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305B1 -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 Google Patents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305B1
KR101638305B1 KR1020160041984A KR20160041984A KR101638305B1 KR 101638305 B1 KR101638305 B1 KR 101638305B1 KR 1020160041984 A KR1020160041984 A KR 1020160041984A KR 20160041984 A KR20160041984 A KR 20160041984A KR 101638305 B1 KR101638305 B1 KR 10163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foam layer
shoe
layer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102016004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25Composite materials, e.g. material with a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에 관한 것으로, 구두의 바닥창에 해당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위에 배치되고, 펄프와 패브릭으로 결합된 표피층과, 상기 표피층의 저면에 적층된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을 구비한 미드솔;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배치되고,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으로 망사보호부, 음이온 세라믹볼, 폴리우레탄폼층, 라텍스폼층, 제 2 그라파이트폼층, 목재함침시트층 및 그래핀층으로 적층된 인솔; 상기 아웃솔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어퍼; 및 상기 어퍼의 구두끈과 끈구멍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두끈이 상기 끈구멍을 빠져나와 굴곡된 부위의 주변의 갭을 막는 이물질 방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그라파이트폼층은, 분자량 3,000의 폴리페닐카보실란(polyphenylcarbosilane) 10g을 싸이클로핵산 50g에 녹여 제조한 농도 10 중량%의 폴리페닐카보실란 용액을 가열하여 중합하고, 반응온도 300 ~ 350℃의 가열롤의 사이에 통과시켜서 두께 20㎛의 시트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Description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Shoes having high elasticity insole}
본 발명은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방출이 우수하고, 경량화되어 있으면서 고탄성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통상적인 운동화, 신발과 같이 보행시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실용적인 수단이면서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구두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천 및 가죽을 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남성이나 여성이 착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의 구두는 아웃솔(outsole) 위에 배치되어 신발 내부 바닥재로 사용되는 미드솔(midsole)과, 미드솔의 상부에 위치하여 착용 상태에서의 쿠션감을 제공하는 깔창 혹은 안창이라 호칭되는 인솔(insole)과, 착용자의 발을 감싸도록 성형된 피혁 재질의 어퍼(upper)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아웃솔과 미드솔 및 인솔과 어퍼는 일반적인 구두 가공 공정, 예컨대 정형 작업, 어퍼와 미드솔 고정 작업, 아웃솔 접착 또는 봉합 작업을 거치면서 구두로 완성되고 있다.
특히, 아웃솔은 사용자의 발바닥 앞쪽 부위를 지지하는 전방패드부와,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굽, 및 전방패드부와 굽을 연결하는 허리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굽의 높이가 전방패드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웃솔이 지면에 접촉할 때, 전방패드부와 굽의 사이인 허리부가 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는 허리쇠(미 도시)라는 철재 부품이 미드솔의 허리부에 접착 방식으로 고정되어 사용된 바 있다.
그러나, 허리쇠는 철재 부품 또는 금속 재질이므로, 오랜 시간 지나면서 부식 또는 녹이 슬고, 접착된 부위가 헐거워져서 미드솔의 허리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허리쇠의 지지력이 약해지며, 특히 철재 부품으로서 구두의 전체 중량을 증대시켜셔, 경량화된 구두의 제작을 어렵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드솔과 허리쇠에 관한 접착력이 약화 또는 헐거워질 경우, 허리쇠와 미드솔의 접착 부위가 붙었다가 떨어지는 소음이 발생되어 제품 불량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인솔의 경우,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질 위에 부착포 또는 천 재질로만 마감되어 있어서, 구두 내부에서 사용자의 체온 또는 습도 등에 의한 물기가 인솔에 그대로 침착 및 침투되어 오염을 일으키거나, 인솔에 붙은 수분 및 이물질 부착물로 인하여 착용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고탄성을 유지하면서도 쾌적한 인솔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구두는 정형화된 틀 내에서 기능성을 부여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며, 특히 여름철 사용자의 발바닥 또는 발가락에 무좀 등을 유발할 만큼 열방출 성능이 매우 떨어지므로, 이러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구두 제품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구두는 구두끈을 끼워 넣는 끈구멍 또는 끈구멍 주변을 보호하는 아일렛(일명: 하도메)이 장착되어 있으나, 구두끈과 끈구멍의 유격을 통해 