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609B1 -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 Google Patents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609B1
KR101637609B1 KR1020100124208A KR20100124208A KR101637609B1 KR 101637609 B1 KR101637609 B1 KR 101637609B1 KR 1020100124208 A KR1020100124208 A KR 1020100124208A KR 20100124208 A KR20100124208 A KR 20100124208A KR 101637609 B1 KR101637609 B1 KR 10163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motor
signal
gate driver
l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143A (ko
Inventor
장상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6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DC모터를 PWM 방식으로 제어하는 IC에서 하드웨어적인 오류가 발생하여 림프홈(Limp-Home)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림프홈 블록이 마이컴의 구동상태를 감시하면서 마이컴의 제어알고리즘에 생긴 오류를 보완하도록 하는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DC MOTOR PWM CONTROL MODULE WITH LIMP-HOME BLOCK}
본 발명은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C모터를 PWM 방식으로 제어하는 IC에서 하드웨어적인 오류가 발생하여 림프홈(Limp-Home)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림프홈 블록이 마이컴의 구동상태를 감시하면서 마이컴의 제어알고리즘에 생긴 오류를 보완하도록 하는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에 관한 것이다.
림프홈(Limp-Home)은 차량의 제어장치가 고장나서 엔진이 정지하려고 할 때, 엔진의 손상을 막기 위해 모터나 구동장치가 최소한의 출력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특히 DC모터를 사용하는 냉각팬, 연료펌프와 같이 고 신뢰성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는 엔진이 정지하지 않도록 또는 엔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모터의 PWM 제어기 내의 마이컴이 고장상태더라도 모터가 최소 요구조건으로 동작해야 한다.
PWM 제어방식은 기존의 Linear 제어방식에 비해서 효율이 좋기 때문에 전력손실이 작아서(수십 W) 차량 주행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DC모터 PWM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PWM 제어모듈(100)은 상위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PWM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DC모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PWM 제어모듈(100)은 PWM 제어신호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102), 마이컴(104), FET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106), 모터 스위칭 제어를 위한 두 개의 Half-bridge FET(108), DC모터(10)의 전류량 측정을 위한 저항(110), 전류량 증폭을 위한 OP앰프(112), EMC 문제 해결을 위한 π-필터(114), 마이컴(104)에 오류 발생시에 reset 동작을 위한 레귤레이터(11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02)는 외부 제어기에서 DC모터(10)의 제어를 위한 PWM 입력 신호를 보내면 그 신호를 마이컴(104)에 전달하거나, PWM 제어모듈(100)에서 문제 발생시 외부 제어기로 Diagnosis 신호를 출력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외부 제어기에서 입력되는 PWM 신호(수백 ㎐)는 인터페이스(102)에 의해 마이컴(104)이 센싱 가능한 신호로 변환되고, 마이컴(104)은 변환된 PWM 입력 신호를 DC모터(10) 제어를 위한 디지털 신호(20㎑)로 변환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06)는 이 디지털 신호를 FET(108) 구동을 위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갖는 신호로 변환한다.
한 쌍의 FET(108)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신호에 따라 DC모터(10)를 일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저항(110)과 OP앰프(112)는 DC모터(10)의 전류량을 이용해서 입력 PWM 듀티(duty)와 출력 PWM 듀티를 비교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입력 듀티와 출력 듀티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이 될 경우에는 마이컴(104)에 문제가 있거나 DC모터(10)가 스톨(stall)되는 경우이다. DC모터(10)가 스톨되는 경우는 마이컴(104)에서 스톨을 감지하여 듀티를 0%로 하여 DC모터(10) 발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를 사전에 방지한다. DC모터(10)의 스톨이 아니라 마이컴(104)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는 마이컴(104) 고장으로 판단하여 림프홈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PWM 제어모듈(100)에 사용되는 저항(110)의 저항값이 상당히 작기 때문에 저항(110)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가 매우 작다. OP앰프(112)는 이 전압을 마이컴(104)이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증폭한다.
레귤레이터(116)는 PWM 제어모듈(100) 내의 인터페이스(102), 마이컴(104), 게이트 드라이버(106) 등의 동작을 위한 전원회로로서, 차량 전압(VS)을 인터페이스 등의 구성요소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으로 낮춰준다.
종래기술에 따른 PWM 제어모듈(100)에서 마이컴(104)이 다른 구성요소들의 이상을 발견하면, 미리 설정된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에 따라 DC모터(10)를 듀티 0%로 정지시키거나, 듀티 100%의 최고속도로 구동시킨다.
