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858B1 -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858B1
KR101637858B1 KR1020150180986A KR20150180986A KR101637858B1 KR 101637858 B1 KR101637858 B1 KR 101637858B1 KR 1020150180986 A KR1020150180986 A KR 1020150180986A KR 20150180986 A KR20150180986 A KR 20150180986A KR 101637858 B1 KR101637858 B1 KR 101637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ixing
support
rota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주
Original Assignee
최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주 filed Critical 최기주
Priority to KR1020150180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29C2045/14049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feeding inserts by a swing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스트 커버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에 링을 안치시켜 주기 위한 링투입용지그를 고정하여,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커버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에 링을 안치시켜 주기 위한 링투입용지그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 고정부의 일측 중앙부분에 연결 형성되어, 고정부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부; 및 회전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기 설정된 높이로 회전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Rotating Apparatus Of Jig}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스트 커버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에 링을 안치시켜 주기 위한 링투입용지그를 고정하여,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스트 커버는, 자동차의 축이음 부분에 먼지 유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고무재로 형성되어, 면접부의 강성과 함께 자유로운 절곡이 요구되는 바,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할 때 접지면에 링을 삽입하게 된다.
더스트 커버를 성형할 때 사용하는 금형은, 상/하판에 서로 대향되는 상/하형을 형성하고, 하형의 상측에 링을 고정하는 수개의 핀을 형성한 것으로서, 하형의 상측 혹은 상/하측에 각각 링을 안치한 상태에서 상/하판을 밀착하고 상/하형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 상태에서 공간에 재료를 주입하여 더스트 커버를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금형은, 하형의 상측 혹은 상/하측에 각각 안치되는 링의 경우 수작업에 의존하여 안치한다.
더스트 커버는 재단, 굴곡부 형성을 위한 프레스공정 등의 5개 공정을 거친 스틸 프레스(steel press)품에 고무 사출품을 덮어씌운 구조로 되어 있으며, 스틸과 고무의 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6337호(2007.12.10 등록)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링 투입용 지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링 투입용 지그에 있어서, 상부 링이 내입되는 직경을 갖는 링 립구멍이 형성된 하판과, 하판의 상측으로 결합한 수개의 고정핀과, 고정핀에 끼워지는 장타원 형상의 작동구멍이 형성되며 스냅링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판과, 손잡이를 밀거나 당길 때 하판의 링 조립구멍과 서로 겹쳐지거나 혹은 어긋나도록 상판에 형성한 링 조립구멍과, 하판의 좌우측에 결합한 운반손잡이와, 하형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의 지주를 포함하는 상부지그와, 하부 링이 내입되는 직경을 갖는 링 조립구멍이 형성된 중간판과, 중간판의 상하측으로 결합한 수개의 고정핀과, 고정핀에 끼워지는 장타원 형상의 작동구멍이 형성되며 스냅링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간판의 상/하측에 배치한 상/하판과, 손잡이를 밀거나 당길 때 중간판의 링 조립구멍과 중심이 일치되게 배열되도록 상판 및 하판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링 조립구멍과 동일한 직경의 내입부와 링 조립구멍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걸림부가 연결 구성된 구멍과, 중간판의 좌우측에 결합한 운반손잡이와, 상부지그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지주가 결합되는 고정구멍을 포함하는 하부지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금형 사이에 작업자의 손을 내입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므로 산업 재해 염려를 일소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4310호(2015.06.30 등록)는 지그에 투입되는 하부링이 올바르게 투입되었는지의 확인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하부링 투입용 하부지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하부링이 내입되는 직경을 갖는 링 조립구멍이 형성된 중간판과, 중간판의 상하측으로 결합한 수개의 고정핀과, 고정핀에 끼워지는 장타원 형상의 작동구멍이 형성되며 스냅링 또는 너트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간판의 상/하측에 배치한 상/하판과, 손잡이를 밀거나 당길 때 중간판의 링 조립구멍과 중심이 일치되게 배열되도록 상판 및 하판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링 조립구멍과 동일한 직경의 내입부와 링 조립구멍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걸림부가 연결 구성된 링 공급공 및 링 배출공과, 중간판의 좌우측에 결합한 운반손잡이와, 상부지그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지주가 결합되는 고정구멍을 포함하는 하부지그에 있어서. 하판과 이격 상태로 하부지그를 지지하는 역투입방지 지그를 더 포함하되, 역투입방지 지그에는 중간판에 형성된 링 조립구멍의 하측에 위치되며, 하판에 형성된 링 배출공 내에 위치하도록, 링 조립구멍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반호형의 제1링받침 및 하판의 걸림부에 형성된 링받침내입홈에 내입되도록 제1링받침과 반대쪽으로 형성한 제2링받침을 형성하며, 제1,2링받침은 상단 외부연으로 링걸림홈을 형성하여 하부링이 거꾸로 투입될 때 링걸림홈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링투입용지그 가공은, 프레스가공 전 단계에서, 링투입용지그에 링을 투입하기 위해 링투입용지그를 회전시키는데, 작업자가 직접 링투입용지그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으며, 링투입용지그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회전시킬 시에, 놓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633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3431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스트 커버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에 링을 안치시켜 주기 위한 링투입용지그를 