외부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유격을 통해 침투하여 구두 내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실정 및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물질 방지캡에 의해 외부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고, 고탄성 및 내구성을 갖는 인솔과, 휨 지지력이 뛰어나고 상대적으로 경량화된 미드솔과, 방열 기능을 갖는 어퍼를 제공함으로써, 고품격 구두 제품에 기능성을 더하면서도 경량화되고 내구성이 강하면서 쾌적한 구두 내부를 유지할 수 있는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는, 구두의 바닥창에 해당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위에 배치되고, 펄프와 패브릭으로 결합된 표피층과, 상기 표피층의 저면에 적층된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을 구비한 미드솔;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배치되고,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으로 망사보호부, 음이온 세라믹볼, 폴리우레탄폼층, 라텍스폼층, 제 2 그라파이트폼층, 목재함침시트층 및 그래핀층으로 적층된 인솔; 상기 아웃솔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어퍼; 및 상기 어퍼의 구두끈과 끈구멍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두끈이 상기 끈구멍을 빠져나와 굴곡된 부위의 주변의 갭을 막는 이물질 방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그라파이트폼층은, 분자량 3,000의 폴리페닐카보실란(polyphenylcarbosilane) 10g을 싸이클로핵산 50g에 녹여 제조한 농도 10 중량%의 폴리페닐카보실란 용액을 가열하여 중합하고, 반응온도 300 ~ 350℃의 가열롤의 사이에 통과시켜서 두께 20㎛의 시트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이물질 방지캡은, 상기 구두끈이 측면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끈구멍에 끼워지는 중공 하부와, 상기 중공 하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상기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상기 끈구멍의 테두리 아래쪽에 걸리는 정지턱부와, 상기 중공 하부의 위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두끈이 상부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돔 형상의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정지턱부는 구두의 상기 끈구멍의 두께에 대응하게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인솔은, 상기 인솔의 내부에서 상기 인솔의 평면 연장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으며, 인솔의 내부에서 열전달 경로가 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끝단에 부착되며, 상기 인솔의 발뒤꿈치 부위 쪽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 1 마그넷과, 상기 어퍼의 내부에서 상기 어퍼의 발뒤꿈치 부위 쪽에 설치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의 내피 쪽으로 표출된 한 쌍의 제 2 마그넷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는, 구두의 끈구멍에 끼워진 구두끈과 끈구멍 사이에 배치되는 이물질 방지캡을 더 포함하여서, 구두끈과 끈구멍의 유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구두 내부 오염 또는 구두끈 주변의 가죽 변색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는, 망사보호부, 음이온 세라믹볼, 폴리우레탄폼층, 라텍스폼층, 제 2 그라파이트폼층, 목재함침시트층 및 그래핀층으로 적층된 인솔을 제공함으로써, 고탄성 및 고품질의 쿠션감 뿐만 아니라, 목재함침시트층의 표면 위에서 소수성 표면 특성을 발휘하여 습기에 의한 인솔 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우수한 열전도성을 발휘할 수 있고, 특히 목재함침시트층의 표면 훼손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구두 경량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의 인솔은 친환경 목재 소재를 가공성이 뛰어나게 만든 목재함침시트층을 구비하기 때문에, 표면 질감이 자연스러우면서 감촉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의 인솔은 목재함침시트층과 라텍스폼층의 사이에 제 2 그라파이트폼층이 구비되어 인솔 형태 유지가 매우 뛰어나면서도 경량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의 인솔은 다공성 재질의 음이온 세라믹볼을 구비하여 항균 및 탈취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음이온 세라믹볼이 망사보호부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음이온 세라믹볼의 분리 또는 표면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의 미드솔은 펄프와 패브릭으로 결합된 표피층과, 표피층의 저면에 적층된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미드솔은 앞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아웃솔의 허리부의 휨을 방지하도록,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을 성형할 때 아웃솔의 허리부에 대면되는 일부분을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만든 후, 제 1 그라파이트폼층에 대한 열압착 가공을 통해서,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의 일부분과 타부분의 두께가 평준화되지만, 미리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성형한 상기 제 2 그라파이트폼층의 일부분의 압축밀도가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의 타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만듦으로써, 