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582B1 -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582B1
KR101638582B1 KR1020090127825A KR20090127825A KR101638582B1 KR 101638582 B1 KR101638582 B1 KR 101638582B1 KR 1020090127825 A KR1020090127825 A KR 1020090127825A KR 20090127825 A KR20090127825 A KR 20090127825A KR 101638582 B1 KR101638582 B1 KR 10163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device control
information
user
refere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301A (ko
Inventor
이헌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5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주변 장치의 제어를 위한 설정 정보가 저장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 데이터 베이스; 피측위 물체에 부착된 태그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태그에 대한 태그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태그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측위 물체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 및 계산된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위치 인식 대상체를 위한 주변 장치의 제어의 제어가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주변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소지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각 종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 위치, 디바이스 제어

Description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Device control apparatus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디바이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화체육관광부의 IT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9-S-042-01, 과제명 : 게이머 수준 실시간 맞춤형 인공지능 엔진 및 저작 기술 개발].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매우 넓은 영역에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이동 통신 기술과 가정, 사무실, 공장, 창고 및 특정 단지 등을 중심으로 한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과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무전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하거나, 단순하고 용량이 작은 데이터 전송에 활용되는 정도였으나, 최근 디지털 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무선 제어, 멀티미디어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솔루션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근거리 통신망 내에서 다수의 대상에 대한 위치 인식을 위한 무선 통신 솔루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고도의 정보 통신 사회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은 바쁜 생활로 인하여 나날이 새로운 편의 기능을 원하고 있으며, 현대인의 편의를 위한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장치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나날이 새롭게 개발되어 제공되는 편의 기능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의 욕구에 대한 불만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욕구 중 하나는 가정과 사무실 등의 생활 환경에서 사용자를 인식하여 주변 환경을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관에 들어서면 조명이 저절로 켜진다든지 하는 주변 환경의 통제를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종래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하고 주변 환경의 통제를 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사물을 사용자로 인식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각각의 사용자를 구분하지 못하므로, 각각의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따라서 주변 환경을 달리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주변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피측위 물체에 부착된 태그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태그에 대한 태그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측위 물체를 둘러싼 적어도 세 개의 지역에 설치된 센싱부와, 상기 태그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측위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와, 상기 태그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위 물체의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주변 장치의 제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상기 태그 인식 정보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은, RF(radio frequency) 통신, 루비(rubee)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및 블루투스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태그 인식 정보는, 상기 태그의 ID, 및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지역에 설치된 센싱부와 상기 태그 사이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치 계산부는, 상기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삼각 측량법에 의해 상기 피측위 물체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와 상기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태그의 ID를 비교하고, 상기 태그의 ID와 대응되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상기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위 물체의 현재 위치의 인근의 상기 주변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부착된 태그를 감지하여 태그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장치와 떨어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태그의 ID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검색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상기 주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할 필요성을 판단하여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와 상기 태그의 ID를 비교하고, 상기 태그의 ID와 대응되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태그가 부착된 물품을 소지하는 사용자 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각 종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및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유무를 파악함으로써 조명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사물을 사용자로 인식하여 불필요한 주변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각각의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ID 카드 등에 태그 등을 부착하고, 상기 태그의 위치를 삼각 측량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파악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각 종 주변 장치 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물의 인식으로 인한 불필요한 주변 장치의 제어가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물품에 부착된 태그별로 서로 다른 설정 정보를 저장하여, 각각의 사용자에 적합한 주변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ID 카드 등의 피측위 물체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그가 부착 또는 설치된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알에프 통신, 루비 통신, 지그비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센싱부(110),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 데이터 베이스(120), 위치 계산부(130), 제어부(140), 입력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센싱부(110)는 소정의 장소에 다 수개 설치되어 피측위 물체에 부착된 태그와 양 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센싱부(110)는 알에프 통신, 루비 통신, 지그비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방법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0)는 인식된 태그에 대한 태그 인식 정보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태그 인식 정보는 상기 태그의 ID, 상기 센싱부(110)로부터 상기 인식된 태그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 정보는 상기 센싱부(110)와 상기 태그 사이의 무선 통신 중에 발생하는 시간적 오차를 이용하여 계산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거리 계산 방법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 데이터 베이스(120)는, 피측위 물체에 부착되는 각각의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태그 1(TAG, ID=1)가 부착된 피측위 물체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사무실에 들어서는 경우에는 사무실의 조명이 켜지도록 하고, 태그 2(TAG, ID=2)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사무실에 들어서는 경우에는 컴퓨터가 부팅되도록 하는 제어 기준 정보가 저장된다. 또는 컴퓨터 부팅시에 상기 태그 1을 소지하는 사용자가 사무실에 들어서는 경우에는 관리자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로 부팅이 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태그 2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사무실에 들어서는 경우에는 일반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디로 부팅이 되도록 하는 제어 기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는 사용자 등에 의하여 갱신될 수 있다.
