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475B1 -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475B1
KR101637475B1 KR1020150048145A KR20150048145A KR101637475B1 KR 101637475 B1 KR101637475 B1 KR 101637475B1 KR 1020150048145 A KR1020150048145 A KR 1020150048145A KR 20150048145 A KR20150048145 A KR 20150048145A KR 101637475 B1 KR101637475 B1 KR 101637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guide unit
ho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원
Original Assignee
박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원 filed Critical 박민원
Priority to KR102015004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금형에 사용되는 가이드유닛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핀이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1가이드유닛의 제1관통블럭 내면에 오일레스물질을 내삽하여서 별도로 오일을 외부에서 제1관통블럭으로 주입하지 아니하여도 경사판이 융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경사판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의 양단을 제1가이드유닛의 제1고정블럭과 제3가이드유닛의 제3고정블럭에 고정시키기 위해 샤프트의 길이를 정밀하게 재단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는 코어금형에서 성형 완료시 성형 완성물을 이젝팅시키는 경사핀과 나란하게 배열되어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 상기 경사핀이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1관통블럭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상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1고정블럭과, 상기 제1관통블럭과 제1고정블럭이 결합되는 제1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유닛; 상기 경사핀의 하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2고정블럭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2관통블럭과, 상기 제2고정블럭과 제2관통블럭이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가 가이드 사프트를 따라 전후진하는 제2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하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3고정블럭과, 상기 제3고정블럭이 결합되는 제3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가이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핀이 관통하는 상기 제1관통블럭의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경사핀과의 접촉마찰력을 줄여주는 오일레스물질이 내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Guide unit assembly for plastic mold}
본 발명은 코어금형에 사용되는 가이드유닛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핀이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1가이드유닛의 제1관통블럭 내면에 오일레스물질을 내삽하여서 별도로 오일을 외부에서 제1관통블럭으로 주입하지 아니하여도 경사핀이 융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의 양단을 제1가이드유닛의 제1고정블럭과 제3가이드유닛의 제3고정블럭에 고정시키기 위해 샤프트의 길이를 정밀하게 재단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플라스틱 성형물에 수납공간이나 장착구 등과 같이 부가적 형상, 특히 그 자체에 격리된 공간이 내장되는 형태의 부가적 형상이 구성되는 때에는 플라스틱금형에 그 격리된 공간의 형상에 해당하는 모양을 가지는 코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플라스틱 성형 완료 후 플라스틱 성형물을 원형 손상 없이 이젝팅시키는 데에는 이젝팅 장치가 사용된다.
코어가 사용된 플라스틱 성형물을 금형에서 이젝팅시키는 이젝팅 장치는 이젝팅시 이젝팅 작동의 축 역할을 하는 경사핀과,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성형물을 금형에서 이젝팅시키는 이젝팅 장치로서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46267호 "코어금형용 가이드블럭 어셈블리", 등록특허 제10-0592347호 "코어유닛 가이드블럭 어셈블리" 등이 개시되었다.
상기 두 등록특허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르면,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핀(1)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가이드 샤프트(2)와, 경사핀(1)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유닛(3)과, 경사핀(1)이 가이드 샤프트(2)를 따라 전후진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유닛(4)과, 제1가이드유닛(3)과 함께 가이드 샤프트(2)를 경사핀에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제3가이드유닛(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사핀(1)은 제1가이드유닛(3)에 구비되는 제1관통블럭(1a)을 관통하여 전후진을 하게 되는데, 경사핀(1)이 요동 없이 직선처럼 안정적으로 전후진을 하도록 제1관통블럭의 관통홀(1b)과 경사핀(1) 간의 공차는 매우 작다.
작은 공차로 경사핀(1)의 반복되는 전후진에 제1관통블럭(1a)과 경사핀(1) 간에 상당한 마찰열이 발생하고, 마찰열에 의해 경사핀(1)과 제1관통블럭(1a) 간에 융착의 소지가 있다.
그래서 종래기술은 제1관통블럭(1a)의 관통홀(1b) 내벽과 경사핀(1)의 틈새로 외부에서 오일을 주입하여 마찰력을 줄이고 있다.
