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990B1 -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 Google Patents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990B1
KR101636990B1 KR1020150032129A KR20150032129A KR101636990B1 KR 101636990 B1 KR101636990 B1 KR 101636990B1 KR 1020150032129 A KR1020150032129 A KR 1020150032129A KR 20150032129 A KR20150032129 A KR 20150032129A KR 101636990 B1 KR101636990 B1 KR 101636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vascular
hook
engaging
hoo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기봉
윤창호
김민우
윤장규
변강일
김성호
신영식
손대구
김아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15003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61B2017/0488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관 문합 장치로서, 절단된 혈관 중 하나의 혈관 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1 혈관 문합기; 및 상기 절단된 혈관의 다른 단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1 혈관 문합기와 체결 결합되는 제2 혈관 문합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혈관 문합기 및 제2 혈관 문합기는,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될 수 있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에 따르면, 절단된 혈관의 단부를 연결하여 문합하기 위한 혈관 문합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절단된 혈관의 각 단부에 연결하는 한 쌍의 혈관 문합기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봉합사의 사용 없이 혈관을 연결하는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혈관 문합기의 제작 및 사용의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구조의 한 쌍의 혈관 문합기의 튜브 본체에 혈관을 고정하기 위한 8개의 혈관 고정 후크를 구성함으로써, 혈관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혈관 손상(찢어짐 등) 및 혈관 손실(문합 후 제거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의 한 쌍의 혈관 문합기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부와 한 쌍의 걸림 체결부의 암수 높이를 달리 구성함으로써, 서로 대응하는 문합 결합구조의 결합이 편리하도록 하는 한편, 4개의 문합기 결합구조로 문합기의 결합 후 쉽게 풀리지 않는 결합 구조의 제공과 함께 문합기의 강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A VASCULAR ANASTOMOSIS DEVICE HAVING A HOOK STRUCTURE}
본 발명은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 쌍의 혈관 문합기를 사용하여 절단된 혈관의 단부를 연결하여 문합함으로써, 봉합사의 사용 없이 혈관을 연결하는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8개의 혈관 고정 후크를 이용한 혈관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격하게 도시화가 진행되고, 사람들의 운동 부족, 식습관의 서구화 등이 만연해짐에 따라 인체의 혈관이 좁아지거나 상당 부분 막히는 이른바, 혈관 폐쇄 질환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의 대부분은 심장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증(ischemia)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심근 경색, 협심증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 혈관, 또는 거의 폐쇄된 혈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종종 수술 치료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관 폐쇄가 진행된 부위를 잘라낸 다음, 잘라진 혈관을 문합하는 시술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혈관 폐쇄 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판이전술에 의한 재건 수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 수술 시에도 혈관 문합 수술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혈관 문합은 외상이나 종양 절제 후 발생한 조직 결손을 재건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술로 현재는 대부분 봉합사로 꿰매도록 하고 있다. 봉합사를 이용하여 한 개의 혈관을 문합하는 시간은 최소 30분에서 1시간 정도 걸리게 되므로 수술이 매우 어렵고 수술시간이 길어질수록 수술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수술시간이 너무 길어질 경우에는 합병증 발생의 위험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봉합사를 이용해 문합할 경우 바늘이 혈관 내벽을 통과할 때 혈관 내벽에 손상을 주어 혈전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봉합사를 이용한 혈관 문합은 숙련된 전문의에 의해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8640호는 혈관 문합장치를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절단된 혈관의 단부를 연결하여 문합하기 위한 혈관 문합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절단된 혈관의 각 단부에 연결하는 한 쌍의 혈관 문합기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봉합사의 사용 없이 혈관을 연결하는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혈관 문합기의 제작 및 사용의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의 한 쌍의 혈관 문합기의 튜브 본체에 혈관을 고정하기 위한 8개의 혈관 고정 후크를 구성함으로써, 혈관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혈관 손상(찢어짐 등) 및 혈관 손실(문합 후 제거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의 한 쌍의 혈관 문합기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부와 한 쌍의 걸림 체결부의 암수 높이를 달리 구성함으로써, 서로 대응하는 문합 결합구조의 결합이 편리하도록 하는 한편, 4개의 문합기 결합구조로 문합기의 결합 후 쉽게 풀리지 않는 결합 구조의 제공과 함께 문합기의 강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는,
혈관 문합 장치로서,
절단된 혈관 중 하나의 혈관 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1 혈관 문합기; 및
상기 절단된 혈관의 다른 단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1 혈관 문합기와 체결 결합되는 제2 혈관 문합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혈관 문합기 및 제2 혈관 문합기는,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될 수 있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혈관 문합기 및 제2 혈관 문합기 각각은,
상기 혈관을 둘러싸도록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상기 혈관을 고정하기 위한 튜브 본체; 및
상기 튜브 본체의 일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튜브 본체의 외주면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 본체는,
상기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가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4개의 문합기 결합부의 사이사이에 혈관 고정 후크가 형성되는 배치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관 고정 후크는,
상기 4개의 문합기 결합부의 사이에 2개의 혈관 고정 후크가 배치되는 총 8개의 혈관 고정 후크로 구성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 본체는,
원통 형상의 내경으로 들어온 절단된 혈관을 뒤집어씌운 후 상기 8개의 혈관 고정 후크에 상기 혈관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혈관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는,
상기 튜브 본체의 외주면 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대칭하여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부; 및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부가 배치된 나머지 상하 또는 좌우로 대칭하여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합기 결합부는,