아웃솔의 허리부의 휨을 지지하면서도 기존의 허리쇠의 부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는 인솔의 내부에서 열전달 경로가 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와이어부와, 와이어부의 끝단에 부착된 제 1 마그넷과, 어퍼(upper)의 내부에 마련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고정되고 어퍼의 내피 쪽으로 표출된 제 2 마그넷을 구비함으로써, 인솔을 구두 내부에 끼워 넣을 때 상기 마그넷들이 서로 접속되어 열전달 경로가 완성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의해 발생된 열이 인솔의 와이어부 마그넷 쌍 및 방열판을 통해 방출되게 하여, 구두의 방열 기능을 극대화하면서, 고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방지캡이 구두의 끈구멍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솔에 관한 선 A-A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솔에 관한 선 B-B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부, 제 1 마그넷, 방열판 및 제 2 마그넷간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방지캡이 구두의 끈구멍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솔에 관한 선 A-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는, 구두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갈수록 차례로 적층되거나 결합된 구성으로서, 아웃솔(100), 미드솔(200), 인솔(300), 어퍼(400)를 포함하고, 어퍼(400)에 끈구멍(420) 마다 더 구비되는 이물질 방지캡(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웃솔(100)은 합성수지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미리 구두의 바닥창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아웃솔(100)은 구두의 바닥창에 해당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아웃솔(100)의 바닥면에도 다수의 홈 및 돌기들로 이루어진 그립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미드솔(200)은 아웃솔(100)의 위에 배치된다. 예컨대, 미드솔(200)은 아웃솔(100)의 내측 상면에서 접착제(미 도시)를 통해서 부착 및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미드솔(200)은 도 1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펄프와 패브릭으로 결합된 표피층(210)과, 상기 표피층(210)의 저면에 접합되거나 적층된 제 1 그라파이트폼층(2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그라파이트폼층(220)은 분자량 3,000의 폴리페닐카보실란(polyphenylcarbosilane) 10g을 싸이클로핵산 50g에 녹여 제조한 농도 10 중량%의 폴리페닐카보실란 용액을 가열하여 중합하고, 반응온도 300 ~ 350℃의 가열롤의 사이에 통과시켜서 두께 1mm의 시트 형태로 만든 것일 수 있다.
제 1 그라파이트폼층(220)이 고강도 및 초경량 소재이므로, 미드솔(200)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구두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제 1 그라파이트폼층(220)은 구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웨이브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아웃솔(100)과 함께 유연성을 보유할 수 있다.
제 1 그라파이트폼층(220)은 구두 길이 방향으로 불연속되도록 이격되며, 구두 폭방향으로 각각 연속된 다수의 스트립 시트로 형성되어서, 아웃솔(100)과의 연동 동작을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런, 미드솔(200)은 일반적인 수지성 보강재 또는 철심(예: 허리쇠) 등을 구비한 종전의 미드솔 제품에 비하여 두께를 줄이면서도 고탄성 및 구조적 강성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키면서, 중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미드솔(200)의 제 1 그라파이트폼층(220)은 아웃솔(100)의 굽(110)이 있는 부위와 굽(110)으로부터 구두 끝쪽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 부위(120)의 사이의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그라파이트폼층(220)의 일부분(222)의 압축밀도가 상기 제 1 그라파이트폼층(220)의 타부분(2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드솔(200)은 미드솔 두께(T)가 미드솔 전면적에 걸쳐서 동일하게 형성되다.
한편, 미드솔(200)은 설계 변경을 통해서, 미드솔 두께(T)가 미 도시되어 있지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그라파이트폼층(220)에서 압축밀도가 상대적으로 큰 일부분(222)은 타부분(221)에 비하여 하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되어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구조적으로 아웃솔(100)의 휨 변형을 더욱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인솔(300)은 미드솔(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인솔(300)도 미 도시된 접착제를 통해서 미드솔(2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인솔(300)은 아래와 같은 적층된 상태로 제작되어 기존의 일반적인 합성수지 및 패브릭으로만 이루어진 기존 인솔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탄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인솔(300)은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으로 망사보호부(310), 음이온 세라믹볼(320), 폴리우레탄폼층(330), 라텍스폼층(340), 제 2 그라파이트폼층(350), 목재함침시트층(360) 및 그래핀층(370)으로 적층될 수 있다.
