 3~20시간동안 이루어진다.
또한 탄화목 제조과정 중 목재를 적층하는 적층장치는 양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이되, 적층되는 목재의 직교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등간격 배치되고, 목재에 가해지는 열전달 및 황칠 추출물 도료의 함침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중공을 이루고 있는 이격대; 상기 목재의 좌우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 외면에 걸쳐 등간격으로 배치된 이격대와 이격대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건조, 함침 및 탄화되면서 부피의 변화가 발생되는 목재의 측면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 가압대; 및 최상부에 위치되는 이격대 상부에 위치하여 목재의 상·하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가압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 가압대는 복수개의 가압대 파이프, 고정 결합되어 복수개의 가압대 파이프를 연결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가압대 파이프 끝단과 결합되고, 한 개 또는 두 개의 수직대 외면에 고정나사로 부착 설치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 가압대 설치시 가압스프링을 소정 늘려주어 지속적으로 목재 좌우 측면을 가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는 황칠 추출물을 함침하여 목재의 내구성을 높이고, 황칠도료의 특징인 금빛을 내면서 나뭇결의 아름다움을 향상시키며, 본 발명의 적층장치에 의하여 설치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고, 목재의 부피변화에 따른 목재형상의 변형을 방지해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장치를 사용하여 목재를 적층하는 과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된 목재를 챔버에 투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가압대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격대의 투시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명칭은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충분히 유추 가능한 별도의 기재는 생략하며 필요 경우 실시예 및 도면을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한정 해석하지 아니하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상기 제조방법은 가공단계, 준비단계, 적층단계, 투입단계, 1차 건조단계, 함침단계, 2차 건조단계, 가열단계 및 냉각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하기에 상기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개진한다.
가공단계는 목재를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로써 본 발명의 적층장치에 부합되기 위해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단계는 상기 가공단계에서 가공된 목재를 끓는 소금물에 20~24시간동안 침지 시킨 후 5일 이상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는 준비단계로 상기 소금물의 물과 소금의 혼합비율은 1:0.3~0.35로 이루어져 있고, 소금물에 침지 시킴으로써 소나무 또는 잣나무에서 나오는 송진을 제거한다.
적층단계는 상기 그늘진 곳에서 건조된 목재를 적층장치로 적층하는 단계로 도 2와 함께 더욱 상세하게는 대차 상부로 복수개의 이격대를 동일한 방향으로 등간격 배치하고, 그 상부로 가공된 목재를 직교 방향으로 밀착되게 배치한 후, 그 상부에 상기와 동일하게 이격대를 배치하며, 배치된 목재의 좌우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대를 두고, 이격대와 이격대의 사이 공간에 측면 가압대를 위치하되 상기의 수직대의 외면에 고정나사로 결합 설치하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목재를 적층한다.
투입단계 및 1차 건조단계는 상기 적층된 목재를 챔버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목재의 수분함량이 28~35%가 되도록 감량시켜 목재가 수축이 생기지 않고 강도에 변화가 없을 정도인 세포사이의 수분이 제거되는 섬유포화점 상태까지 건조하여 목재 공극을 확보함으로써 황칠액 함침을 용이하게 한다.
함침단계는 챔버 측면 하부에 설치된 무화장치를 통하여 황칠추출물, 희석재 및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도료를 미세입자화 하여 주입하는 단계로 1차 건조단계 후 챔버내 온도가 상승된 상태에서 바로 황칠액 혼합물의 주입을 실시하여 챔버내에서 온도차이에 의하여 입자가 미세화된 도료가 챔버내부로 퍼짐으로써 목재로 함침되는 분포를 넓게하며, 상기 도료의 주입전 챔버내부를 감압하고, 희석재와 물이 혼합된 황칠액을 주입함과 동시에 가압을 실시하여 소정시간 동안 함침 하며, 상기 희석재는 물과 혼화성이 우수한 알코올류를 사용하고,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세락을 사용한다.
황칠 추출물은 채취 후 굳어 있는 상태로 희석을 시켜야 하며, 상기 희석재로 쓰이는 용매인 물과 혼화성이 우수한 알코올류와 황칠추출물의 혼합비율은 1:0.2~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코올류와 황칠추출물의 혼합물과 물의 혼합비율은 1:2~3으로 이루어지며, 물을 혼합하는 이유로는 1차 건조단계에 의하여 내부의 온도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챔버에 무화장치를 통해 혼합물을 주입함으로써 기화상태로 변화를 빠르게 진행되고, 그로 인하여 황칠추출물이 챔버내부와 적층된 목재에 고르게 퍼질 수 있게 함이다.
2차 건조단계는 황칠액 함침을 마친 목재를 25~35℃온도와 18~22% 습도에서 건조한다.
또한, 상기 황칠추출물 외에 옻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옻 추출물에 희석재로 테라핀을 이용하고, 옻 추출물을 함침 할때에는 30℃ 내외의 온도와 80% 습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단계는 상기 2차 건조단계를 마친 목재를 탄화하기 위해 챔버 측면에 가열구를 통하여 열을 주입하되 이때 온도는 140~260℃로 3~20시간동안 이루어진다.