레귤레이터(116)의 워치독(watchdog)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마이컴(104)의 이상을 발견한 경우에는 레귤레이터(116)가 마이컴(104)을 리셋(reset)시키는데, 만약 마이컴(104)이 계속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림프홈 모드가 동작하지 않아서 DC모터(10)가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레귤레이터(116)가 계속 마이컴(104)을 리셋시키기 때문에 DC모터(10)가 동작하지 않거나 동작이 불안정한 상태가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이컴의 고장이나 하드웨어적인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도 DC모터가 정지하지 않고 림프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별도의 림프홈 블록을 모터제어용 IC에 설치하도록 하는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차량의 DC모터에 대한 PWM 방식의 제어모듈로서, 외부 제어기에서 상기 DC모터의 제어를 위한 PWM 입력 신호를 보내면 그 신호를 수신하여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모듈에서 문제 발생시 상기 외부 제어기로 Diagnosis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1102)와; 상기 외부 제어기에서 입력되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변환된 PWM 신호를 상기 DC모터 제어를 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컴(1104)과; 상기 마이컴이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FET 구동을 위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갖는 신호로 변환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106)와; 상기 DC모터(10)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을 증폭시키는 OP앰프(1110)와; 상기 마이컴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로서, 상기 마이컴에 소프트웨어적인 오류가 발생했을 때, 상기 마이컴을 리셋시키는 레귤레이터(1112)와; 하드웨어적인 오류가 발생했을 때,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듀티 0% 또는 100%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림프홈 블록(1114)과; 상기 마이컴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사이의 제1신호경로와, 상기 림프홈 블록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사이의 제2신호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림프홈 블록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신호경로 또는 제2신호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1108);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마이컴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림프홈 블록은 하나의 모터제어용 반도체 IC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드웨어적인 오류는 상기 마이컴 내부 연산에 문제가 생기거나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신호의 듀티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출력되는 신호의 듀티가 다른 경우 또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하드웨어적인 워치독이 발생하여 상기 마이컴을 리셋시켜야 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C모터 PWM 제어용 반도체 개발 과정에서 림프홈 모드를 하드웨어적으로 추가하여 반도체의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마이컴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오류시에도 림프홈 모드로 변환이 가능하여 최소 시스템 요구 동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귤레이터에 의한 하드웨어 워치독에 경보가 발생한 경우에도 림프홈 모드로 변환이 가능해져서 제어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제어용 IC에 림프홈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원가 상승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DC모터 PWM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모터 PWM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이하, '제어모듈'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모터 PWM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모듈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어모듈(1000)은 DC모터(10) 구동을 위한 FET(1002)와 전압 측정을 위한 저항(1004), EMC 문제 해결을 위한 π-필터(1006)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모두 집적하여 하나의 모터제어용 IC(1100)로 제작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할 뿐이며, 별도의 IC 칩이 아닌 개별 회로 구성으로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모터제어용 IC(1100)에는 PWM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1102)와 디지털 신호 변환을 위한 마이컴(1104), FET(1002)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1106), 저항(1004)에 흐르는 전류를 증폭하기 위한 OP앰프(1110)가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한 레귤레이터(1112) 역시 마이컴(1104)에 대한 감시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모터제어용 IC(1100)에는 하드웨어적 림프홈 모드 전환기능을 위해서 림프홈 블록(1114)이 추가로 구성된다.
그리고 마이컴(1104)과 게이트 드라이버(1106) 사이에는 스위치(1108)가 개재되어 DC모터(10)의 구동신호를 받는 경로를 선택한다. 스위치(1108)는 마이컴(1104)과 게이트 드라이버(1106) 사이의 제1신호경로와, 림프홈 블록(1114)과 게이트 드라이버(1106) 사이의 제2신호경로를 형성한다. 스위치(1108)는 림프홈 블록(1114)의 제어에 따라 제1신호경로 또는 제2신호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한다.
마이컴(1104) 자체에 오류(소프트웨어적 또는 하드웨어적)가 발생한 경우, 림프홈 블록(1114)은 스위치(1108)를 절체하여 직접 게이트 드라이버에 접속하며, 미리 정해진 내용에 따라 정지 또는 최고속도 회전의 구동신호를 FET(1002)에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PWM 제어모듈(1000)은 외부 제어기의 입력 PWM 신호를 수신하여 DC모터(10)에 대한 동작 제어를 시작한다.(S102)
만약 마이컴(1104)이 DC모터(10)의 동작 중에 모터제어용 IC(1100)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했음을 인식한 경우, 문제 상황을 상위의 제어기에 Diagnosis 신호를 통해서 전달하게 된다.(S104, S106)
이때는 마이컴(1104)의 동작에 아무런 이상이 없으므로 마이컴(1104) 내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에 의해 출력 듀티를 0% 또는 100%로 하여 림프홈 모드로 전환한다.(S108)
만약 모터제어용 IC(1100)에 하드웨어적인 오류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마이컴(1104)에 의한 정상적인 모드 전환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림프홈 블록(1114)에 의한 제어로 전환된다.(S110, S112)
하드웨어적인 오류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마이컴 내부 연산에 문제가 생기거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이다. 이때는 인터페이스(1102)에 입력되는 듀티 신호와 게이트 드라이버(1106)의 출력되는 듀티 신호에 차이가 발생한다.
입력과 출력 듀티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이 될 경우는 마이컴(1104)에 문제가 있거나 DC모터(10)가 스톨되는 경우이다. DC모터(10)가 스톨되는 경우는 마이컴(1104)에서 스톨을 감지하여 듀티를 0%로 하여 DC모터(10) 발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를 사전에 방지한다. DC모터(10) 스톨이 아니라 마이컴(1104)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는 마이컴(1104)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림프홈 블록(1114)이 림프홈 모드로 DC모터(10)를 구동시키게 된다.
