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782B1 -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782B1
KR101638782B1 KR1020147033356A KR20147033356A KR101638782B1 KR 101638782 B1 KR101638782 B1 KR 101638782B1 KR 1020147033356 A KR1020147033356 A KR 1020147033356A KR 20147033356 A KR20147033356 A KR 20147033356A KR 101638782 B1 KR101638782 B1 KR 101638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ng
liquid
gas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425A (ko
Inventor
야스히코 마스다
히로야스 마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르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르에스
Publication of KR2015000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 B01F23/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being at least partially immersed in the liquid, e.g. in a closed circuit
    • B01F23/23231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being at least partially immersed in the liquid, e.g. in a closed circuit the conduits being vertical draft pipes with a lower intake end and an upper exit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7Profiled elements, e.g. profiled blades, bars, pillars, columns or chevr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97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1974Support members, e.g. tubular collars, with projecting baffles fitted inside the mixing tube or adjacent to the in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7Profiled elements, e.g. profiled blades, bars, pillars, columns or chevrons
    • B01F25/43171Profiled blades, wings, wedges, i.e. plate-like element having one side or part thicker tha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1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 B01F25/43197Straight mixing tubes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that do not cause substantial pressure drop; Baffl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1971Mounted on the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42Ozoniz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액중에 방출된 기체를 미세화하여 균일한 분산을 도모하면서, 액체를 효율적으로 교반시킬 수 있는 산기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양쪽 끝이 개구되는 통모양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5각형 모양인 유로내면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유로내면에 방향을 바꾸어서 다단으로 설치된 날개부재(24)와, 본체(10)의 일방의 개구끝부에 설치된 분사노즐(32)을 구비하고, 분사노즐(32)이 하측이 되도록 본체(10)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액중에 침지시키고, 분사노즐(32)로부터 본체(10)내로 기체를 분사하여 산기시키는 산기장치(1)로서, 분사노즐(32)은 앞쪽 끝에 형성된 분사구(32a)의 중심선(C)이 최하단에 배치된 날개부재(24)보다 하방에 있어서 유로내면과 교차하고, 또한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45° 이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산기장치{AER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액체중에 공기 등의 기포(氣泡)를 분산시키는 산기장치(散氣裝置)에 관한 것이다.
산기장치는, 하수처리장, 식품공장이나 축산농장에 있어서의 배수처리장, 기타 공장의 배수처리설비에 있어서의 배수(排水)중의 용존산소량(溶存酸素量)을 높이고, 또한 저수지나 하천, 양식 연못 등에 있어서 액(液)중의 용존산소량을 높임으로써 부주의한 액체의 부패를 방지하는 등의 용도에 사용된다. 종래의 산기장치로서 본 발명자들의 출원에 의한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액혼합장치(氣液混合裝置)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상하가 개구(開口)되는 5각형의 기액혼합통(氣液混合筒)과, 기액혼합통의 내부에 다단(多段)으로 배치된 충돌날개와, 기액혼합통의 하부에 배치된 기체분출 노즐(氣體噴出 nozzle)을 구비하고 있으며, 기체분출 노즐로부터 분출된 기체가 충돌날개에 충돌하면서 기액혼합통을 선회 상승시킴으로써 미세화(微細化)되어 액중에 용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허 제4907258호 공보
상기의 기액혼합장치는, 5각형의 기액혼합통내에 배치된 충돌날개에 의하여 막힘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기포를 미세화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함과 아울러 높은 산소용해 효율이 얻어지는 등의 메리트(merit)를 구비한다. 다만 기체분출 노즐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기액혼합통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선회류(旋回流)를 발생시켜서, 바닥부에 체류된 오니(汚泥) 등의 인입력(引入力)이나 교반력(攪拌力)을 높이는 점에 있어서 더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액중에 방출된 기체를 미세화하여 균일한 분산을 도모하면서 액체를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는 산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양쪽 끝이 개구되는 통모양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5각형 모양인 유로내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유로내면에 방향을 바꾸어서 다단으로 설치된 날개부재와, 상기 본체의 일방의 개구끝부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노즐이 하측이 되도록 상기 본체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액중에 침지시키고,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상기 본체내로 기체를 분사하여 산기시키는 산기장치로서, 상기 분사노즐은 앞쪽 끝에 형성된 분사구의 중심선이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날개부재보다 하방에 있어서 상기 유로내면과 교차하고, 또한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45° 이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산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 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저부가 상기 유로내면을 구성하는 5개의 평면부 중에서 1개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날개부재의 상저부가 지지된 상기 평면부를 향하여 평면에서 볼 때에 수직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날개부재는, 각 단에 있어서 상저부가 지지되는 상기 평면부 상호간의 원주방향의 간격이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면에 재치되어서 상기 본체 및 분사노즐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하방에 액체가 통과 가능한 유통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중에 방출된 기체를 미세화하여 균일한 분산을 도모하면서 액체를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는 산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산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 상기 산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 상기 산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4] 상기 산기장치가 구비하는 날개유닛의 사시도이다.