위치 계산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센싱부(110)에서 감지된 피측위 물체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피측위 물체의 현재 위치는 세 개의 센싱부(110)로부터 수신된 거리 정보를 삼각 측량법에 의하여 분석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한다. 즉, 위치 계산부(130)에서 계산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디바이스의 제어가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디바이스의 제어가 필요하다면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디바이스의 제어가 필요한지에 대한 판단은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 데이터 베이스(120)를 참조로 하여 이루어진다. 즉, 센싱부(110)에서 센싱된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가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만약 저장되어 있다면 해당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참조하여, 태그의 위치, 즉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입력부(150)는 각 종 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각 종 영상을 출 력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50) 및 표시부(160)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단계(201)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건물 내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한다. 즉, 단계(201)에서 제어부(140)는 태그가 부착된 피측위 물체를 소지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건물 내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 때, 건물 입구에 설치된 센싱부(110)로부터 태그 센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가 건물 내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건물 내로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단계(203)로 진행한다.
단계(203)에서,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된 태그를 소지하는 사용자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203)에서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된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이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 데이터 베 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센싱부(110)에서 센싱된 태그라 하더라도 디바이스 제어 기준이 설정된 태그일 수도 있고, 디바이스 제어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태그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센싱된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이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태그가 부착된 피측위 물체를 소지하는 사용자를 위한 디바이스 제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종료한다.
만약, 상기 센싱된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이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다면 단계(205)로 진행한다.
단계(205)에서, 제어부(140)는 상기 센싱된 태그가 부착된 피측위 물체를 소지하는 사용자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로딩한다. 즉, 단계(205)에서 제어부(140)는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 데이터 베이스(120)로부터 상기 센싱된 태그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추출하여 메모리(미도시) 등에 임시로 로딩하여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준비를 한다.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메모리 등에 임시로 로딩하는 경우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계(205)에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의 로딩이 완료되면 단계(207)로 진행한다.
단계(207)에서, 위치 계산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즉, 단계(207)에서 위치 계산부(13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상기 센싱된 태그가 부착된 피측위 물체의 위치를 계산한다. 피측위 물체의 위치는 세 개의 센싱부(110)로부터 수신되는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피측위 물체까지의 거리를 삼각 측량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피측위 물체의 위치 계산이 완료되면 단계(209)로 진행한다.
단계(209)에서, 제어부(140)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디바이스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209)에서 제어부(140)는 위치 계산부(130)에서 계산된 피측위 물체가 현재 위치하는 지점에서 디바이스 제어가 필요한지 판단한다. 이는 메모리 등에 로딩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하는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가 설정된 태그라 하더라도, 건물 내 위치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어할 것인지에 따른 정보가 다르기 이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건물 입구라든지 로비이고,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피측위 물체에 부착된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가 사무실 내에 있을 때에만 조명을 켜는 등의 디바이스 제어를 하도록 설정해 둔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제어가 필요 없다고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디바이스의 제어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즉, 현재 위치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207)로 진행하여 센싱부(110)로부터 계속적으로 수신되는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계속적인 판단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디바이스의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즉, 현재 위치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단계(211)로 진행한다.
단계(211)에서, 제어부(140)는 설정된 디바이스 제어 기준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즉, 단계(211)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디바이스 제어 기준에 따라 조명을 켜거나 컴퓨터를 켜는 등의 각종 제어를 수행한다.
