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876B1 -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Google Patents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6876B1 KR102146876B1 KR1020180052544A KR20180052544A KR102146876B1 KR 102146876 B1 KR102146876 B1 KR 102146876B1 KR 1020180052544 A KR1020180052544 A KR 1020180052544A KR 20180052544 A KR20180052544 A KR 20180052544A KR 102146876 B1 KR102146876 B1 KR 1021468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dd
- diffusion
- dissolved
- microb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title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46 nitrify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의 TDD포켓에서의 미세기포 생성과정을 도시한 단면개략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의 TDD포켓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01 : 베이스 103 : 반구형 구조체
105 : 구조물 107 : 확산구
109 : 배관연결공 110 : 바디부
200 : 미생물 반응기본체 300 : 용해탱크
350 : 펌프 400 : 배관
410 : 배출관 500 : 제어부
600 : 용존산소계 700 : 용존산소감지센서
A : 오폐수
B : 용존수
C : 분사
D : 난류
E : 확산
F : 산소용해수
Claims (10)
- 유체의 난류, 분사,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에 있어서,
미생물 반응기본체(200);
공기가 용해된 용존수를 저장하는 용해탱크(300);
산소용해수의 분사, 난류, 및 확산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된 TDD(Turbulence, Dispersion, Diffusion) 포켓(100); 및
상기 용해탱크(300)에 저장된 용존수가 상기 TDD 포켓(100)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400);을 포함하며,
상기 TDD 포켓(100)은 상기 미생물 반응기본체(200)에 위치되고, 상기 TDD 포켓(100)은 내부 공간을 가진 밀폐된 구성을 가지고,
상기 배관(400)을 통해서 이동되는 용존수는 상기 TDD 포켓(1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며,
상기 TDD 포켓(100)에는, 상기 TDD 포켓(1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용존수가, 상기 TDD 포켓(100)의 외부 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확산구(10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TDD 포켓(100)은,
내부 공간이 존재하고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존수의 난류를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확산구(107)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는
내부 공간이 존재하는 반구형 구조체(103)와 베이스(101)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1)는 상기 반구형 구조체(103)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상기 반구형 구조체(103)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조물(105)은 상기 베이스(101)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상기 배관(40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확산구(107)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DD 포켓(100)은,
상기 TDD 포켓(100)으로 유입되는 용존수가 상기 TDD 포켓(100) 내에서 분사된 후, 난류의 형태로 이동되고, 이후 상기 난류의 형태의 용존수는 상기 확산구(107)를 통해서 상기 TDD 포켓(100)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인,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05)은 나팔관 형태인 것인,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구조체(103)의 상부 중심영역에는 배관연결공(10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관연결공(109)에 상기 배관(400)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확산구(107)의 면적은 상기 배관연결공(109) 보다 넓은 것인,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제4항에 있어서,
배출관(410)이 상기 미생물 반응기본체(200)의 하부와 상기 용해탱크(300)를 연결하며, 상기 배출관(410)에는 펌프(35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미생물 반응기본체(200)에는 용존산소 감지센서(7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용존산소 감지센서(700)는 용존산소계(60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존산소계(600)는 상기 미생물 반응기본체(200)의 용존산소를 측정하며, 상기 용존산소계(600)는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35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인,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삭제
- 미생물 반응기에 사용되는 TDD 포켓(100)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존재하고 외부와 밀폐되도록 구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용존수의 난류를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105);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용존수가, 상기 TDD 포켓의 외부 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확산구(107)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는
내부 공간이 존재하는 반구형 구조체(103)와 베이스(101)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1)는 상기 반구형 구조체(103)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상기 반구형 구조체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조물(105)은 상기 베이스(101)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용존수를 제공하는 배관(40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확산구(107)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미생물 반응기에 사용되는 TDD 포켓.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05)은 나팔관 형태인 것인, 미생물 반응기에 사용되는 TDD 포켓.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구조체(103)의 상부 중심영역에는 배관연결공(10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관연결공(109)에 상기 배관(400)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확산구(107)의 면적은 상기 배관연결공(109) 보다 넓은 것인, 미생물 반응기에 사용되는 TDD 포켓.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544A KR102146876B1 (ko) | 2018-05-08 | 2018-05-08 |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544A KR102146876B1 (ko) | 2018-05-08 | 2018-05-08 |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399A KR20190128399A (ko) | 2019-11-18 |
KR102146876B1 true KR102146876B1 (ko) | 2020-08-21 |
Family
ID=6872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2544A Active KR102146876B1 (ko) | 2018-05-08 | 2018-05-08 |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687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795B1 (ko) * | 2007-06-21 | 2008-06-27 | 이정언 | 나노버블 고농도 산소수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장치 |
KR101202479B1 (ko) * | 2012-05-08 | 2012-11-21 | 윤보선 | 축산오수처리조 폭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120B1 (ko) * | 2004-07-12 | 2006-06-21 | 주식회사 젠트로 | 산소용존이 용이한 폭기장치 |
-
2018
- 2018-05-08 KR KR1020180052544A patent/KR10214687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795B1 (ko) * | 2007-06-21 | 2008-06-27 | 이정언 | 나노버블 고농도 산소수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장치 |
KR101202479B1 (ko) * | 2012-05-08 | 2012-11-21 | 윤보선 | 축산오수처리조 폭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399A (ko) | 2019-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17460B2 (en) | Water circulation systems for ponds, lakes, municipal tanks, and other bodies of water | |
JP2011011098A (ja) | 水質浄化装置 | |
US8523984B2 (en) | Water circulation systems with air stripping arrangements for municipal water tanks, ponds, and other potable bodies of water | |
KR102063317B1 (ko) | 워터젯을 이용한 산기관장치 | |
US727931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oxygen into fermentation processes | |
US6280636B1 (en) | Enhancement of oxygen transfer from diffused gas aerators | |
KR20170048668A (ko) |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분해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KR20170099038A (ko) | 미세기포 발생용 기체용해장치를 포함한 고밀도 미세기포 발생장치 | |
KR102146876B1 (ko) | 유체의 난류, 분사, 및 확산 반응의 일체형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
KR20240044052A (ko) | 폐수처리시설의 미세기포산기장치 | |
JP5190242B2 (ja) | 生物処理方法及び生物処理装置 | |
KR101304329B1 (ko) | 청소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 버블 디퓨저를 이용한 폐수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버블 반응기 | |
KR100882818B1 (ko) | 폭기조 | |
JP5003999B2 (ja) | 廃水処理方法及び装置 | |
KR101421179B1 (ko) | 슬러지처리용 호기성 산화조 | |
CA2872601C (en) | Aeration equipment | |
KR102236859B1 (ko) | 순환율에 기초한 do 농도 조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미생물 반응기 | |
JP2606690B2 (ja) | エア放出遅延特性を持つた垂直ループ式反応タンク | |
US20220080371A1 (en) | Device for injecting fluid into a liquid, method for cleaning said device, and effluent treatment installation | |
KR100859550B1 (ko) | 배양액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경 재배 장치 | |
KR102331416B1 (ko) | 복합발효미생물과 복합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소화 시스템 | |
KR102008858B1 (ko) | 하·폐수 처리장치에서의 선회류 순환형 산기장치 | |
KR20220144121A (ko) | 가스 용해장치 | |
JP5277332B2 (ja) | 生物処理方法及び生物処理装置 | |
JP5559233B2 (ja) | 生物処理方法及び生物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