[도5] 상기 산기장치에 있어서 날개유닛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6] 상기 산기장치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7] 상기 산기장치에 있어서 분사노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8] 상기 산기장치에 있어서 분사노즐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도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산기장치(散氣裝置)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1은 정면도, 도2는 평면도, 도3은 측면도이다. 도1~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산기장치(1)는, 통모양의 본체(本體)(10)와, 본체(10)의 내부에 복수 설치된 날개유닛(20)과,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통기관(通氣管)(30)과, 본체(10) 및 통기관(30)을 지지하는 지지체(支持體)(4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0)는, 양쪽 끝에 개구(開口)를 구비하고, 평면에서 볼 때에 정5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방청효과(antirust effect)를 구비하는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의 금속재료나, 내수성(耐水性)이나 내식성(耐蝕性)을 구비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등의 플라스틱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유닛(wing unit)(20)은, 도4에 사시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frame體)(22)와, 프레임체(22)에 지지되는 날개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체(22)는 외주면(外周面) 전체가 본체(10)의 내주면(內周面)에 밀착되도록 정5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체(22)의 내주면은 5개의 평면부(平面部)(22a, 22b, 22c, 22d, 22e)를 연속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날개부재(24)는, 평면에서 볼 때에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저부(上底部)(241)가 프레임체(22)에 있어서 1개의 평면부(22a)에 지지되고, 빗변부(242, 243)가 평면부(22a)의 양측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22b, 22e)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날개부재(24)의 상면(上面)(24a) 및 하면(下面)(24b)은, 상저부(241)로부터 앞쪽 끝측이 되는 하저부(下底部)(244)를 향하여 끝이 가늘게 되도록 모두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하면(24b)에는 복수의 돌기(突起)(24c)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면에 대한 상면(24a) 및 하면(24b)의 경사각도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상면(24a)의 경사각도를 20∼40°, 하면(24b)의 경사각도를 10∼3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유닛(20)은 예를 들면 수지재료(樹脂材料)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구비하는 복수의 날개유닛(20)은, 각각 날개부재(24)의 방향을 바꾸어서 도3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내에 다단(多段)으로 삽입된다. 각 날개유닛(20)의 날개부재(24)의 방향을 도5의 평면도에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개유닛(20)이 5개 배치되어 있으며, 도5(a)∼(e)는 최상단(最上段)으로부터 최하단(最下段)까지를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5(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날개유닛(20)은, 프레임체(22)의 내부에 본체(10)의 유로(流路)(f)를 구성하고 있으며, 프레임체(22)의 내주면에 의하여 5개의 평면부(F1, F2, F3, F4, F5)가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단면(斷面)이 정5각형 모양인 유로내면(流路內面)이 구성되어 있다. 최하단의 날개유닛(20)은, 도5(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날개부재(24)의 상저부(241)를 지지하는 평면부(이하 「지지 평면부」라고 한다)가 평면부(F1)로 되는 방향으로 본체(10)에 삽입된다.
이에 대하여 밑에서부터 2단째의 날개유닛(20)은, 도5(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최하단의 날개유닛(20)의 지지 평면부(F1)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1개 이웃의 평면부가 지지 평면부로 되는 방향, 즉 지지 평면부가 평면부(F2)로 되는 방향으로 본체(10)에 삽입된다. 그리고 밑에서부터 3단째의 날개유닛(20)은, 도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밑에서부터 2단째의 날개유닛(20)의 지지 평면부(F2)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2개 이웃의 평면부가 지지 평면부로 되는 방향, 즉 지지 평면부가 평면부(F4)로 되는 방향으로 본체(1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최하단 이외의 임의의 단에 있어서의 날개유닛(20)의 지지 평면부와, 그 1개 하단의 날개유닛(20)의 지지 평면부와의 원주방향의 간격이,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밑에서부터 4단째의 날개유닛(20)의 지지 평면부는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부(F4)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3개 이웃의 평면부(F2)이며, 최상단의 날개유닛(20)의 지지 평면부는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부(F2)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4개 이웃의 평면부(F1)이다.