고정하여,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에 링을 안치시켜 주기 위한 링투입용지그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 중앙부분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기 설정된 높이로 상기 회전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투입용지그의 양측면을 삽입 고정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삽입고정부재; 상기 삽입고정부재의 후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링투입용지그의 후면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후면고정부재; 및 일측이 상기 후면고정부재의 후면 중앙부분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삽입고정부재는, 상기 링투입용지그의 양측면을 삽입 고정시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가이드수단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링투입용지그 삽입할 시에, 상기 링투입용지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후면고정부재는, 상부가 개방 형성되어, 하부면이 상기 링투입용지그를 지지하며, 후면이 상기 링투입용지그를 고정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기 설정된 높이로 상기 회전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바부재; 및 상기 지지바부재의 하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부재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링투입용지그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킬 시에, 잡아서 상기 고정부를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는, 상기 링투입용지그에 잘못 투입된 금형의 링을 추출하기 위한 링추출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링추출부를 착탈시켜 주기 위한 착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고정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지부재; 일측이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지지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부재;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삽입시켜 주기 위한 삽입홈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다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다른 일측이 상기 삽입홈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인출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스트 커버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에 링을 안치시켜 주기 위한 링투입용지그를 고정하여,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구현한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프레스 기계에 링투입용지그를 설치하기 위해 무거운 링투입용지그를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하부면에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을 장착하여, 링투입용지그를 회전시킨 후에, 프레스 장치 근처로 수월하게 옮겨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지지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보조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때, 도 2는 고정부에 링투입용지그를 고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10)는, 고정부(100), 회전부(200),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일측 중앙부분에 회전부(200)를 연결 형성하며, 더스트 커버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에 링을 안치시켜 주기 위한 링투입용지그를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00)는, 링투입용지그의 세 모서리 부분(즉, 링투입용지그의 후부면과 양측면)을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100)는, 링투입용지그가 투입되는 부분의 하부면을 넓게 형성하여, 편리하게 링투입용지그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부(200)는, 하부에 지지부(300)를 고정 설치하며, 고정부(100)의 일측 중앙부분에 연결 형성되어, 고정부(100)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부(200)는, 예를 들어 베어링으로서, 외측방향으로 지지부(300)를 고정하며, 내측방향으로 고정부(100)(다시 말해서, 회전축부재(130))(도 3 참조)를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회전부(2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기 설정된 높이로 회전부(200)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300)는, 회전부(200)와 회전부(200)에 연결 설치된 고정부(100)를 지지해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10)는,
도 3은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100)는, 두 개의 삽입고정부재(110), 후면고정부재(120), 회전축부재(130)를 포함한다.
삽입고정부재(110)는, 후부에 후면고정부재(120)를 고정 설치하고, 링투입용지그의 양측면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고정부재(110)는, 가이드수단(111), 안내수단(112)을 포함한다.
가이드수단(111)은, 링투입용지그의 양측면을 삽입 고정시켜 가이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수단(111)은, 링투입용지그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수단(111)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링투입용지그의 양측면을 감싸주면서 가이드해줄 수 있다.
안내수단(112)은, 가이드수단(111)의 전단에 형성되어, 링투입용지그 삽입할 시에, 링투입용지그를 안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안내수단(112)은, 'ㄴ'자 형태로서, 상부가 개방 형성되어, 링투입용지그를 고정부(100)에 투입할 시에, 링투입용지그를 안내해 주며, 링투입용지그가 고정부(100)에 완전히 투입되어 고정되면, 링투입용지그의 하부면을 지지해줄 수 있다.
후면고정부재(120)는, 후면 중앙부분에 회전축부재(130)를 일체로 고정 설치하며, 삽입고정부재(110)의 후부에 고정 설치되어, 링투입용지그의 후면을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후면고정부재(120)는, 'ㄴ'자 형태로서, 상부가 개방 형성되어, 하부면이 링투입용지그를 지지하며, 후면이 링투입용지그를 고정시켜 줄 수 있다.
회전축부재(130)는, 일측이 후면고정부재(120)의 후면 중앙부분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회전부(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회전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축부재(130)는, 회전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여, 링투입용지그를 고정한 고정부(100)도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300)는, 지지바부재(310), 받침부재(320)를 포함한다.
