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573B1 -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573B1
KR101638573B1 KR1020140190861A KR20140190861A KR101638573B1 KR 101638573 B1 KR101638573 B1 KR 101638573B1 KR 1020140190861 A KR1020140190861 A KR 1020140190861A KR 20140190861 A KR20140190861 A KR 20140190861A KR 101638573 B1 KR101638573 B1 KR 101638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film
biaxially stretched
stretched polyest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474A (ko
Inventor
제철호
차종현
홍성희
엄태수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5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18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각각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가짐으로써 교류 용도의 함침 타입의 콘덴서에 적절하게 사용 가능한 필름으로서, 특히 내전압성과 보안성 및 소자 가공 적성이 우수한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THIN CAPACITOR WITH ENHANCED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Y AND SURFACE PROPERTY}
본 발명은 포장용이나 공업용 등에 적합한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콘덴서용 유전체로서 높은 내전압성과 적합한 소자 가공성이 우수한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성, 기계특성 및 전기특성 등이 우수하므로 포장용도, 테이프용도나 콘덴서를 비롯한 전기용도 등의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콘덴서 용도는 그의 우수한 내전압 특성, 저손실 특성으로부터 직류용도 및 교류용도에 한하지 않고 고전압 콘덴서용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각종 전기 설비가 인버터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콘덴서의 소형화 및 대용량화의 요구가 한층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받아,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전압성이나 소자 가공성을 향상시키면서 한층 더 박막화가 필수적인 상황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전압성 및 소자 가공성의 관점에서 표면에 적절한 거칠기를 갖게 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필름의 미끄럼성이나 오일 함침성의 향상 또는 증착 콘덴서에 있어서는 보안성을 부여하므로 표면 거칠기가 중요하다. 특히 오일 함침 타입의 콘덴서는 함침성이 나쁘면 내압성과 보안성 등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해되므로, 적정한 표면 거칠기는 중요하다. 여기서, 보안성이란 유전체 필름 상에 형성된 금속 증착막을 전극으로 하는 금속 증착 콘덴서에 있어서, 이상 방전 시에 증착 금속이 방전 에너지에 의해 비산됨으로써, 절연성을 회복시켜 단락을 방지함으로써 콘덴서의 기능을 유지 내지는 파괴를 방지하는 기능이며, 안전성으로부터도 지극히 유효한 기능이다.
이러한 표면 거칠기를 갖는 방법은 지금까지 엠보싱법이나 샌드블라스트법 등의 기계적 방법, 용제에 의한 케미컬 에칭 등의 화학적 방법, 폴리에틸렌 등의 이종 중합체를 혼합한 시트를 연신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기계적 방법 및 화학적 방법에서는 조도 밀도가 낮고, 조대 돌기가 발생하기 쉬워, 조도 밀도, 조대 돌기, 돌기 개수라는 점에서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 방법으로 표면 거칠기를 가진 필름은 콘덴서 형성 시에 필름 층간으로의 오일 함침이 불충분해져서 부분적으로 미함침 부분이 생기기 쉬워 콘덴서 형성 시에 기포의 잔존은 적지만, 필름을 리사이클링할 경우에 이종 중합체가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고, 리사이클성이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떠한 방법에 의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도 콘덴서의 사용조건으로서, 전위경도가 200V/um 이상인 엄격한 조건하에서는 보안성이 충분하지 않아 신뢰성의 면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전위 경도란 유전체 필름에 인가된 전압을 필름 두께로 나눈 것이며, 단위 필름 두께당의 인가 전압이다.
또한 조도 밀도나 돌기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고용융 장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이러한 고용융 장력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층한 것 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고용융 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그 자체를 콘덴서 용도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구조상 충분한 내열성, 내압성을 얻을 수 없어 특히 고온에서의 절연 파괴전압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용융 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층하는 기술에서는 균일한 적층 두께를 얻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균일성을 손상시키고 실용상 만족스러운 유전체 필름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2722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485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덴서용 유전체로서 높은 내전압성과 적합한 소자 가공성이 우수한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양면에 돌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하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만족하되,
46㎚≤ FRa ≤ 140㎚ ----------------------(수학식 1)
600㎚≤ FRmax ≤ 1200㎚ ----------------------(수학식 2)
여기서, FRa는 중심선 평균 조도이고, FRmax는 최대 높이 조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수학식3을 더 만족하되,
Y = 0.4182X - 0.1525 ----------------------(수학식 3)
여기서, Y는 절연파괴전압(BDV: Break Down Voltage)이고, X는 필름의 두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학식3의 상기 절연파괴전압은 편차가 ±10%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평균입경이 0.5~3.0㎛인 구형 실리카를 15 ~ 20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밀도가 1.385g/㎤ 내지 1.410g/㎤ 인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4 내지 2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각각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가짐으로써 교류용도의 함침 타입의 콘덴서에 적절하게 사용 가능한 필름으르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내전압성과 보안성 및 소자 가공 적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 변화에 따른 절연파괴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양면에 돌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하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6㎚≤ FRa ≤ 140㎚ ----------------------(수학식 1)
600㎚≤ FRmax ≤ 1200㎚ ----------------------(수학식 2)
여기서, FRa는 중심선 평균 조도로서, 측정치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생기는 산과 골의 면적의 합을 측정 길이로 나눈 값이고, FRmax는 최대 높이 조도로서, 측정치의 가장 높은 봉우리에서 가장 낮은 계곡까지의 수직 높이를 나타낸다.