종래기술은 외부에서 관통홀(1b) 내벽과 경사핀(1)의 틈새로 오일을 주입하기 위해서 오일 주입장비가 추가로 필요하고, 관통홀(1b)과 경사핀(1) 간의 공차가 작아서 틈새로 오일을 주입하기 쉽지 않고, 그래서 틈새로 주입되지 못한 오일이 주변으로 흘러 더럽히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제1관통블럭(1a)의 관통홀(1b) 내벽과 경사핀(1)의 틈새로 오일을 주입하지 않더라도 경사핀(1)과 관통홀(1b) 내벽 간의 마찰열을 줄여주어 융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경사핀(1)과 나란하게 배열되어 경사핀(1)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2)는 양단이 제1가이드유닛(3)과 제3가이드유닛(5)에 결합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2)의 양단에 U자형 홈(2a)을 만들고, 제1가이드유닛(3)과 제3가이드유닛(5)에 U자형 홈(2a)에 안착되어 걸리는 핀(3a, 5a)을 구비하여서, 가이드 샤프트(2)가 제1가이드유닛(3)과 제3가이드유닛(5)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고 있다.
가이드 샤프트(2)는 경사핀(1)의 경사 각도에 맞게 배열되어서, 즉, 경사핀(1)에 나란하게 배열되어서 경사핀(1)의 전후진을 가이드해야 하기에, 종래기술은 도1처럼 U자형 홈(2a)과 핀(3a, 5a)을 사용해서 가이드 샤프트(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샤프트(2)는 경사 각도의 조절은 필요하지만 전후방향으로는 고정되어 있어야 경사핀(1)의 전후진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그런데 도1과 같이 U자형 홈(2a)을 사용하는 종래기술은 가이드 샤프트(2)를 전후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쉽지 않다. 다시 말해, 제1가이드유닛(3)과 제3가이드유닛(5)은 통상 제자리에 고정 설치되므로 가이드 샤프트(2)의 길이를 제1가이드유닛(3)과 제3가이드유닛(5) 간의 거리(보다 정확하게는 U자형 홈에 안착되는 핀(3a, 5a) 간의 거리)에 맞게 재단을 하여야 하는데 그 재단 작업이 쉽지 않고, 가이드 샤프트(2)이 길이를 정확하게 재단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제1가이드유닛(3)이나 제3가이드유닛(5)의 설치위치에 미세한 변화가 생겨 가이드 샤프트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경사핀이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1관통블럭의 관통홀 내면에 오일레스물질을 내삽하여서 외부에서 관통홀의 틈새로 오일을 주입하지 아니하여도 경사핀의 융착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 샤프트의 길이를 정확하게 재단하지 아니하여도 제1가이드유닛과 제3가이드유닛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가이드샤프트의 장착과 분리가 간편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는
코어금형에서 성형 완료시 성형 완성물을 이젝팅시키는 경사핀과 나란하게 배열되어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
상기 경사핀이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1관통블럭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상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1고정블럭과,
상기 제1관통블럭과 제1고정블럭이 결합되는 제1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유닛;
상기 경사핀의 하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2고정블럭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2관통블럭과,
상기 제2고정블럭과 제2관통블럭이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가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전후진하는 제2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하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3고정블럭과,
상기 제3고정블럭이 결합되는 제3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가이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핀이 관통하는 상기 제1관통블럭의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경사핀과의 접촉마찰력을 줄여주는 오일레스물질이 내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관통블럭의 관통홀은 상기 경사핀의 사각구조에 대응하여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사각형 모양의 모서리는 경사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언더컷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고정블럭은 제3몸체와, 상기 제3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축핀과, 상기 제3몸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부측에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삽입되는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의 하부측에는 무두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바디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조립결합되어서 상기 제3고정블럭을 회전 가능하게 내장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는 각각 상기 제3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회전공간부와 하부회전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면에는 각각 상기 제3축핀이 안착되는 상부축홈과 하부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는 경사핀이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1가이드유닛의 제1관통블럭 내면에 오일레스물질을 내삽하여 마찰되는 경사핀의 표면으로 오일이 자연스럽게 유출되도록 하여 경사핀의 융착을 방지하면서 별도로 오일 주입기기를 구비해야 하는 부담이 없고, 오일이 틈새로 주입되지 않고 주변으로 흘러 더럽히는 문제가 없고, 가이드 샤프트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제3가이드유닛의 제3고정블럭의 삽입홀 하부측에서 무두볼트가 결합되어서 가이드 샤프트의 하단 위치에 맞춰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U자형으로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가이드 샤프트의 길이를 정확히 재단해야 하는 어려움이 없는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b,c 는 제1가이드유닛과 제3가이드유닛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가이드유닛의 또 다른 실시례를 요부로 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는 경사핀(10), 가이드 샤프트(20), 제1 내지 제3 가이드유닛(30, 40, 50)이 구성요소로 대별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 사용하는 본원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부호는 도1의 종래기술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무관하므로 별개로 생각해야 한다. 즉, 도1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요소의 명칭과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요소의 명칭을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도면부호를 달리해서 종래기술과 본원발명의 구성요소를 구분하였다.