지지바부재(310)는, 하단에 받침부재(320)를 수직하게 형성하고, 회전부(2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기 설정된 높이로 회전부(200)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바부재(310)는, 기둥 형태(예를 들면, 원기둥, 사각기둥 등)(바람직하게는, 사각기둥)로 형성되며,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높이는, 후면고정부재(1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고정부(1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부재(320)는, 지지바부재(310)의 하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지지바부재(310)를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재(320)는, 일정한 높이(예를 들면, 2cm ~ 5cm)를 가진 판(예를 들면, 원형판, 사각형판 등)으로서, 지지바부재(310)를 받쳐줄 수 있으며, 무겁고 단단한 소재(예를 들면, 금속 등)로 형성되어, 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있는 지지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300)는, 지지바부재(310), 받침부재(320), 다수 개의 이동부재(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바부재(310), 받침부재(320)는, 도 4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부재(330)는, 받침부재(32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링투입용지그를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330)는, 예를 들어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으로서, 받침부재(320) 하부면의 꼭짓점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더스트 커버 성형을 하기 위해 고정부(100)에 고정된 링투입용지그를 프레스 장치 근처로 편리하게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330)는, 잠금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링투입용지그를 이동시킨 후에, 잠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30)는, 고정부(100), 회전부(200), 지지부(300), 손잡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100), 회전부(200), 지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고정부(100)는, 180도 회전한 상태이다.
손잡이부(400)는, 고정부(100)(다시 말해서, 후면고정부재(120)의 하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고정부(100)를 회전시킬 시에, 잡아서 회전하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링추출부(500), 착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추출부(500)는, 착탈부(600)에서 착탈되어, 링투입용지그에 잘못 투입된 금형의 링을 추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링추출부(500)는, 예를 들어 자석으로서, 링투입용지그에 잘못 투입된 금형의 링 근처에 위치시키면, 링이 달라붙어 링투입용지그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링추출부(500)는, 기둥 형태(예를 들면, 원기둥, 사각기둥 등)(바람직하게는, 원기둥)로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부분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을 형성하며, 홀을 착탈부(600)에 삽입 설치하여 착탈부(600)에서 착탈될 수 있다.
착탈부(600)는, 고정부(100)(다시 말해서, 후면고정부재(120)의 하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링추출부(500)를 착탈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착탈부(600)는, 평상시에 링추출부(500)를 고정시켜 주고 있다가, 링투입용지그에 잘못 투입된 금형의 링을 인출하기 위해 링추출부(500)를 착탈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30)는, 고정부(100), 회전부(200), 지지부(300), 두 개의 보조지지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100), 회전부(200), 지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보조지지부(700)는, 지지부(300)(다시 말해서, 지지바부재(310))(도 4 참조)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고정부(1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부(100)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지지부(700)는, 평상시에 지지바부재(310) 수평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가, 링투입용지그를 고정한 고정부(100)를 180도 회전시키면, 지지바부재(310)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고정부(100)를 지지해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있는 보조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조지지부(700)는, 보조지지부재(710), 회전부재(720), 삽입홈부재(730), 인출방지부재(740)를 포함한다.
보조지지부재(710)는, 측면에 회전부재(720)를 일체로 형성하며, 고정부(1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부(100)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지지부재(710)는, 링투입용지그를 고정한 고정부(100)를 180도 회전한 후에,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부(100)와 링투입용지그의 하부면을 지지해 줄 수 있다.
회전부재(720)는, 일측이 보조지지부재(7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인출방지부재(740)에 일체로 형성되며, 삽입홈부재(730)에 삽입되어, 보조지지부재(710)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부재(720)는, 일측이 단면이 사각형(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인 형태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보조지지부재(7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인출방지부재(74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회전부재(72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원형의 지름은, 회전부재(720)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형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삽입홈부재(730)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삽입홈부재(730)는, 지지부(3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인출방지부재(740)를 삽입 설치하며, 회전부재(720)를 삽입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부재(730)는, 회전부재(720)의 일측에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형태와 동일한 형태(즉,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부재(720)의 일측을 삽입시켜 줄 수 있다.
