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424B1 -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및 그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 - Google Patents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및 그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424B1
KR101637424B1 KR1020140121958A KR20140121958A KR101637424B1 KR 101637424 B1 KR101637424 B1 KR 101637424B1 KR 1020140121958 A KR1020140121958 A KR 1020140121958A KR 20140121958 A KR20140121958 A KR 20140121958A KR 101637424 B1 KR101637424 B1 KR 10163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old
compartment
explosion
echo
lin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788A (ko
Inventor
박주홍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4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선체에 배치함에 있어서 파이프 덕트와 밸러스트 탱크 사이에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배치하되, 카고 홀드와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사이에 방폭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카고 홀드와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하여 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방폭 공간을 파이프 덕트와 연결하여 파이프(Pipe) 및 케이블(Cable)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및 그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ARRANGEMENT STRUCTURE OF COMPARTMENT FOR ECHO-SOUNDER AND SPEED LOG AND LNG CARRIER FOR ARTIC HAV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선체에 배치함에 있어서 파이프 덕트와 밸러스트 탱크 사이에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배치하되, 카고 홀드와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사이에 방폭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카고 홀드와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하여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안으로 가스(LNG)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북극해 해빙이 유실됨에 따라 러시아 부근의 북동항로와 캐나다 부근의 북서항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북극해 지역은 많은 자원이 있으며 새로 부각되는 관광지로서도 알려지고 있어 극지유전의 개발에 따른 수송, 보급 및 관광 목적으로 극지항로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세계 지하자원의 약 25%가 매장되어 있고 기존항로에 비해 시간과 거리가 30% 이상 단축되는 북극해 항로 개발을 위해 북극해 인접국들인 미국, 캐나다, 러시아, 덴마크, 및 노르웨이 등은 관련 연구들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 연구진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북극해 항로의 통행량은 2030년까지 전 세계선박 통행량의 2%에 달하며, 2050년까지 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나,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북극해 항로의 개방시기가 점차 앞당겨질 가능성이 크다.
극지 해역은 일반 해역과는 달리 빙상환경이라는 특수성이 있기에 부품소재 측면의 연구개발과는 별도로 환경위험도(Environmental Risk)를 고려하여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북극해를 운항하는 선박은 일반해역 운항 시보다 잠재적 위험요소가 산재하여 있기 때문에 안전운항이라는 측면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극지 해역의 환경조건은 평균 대기온도가 약 -52℃에 이르고, 극심한 태양 방사선 해역에 떠있는 많은 빙산(Iceberg)으로 인해서 개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극지방을 주로 운항하는 극지용 선박의 선수부는 쇄빙 기능을 갖는다. 쇄빙 기능을 갖는 선수부는, 선박이 일정한 두께의 빙판이 존재하는 구간을 지나갈 때 빙판을 수직 전단력에 의해 쇄빙(碎氷)하도록 계획 만재 흘수선 주위의 선수 단부가 경사져 있다.
한편, 수심측량의 방법에는 음파를 이용하는 방법,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 수중사진을 이용하는 방법 등 세 가지가 주로 사용되는데, 해저 지형도 작성용으로는 음파와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이 쓰이고, 해저 유물 탐사 및 고고학적 연구용으로는 수중 사진을 이용하는 방법이 쓰인다.
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은 선박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수면에서 해저까지의 음파 신호의 왕복 시간을 관측하여 수심을 알아내는 음향 측심(Echo Sound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음향 측심기(또는 수심측정기)에는 단 음파 방식의 Single Beam Echo Sounder와 다중음파 방식의 Multibeam Echo Sounder 등 두 가지가 있는데, 싱글빔 방식은 송수파기(Transducer)에서 단 한 개의 초음파만 발진되어 수심을 측정하므로 선박을 아주 천천히 운항하더라도 결측되는 부분이 자주 발생하여 정밀한 측량이 어려운 반면, 멀티 빔 방식은 송수파기에서 100여 개 이상의 초음파가 동시에 발진되어 해저지형을 스캐닝(Scanning) 하듯이 측정하므로 장비에 따라 수심의 7배 폭에 해당하는 해저 지형을 결측 부분 없이 완벽히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측량용 수심측량기는 약 200K㎐에서 450K㎐ 범위의 고주파 음파가 수중을 통과하여 수심을 측정한다.