중심선 평균 조도인 FRa가 46㎚미만인 경우, 공기 빠짐 불량 등으로 인해 필름의 권취가 잘 되지 않아 롤 형상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생기고, 슬릿 공정, 콘덴서 소자 형성이 잘 되지 않는다. 또한 FRa가 140㎚를 초과하는 경우, 절연 파괴 전압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대 높이 조도인 FRmax가 1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대돌기에 의해 내절연 파괴 특성이 저하되기 쉽고, 필름 최소 두께가 작아져서 내전압성이 저하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FRa 및 FRmax를 바람직한 범위로 함으로써 슬릿 공정 및 콘덴서 소자 공정에서의 권취성이 개선되어 가공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수학식3을 더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참조).
Y = 0.4182X - 0.1525 ----------------------(수학식 3)
여기서, Y는 절연파괴전압(BDV: Break Down Voltage)이고, X는 필름의 두께이다.
또한 수학식3의 절연파괴전압은 편차가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콘덴서 소자 크기와 제막 안정성의 관점에서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필름 두께가 4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4㎛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나 절연파괴전압이 떨어지고, 필름의 두께가 20㎛를 초과하면 균일한 두께를 가진 필름의 제막이 어렵고 콘덴서용의 유전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부피당의 용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위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 생성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1.385g/㎤ 내지 1.410g/㎤ 인 것이 바람직한데, 밀도가 1.385g/㎤ 미만인 경우, 필름의 수축율이 너무 크거나 탄성 모듈러스가 너무 작고 가수분해에 대해 매우 민감하고, 밀도가 1.410g/㎤ 를 초과할 경우 필름이 결정화되는 경향이 있고, 커패시터 생성 동안에 필름이 파괴되어 때때로 커패시터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원료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폴리에스테르 원료는 현저한 부분, 즉 8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 1,4 디사이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비벤조에이트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로 이루어진 제형이다. 폴리에스테르 원료는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근본적으로 강화시키거나 50몰% 이하의 공단량체 단위를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공단량체 단위의 산 성분 또는 글리콜 성분은 변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Zn, Ca, Li 또는 Mn의 염과 같은 통상적인 촉매를 사용하여 에스테르화 교환반응이나 직접적인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슬립 특성과 마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패시터 필름의 생성에 유용한 첨가제(입자), 예를 들면 무기 입자(예: 카올린, 탈크, SiO2, MgCO3, CaCO3, BaCO3, CaSO4, TiO2, Al2O3, MgO) 또는 테레프탈산의 Ca,Ba 또는 Mn염을 포함한다. 가교결합된 불용성 유기 중합체(예: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는 입자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자는 15중량% 내지 20중량%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이다. 바람직하게는 구형 실리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정한 표면 형상을 생성시키는 방법의 하나로서, 핵제 효과가 있는 원료를 첨가하여 핵 형성 능력을 높이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핵 개수를 증가시켜 작은 미세 돌기를 다소 존재시켜서 비교적 평탄한 개소를 적게 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돌기가 형성된 표면 형태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표면은 돌기가 치밀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표면 형상을 만족하기 쉽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재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구체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술피드, 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이 될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투명성, 기계적 강도,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지름이 0.5㎛ 내지 3.0㎛의 실리카 입자를 15.0 중량% 내지 20중량% 함유하는 PET 팔레트를 180℃에서 약 2시간 진공 건조해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230~30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하고, T자형 구금으로부터 시트형상으로 성형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시트 형상물을 경면의 냉각드럼 상에서 냉각 고착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 때 캐스트 드럼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정전 인가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70~120℃로 가열한 롤의 길이방향으로 2~5배 연신을 행한다. 길이방향 연신은 결정 배향을 낮추고, 또 열결정화를 진행시키는 조건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 연신 후, 횡방향으로 약 90~145℃의 온도 범위에서 3.5배 내지 5.0배 연신하여 215~245℃의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를 행한 후 필름을 얻는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평균입자지름이 약 3.0㎛인 실리카 입자를 15중량% 함유하는 PET 팔레트를 180℃에서 약 2시간 진공 건조하여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26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하고, T자형 구금으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렇게 얻어진 시트 형상물을 경면의 냉각드럼 상에서 냉각 고착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다. 이 때 캐스트 드럼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정전 인가법을 사용한다. 그 후,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약 100℃로 가열한 롤의 길이방향으로 3.5배 연신한 후 횡방향으로 약 120℃의 온도 범위에서 4.5배 연신한다. 다음으로 약 23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평균 총 두께가 7.2㎛인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두께가 8.2㎛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두께가 10.2㎛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두께가 11.1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리카 입자를 20중량% 함유하는 PET 팔레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두께가 8.2㎛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두께가 10.2㎛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두께가 11.15㎛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리카 입자를 5중량% 함유하는 PET 팔레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두께가 8.2㎛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두께가 10.2㎛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두께가 11.15㎛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리카 입자를 25중량% 함유하는 PET 팔레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두께가 8.2㎛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두께가 10.2㎛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두께가 11.15㎛인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8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표면조도