두 번째로는 레귤레이터(1112)의 하드웨어적 워치독에 의한 것이다. 하드웨어적인 워치독이 발생한 경우에 마이컴(1104)을 리셋시키게 되는데, 이때 DC모터(10)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림프홈 블록(1114)에서 하드웨어적 워치독을 감지하여 듀티를 0% 혹은 100%로 동작시킨다.
림프홈 블록(1114)은 스위치(1108)의 절체 방향을 전환하여 림프홈 블록(1114)으로부터 게이트 드라이버(1106)로 직접 구동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마이컴(1104)이 정상적으로 리셋되거나 기타 방식으로 PWM 제어모듈(1000)의 오류가 해결되면 다시 스위치(1108)를 전환하여 마이컴(1104)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진다.(S114)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DC모터 1000 : PWM 제어모듈
1002 : FET 1004 : 저항
1006 : π-필터 1100 : 모터제어용 IC
1102 : 인터페이스 1104 : 마이컴
1106 : 게이트 드라이버 1108 : 스위치
1110 : OP앰프 1112 : 레귤레이터
1114 : 림프홈 블록

Claims (4)

  1. 외부 제어기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DC모터 제어를 위한 PWM 신호를 주고받으며, 차량의 DC모터를 PWM 방식으로 제어하는 모듈로서,
    상기 외부 제어기에서 입력되어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변환된 PWM 신호를 상기 DC모터 제어를 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컴(1104)과;
    상기 마이컴이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FET 구동을 위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갖는 신호로 변환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106)와;
    상기 마이컴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로서, 상기 마이컴에 소프트웨어적인 오류가 발생했을 때, 상기 마이컴을 리셋시키는 레귤레이터(1112)와;
    상기 마이컴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듀티 0% 또는 100%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림프홈 블록(1114);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에 발생하는 오류는, 상기 마이컴 내부 연산에 문제가 생기거나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신호의 듀티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출력되는 신호의 듀티가 다른 경우 또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하드웨어적인 워치독이 발생하여 상기 마이컴을 리셋시켜야 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사이의 제1신호경로와, 상기 림프홈 블록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사이의 제2신호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림프홈 블록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신호경로 또는 제2신호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스위치(1108);를 추가로 포함하는,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과,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림프홈 블록은 하나의 모터제어용 반도체 IC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4. 삭제
KR1020100124208A 2010-12-07 2010-12-07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KR10163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208A KR101637609B1 (ko) 2010-12-07 2010-12-07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208A KR101637609B1 (ko) 2010-12-07 2010-12-07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143A KR20120063143A (ko) 2012-06-15
KR101637609B1 true KR101637609B1 (ko) 2016-07-07

Family

ID=4668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208A KR101637609B1 (ko) 2010-12-07 2010-12-07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3452B2 (en) 2017-04-04 2019-06-25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overcurrent of DC motor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498B1 (ko) * 2018-10-12 2024-0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010B1 (ko) 2003-12-09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텝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2505A (ja) * 1995-03-01 1996-09-17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予備制御装置
KR101063217B1 (ko) * 2008-12-05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제어기의 셧오프후 재기동 오류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010B1 (ko) 2003-12-09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텝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3452B2 (en) 2017-04-04 2019-06-25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overcurrent of DC motor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143A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3351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9419512B2 (en) Electric power converter to reduce or eliminate erroneous power module abnormality indication
WO2011019038A1 (ja) 負荷駆動制御装置及び負荷駆動制御方法
US20070055908A1 (en) Redundant power supply circuit and motor driving circuit
EP2040369A2 (en) Load drive control circuit
KR102021864B1 (ko) 전력 제어용 스위칭 소자의 구동회로
US8044624B2 (en) Loa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agnosis signal for the same
US11133770B2 (en) Motor driv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90312536A1 (en) Motor drive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101637609B1 (ko) 림프홈 블록이 구비된 dc모터 pwm 제어모듈
US11217986B2 (en) Intelligent power module including semiconductor elements of a plurality of phases drive circuits of a plurality of phases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detection elements
US10374509B2 (en) Control circuit for power converter
KR100548770B1 (ko) 냉각팬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2656785A (zh) 用于检测开关电流源和相应功率源中的故障的方法
KR20040081176A (ko) 부하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장치, 및 부하의 고장 처리방법 및 장치
KR102219065B1 (ko) 단락 진단 기능을 구비한 모터 제어 장치 및 그것의 단락 진단 방법
JP2011055681A (ja) 電力変換装置
KR20160119311A (ko) Eps 전자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10107341A (ja) 電源回路
JP5790606B2 (ja) 過熱保護回路
WO2022158052A1 (ja) ゲート駆動回路および電力変換装置
US20230073943A1 (en) Motor drive device
JP7420770B2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半導体故障検出方法
WO2012039200A1 (ja) 負荷駆動装置
JP2001238432A (ja) 半導体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