어퍼(400)는 상기 아웃솔(100)에 연결되거나, 또는 아웃솔(100)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어서,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역할을 담당한다. 어퍼(400)는 가죽, 합성 피혁, 패브릭 등의 통상적인 구두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물질 방지캡(500)은 연성 합성수지 재질 또는 합성 고무 재질 혹은 착색된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성형된 것으로서, 어퍼(400)의 구두끈(410)과 끈구멍(420) 사이에 배치 또는 장착된다. 이물질 방지캡(500)은 구두끈(410)이 상기 끈구멍(420)을 빠져나와 굴곡된 부위의 주변의 갭을 막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물질 방지캡(500)은 도 2를 통해 후술되는 형상에 의해 장착 위치에 고정되고, 쉽게 분리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물질 방지캡(500)은 끈구멍(420)에 구두끈(410)이 끼워져 결합된 이후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두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끈구멍(420)에 대응한 소형 구조물일 수 있다.
이물질 방지캡(500)은 중공 하부(510)와, 정지턱부(520)와, 커버부(530)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있다.
중공 하부(510)는 구두끈(410)이 구두의 내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후, 구두의 바깥쪽의 측면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중공 하부(510)는 일측으로 개방된 개구부(511)를 갖는다. 여기서, 개구부(511)의 테두리는 구두끈(410)의 외표면에 밀착되어서 이물질이 쉽게 구두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중공 하부(510)는 저면에 개구된 저면 구멍(512) 및 상기 개구부(511)를 통해서 구부러진 상태의 구두끈(410)의 외표면에 접촉하면서 끈구멍(420)에 장착, 즉 끼워지게 된다.
이때, 정지턱부(520)는 상기 개구부(511)를 제외한 중공 하부(51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 하부(5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상기 끈구멍(420)의 테두리 아래쪽에 걸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정지턱부(520)는 돌출된 부위의 저면과 측면 사이의 코너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물질 방지캡(500)의 수직 하향 끼움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나 수직 상향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커버부(530)는 중공 하부(510)의 위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커버부(530)는 구두끈(410)이 상부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530)의 개방된 부위(531)는 중공 하부(510)의 개구부(511) 쪽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물질 방지캡(500)의 장착시 구두끈(410)과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530)의 개방된 부위(531)의 형상은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구두끈(410)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커버부(530)와 정지턱부(520)는 구두의 끈구멍(420)의 두께에 대응하게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정지턱부(520)의 돌출된 상면이 끈구멍(420)의 테두리 저면에 밀착되어서, 그 결과 일단 장착된 상태의 이물질 방지캡(500)이 쉽게 끈구멍(4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솔(300)은 그의 저면에 배치 또는 고정된 망사보호부(310)를 포함한다.
망사보호부(310)는 방사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망사보호부(310)의 테두리 상면은 접착제 또는 봉재실에 의해 고정되고, 테두리 안쪽의 상면은 음이온 세라믹볼(320)의 저면에 밀착되어서, 음이온 세라믹볼(320)의 분리 또는 마찰에 의한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인솔(300)의 음이온 세라믹볼(320)은 각각의 망사보호부(310)에 의해 고정되거나, 별도의 접착제층을 통해서 인솔(300)의 저면, 즉 인솔(300)의 폴리우레탄폼층(330)의 저면에서 다수로 이격 배치된 안착홈(331)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음이온 세라믹볼(320)은 중량% 50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과, 중량% 10인 목문석 분말과, 중량% 5인 은 분말과, 중량% 25인 황토 분말, 및 중량% 10인 다공성 탄소나노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탄소나노분말은 탄소나노튜브, 인조흑연, 탄소섬유, 카본블랙 및 활성탄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가열 상태에서 외부 공기를 블로윙시킨 후 냉각시켜서 다공성 구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이온 세라믹볼(320)은 다공체로서 구두 내 악취를 유발하는 수분 또는 박테리아 성분 등을 흡착할 수 있고, 탄소나노불말에 의한 음이온 방출로 인하여 구두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폴리우레탄폼층(330)은 인솔(300)에게 탄성력 또는 쿠션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폴리우레탄폼층(330)의 저면에는 앞서 언급한 음이온 세라믹볼(320)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안착홈(331)을 구비하고 있다.