2차원 조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5매 이상 준비하고, 시료의 크기는 길이방향으로 약 4㎝, 가로방향으로 약 7㎝정도로 준비하여, 샘플의 표면과 이면에 수직하는 단면이 이루는 교선을 2.5mm로 하여 5회씩 측정하였다. 각 측정치를 2축의 그래프로 나타내어 5회 측정에 대한 평균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2)헤이즈
Haze Meter를 이용하여, Film을 Sample Holder에 고정시킨 후 광을 투과시켜 전투과율 및 적분구의 확산투과율과 흡수구의 평행투과율을 측정하여 전투과율에 대한 확산투과율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3) 절연파괴전압 측정
DC B·D·V 측정기를 이용하여, A4 사이즈의 시료를 전극 사이에 장착한 후 전압을 가하여 측정하고, 25회 측정값을 평균하였다.
Figure 112014126503972-pat00001
위 표 1은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두께에 따른 입자함량에 따른 표면조도 특성, 헤이즈 및 절연파괴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자 함유량이 15중량%에서 20중량%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경우 슬립특성과 마찰특성 등의 필름표면 거칠기가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높은 내전압성 평가를 위한 절연 파괴전압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경우 비교예와 달리 수학식 3을 동시에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비교예 1, 2 및 5 내지 8은 수학식 1과 2를 동시에 만족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또한 비교예 1 내지 8은 모두 수학식 3을 만족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소자 가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높은 내전압성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평균입경이 0.5~3.0㎛인 구형 실리카를 15 ~ 20중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제조되고 양면에 돌기를 가지며,
    하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46㎚≤ FRa ≤ 140㎚ ---------(수학식 1)
    600㎚≤ FRmax ≤ 1200㎚ ---(수학식 2)
    여기서, FRa는 중심선 평균 조도이고, FRmax는 최대 높이 조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수학식3을 더 만족하되,
    Y = 0.4182X - 0.1525 ----------------------(수학식 3)
    여기서, Y는 절연파괴전압(BDV: Break Down Voltage)이고, X는 필름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3의 상기 절연파괴전압은 편차가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밀도가 1.385g/㎤ 내지 1.410g/㎤ 인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4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140190861A 2014-12-26 2014-12-26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63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861A KR101638573B1 (ko) 2014-12-26 2014-12-26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861A KR101638573B1 (ko) 2014-12-26 2014-12-26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74A KR20160079474A (ko) 2016-07-06
KR101638573B1 true KR101638573B1 (ko) 2016-07-20

Family

ID=5650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861A KR101638573B1 (ko) 2014-12-26 2014-12-26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5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246A (ja) * 2000-10-31 2002-05-17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163B1 (ko) 1996-09-24 2006-03-03 미쯔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게엠베하 Smd 박막 콘덴서로서 사용하기 위한, 기계적 특성과 수축 특성이 향상된 이축 연신 pet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H10130410A (ja) * 1996-10-25 1998-05-19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金属化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フイルムコンデンサー
JPH10284340A (ja) * 1997-04-11 1998-10-23 Diafoil Co Ltd コンデンサ用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KR100543195B1 (ko) * 1998-12-30 2006-04-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화학적 기계적 연마 장치
US9991052B2 (en) 2011-04-19 2018-06-05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for capacitor, metallized film, and film capaci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246A (ja) * 2000-10-31 2002-05-17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74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36013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トフイルム
US7022407B2 (en) Polyester film for capacitors
JP2005229104A (ja) コンデンサ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金属化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KR101638573B1 (ko) 전기절연 특성과 표면 특성이 향상된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US6432509B1 (en) Composite film for capaci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se film therefor
JPH10284340A (ja) コンデンサ用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4086598B2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62964B2 (ja) 電気絶縁材料
JP573924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フラットケーブル
JP3948908B2 (ja) カバーレイ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693457B2 (ja) コンデンサー用フィルム
JP3847551B2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847550B2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847552B2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85067B2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126864A (ja) 難燃性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9194603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237141A (ja) チップ状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
JP2003158035A (ja) コンデンサー誘電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60071239A (ko) 박막 콘덴서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4315410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S63316419A (ja)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59227421A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3141308A (ja) コンデンサ−
JP2008030223A (ja)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金属化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