측심기는 다음과 같은 설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즉, 주위에 전파를 방해하는 어떤 형태의 돌출 구조물이 없어야 하고, 원활한 작동과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쉘(Shell) 표면과 평평하게 설치되어야 하며, 구획의 구조는 제작, 기기의 설치 및 선박의 운항 중 유지보수(Maintenance)를 위한 충분한 공간과 통행성을 고려하여야 하고, 필요 시 Safety plan을 참고하여 적절한 크기의 W/Tight Manhole을 설치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LNG 운반선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센터 라인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LNG 운반선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LNG 운반선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에서는, 센터 라인(L)을 기준으로 선체의 플랫 버텀(Flat Bottom)(10)의 센터에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Compartment)(20)가 설치되고,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20) 내부에 측심기(30)와 선속 지시기(31)가 설치된다.
극지방을 운항하는 LNG 운반선의 경우 음파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하는 측심기를 장착하는데, 최근 개발되고 있는 극지용 LNG 운반선의 경우 쇄빙(Ice Breaking)에 유리하도록 선수부가 들려 올라가고 날렵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형 때문에 선수구역에 플랫 버텀이 형성되지 않는 선형을 갖게 되므로, 이러한 선형을 갖는 선박에서는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선수구역에 배치하기 어렵다.
도 3은 종래 극지용 LNG 운반선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센터 라인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지용 LNG 운반선의 경우 Ice Breaking에 유리하도록 선수부가 들려 올라가고 날렵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형이 개발되고 있는데, 선수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선수에 아이스 하중(Ice Load)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의 손상(Damage)이 우려되므로 측심기 및 선속 지지기의 적절한 배치가 필요하다.
플랫 버텀에 설치되는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20)의 설치위치가 선수 쪽에서 선미 쪽으로 점차 이동되고, 이에 따라 방폭 구조를 갖지 않는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가 LNG를 저장하고 있는 카고 홀드(40)와 근접하여 설치되므로 폭발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선체에 배치함에 있어서 파이프 덕트와 밸러스트 탱크 사이에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배치하되, 카고 홀드와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사이에 방폭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카고 홀드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하여 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방폭 공간을 파이프 덕트와 연결하여 파이프(Pipe) 및 케이블(Cable)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수구역에 플랫 버텀이 없는 선형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선체의 내부에는 LNG 저장을 위한 카고 홀드가 형성되며, 상기 카고 홀드의 하부 센터에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파이프 덕트가 배치되고, 상기 카고 홀드의 양 측부와 하부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배치되며,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는 상기 파이프 덕트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카고 홀드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사이에 상기 방폭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방폭 공간은 상기 파이프 덕트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내부에는 펌프 룸을 통해서 통행(접근)이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방폭 공간은 상기 밸러스트 탱크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상부에 하나의 룸, 즉 별도의 방폭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카고 홀드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하여 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폭 공간을 파이프 덕트와 연결함으로써 파이프(Pipe) 및 케이블(Cable)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수부가 들려 올라가고 날렵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극지용 선박의 선형에서, 선수에 아이스 하중(Ice Load)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의 손상(Damage)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LNG 운반선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선체의 센터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LNG 운반선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선체의 양현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극지용 LNG 운반선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선체의 센터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선체의 센터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선체의 양현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플랫 버텀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의 설치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선체의 양현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선체의 센터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선체의 양현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극지용 LNG 운반선은 선수구역에 플랫 버텀이 없는 선형, 즉 쇄빙(Ice Breaking)에 유리하도록 선수부가 들려 올라가고 날렵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형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110)의 배치구조에서는, 선체의 내부에 LNG 저장을 위한 카고 홀드(카고 탱크)(40)가 형성된다.