상기 경사핀(10)은 코어금형(플라스틱금형)의 하금형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성형 완료 후에 성형 완성물을 이젝팅 시키는 작업 시에 이젝팅 작동의 축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핀(10)은 단면이 원형구조일 수도 있고 다각구조일 수도 있는데, 이젝팅 작동의 축 역할을 함에 있어 경사핀(10)은 전후진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후진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단면이 원형구조이면 회전의 소지가 있기에 단면은 다각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각구조 중에서 가공이 용이한 사각구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20)는 상기 경사핀(10)에 나란하게 배열되어서 경사핀(10)의 전후진을 가이드 한다.
상기 제1가이드유닛(30) 내지 제3가이드유닛(50)은 상기 경사핀(10)이 상기 가이드 샤프트(20)를 따라 전후진 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가이드유닛(30)에는 상기 경사핀(10)이 전후진 가능하게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20)의 상단이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유닛(40)에는 상기 경사핀(10)의 후단이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20)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가이드유닛(50)에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20)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어서, 상기 제2가이드유닛(40)이 상기 가이드 샤프트(2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경사핀(10)이 전후진을 한다.
상기 제1가이드유닛(30)은 도2의 도시한 결합 상태의 정면도와 평면도, 분해 상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와 평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바디(31), 제1관통블럭(33), 제1고정블럭(3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31)는 코어금형(플라스틱금형)의 하금형 하부 소정 위치에 고정설치되어서, 경사핀(10)의 전후진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제1관통블럭(33)은 상기 제1바디(31)에 결합되고, 상기 경사핀(10)이 전후진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내부에 상기 경사핀(10)이 관통하는 관통홀(331)이 형성된다.
경사핀(10)은 요동 없이 직선으로만 전후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경사핀(10)과 관통홀(331) 간의 공차는 매우 작고, 경사핀(10)과 관통홀(331)은 각진구조(사각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관통홀(331)과 경사핀(10) 간의 공차가 작음에 따라 외부에서 오일을 이들의 틈새로 주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즉, 외부에서 주입되는 오일의 상당량이 틈새로 침투하지 못하고 유실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오일을 외부에서 주입하는 방식이 아니고, 관통홀(331)의 내벽에서 오일이 유출되도록 하였다. 즉, 관통홀(331)의 내벽에 오일레스물질(333)을 내삽하여서 전후진하는 경사핀(10)의 접촉마찰에 의해 오일레스물질(333)에서 오일이 흘러나와 관통홀(331) 내벽과 경사핀(10) 외면의 접촉마찰력을 줄여주도록 함으로써 경사핀(10)의 융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관통블럭(33)의 관통홀(331)은 상기 경사핀(10)의 사각구조에 대응하여 사각모양으로 이루어지되, 경사핀(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모서리는 언더컷(335) 처리된다. 즉, 90도로 각진 모서리 부위가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언더컷 처리되어서 경사핀(10)의 모서리가 관통홀(331)의 언더컷(335) 처리부에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블럭(35)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20)의 상단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1고정블럭(35)은 전체적으로 사각박스 구조를 갖는 제1몸체(351)와, 상기 제1몸체(351)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20)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53)과, 상기 제1몸체(351)의 외면 양측으로 돌출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축핀(355)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블럭(35)은 하우징(3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37)은 상기 제1바디(31)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37)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조립되어 결합되는 상부하우징(371)과 하부하우징(37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하우징(371)과 하부하우징(373)은 일측에 상기 제1고정블럭(35)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방공간부(375)를 형성하도록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개방공간부(375)를 형성하는 날개(376)의 하부와 상부에는 각각 상기 축핀(355)을 외주연 반응 감싸는 축홈(37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371)과 하부하우징(373)의 타측에는 서로를 조립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378)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유닛(40)은 상기 경사핀(10)의 하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2고정블럭(45)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20)가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2관통블럭(43)과, 상기 제2고정블럭(45)과 제2관통블럭(43)이 결합되는 제2바디(4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가 가이드 샤프트(20)를 따라 전후진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경사핀(10)을 전후진시킨다.