도6에 요부 종단면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 내주면에는 내방(內方)으로 돌출하는 결합부(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10)에 대한 날개유닛(20)의 삽입은 정5각형 통모양의 스페이서(spacer)(14)를 삽입하여 결합부(12)에 결합시킨 후에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서 각 날개유닛(20)은, 본체(10)내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지지되고, 본체(10)내에 최후로 삽입되는 고정 링(固定 ring)(16)에 의하여 고정된다. 스페이서(14)의 내면은, 날개유닛(20)의 내면과 하나의 면이 되어 본체(10)의 유로내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통기관(30)은, 도3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방(一方)의 끝부에 분사노즐(噴射nozzle)(32)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노즐(32)은, 본체(10)의 하측의 개구끝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앞쪽 끝에 분사구(噴射口)(32a)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관(30)의 타방(他方)의 끝부에는, 호스 (hose)(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등을 장착 가능한 장착부(裝着部)(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컴프레서(compressor), 블로워(blower), 봄베(bombe) 등의 급기원(給氣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접속됨으로써 분사노즐(32)의 분사구(32a)로부터 본체(10)의 유로내로 공기 등의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노즐(32)은, 도7의 요부 평면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면의 법선방향(法線方向)으로 연장되는 분사구(32a)의 중심선(C)이 본체(10)의 유로내면을 구성하는 1개의 평면부(F1)와 평면에서 볼 때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평면부(F1)의 중앙을 향하여 평면에서 볼 때에 수직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F1)는, 도7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최하단의 날개유닛(20)의 지지 평면부이다. 또한 분사노즐(32)은, 도8에 요부 종단면도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분사구(32a)의 중심선(C)이 최하단에 배치된 날개유닛(20)의 날개부재(24)보다 하방(下方)에 있어서 본체(10)의 유로내면(S)과 교차되도록 상방(上方)을 향하여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중심선(C)과 유로내면(S)을 따른 연직방향이 이루는 각도(θ)는, 45° 이하로 설정된다.
지지체(40)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박판(金屬薄板)을 구부려서 형성할 수 있어, 도1~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우의 하부를 구부린 모양으로 형성한 한 쌍의 베이스 부재(base 部材)(42, 4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0) 및 통기관(30)은 한 쌍의 베이스 부재(42, 42) 사이에 지지된다. 베이스부재(42, 42)에는 비스(vis)나 앵커볼트(anchor bolt) 등을 삽입 가능한 부착구멍(42a, 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립상태의 본체(10)의 아래쪽 끝과 바닥면(F) 사이에 적절한 간격(예를 들면 10∼15cm 정도)을 둔 상태에서 베이스부재(42, 42)를 바닥면(F)에 고정할 수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체(40)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42, 42) 사이에 있어서 본체(10)의 아래쪽 끝보다 하방에 액체가 통과 가능한 유통구(流通口)(4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산기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처리대상이 되는 배수(排水)나 오수(汚水) 등의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조(貯藏槽) 등에, 분사노즐(32)이 하측이 되도록 본체(10)를 연직방향으로 기립시켜서 산기장치(1)를 설치한다. 산기장치(1)의 설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체(40)의 베이스부재(42)를 바닥면(F)에 고정하여 할 수 있지만, 지지체(40)를 사용하지 않고 본체(10)를 상방으로부터 매어 달아 지지할 수도 있다. 저장조 등에는, 활성오니(活性汚泥) 등의 호기성(好氣性)의 미생물을 혼입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본체(10)가 액중에 침지(浸漬)된 상태에서, 통기관(30)에 접속된 급기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으로부터 압축공기 등을 공급하여, 분사노즐(32)로부터 본체(10)의 유로내로 기체를 분사하여 산기(散氣)시키면, 이젝터 효과(ejector 效果)에 의하여 본체(10)의 아래쪽 끝으로부터 액체가 인입되어, 분사된 기체와 함께 상승한다. 바닥면(F)에 오니 등이 퇴적(堆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오니 등도 교반(攪拌)에 의하여 액체와 혼합되어 본체(10)내로 유입된다.