냉각단계는 상기 탄화된 목재의 온도를 40~50℃까지 냉각시킨다.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에서 냉각하는 과정 중 피톤치드원액을 물과 혼합하여 무화장치를 통하여 챔버내부에 소량 주입하여 목재에 피톤치드 향을 내어 탄화목에서 발생할수 있는 악취를 분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단계를 마친 목재 외부에 유성도료의 일종인 락카, 니스, 카슈등의 투명도료를 칠하여 목재 원래의 모양을 그대로 나타내면서 내구성을 더욱 향상 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탄화목 제조과정 중 목재를 적층하는 적층장치는 양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이되, 적층되는 목재의 직교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등간격 배치되고, 목재에 가해지는 열전달 및 황칠 추출물 도료의 함침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중공을 이루고 있는 이격대; 상기 목재의 좌우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 외면에 걸쳐 등간격으로 배치된 이격대와 이격대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건조, 함침 및 탄화되면서 부피의 변화가 발생되는 목재의 측면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 가압대; 및 최상부에 위치되는 이격대 상부에 위치하여 목재의 상·하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가압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 가압대는 복수개의 가압대 파이프, 고정 결합되어 복수개의 가압대 파이프를 연결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가압대 파이프 끝단과 결합되고, 한 개 또는 두 개의 수직대 외면에 고정나사로 부착 설치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가압대 설치시 가압스프링을 소정 늘려주어 지속적으로 목재 좌우 측면을 가압한다.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의 수직대의 형상은 이격대와 동일하게 양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이고, 중공을 형성 하여 함침공정을 원활하게 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의 챔버내부에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측정된 자료를 챔버 외부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할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는 황칠 추출물을 함침하여 탄화시킨 목재의 내구성을 높이고, 황칠도료의 특징인 금빛을 내면서 나뭇결의 아름다움을 향상시키며, 본 발명의 적층장치에 의하여 설치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고, 목재의 부피변화에 따른 목재형상의 변형을 방지해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은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목재 46 : 받침판
20 : 이격대 48 : 고정나사
30 : 수직대 50 : 상부 가압판
40 : 측면가압대 60 : 챔버
42 : 가압대 파이프 62 : 가열구
44 : 가압 스프링 64 : 무화장치

Claims (10)

  1. 탄화목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목재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된 목재를 끓는 소금물에 20~24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5일 이상 그늘진 곳에서 건조하는 준비단계;
    대차 상부로 상기 건조된 목재를 적층장치를 이용하여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목재가 적층된 대차를 챔버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투입된 목재의 수분함량이 28~35%가 되도록 감량하여 섬유포화점 상태까지 건조하는 1차 건조단계;
    챔버 측면 하부에 설치된 무화장치를 통하여 황칠추출물, 희석재 및 물의 혼합도료를 주입하는 함침단계;
    상기 함침단계를 마친 목재를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
    2차 건조단계를 마친 후 목재를 탄화하기 위해 챔버 측면에 가열구를 통하여 열을 주입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탄화된 목재를 40~50℃까지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단계에서 목재의 적층은 대차 상부로 복수개의 이격대를 동일한 방향으로 등간격 배치하고, 그 상부로 가공된 목재를 직교방향으로 밀착되게 배치한 후, 배치된 목재 상부에 상기 대차상부에 동일한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된 이격대와 동일한 위치로 이격대를 배치하며, 배치된 목재의 좌우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수직대를 두고, 이격대와 이격대의 사이 공간에 측면 가압대를 위치하되 상기의 수직대의 외면에 고정나사로 결합 설치하며, 상기와 같이 이격대 배치 후 목재를 배치하고, 배치된 목재 상부로 이격대와 측면 가압대를 배치하는 과정을 동일하게 반복하여 목재를 적층하고,
    상기 측면 가압대는 함침 및 탄화된면서 부피의 변화가 발생되는 목재의 측면의 형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가압대 파이프, 고정 결합되어 복수개의 가압대 파이프를 연결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가압대 파이프 끝단과 결합되고, 한 개 또는 두 개의 수직대 외면에 고정나사로 부착 설치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 가압대 설치시 가압스프링을 소정 늘려주어 지속적으로 목재 좌우 측면을 가압하며,
    상기 냉각단계에서 냉각하는 과정 중 피톤치드원액을 물과 혼합하여 무화장치를 통하여 챔버내부에 소량 주입하여 목재에 피톤치드 향을 내어 탄화목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에서 소금물의 물과 소금의 혼합비율은 1:0.3~0.35 중량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단계는 1차 건조단계 후 바로 실시하고, 실시전 챔버내부를 감합한 후 희석재로 희석된 황칠액 물과 혼합하여 무화장치를 통해 챔버 내부로 주입하며, 주입과 동시에 가압을 실시하여 소정 시간내에 함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액의 희석재는 물과 혼화성이 우수한 알코올류를 사용하고, 첨가제를 추가 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세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건조단계는 함침을 마친 목재를 25~35℃온도와 18~22%습도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의 온도는 140~260℃로 3~20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8. 탄화목 제조과정 중 목재를 적층하는 적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층장치는
    양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이되, 적층되는 목재의 직교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등간격 배치되고, 목재에 가해지는 열전달 및 황칠 추출물 도료의 함침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중공을 이루고 있는 이격대;
    상기 목재의 좌우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 외면에 걸쳐 등간격으로 배치된 이격대와 이격대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건조, 함침 및 탄화되면서 부피의 변화가 발생되는 목재의 측면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 가압대; 및
    최상부에 위치되는 이격대 상부에 위치하여 목재의 상·하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가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적층하는 적층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압대는 복수개의 가압대 파이프, 고정 결합되어 복수개의 가압대 파이프를 연결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가압대 파이프 끝단과 결합되고, 한 개 또는 두 개의 수직대 외면에 고정나사로 부착 설치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적층하는 적층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압대 설치시 가압스프링을 소정 늘려주어 지속적으로 목재 좌우 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적층하는 적층장치.