폴리우레탄폼층(330)의 상면은 라텍스폼층(340)의 저면에 접착제로 고정된다.
인솔(300)의 라텍스폼층(340)은 폴리우레탄폼층(330)에 비하여 압입 및 복원 속도가 상대적으로 늦은 점탄성 특성을 제공하여 쿠션감 및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인솔(300)의 제 2 그라파이트폼층(350)은 앞서 설명한 미드솔용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의 두께를 제외하고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그라파이트폼층(350)은 제 1 그라파이트폼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 20㎛의 시트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제 2 그라파이트폼층(350)은 분자량 3,000의 폴리페닐카보실란(polyphenylcarbosilane) 10g을 싸이클로핵산 50g에 녹여 제조한 농도 10 중량%의 폴리페닐카보실란 용액을 가열하여 중합하고, 반응온도 300 ~ 350℃의 가열롤의 사이에 통과시켜서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인솔(3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면서, 인솔(300)의 경량화를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2 그라파이트폼층(350)은 폼 형태로서 폼 성형 가공에 의해 인솔(300)을 사용자 발바닥 형상에 대응하게 커스텀 핏(custom fit) 형태로 시트 평면 형상이 발바닥 3차원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 2 그라파이트폼층(350)의 저면과 라텍스폼층(340)의 상면의 사이 또는 제 2 그라파이트폼층(350)의 상면과 목재함침시트층(360)의 저면의 사이에는 표면 요철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면서 접착면을 평활화시켜서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층(미 도시)이 더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인솔(300)의 목재함침시트층(360)은 제 2 그라파이트폼층(350)의 상면에 접착된다. 목재함침시트층(360)은 두께 0.3mm의 목재 시트와 두께 0.4mm의 부직포 사이에 용융 상태의 폴리우렌탄 수지를 공급한 상태에서 가열 롤을 통과시켜 합지시키고, 조색용 도료 및 투명 접착제로 상기 목재함침시트층(360)의 외표면을 코팅하여 만든 것으로서, 목재의 자연스러움과 청량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실제 목재의 질감을 구현하면서도, 습기에 강한 친환경 소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인솔(300)의 목재함침시트층(360)의 상면에는 그래핀층(370)이 더 형성되어 있다.
그래핀층(370)은 별도로 제작된 후 옮겨져서 목재함침시트층(360)의 상면에 전사되거나, 또는 화학기상증착법으로 목재함침시트층(360)의 상면에 합성될 수 있다. 그래핀층(370)은 인솔(300)의 최 상단 상면에 대하여 소수성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수분 또는 이물질의 침투, 혹은 미생물 및 박테리아 식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래핀층(370)의 상면에 습기 등의 미세 물방울 입자가 방울 형태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구두에 대한 외부 충격이나 구두의 흔들림 등의 외력에 의해 인솔(300)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습기 등이 분리되게 함으로써, 인솔(300)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특 장점이 있다.
또한, 그래핀층(370)은 목재함침시트층(360)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고, 목재함침시트층(360)의 표면에 대한 부식 방지 성능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고탄성 미드솔을 구비한 구두는 방열 수단이 더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도 1 내지 도 6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솔에 관한 선 B-B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와이어부, 제 1 마그넷, 방열판 및 제 2 마그넷간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구두의 바닥창에 해당하는 아웃솔(100)을 포함한다.
제 2 실시예는 상기 아웃솔(100)의 위에 배치되고, 펄프와 패브릭으로 결합된 표피층과, 상기 표피층의 저면에 적층된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솔의 굽이 있는 부위와 굽으로부터 연장된 바닥 부위의 사이의 휨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의 일부분의 압축밀도가 상기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의 타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고, 미드솔 두께가 미드솔 전면적에 걸쳐서 동일하게 형성된 미드솔(200)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보호부(310), 음이온 세라믹볼(320), 폴리우레탄폼층(330), 라텍스폼층(340), 제 2 그라파이트폼층(350), 목재함침시트층(360) 및 그래핀층(370)으로 적층되고, 방열 수단(600)이 구비된 인솔(300a)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아웃솔(1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을 감싸면서, 상기 방열 수단(600)의 방열판(630)이 구비된 어퍼(400a)를 포함한다.