분사노즐(32)은,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분사구(32a)의 중심선(C)이 최하단의 날개부재(24)보다 하방에 있어서 유로내면(S)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도(θ)가 연직상방에 근접하도록 45°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분사된 기체는, 날개부재(24)의 하면(24b)과 충돌하여 하방으로 반사될 우려가 없고, 또한 분사방향이 수평에 가까운 것으로서 충분한 상승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최하단의 날개부재(24)까지 유로내면(S)을 따라 원활하게 상승하여 액체나 오니 등과 함께 날개부재(24)의 하면(24b)에 충돌하여 교반·혼합된다. 이 결과, 분사된 기체에 의한 액체나 오니 등의 인입력이나 교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심선(C)과 연직방향이 이루는 각도(θ)의 하한치는 특별히 존재하지 않지만, 각도(θ)가 지나치게 작으면 스페이서(14)의 높이가 필요하게 되어 전체로서 부피가 크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노즐(32)은,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로내면의 평면부(F1)를 향하여 평면에서 볼 때에 수직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기 때문에, 이 구성에서도 유로내면(S)을 따른 기체의 스무드(smooth)한 상승을 촉진할 수 있어 상기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체(10)내의 유로에 있어서는 복수의 날개부재(24)가 각각 방향을 바꾸어서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나 오니 등이 혼합된 액체가 각 단에 있어서의 날개부재(24) 사이에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승하여 본체(10)의 위쪽 끝으로부터 분출된다. 이렇게 해서, 혼합된 기체나 오니의 교반, 미세화가 이루어지면서 액체가 저장조내를 순환한다. 그리고 저장조내의 공기와 액체가 효과적으로 순환함으로써 수중의 용존산소량이 높아진다. 저장조내에 활성오니 등의 호기성의 미생물이 혼입 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용존산소량의 향상에 의하여 미생물이 활성화되고, 미생물에 의한 액중의 유기물 등의 분해가 촉진되게 되어 저장조내의 정화(淨化)가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단에 있어서 날개부재(24)의 상저부(241)가 지지되는 평면부(F1∼F5) 상호간의 원주방향의 간격이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도5 참조), 본체(10)의 하단으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에 반시계방향으로 인입된 액체의 선회방향이 분사노즐(32)의 분사에 의하여 본체(10)내를 액체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과정에서 반전(反轉)되어(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날개부재(24)를 5단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 4단째와 5단째 사이에서 액체의 선회방향이 반전된다), 평면에서 볼 때에 시계방향으로 되어 본체(10)의 위쪽 끝으로부터 분출된다. 이러한 반전작용에 의하여 기체나 오니의 미세화나 교반이 촉진되기 때문에, 정화 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날개부재(24)의 하면(24b)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돌기(24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기액(氣液)의 난류혼합(亂流混合)을 발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40)는, 본체(10)의 하방에 액체가 통과 가능한 유통구(44)를 구비하기 때문에, 한 쌍의 베이스 부재(42, 42) 사이에 퇴적된 오니 등이 액체와 함께 유통구(44)를 통과하여 본체(10)로 인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산기장치(1)는 액체의 인입력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기 때문에, 유통구(44)를 형성하더라도 액체의 인입력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없어 더 효과적인 정화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태양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개부재(24)를 구비하는 날개유닛(20)을 다단으로 설치함으로써 프레임체(22)의 내주면에 의하여 본체(10)의 유로내면을 형성하여 이 유로내면에 날개부재(24)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각 날개부재(24)를 본체(10)의 내주면에 직접 부착하여 본체(10)의 내주면을 유로내면으로 할 수도 있다.