상기 제2관통블럭(43)은 상기 제2바디(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블럭(45)은 상기 제2바디(41)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가이드유닛(50)은 도2의 도시한 결합 상태의 정면도와 평면도, 분해 상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와 평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고정블럭(55)과, 상기 제3고정블럭(55)이 결합되는 제3바디(51)를 포함한다.
상기 제3고정블럭(55)은 제3몸체(551)와, 상기 제3몸체(551)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축핀(555)과, 상기 몸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부측에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20)가 삽입되는 삽입홀(553)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553)의 하부측에는 무두볼트(60)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20)의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시킨다.
상기 무두볼트(60)는 상기 삽입홀(553)의 하부측에서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어서 삽입홀(553)의 상부측으로 삽입된 가이드 샤프트(20)의 하단을 밀어 가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무두볼트(60)는 쐐기원리에 의한 풀림 방지 기능이 있어서 장기간 경과하더라도 풀리지 않아 가이드 샤프트(20)의 고정력이 약해지지 않는다.
상기 제3바디(51)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조립결합되어서 상기 제3고정블럭(55)을 회전 가능하게 내장하는 상부몸체(511)와 하부몸체(51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511)와 하부몸체(513)에는 각각 상기 제3몸체(55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회전공간부(511a)와 하부회전공간부(513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511)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몸체(513)의 상부면에는 각각 상기 제3축핀(555)이 안착되는 상부축홈(511b)과 하부축홈(513b)이 형성되고, 모서리에는 상부몸체(511)와 하부몸체(513)를 볼트로 체결하는 체결홀(511c, 513c)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축홈(511b)은 상기 제3축핀(555)의 외주연 반 이상을 감싸도록 하여서, 즉, 상부축홈(511b)의 입구 폭은 제3축핀(555)의 직경 보다 길어서 제3축핀(555)이 상부축홈(511b)으로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고, 억지끼움 상태에서 제3축핀(555)이 상부축홈에서 자연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상부몸체(511)에 하부몸체(513)를 체결시키기 용이하도록 한다.
도3에는 상기 상부몸체(511)와 하부몸체(513)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탈착수단(1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탈착수단(110)은 상기 상부몸체(511)의 하부면 네 모서리 가장자리에 각각 돌출되어 구비되고 외주연에 단턱부(112)가 형성된 탈착돌기(111)와, 상기 하부몸체(513)의 네 모서리 가장자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되는 레버(115)와, 상기 레버(115)의 내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탈착돌기(111)가 삽입되는 삽입홀(117)과, 상기 삽입홀(117)의 내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가압돌기(1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탈착수단(110)을 이용해 상기 상부몸체(511)와 하부몸체(513)를 체결시키는 때에는 상기 가압돌기(119)가 상기 단턱부(112)에 인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115)의 삽입홀(117)을 상기 탈착돌기(111)로 밀어 넣으면 저항 없이 쉽게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레버(115)의 손잡이를 돌리면 상기 가압돌기(119)를 상기 단턱부(112)에서 멀어지면서 탈착돌기(111)의 외면을 가압하면서 레버(115)를 조여 고정시킴으로서 상부몸체(511)와 하부몸체(513)를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시킨다.