단계(213)에서, 제어부(140)는 상기 태그가 부착된 피측위 물체의 소지자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가 더 이상 건물 내부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 설정 기준 정보를 반환하여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태그가 부착된 피측위 물체의 소지자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여부는, 위치 계산부(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계산부(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건물 입구 주변이었다가 건물 입구로 변경된 경우 사용자가 건물 외부로 나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건물 내부에 있다고 판단되면 단계(207)로 진행하여 센싱부(110)로부터 계속적으로 수신되는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계속적인 판단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더 이상 건물 내부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계(215)로 진행한다.
단계(215)에서, 제어부(140)는 메모리 등에 로딩했던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반환하고, 상기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 제어 여부에 대한 판단 과정을 종료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Claims (10)

  1. 피측위 물체에 부착된 태그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태그에 대한 태그 인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측위 물체를 둘러싼 적어도 세 개의 지역에 설치된 센싱부;
    상기 태그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측위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
    태그들 각각에 대한 위치별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태그 인식 정보와 상응하는 제1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피측위 물체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은,
    RF(radio frequency) 통신, 루비(rubee)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및 블루투스 통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인식 정보는,
    상기 태그의 ID, 및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지역에 설치된 센싱부와 상기 태그 사이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계산부는,
    상기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삼각 측량법에 의해 상기 피측위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와 상기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태그의 ID를 비교하고, 상기 태그의 ID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면 상기 제1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위 물체의 현재 위치의 인근의 상기 주변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8.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 부착된 태그를 감지하여 태그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태그 인식 정보에 포함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장치와 떨어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태그의 ID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검색된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정보를 상기 주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상기 주변 장치를 제어할 필요성을 판단하여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장치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와 상기 태그의 ID를 비교하고, 상기 태그의 ID와 대응되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기준 정보를 로딩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0090127825A 2009-12-21 2009-12-21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KR10163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25A KR101638582B1 (ko) 2009-12-21 2009-12-21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825A KR101638582B1 (ko) 2009-12-21 2009-12-21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01A KR20110071301A (ko) 2011-06-29
KR101638582B1 true KR101638582B1 (ko) 2016-07-12

Family

ID=4440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825A KR101638582B1 (ko) 2009-12-21 2009-12-21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311A1 (ko) 2018-05-04 2019-11-07 (주) 알트소프트 기준 영역을 이용한 로컬 디바이스의 제어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408B1 (ko) 2011-11-03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451B1 (ko) * 2000-09-29 2002-12-12 오종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위치 추적/기기 제어 장치 및그 방법
KR100714100B1 (ko) * 2004-10-29 2007-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47461B1 (ko) * 2004-11-25 2006-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센서들을 구비하는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그 위치인식 방법
KR100958110B1 (ko) * 2007-12-17 2010-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서비스 인증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311A1 (ko) 2018-05-04 2019-11-07 (주) 알트소프트 기준 영역을 이용한 로컬 디바이스의 제어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01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427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device for controlling intellig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884096B2 (en) Location-based voice recognition system with voice command
CN107819652A (zh) 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RU264215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граммируем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раекторией движ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к лифту/эскалатору
CN104483937B (zh) 酒店智能房控系统及方法
EP1687750B1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djusting power consumption of a rfid reader associated with a mobile terminal
US10812942B2 (en) Mobile tag sensing and location estimation
RU265194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CN109556612B (zh) 一种导航信息处理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US11297592B2 (en) Electronic beacon for a localization system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186161B (zh) 默认参数更新方法、空调自学习控制方法以及空调器
CN108156729A (zh) 照明设备、照明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638582B1 (ko) 위치 정보 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CN10568202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669681A (zh) 智能音响的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110098556A (ko) 최적의 사운드 제공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
JP2017037076A (ja) 位置判断方法、位置判断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764049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00126501A (ko) 공동주택 자동출입 시스템
CN114593081A (zh) 智能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2785989B (zh) 显示设备的亮屏控制方法、装置、显示设备和存储介质
KR102298581B1 (ko)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KR101573198B1 (ko) 관심 지점 자동 인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50043058A (ko) 리모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리모콘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