1 ; 산기장치
10 ; 본체
20 ; 날개유닛
24 ; 날개부재
241 ; 상저부
30 ; 통기관
32 ; 분사노즐
32a ; 분사구
40 ; 지지체
44 ; 유통구
C ; 중심선
F1∼F5 ; 평면부
S ; 유로내면

Claims (4)

  1. 양쪽 끝이 개구(開口)되는 통모양의 본체(本體)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복수로 설치된 날개유닛(wing unit)과,
    상기 본체의 일방(一方)의 개구끝부에 설치된 분사노즐(噴射nozzle)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노즐이 하측이 되도록 상기 본체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액(液)중에 침지(浸漬)시키고,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상기 본체내로 기체를 분사하여 산기시키는 산기장치(散氣裝置)로서,
    상기 날개유닛은 정5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프레임체(frame體)와 상기 프레임체에 지지되는 날개부재(wing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내주면에 의하여 단면(斷面)이 정5각형 모양인 유로내면(流路內面)이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날개유닛은 각각 상기 날개부재의 방향을 바꾸어서 상기 본체내에 다단으로 삽입되고,
    상기 본체내의 상기 분사노즐과 최하단(最下段)의 상기 날개유닛과의 사이에 설치된 정5각형 통모양의 스페이서(spacer)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본체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주면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전체가 상기 분사노즐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내면이, 상기 날개유닛의 내면과 하나의 면이 되어 상기 유로내면의 일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은, 앞쪽 끝에 형성된 분사구의 중심선이,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날개부재보다 하방에 있어서 상기 유로내면과 교차하고, 또한 연직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45° 이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저부(上底部)가 상기 유로내면을 구성하는 5개의 평면부(平面部) 중에서 1개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분사노즐은,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날개부재의 상저부가 지지된 상기 평면부를 향하여 평면에서 볼 때에 수직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는 산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재는, 각 단(段)에 있어서 상저부가 지지되는 상기 평면부의 상하 상호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의 원주방향의 간격이, 하단(下段)으로부터 상단(上段)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산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재치(載置)되어서 상기 본체 및 분사노즐을 지지하는 지지체(支持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하방에 액체가 통과 가능한 유통구(流通口)를 구비하는 산기장치.
KR1020147033356A 2012-05-21 2013-05-14 산기장치 KR101638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5201 2012-05-21
JP2012115201A JP5835776B2 (ja) 2012-05-21 2012-05-21 散気装置
PCT/JP2013/063358 WO2013175994A1 (ja) 2012-05-21 2013-05-14 散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425A KR20150008425A (ko) 2015-01-22
KR101638782B1 true KR101638782B1 (ko) 2016-07-12

Family

ID=4962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356A KR101638782B1 (ko) 2012-05-21 2013-05-14 산기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46357B2 (ko)
EP (1) EP2853308B1 (ko)
JP (1) JP5835776B2 (ko)
KR (1) KR101638782B1 (ko)
CN (1) CN104321134B (ko)
CA (1) CA2872601C (ko)
IN (1) IN2014KN02744A (ko)
MY (1) MY168890A (ko)
WO (1) WO20131759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783B1 (ko) 2020-07-21 2021-01-12 신상곤 산기장치
KR102562233B1 (ko) 2022-03-07 2023-08-02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회전체가 구비된 산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499B1 (ko) * 2019-01-15 2020-03-23 주식회사 승일 과압해소가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CN113304684B (zh) * 2021-06-02 2022-06-07 浙江大学 一种设置内套筒的连续流好氧颗粒污泥反应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8067A (ja) 2005-08-01 2007-02-15 Noritake Co Ltd 流体混合装置及び流体混合方法
JP2007289915A (ja) * 2006-03-27 2007-11-08 Yasuhiko Masuda 気液混合装置
JP2008212908A (ja) * 2006-03-10 2008-09-18 Osaka Gas Engineering Co Ltd 気液混合吹き出し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8509A (en) * 1960-10-24 1964-09-15 Pneumatic Breakwaters Ltd Wave reduction, de-icing and destratification apparatus
US3452966A (en) * 1967-08-24 1969-07-01 Polcon Corp Liq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GB1254179A (en) * 1969-02-05 1971-11-17 Polcon Corp Liq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3969446A (en) * 1974-06-03 1976-07-13 Franklin Jr Grover C Apparatus and method for aerating liquids