KR1020160012829A 2016-02-02 2016-02-02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 KR10163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829A KR101638927B1 (ko) 2016-02-02 2016-02-02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829A KR101638927B1 (ko) 2016-02-02 2016-02-02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927B1 true KR101638927B1 (ko) 2016-07-13

Family

ID=5650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829A KR101638927B1 (ko) 2016-02-02 2016-02-02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1400A (zh) * 2020-01-16 2020-06-09 北京市飞宇商贸有限公司 一种红木家具的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350B1 (ko) 2009-08-14 2010-06-28 박남수 과열증기를 이용한 목재 건조 탄화장치
KR101195383B1 (ko) 2012-04-10 2012-10-29 문상철 고열처리 탄화목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 장치
KR101232074B1 (ko) * 2012-09-06 2013-02-12 지수옥 황토와 해초를 이용한 내장재의 제조방법
KR20140005058A (ko) * 2012-07-04 2014-01-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열처리 탄화목 제조방법
KR101502569B1 (ko) * 2013-12-06 2015-03-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목재의 옻 함침장치 및 함침방법과, 이를 이용한 옻 함침 위생도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350B1 (ko) 2009-08-14 2010-06-28 박남수 과열증기를 이용한 목재 건조 탄화장치
KR101195383B1 (ko) 2012-04-10 2012-10-29 문상철 고열처리 탄화목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 장치
KR20140005058A (ko) * 2012-07-04 2014-01-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열처리 탄화목 제조방법
KR101232074B1 (ko) * 2012-09-06 2013-02-12 지수옥 황토와 해초를 이용한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1502569B1 (ko) * 2013-12-06 2015-03-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목재의 옻 함침장치 및 함침방법과, 이를 이용한 옻 함침 위생도마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1400A (zh) * 2020-01-16 2020-06-09 北京市飞宇商贸有限公司 一种红木家具的制作方法
CN111251400B (zh) * 2020-01-16 2022-04-26 北京市飞宇商贸有限公司 一种红木家具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7446B (zh) 一种表面增强实木型材及其制造方法
CN102555005B (zh) 阻燃实木型材、阻燃实木地板及其生产方法
JP5467112B2 (ja) 一種の木質型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582377A (zh) 一种木材压缩-原位带压热处理一体化的方法及其制备的压缩木
AU2016228004A1 (en) Treatment of wood
CN101774195B (zh) 一种改善超高温热处理木材性能的方法
CN103240780A (zh) 硅溶胶浸注预处理改善炭化木性能的方法
CN102922583B (zh) 一种压缩阻燃型材
CN103017485A (zh) 一种木材高温高湿快速干燥工艺方法
AU2007344697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wood drying
CN108638277B (zh) 一种具有稳定耐久性木质结构材的制备方法及木质结构材
KR101162893B1 (ko) 탄화목재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하여 제작한 탄화목재
CN102303331A (zh) 一种防止桉木皱缩的干燥工艺
Suri et al. Comparison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aulownia tomentosa and Pinus koraiensis wood heat-treated in oil and air
CN106863512B (zh) 户外用木材重组材的制备方法
Kong et al. Development of schedule to steaming prior to drying and its effects on Eucalyptus grandis× E. urophylla wood
KR101638927B1 (ko) 황칠액이 함침된 탄화목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장치
CN103009449A (zh) 一种阻燃压缩实木材及其生产方法
CN103009448B (zh) 一种表面阻燃增强实木及其制造方法
CN109366670A (zh) 一种快速密实炭化增强木材性能的处理方法
CN102941609A (zh) 一种压缩型材的制备方法
CA2612159A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ood or wood products
CN102922585A (zh) 一种炭化阻燃压缩型材的制备方法
JPH10329110A (ja) 木材の乾燥方法及び含浸処理方法
CN108515587A (zh) 一种高碳防腐竹墙板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