방열판(630)은 어퍼(400a)의 재질 내부 중에서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해당하는 부위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앞서 언급한 이물질 방지캡(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인솔(300a)은 인솔(300a)의 내부에서 상기 인솔(300a)의 평면 연장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으며, 인솔(300a)의 내부에서 열전달 경로가 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열 수단(600)용 와이어부(610)를 포함한다. 와이어부(6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폼층(330)과 라텍스폼층(340) 사이의 와이어 연장 통로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인솔(300a)은 와이어부(610)의 끝단에 부착되며, 상기 인솔(300a)의 발뒤꿈치 부위 쪽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방열 수단(600)용 제 1 마그넷(620)을 포함한다.
인솔(300a)은 어퍼(400a)의 내부에서 상기 어퍼(400a)의 발뒤꿈치 부위 쪽에 설치된 방열 수단(600)용 방열판(630)과, 상기 방열판(630)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400a)의 내피 쪽으로 표출된 한 쌍의 방열 수단(600)용 제 2 마그넷(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솔(300a)은 어퍼(400a)와 결합되기 전에 미리 제 1 마그넷(620) 및 와이어부(610)를 구비한 상태로 선제작되어 있을 수 있고, 후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구두 내에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인솔(300a)이 어퍼(400a)의 내부 공간, 즉 구두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경우, 인솔(300a) 쪽의 제 1 마그넷(620)이 어퍼(400a) 쪽의 제 2 마그넷(640)에 자력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와이어부(610)의 열이 제 1 마그넷(620) 및 제 2 마그넷(640)을 경유하여 방열판(630) 쪽으로 전달 및 방출될 수 있다.
즉, 구두 내부의 열이 방열 수단(600)을 통해 방출되어서, 사용자 발 부위의 땀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수단(600)의 와이어부(610)는 사용자의 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탄성 코어 또는 탄성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특히 사용자의 발바닥 중에서 엄지 발가락 연결 부위(Q)를 회피 하는 방향으로 와이어부(610)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신발 착용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아웃솔 200 : 미드솔
300, 300a : 인솔 310 : 망사보호부
320 : 음이온 세라믹볼 330 : 폴리우레탄폼층
340 : 라텍스폼층 350 : 제 2 그라파이트폼층
360 : 목재함침시트층 370 : 그래핀층
400, 400a : 어퍼 500 : 이물질 방지캡
600 : 방열 수단

Claims (3)

  1. 구두의 바닥창에 해당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위에 배치되고, 펄프와 패브릭으로 결합된 표피층과, 상기 표피층의 저면에 적층된 제 1 그라파이트폼층을 구비한 미드솔;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 배치되고, 아래로부터 위의 방향으로 망사보호부, 음이온 세라믹볼, 폴리우레탄폼층, 라텍스폼층, 제 2 그라파이트폼층, 목재함침시트층 및 그래핀층으로 적층된 인솔;
    상기 아웃솔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어퍼; 및
    상기 어퍼의 구두끈과 끈구멍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두끈이 상기 끈구멍을 빠져나와 굴곡된 부위의 주변의 갭을 막는 이물질 방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그라파이트폼층은,
    분자량 3,000의 폴리페닐카보실란(polyphenylcarbosilane) 10g을 싸이클로핵산 50g에 녹여 제조한 농도 10 중량%의 폴리페닐카보실란 용액을 가열하여 중합하고, 반응온도 300 ~ 350℃의 가열롤의 사이에 통과시켜서 두께 20㎛의 시트 형태로 만든 것
    인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방지캡은,
    상기 구두끈이 측면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끈구멍에 끼워지는 중공 하부와,
    상기 중공 하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상기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서 상기 끈구멍의 테두리 아래쪽에 걸리는 정지턱부와,
    상기 중공 하부의 위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두끈이 상부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돔 형상의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정지턱부는 구두의 상기 끈구멍의 두께에 대응하게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인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상기 인솔의 내부에서 상기 인솔의 평면 연장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있으며, 인솔의 내부에서 열전달 경로가 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끝단에 부착되며, 상기 인솔의 발뒤꿈치 부위 쪽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 1 마그넷과,