반대로 상부몸체(511)와 하부몸체(513)를 분리시키는 때에는 상기 레버(115)의 손잡이를 잡고 돌리면 가압돌기(119)가 단턱부(112) 쪽으로 이동을 하도록 하면, 가압돌기(119)가 단턱부(112)에 걸려 레버(115)를 더 이상 돌리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고, 이 상태(가압돌기(119)가 단턱부(112)에 근접해 있는 상태)에서는 가압돌기(119)가 탈착돌기(111)의 표면을 가압하지 아니하여 상부몸체(511)와 하부몸체(513)가 쉽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디지털 캡쳐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경사핀 20 : 가이드 샤프트
30 : 제1가이드유닛 40 : 제2가이드유닛
50 : 제3가이드유닛 60 : 무두볼트

Claims (4)

  1. 코어금형에서 성형 완료시 성형 완성물을 이젝팅시키는 경사핀과 나란하게 배열되어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

    상기 경사핀이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1관통블럭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상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1고정블럭과,
    상기 제1관통블럭과 제1고정블럭이 결합되는 제1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경사핀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유닛;

    상기 경사핀의 하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2고정블럭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관통하여 전후진하는 제2관통블럭과,
    상기 제2고정블럭과 제2관통블럭이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가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전후진하는 제2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하부가 고정되어 결합되는 제3고정블럭과,
    상기 제3고정블럭이 결합되는 제3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3가이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핀이 관통하는 상기 제1관통블럭의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경사핀과의 접촉마찰력을 줄여주는 오일레스물질이 내삽되어 있고,

    상기 제3바디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조립결합되어서 상기 제3고정블럭을 회전 가능하게 내장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에는 각각 제3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회전공간부와 하부회전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면에는 각각 상기 제3몸체에 구비되는 제3축핀이 안착되는 상부축홈과 하부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 네 모서리 가장자리에 각각 돌출되어 구비되고 외주연에 단턱부가 형성된 탈착돌기와,
    상기 하부몸체의 네 모서리 가장자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내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탈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내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핀은 사각구조이고, 상기 제1관통블럭의 관통홀은 상기 경사핀의 사각구조에 대응하여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사각형 모양의 모서리는 경사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언더컷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블럭은 제3몸체와, 상기 제3몸체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축핀과, 상기 제3몸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부측에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의 하부측에는 무두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4. 삭제
KR1020150048145A 2015-04-06 2015-04-06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KR10163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45A KR101637475B1 (ko) 2015-04-06 2015-04-06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45A KR101637475B1 (ko) 2015-04-06 2015-04-06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475B1 true KR101637475B1 (ko) 2016-07-11

Family

ID=5649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145A KR101637475B1 (ko) 2015-04-06 2015-04-06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416A (ko) * 2018-06-27 2020-01-06 김정욱 금형의 경사코어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843A (ja) * 1996-01-11 1997-07-22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2004330443A (ja) * 2003-04-30 2004-11-25 Oiles Ind Co Ltd スライドコアガイ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金型機構
KR20120000715A (ko) * 2010-06-28 2012-01-04 박민원 금형의 코어유닛
KR20130105950A (ko) * 2012-03-19 2013-09-27 박민원 금형의 코어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843A (ja) * 1996-01-11 1997-07-22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2004330443A (ja) * 2003-04-30 2004-11-25 Oiles Ind Co Ltd スライドコアガイ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金型機構
KR20120000715A (ko) * 2010-06-28 2012-01-04 박민원 금형의 코어유닛
KR20130105950A (ko) * 2012-03-19 2013-09-27 박민원 금형의 코어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416A (ko) * 2018-06-27 2020-01-06 김정욱 금형의 경사코어 조립체
KR102094154B1 (ko) * 2018-06-27 2020-03-27 (주)정금형 금형의 경사코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8425B2 (en) Fiber optic connector and pin keeper with field changeable guide pins
JP6286529B2 (ja) 解体用せん断機と解体用せん断機の突き刺し先端の差込体及び鼻先の構造
US9354399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KR100844548B1 (ko) 주형 어셈블리
JP2017038034A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及びそのブラケットデバイス
JP6511463B2 (ja) ボールねじ機構のデフレクタ及びボールねじ機構
KR101637475B1 (ko) 코어금형용 가이드유닛 어셈블리
FR2979648A1 (fr) Systeme mecaniqu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e piece d'usure et son support, godet d'engin de travaux publics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 tel systeme
KR101243290B1 (ko) 다이캐스팅용 가동금형 유닛
US5359764A (en) Method for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a mold
US7677878B2 (en) Slide having a fixing mechanism of a slide insert
EP2648939B1 (fr) Goulotte de reception d'elements allonges, son procede de montage et ensemble comprenant un support et une telle goulotte
EP2445694B1 (fr) Perfectionnement pour outillage
JPWO2017037893A1 (ja) パーティングロック装置と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金型
JP6636119B1 (ja) 射出装置
JP6279426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治具及びアンダーカット処理方法
EP4063573A1 (en) Fixing system of a wear element in a support element of an earth moving machine through a pin and a retainer
JP2012013047A (ja) 燃料噴射弁の燃料供給口用フィルタ
JP2006178289A (ja) 光ファイバホルダ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加工方法
JP2007098663A (ja) プランジャ式射出装置
KR200149677Y1 (ko) 낚시대용 릴시트
JP2006056115A (ja) ランナーロックピン用固定具
JP2004167747A (ja) スライドコアの斜めスライド機構
JP2007152619A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レンズ鏡筒
JP4676557B1 (ja) コネクタ補修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