상기 카고 홀드(40)의 하부 센터에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파이프 덕트(120)가 배치되고, 상기 카고 홀드(40)의 양측부와 하부에는 밸러스트 탱크(130)가 배치된다.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110)는 상기 파이프 덕트(120)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13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카고 홀드(40)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110) 사이에는 상기 방폭 공간(121)이 형성된다. 상기 방폭 공간(121)은 상기 파이프 덕트(1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110)의 내부에는 펌프 룸을 통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통행(접근)이 가능하다. 즉,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110)의 일측에 맨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111)은 상기 펌프 룸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극지용 LNG 운반선의 선수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플랫 버텀에 설치되는 측심기의 설치위치가 점차 선체의 후방 쪽으로 이동한다.
즉,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Echo Sounder & Speed Log)가 외판 곡면이 없는 곳으로 이동함에 따라, 카고 홀드(40)에 인접하여 위험 지역(Hazardous area)으로 배치되게 되는데, 이는 카고 홀드(40)의 가스가 인접한 구역(Area)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30,31)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위험 구역(Hazardous area)에는 폭발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고안된 방폭 장비가 설치되어야 하지만 측심기(30) 및 선속 지시기(31)는 이에 맞는 방폭 장비가 없기 때문에 위험구역이 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110)의 배치구조에서는,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110)의 상부에 하나의 룸, 즉 별도의 방폭 공간(121)을 형성함으로써, 카고 홀드(40)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110)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함으로써 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방폭 공간(121)은 카고 홀드(40)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110)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하여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안으로 가스(LNG)의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방폭 공간(121)을 파이프 덕트(120)와 연결함으로써 파이프(Pipe) 및 케이블(Cable)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선체의 양현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210)의 배치구조에서는, 선체의 내부에 LNG 저장을 위한 카고 홀드(40)가 형성된다.
상기 카고 홀드(40)의 하부 센터에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파이프 덕트(220)가 배치되고, 상기 카고 홀드(40)의 양측부와 하부에는 밸러스트 탱크(230)가 배치된다.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210)는 상기 파이프 덕트(220)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23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카고 홀드(40)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210) 사이에는 상기 방폭 공간(231)이 형성된다. 상기 방폭 공간(231)은 상기 밸러스트 탱크(2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210)의 배치구조에서는,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210)의 상부에 하나의 룸, 즉 별도의 방폭 공간(231)을 형성함으로써, 카고 홀드(40)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210)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함으로써 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방폭 공간(231)에는 밸러스팅시 잔수가 남을 수 있으므로 방폭 공간(231)의 바닥면에 경사면(231a)을 형성하여 물이 흘러내려 잔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231a)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잔수 방지를 위해서 잔수제거 펌프(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상부에 하나의 룸, 즉 별도의 방폭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카고 홀드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하여 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폭 공간을 파이프 덕트와 연결함으로써 파이프(Pipe) 및 케이블(Cable)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수부가 들려 올라가고 날렵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극지용 선박의 선형에서, 선수에 아이스 하중(Ice Load)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의 손상(Damage)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30,31: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40: 카고 홀드
110: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111: 맨홀
120: 파이프 덕트
121: 방폭 공간
130: 밸러스트 탱크
210: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220: 파이프 덕트
230: 밸러스트 탱크
231: 방폭 공간
231a: 경사면

Claims (7)

  1. 극지용 LNG 운반선 선수구역에 플랫 버텀이 없고 선수부가 상방으로 들려 올려진 선형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선체의 내부에는 LNG 저장을 위한 카고 홀드가 형성되며, 상기 카고 홀드의 하부 센터에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파이프 덕트가 배치되고, 상기 카고 홀드의 양측부와 하부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배치되며,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는 상기 파이프 덕트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카고 홀드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사이에 방폭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방폭 공간은 상기 카고 홀드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하여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안으로 가스(LNG)의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방폭 공간은 상기 파이프 덕트와 연결되어 파이프와 케이블의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내부로 펌프 룸을 통해서 통행 가능하도록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일측에 맨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극지용 LNG 운반선 선수구역에 플랫 버텀이 없고 선수부가 상방으로 들려 올려진 