    상기 어퍼의 내부에서 상기 어퍼의 발뒤꿈치 부위 쪽에 설치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의 내피 쪽으로 표출된 한 쌍의 제 2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것
    인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KR1020160041984A 2016-04-06 2016-04-06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KR101638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84A KR101638305B1 (ko) 2016-04-06 2016-04-06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84A KR101638305B1 (ko) 2016-04-06 2016-04-06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305B1 true KR101638305B1 (ko) 2016-07-08

Family

ID=5650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84A KR101638305B1 (ko) 2016-04-06 2016-04-06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2813A1 (it) * 2019-02-27 2020-08-27 Milmare Srl Materiale composito stratificato con trattamento superficiale in grafene
KR102365564B1 (ko) * 2020-11-03 2022-02-22 뉴스텝 주식회사 발냄새와 무좀균 제거 및 멀티 기능을 가진 아치교정용 깔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504A (ja) * 1999-03-04 2000-09-12 Yasunori Inui 紐孔カバーおよび紐孔カバーを装着した靴
KR100494108B1 (ko) * 2002-10-29 2005-06-08 박정식 다공성 숯라텍스 스폰지 신발창 제조방법 및 다공성숯라텍스 스폰지 신발창
KR200467023Y1 (ko) * 2011-04-15 2013-05-21 정진화 그라파이트가 함유된 건강 기능성 신발 깔창
US20140259785A1 (en) * 2013-03-15 2014-09-18 Paul Walter Lester Energy return so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504A (ja) * 1999-03-04 2000-09-12 Yasunori Inui 紐孔カバーおよび紐孔カバーを装着した靴
KR100494108B1 (ko) * 2002-10-29 2005-06-08 박정식 다공성 숯라텍스 스폰지 신발창 제조방법 및 다공성숯라텍스 스폰지 신발창
KR200467023Y1 (ko) * 2011-04-15 2013-05-21 정진화 그라파이트가 함유된 건강 기능성 신발 깔창
US20140259785A1 (en) * 2013-03-15 2014-09-18 Paul Walter Lester Energy return so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2813A1 (it) * 2019-02-27 2020-08-27 Milmare Srl Materiale composito stratificato con trattamento superficiale in grafene
KR102365564B1 (ko) * 2020-11-03 2022-02-22 뉴스텝 주식회사 발냄새와 무좀균 제거 및 멀티 기능을 가진 아치교정용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304B1 (ko) 고탄성 미드솔을 구비한 구두
US11707108B2 (en) Soles for sports shoes
EP1586248B1 (en) Sole for shoes
JP4038391B2 (ja)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US8776399B2 (en) Shoe insole
US20070124960A1 (en) Multilayered footwear
US20050044745A1 (en) Footwear construction
ITMC20070115A1 (it) Membrana con ventose a forma di clessidra stampate direttamente su un supporto in materiale idrofilo e/o traspirante per un maggior comfort della calzatura.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MX2011005352A (es) Plantilla de zapato aislada moldeada y metodo de hacer una plantilla aislada.
JP2004511280A (ja) 靴の防水・通気性底革用間底およびこの間底を備えてなる防水・通気性底革
TWM451012U (zh) 編織鞋
KR101638305B1 (ko) 고탄성 인솔을 구비한 구두
KR101377079B1 (ko) 충격 흡수 및 통기성을 갖는 신발
US20140173945A1 (en) Footbe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70056186A1 (en) Ventilated shoe-pad
JP2016063891A (ja) 先芯入り合成樹脂製作業靴
KR101979998B1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JP3211094U (ja) 靴下シューズ
CN211467677U (zh) 一种多功能鞋面
CN211065241U (zh) 一种防臭透气型休闲鞋
CN215649520U (zh) 一种呼吸仿生型负压透气鞋垫
CN218389980U (zh) 一种轻量化透气安全鞋
CN209121301U (zh) 一种功能型前掌隐形趾袜
CN219047551U (zh) 一种无勾心商务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