JPS552410U (ko) * 1978-06-20 1980-01-09
JPS5895293U (ja) * 1981-12-21 1983-06-28 斉藤 晃四郎 間欠式旋回流空気揚水装置
JP2979741B2 (ja) 1991-06-13 1999-11-15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製紙用添加剤の製造法
JPH05146792A (ja) * 1991-11-27 1993-06-15 Oshima Koki Kk 排水処理装置
JP2602095Y2 (ja) * 1992-09-22 1999-12-20 充弘 藤原 空気混合式流体攪拌装置
JPH08192035A (ja) * 1995-01-19 1996-07-30 Chem Grouting Co Ltd 微細気泡を発生する方法及び装置
WO1997022562A1 (en) * 1995-12-05 1997-06-26 Inglewood Technologies Pty. Ltd. An aeration device
JP3121271B2 (ja) * 1996-10-16 2000-12-25 チュラル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レータ
US6896851B1 (en) * 1998-08-11 2005-05-24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Wet type flue gas desulfurization equipment
US6604850B1 (en) * 1999-04-19 2003-08-12 Sulzer Chemtech Ag Vortex static mixer
JP4328904B2 (ja) * 1999-08-26 2009-09-09 株式会社オーエイチ・アール 気液混合装置
JP4309021B2 (ja) * 2000-05-10 2009-08-05 鈴木産業株式会社 排水処理システム
US6860473B2 (en) * 2001-02-05 2005-03-01 Masataka Oshima Supporting structure and supporting bracket of single tube drift generator receiving centrifugal force of internal fluid
US7008644B2 (en) * 2002-03-20 2006-03-07 Advanced Inhalation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ry particles
AU2003277531A1 (en) * 2003-10-29 2005-05-11 Anemos Company Ltd. Air diffusing device
JP2005144425A (ja) * 2003-11-14 2005-06-09 Anemosu:Kk 散気処理装置
WO2007110972A1 (ja) * 2006-03-27 2007-10-04 Yasuhiko Masuda 気液混合装置
JP4749961B2 (ja) * 2006-07-12 2011-08-17 株式会社アイエンス 気泡発生装置
JP2008086937A (ja) * 2006-10-03 2008-04-17 Anemosu:Kk 流体混合器、流体混合装置及びノズル部材
WO2008139728A1 (ja) * 2007-05-11 2008-11-20 Seika Corporation 気液混合循環装置
DE102012005472A1 (de) * 2012-03-17 2013-09-19 Arnold Jäger Holding GmbH Vorrichtung zum Belüften von Wasser, insbesondere Abwas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8067A (ja) 2005-08-01 2007-02-15 Noritake Co Ltd 流体混合装置及び流体混合方法
JP2008212908A (ja) * 2006-03-10 2008-09-18 Osaka Gas Engineering Co Ltd 気液混合吹き出しノズル
JP2007289915A (ja) * 2006-03-27 2007-11-08 Yasuhiko Masuda 気液混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783B1 (ko) 2020-07-21 2021-01-12 신상곤 산기장치
KR102562233B1 (ko) 2022-03-07 2023-08-02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회전체가 구비된 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5994A1 (ja) 2013-11-28
US20150306551A1 (en) 2015-10-29
KR20150008425A (ko) 2015-01-22
MY168890A (en) 2018-12-04
EP2853308A4 (en) 2016-01-13
CA2872601A1 (en) 2013-11-28
JP5835776B2 (ja) 2015-12-24
EP2853308A1 (en) 2015-04-01
IN2014KN02744A (ko) 2015-05-08
CN104321134B (zh) 2018-01-30
EP2853308B1 (en) 2018-08-08
CA2872601C (en) 2016-08-02
JP2013240748A (ja) 2013-12-05
CN104321134A (zh) 2015-01-28
US9446357B2 (en)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782B1 (ko) 산기장치
US20100295192A1 (en) Aeration apparatus
US8128070B1 (en) Venturi aeration circulation system
WO2018094624A1 (zh) 一种单池循环污水生化处理装置
RU25538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сыщения воды кислородом
KR101421179B1 (ko) 슬러지처리용 호기성 산화조
KR100394995B1 (ko) 수조의 산소공급장치
CN100378011C (zh) 曝气设备
KR102171988B1 (ko) 산소공급용 산기장치
KR101157642B1 (ko) 버블을 이용한 산소용해장치
US111554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erating wastewater
KR101274532B1 (ko) 수중 에어레이터
KR20220144121A (ko) 가스 용해장치
CN211299558U (zh) 淀粉液喷射装置以及自动烹饪设备
KR101604462B1 (ko) 산소 용해기
KR101306905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양액 제조장치
KR102146876B1 (ko)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KR102008858B1 (ko) 하·폐수 처리장치에서의 선회류 순환형 산기장치
AU20184176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erating wastewater
CN210505782U (zh) 一种用于处理黑臭水体的曝气结构
KR20120077673A (ko) 분수가 구비된 방사형 폭기 장치
KR101100353B1 (ko) 다층구조형 산기장치
KR100610057B1 (ko) 소포용 다단형 분사노즐
KR20240044052A (ko) 폐수처리시설의 미세기포산기장치
CN114653296A (zh) 一种液体投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