선형에서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선체의 내부에는 LNG 저장을 위한 카고 홀드가 형성되며, 상기 카고 홀드의 하부 센터에는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파이프 덕트가 배치되고, 상기 카고 홀드의 양측부와 하부에는 밸러스트 탱크가 배치되며,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는 상기 파이프 덕트와 상기 밸러스트 탱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카고 홀드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사이에 방폭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방폭 공간은 상기 카고 홀드와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를 분리하고 이중 격벽의 역할을 하여 상기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 안으로 가스(LNG)의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밸러스트 탱크와 연결되어 밸러스트 수 저장공간으로 활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폭 공간의 바닥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잔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5에 기재된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
KR1020140121958A 2014-09-15 2014-09-15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및 그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 KR10163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958A KR101637424B1 (ko) 2014-09-15 2014-09-15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및 그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958A KR101637424B1 (ko) 2014-09-15 2014-09-15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및 그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88A KR20160031788A (ko) 2016-03-23
KR101637424B1 true KR101637424B1 (ko) 2016-07-20

Family

ID=5564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958A KR101637424B1 (ko) 2014-09-15 2014-09-15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및 그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422A (ko) 2021-12-01 2023-06-08 한화오션 주식회사 셔틀탱커의 측심기와 선속지시기의 배치구조 및 동 배치구조를 포함하는 셔틀탱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0107A (zh) * 2017-05-27 2017-09-08 广船国际有限公司 极地甲板运输船
CN113247175A (zh) * 2021-06-08 2021-08-13 上海外高桥造船海洋工程有限公司 预制隔舱及包含其的船舶上层建筑及其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221Y1 (ko) * 1984-07-10 1990-03-15 히다찌 소오센 가부시기가이샤 선체구조
KR0130122Y1 (ko) * 1996-03-15 1998-12-15 최임용 디젤기관의 연료분사 펌프용 델리버리 밸브
JPH11115887A (ja) * 1997-10-17 1999-04-27 Sumitomo Heavy Ind Ltd 原油タンカーにおける貨油タンクおよび、バラストタンクへの不活性ガス供給方法
KR20130042891A (ko) * 2011-10-19 2013-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속도 및 수심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422A (ko) 2021-12-01 2023-06-08 한화오션 주식회사 셔틀탱커의 측심기와 선속지시기의 배치구조 및 동 배치구조를 포함하는 셔틀탱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88A (ko)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7317B2 (en) Subsea collection and containment system for hydrocarbon emissions
US8711009B2 (en) Ice data collection system
CA2852250C (en) Ice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system
KR100958870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Doble et al. Through-ice AUV deployment: Operational and technical experience from two seasons of Arctic fieldwork
KR101637424B1 (ko) 극지용 lng 운반선의 측심기 및 선속 지시기 장착용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 및 그 컴파트먼트의 배치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lng 운반선
McPhail et al. Exploring beneath the PIG Ice Shelf with the Autosub3 AUV
EP3448748A1 (en) Unmanned surface vessel for 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 operations
US20230313910A1 (en) A Method of Laying a Pipeline on a Seafloor, Monitoring Surrounding Zones of the Installed Pipeline for Approaching Vessels and Warning Vessels Considered to be Able to Cause Harm to the Pipeline
WO2021235941A1 (en) Shuttle loading system
JP2014156176A (ja) 水中エレベータ
US20150134158A1 (en) Ice alert system and method of evacuating an arctic floating platform from a hazardous ice condition
KR101798497B1 (ko) 수중 탐사체 및 수상 부력체를 이용한 해저 모니터링 시스템
RU2538739C1 (ru)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к плавающему судну
RU2603340C1 (ru)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тформа
JP2011073484A (ja) 船舶
KR101714670B1 (ko) 극지용 선박의 선수부 선체구조 및 그 선수부 선체구조를 갖는 극지용 선박
RU2267439C1 (ru) Судно ледового плавания
RU158156U1 (ru)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тформа
RU2534292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ледостойкой платформы
RU2479459C1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перемещения и монтажа объектов обустройства морски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углеводородов в подводно-подледном положении
Yamamura Observation of gas plume at long and short distances by Weighing fish finde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Srinivasan et al. Circular FPSO for Arctic Deepwater
NO20101273A1 (no) Anordning ved en flytebro.
Kirkwood et al. Comparison of MBARI autonomous underwater mapping results for ORION Monterey Accelerated Research System (MARS) and Neptune Can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