상기 걸림 돌기부의 끝단 외측으로 돌출 결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 체결부에는 돌출 결합부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 홈이 개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합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혈관 문합기의 체결 결합 시, 결합이 편리하도록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는 상기 걸림 돌기부 및 걸림 체결부의 암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문합 결합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에 따르면, 절단된 혈관의 단부를 연결하여 문합하기 위한 혈관 문합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절단된 혈관의 각 단부에 연결하는 한 쌍의 혈관 문합기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봉합사의 사용 없이 혈관을 연결하는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혈관 문합기의 제작 및 사용의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구조의 한 쌍의 혈관 문합기의 튜브 본체에 혈관을 고정하기 위한 8개의 혈관 고정 후크를 구성함으로써, 혈관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혈관 손상(찢어짐 등) 및 혈관 손실(문합 후 제거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의 한 쌍의 혈관 문합기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부와 한 쌍의 걸림 체결부의 암수 높이를 달리 구성함으로써, 서로 대응하는 문합 결합구조의 결합이 편리하도록 하는 한편, 4개의 문합기 결합구조로 문합기의 결합 후 쉽게 풀리지 않는 결합 구조의 제공과 함께 문합기의 강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후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에 혈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에 혈관을 뒤집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문합기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혈관 고정 구조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후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측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는, 제1 혈관 문합기(100), 및 제2 혈관 문합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는 절단된 혈관(10)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절단된 혈관(10) 중 하나의 혈관(10) 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절단된 혈관(10)의 다른 단부에 체결 고정되며,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체결 결합되는 제2 혈관 문합기(100’)를 포함하되, 제1 혈관 문합기(100) 및 제2 혈관 문합기(100’) 각각은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될 수 있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혈관 문합 장치는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제2 혈관 문합기(100’)가 한 쌍의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도록 설계되어 제작됨으로써, 절단된 혈관(10)의 좌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제2 혈관 문합기(100’) 각각은, 튜브 본체(110), 및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튜브 본체(110)는, 혈관(10)을 둘러싸도록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혈관(1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튜브 본체(110)는 후술하게 될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120)가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4개의 문합기 결합부(120)의 사이사이에 혈관 고정 후크(111)가 형성되는 배치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혈관 고정 후크(111)는 4개의 문합기 결합부(120)의 사이에 2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가 배치되는 총 8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로 구성됨으로써, 혈관(10)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튜브 본체(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내경으로 들어온 절단된 혈관(10)을 뒤집어씌운 후 8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에 혈관(10)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혈관(10)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120)는, 튜브 본체(110)의 일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튜브 본체(110)의 외주면 위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120)는 튜브 본체(110)의 외주면 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대칭하여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부(121)와, 한 쌍의 걸림 돌기부(121)가 배치된 나머지 상하 또는 좌우로 대칭하여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 체결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문합기 결합부(120)는 걸림 돌기부(121)의 끝단 외측으로 돌출 결합부(12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 체결부(123)에는 돌출 결합부(122)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 홈(124)이 개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문합기 결합부(120)는 제1 및 제2 혈관 문합기(100, 100’)의 체결 결합 시, 결합이 편리하도록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는 걸림 돌기부(121) 및 걸림 체결부(123)의 암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문합 결합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에 혈관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에 혈관을 뒤집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문합기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동일한 구조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혈관 문합 장치의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제2 혈관 문합기(100’)가 절단된 혈관(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제2 혈관 문합기(100’) 각각에 절단된 혈관(10)의 양단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제2 혈관 문합기(100’)에 삽입된 혈관(10)을 뒤집어씌운 후 8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에 혈관(10)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뒤집어 씌워 고정한 혈관(10)은 8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에 고정되어 혈관(10)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혈관(10)을 뒤집어씌운 상태로 고정된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제2 혈관 문합기(100’)에 형성된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120)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제1 혈관 문합기(100)의 한 쌍의 걸림 돌기부(121)에 형성된 돌출 결합부(122)와 제2 혈관 문합기(100’)의 한 쌍의 걸림 체결부(123)에 형성된 결합 홈(124)이 결합되고, 제1 혈관 문합기(100)의 한 쌍의 걸림 체결부(123)에 형성된 결합 홈(124)과 제2 혈관 문합기(100’)의 한 쌍의 걸림 돌기부(121)에 형성된 돌출 결합부(122)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호 대응하여 체결되는 걸림 돌기부(121) 및 걸림 체결부(123)는 암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문합 결합구조로 구성되어 결합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혈관(10) 고정 및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제2 혈관 문합기(100’)의 결합 과정을 통해 절단된 혈관(10)의 문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의 혈관 고정 구조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혈관(10)은 튜브 본체(110)의 원통 형상의 내경을 통해 삽입되고, 이어 혈관(10)을 뒤집어씌워 8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혈관(10)의 고정이 이루어진 혈관 고정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다. 즉, 혈관(10)은 8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를 통해 혈관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 혈관 문합기 100’: 제2 혈관 문합기