인출방지부재(740)는, 회전부재(720)의 다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홈부재(73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회전부재(720)의 다른 일측이 삽입홈부재(730)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인출방지부재(740)는, 삽입홈부재(730)보다 큰 판 형태(예를 들면, 원판, 사각판 등)로 형성되어, 삽입홈부재(730)에서 회전부재(720)가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지지부(700)는, 평상시에 삽입홈부재(730)에 회전부재(720)의 일측을 삽입하고 있다가, 링투입용지그를 고정한 고정부(100)를 180도 회전하면, 삽입홈부재(730)에 삽입된 회전부재(720)의 일측을 삽입홈부재(730)의 외측방향으로 인출하여, 회전부재(720)의 다른 일측이 삽입홈부재(730)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회전시키고, 회전부재(720)를 삽입홈부재(730)의 내측방향으로 밀어 넣어 회전부재(720)의 일측이 회전된 상태로 삽입홈부재(730)에 삽입되어 고정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20, 30: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100: 고정부
110: 삽입고정부재
111: 가이드수단
112: 안내수단
120: 후면고정부재
130: 회전축부재
200: 회전부
300: 지지부
310: 지지바부재
320: 받침부재
330: 이동부재
400: 손잡이부
500: 링추출부
600: 착탈부
700: 보조지지부
710: 보조지지부재
720: 회전부재
730: 삽입홈부재
740: 인출방지부재

Claims (10)

  1. 더스트 커버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에 링을 안치시켜 주기 위한 링투입용지그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 중앙부분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기 설정된 높이로 상기 회전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
    상기 링투입용지그에 잘못 투입된 금형의 링을 추출하기 위한 링추출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링추출부를 착탈시켜 주기 위한 착탈부를 포함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투입용지그의 양측면을 삽입 고정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삽입고정부재;
    상기 삽입고정부재의 후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링투입용지그의 후면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후면고정부재; 및
    일측이 상기 후면고정부재의 후면 중앙부분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고정부재는,
    상기 링투입용지그의 양측면을 삽입 고정시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가이드수단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링투입용지그 삽입할 시에, 상기 링투입용지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고정부재는,
    상부가 개방 형성되어, 하부면이 상기 링투입용지그를 지지하며, 후면이 상기 링투입용지그를 고정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기 설정된 높이로 상기 회전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바부재; 및
    상기 지지바부재의 하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부재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재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링투입용지그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킬 시에, 잡아서 상기 고정부를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고정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지부재;
    일측이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지지부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회전부재;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삽입시켜 주기 위한 삽입홈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다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재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다른 일측이 상기 삽입홈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인출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KR1020150180986A 2015-12-17 2015-12-17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KR10163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86A KR101637858B1 (ko) 2015-12-17 2015-12-17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86A KR101637858B1 (ko) 2015-12-17 2015-12-17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858B1 true KR101637858B1 (ko) 2016-07-07

Family

ID=5650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986A KR101637858B1 (ko) 2015-12-17 2015-12-17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8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37B1 (ko) 2006-09-21 2007-12-17 주식회사 산양화학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링 투입용 지그
KR100935785B1 (ko) * 2009-05-07 2010-01-07 주식회사 센트랄 볼 조인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140029445A (ko) * 2011-04-14 2014-03-10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절단 장치
KR101534310B1 (ko) 2014-05-26 2015-07-07 주식회사 산양화학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하부링 투입용 하부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37B1 (ko) 2006-09-21 2007-12-17 주식회사 산양화학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링 투입용 지그
KR100935785B1 (ko) * 2009-05-07 2010-01-07 주식회사 센트랄 볼 조인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140029445A (ko) * 2011-04-14 2014-03-10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절단 장치
KR101534310B1 (ko) 2014-05-26 2015-07-07 주식회사 산양화학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하부링 투입용 하부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5595B2 (ja)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EP3202530A1 (en) O-ring mounting device and method
KR101637858B1 (ko) 링투입용지그 회전 장치
ITMO20100163A1 (it) Gruppo multi-utensile per presse punzonatrici
JP5690551B2 (ja) パレット固定装置及びパレット固定方法
KR102025244B1 (ko) 성형품 취출기
JP5637620B2 (ja) 棒状ワーク把持装置及び棒状ワーク把持装置におけるスクロール盤の回転規制解除方法
KR101150729B1 (ko) 회전 척 및 그를 이용한 단조품 가공 장치
CN210415966U (zh) 钢字模打印定位装置
WO2016129884A1 (ko) 공작기계
KR101534310B1 (ko) 더스트 커버 성형 금형의 하부링 투입용 하부지그
JP6461574B2 (ja) 上ノズル引抜装置
RU2664239C2 (ru) Узел формной пластины,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ного цилиндра для печатной машин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узла формной пластины
KR20140005405U (ko)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샤프트 제거장치
KR101836083B1 (ko) 곡관성형기
JP5907385B2 (ja) 逆浸透膜エレメント取外し治具、逆浸透膜エレメント取外し装置、逆浸透膜エレメントの取外し方法
JP6180453B2 (ja) 蝶番
JP4810884B2 (ja) 基板分割刃型ユニット
JP4509751B2 (ja) 回転式粉末圧縮成型機
CN210208336U (zh) 一种便于模具合模的导向结构
US8813819B2 (en) Die change apparatus and die carrying-in device for use in flaskless molding machine
EP2556919A1 (en) Movable safety screen device applicable to a printer, and a printer with such a movable safety screen device
CN109279559B (zh) 一种粮油加工用灌装机
KR20170111587A (ko) 공작기계
JP3218921U (ja) 自動伸縮ドッグリードの安全解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