110: 튜브 본체 111: 혈관 고정 후크
120: 문합기 결합부 121: 걸림 돌기부
122: 돌출 결합부 123: 걸림 체결부
124: 결합 홈

Claims (8)

  1. 혈관 문합 장치로서,
    절단된 혈관(10) 중 하나의 혈관(10) 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1 혈관 문합기(100); 및
    상기 절단된 혈관(10)의 다른 단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1 혈관 문합기(100)와 체결 결합되는 제2 혈관 문합기(1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혈관 문합기(100) 및 제2 혈관 문합기(100’)는,
    서로 대응하여 체결 결합될 수 있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제1 혈관 문합기(100) 및 제2 혈관 문합기(100’) 각각은,
    상기 혈관(10)을 둘러싸도록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상기 혈관(10)을 고정하기 위한 튜브 본체(110); 및
    상기 튜브 본체(110)의 일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튜브 본체(110)의 외주면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120)는,
    상기 튜브 본체(110)의 외주면 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대칭하여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부(121); 및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부(121)가 배치된 나머지 상하 또는 좌우로 대칭하여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 체결부(12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110)는,
    상기 복수의 문합기 결합부(120)가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4개의 문합기 결합부(120)의 사이사이에 혈관 고정 후크(111)가 형성되는 배치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고정 후크(111)는,
    상기 4개의 문합기 결합부(120)의 사이에 2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가 배치되는 총 8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본체(110)는,
    원통 형상의 내경으로 들어온 절단된 혈관(10)을 뒤집어씌운 후 상기 8개의 혈관 고정 후크(111)에 상기 혈관(10)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혈관(10)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기 결합부(120)는,
    상기 걸림 돌기부(121)의 끝단 외측으로 돌출 결합부(12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 체결부(123)에는 돌출 결합부(122)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 홈(124)이 개구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기 결합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 혈관 문합기(100, 100’)의 체결 결합 시, 결합이 편리하도록 대응하여 체결 결합되는 상기 걸림 돌기부(121) 및 걸림 체결부(123)의 암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문합 결합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KR1020150032129A 2015-03-08 2015-03-08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KR101636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129A KR101636990B1 (ko) 2015-03-08 2015-03-08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129A KR101636990B1 (ko) 2015-03-08 2015-03-08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990B1 true KR101636990B1 (ko) 2016-07-07

Family

ID=5650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129A KR101636990B1 (ko) 2015-03-08 2015-03-08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9238A (zh) * 2021-12-02 2022-03-04 启东市第三人民医院 一种静脉血管穿刺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6397A1 (en) * 2008-08-06 2010-02-11 Wei-Chang Kang Vascular graft connector
KR101145404B1 (ko) * 2011-12-12 2012-05-15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문합 장치
KR101235096B1 (ko) * 2012-11-26 2013-02-20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문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6397A1 (en) * 2008-08-06 2010-02-11 Wei-Chang Kang Vascular graft connector
KR101145404B1 (ko) * 2011-12-12 2012-05-15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문합 장치
KR101235096B1 (ko) * 2012-11-26 2013-02-20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혈관 문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9238A (zh) * 2021-12-02 2022-03-04 启东市第三人民医院 一种静脉血管穿刺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86489A1 (en) Anastomosis device
US44741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stomosing small blood vessels
US11259809B2 (en) Blood vessel connectors and methods for blood vessel connection
US8216259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joining non-conjoined lumens
US8439935B2 (en) Process and a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of rectal and haemorrhoidal prolapse
US10314591B2 (en) Medical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of use for arteriovenous fistula creation
Gonzalez-Rivas et al. Technical aspects of uniportal video-assisted thoracoscopic double sleeve bronchovascular resections
BRPI0404196B1 (pt) Dispositivo de anastomose de um anel de anastomose
KR101065142B1 (ko) 관 모양의 혈관 문합장치
KR101636990B1 (ko) 후크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WO2002096298A1 (en) Vascular anastomosis device
KR101747126B1 (ko) 혈관 클램프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CN113648011A (zh) 可生物降解的血管快速吻合装置
US20100191263A1 (en) Prosthesis for laparoscopic anastomosis
KR101675314B1 (ko) 이중링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KR101618236B1 (ko) 혈관 봉합 보조 기구
RU2432126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анкреатоеюноанастомоза при проксимальной резекции поджелудочной железы
KR20020094075A (ko) 혈관 문합 장치
KR20140144000A (ko) 관상기관의 문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상기관의 문합 방법
KR20190054836A (ko) 미세 혈관 문합기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관 문합 방법
WO2020078264A1 (zh) 一种小管腔吻合器及其使用方法
KR101504540B1 (ko) 혈관 문합장치
CN105559837A (zh) 胰肠外引流硅胶3胰肠支架
KR20160150615A (ko) 스텐트 구조물을 구비한 혈관 문합기
RU2155000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анкреатокишечного анастомо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