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381B1 -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381B1
KR101636381B1 KR1020140083922A KR20140083922A KR101636381B1 KR 101636381 B1 KR101636381 B1 KR 101636381B1 KR 1020140083922 A KR1020140083922 A KR 1020140083922A KR 20140083922 A KR20140083922 A KR 20140083922A KR 101636381 B1 KR101636381 B1 KR 10163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ing
tensions
acupressur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841A (ko
Inventor
유은경
서미정
Original Assignee
유은경
서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경, 서미정 filed Critical 유은경
Priority to KR102014008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3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381B1/ko

Links

Images

Abstract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어 토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정착블록과; 일단부가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토체에 매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정착블록이 상기 토체를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되는 제1 긴장재와;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토체에 배치되는 지압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양단부가 각각 정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을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되는 제2 긴장재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Structure of precast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의 전면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각각에 대하여 앵커공의 천공, 앵커 설치 및 긴장력의 도입을 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배면의 토압에 저항하여 배면의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벽체 구조물을 말한다. 옹벽은 일반적으로 그 구조 및 형태에 따라 크게 중력식 옹벽, 반중력식 옹벽, 역T형 옹벽, L형 옹벽, 부벽식 옹벽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외에 특수한 형식으로 보강토 옹벽이 알려져 있다.
보강토 옹벽은 보강재를 흙 속에 포설하거나 삽입하여 지반을 보강하여 흙과 보강재의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절토 또는 성토 사면 토체 전체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높이는 공법이다.
보강토 옹벽은 전면판의 형상에 따라 패널식 옹벽, 블록식 옹벽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패널식 옹벽은 토체 내부에 어스 앵커를 고정하고 어스 앵커의 단부에 전면판을 결합한 후 어스 앵커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전면판이 토체에 압력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원지반의 강도를 증진하여 수평토압에 저항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식 옹벽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식 옹벽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사면의 전방에 기초콘크리트를 형성하고, 천공기계를 이용하여 사면(G)을 따라 앵커를 시공하기 위한 앵커공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한다. 다음에, 각 앵커공에 앵커(21)를 삽입한 후 그라우팅을 시행하여 앵커(21)를 고정한다. 다음에, 기초콘크리트를 따라 프리캐스트 옹벽패널(10)을 서로 밀착시키면서 차례를 세운다. 이 때 각 앵커(21)에 대해서 앵커의 선단부가 프리캐스트 옹벽패널(10)의 앵커공을 관통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옹벽패널(10)을 차례로 세우게 된다. 다음에 프리캐스트 옹벽패널(10)과 사면 사이에 반건식의 뒷채움을 한다. 다음에, 각 프리캐스트 옹벽패널(10)에 대하여, 프리캐스트 옹벽패널(10)에서 돌출된 앵커(21)에 긴장력을 가하고 앵커(21)를 프리캐스트 옹벽 패널(10)에 정착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옹벽패널(10)이 사면(G)을 압축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식 옹벽의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개수에 상응하는 수만큼 사면에 앵커공을 형성하여야 하고,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설치 이후 각 앵커에 대해서도 긴장력을 도입해야 한다. 이러한 패널식 옹벽의 시공방법에 있어, 앵커공의 형성, 앵커의 설치 및 긴장력의 도입은 많은 시공 시간과 시공 비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5092호(2012.01.17 공고)
본 발명은, 옹벽의 전면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각각에 대하여 앵커공의 천공, 앵커 설치 및 긴장력의 도입을 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옹벽을 구축함으로써 시공 시간 및 시공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어 토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정착블록과; 일단부가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토체에 매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정착블록이 상기 토체를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되는 제1 긴장재와;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토체에 배치되는 지압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양단부가 각각 정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을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되는 제2 긴장재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제2 긴장재가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지압블록이 상기 긴장재의 측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압블록은, 지압블록 몸체와; 상기 지압블록 몸체를 관통하며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봉 상의 지지바 몸체와; 상기 지지바 몸체의 단부에 상기 지지바 몸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머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블록 몸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의 상기 암나사부에 대한 나사결합에 따라 상기 지지바의 관통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블록 몸체에는 상기 지지바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지지바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압블록 몸체에 결합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착블록의 양측에 상기 지압블록이 배치되며, 상기 제2 긴장재는 상기 정착블록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지압블록을 각각 가압하도록 양측으로 배치되어 긴장력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긴장재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는, 일단이 상기 정착블록에 결합되며 지반으로 매입되는 지지말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압블록은 복수 개로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압블록은,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의 중앙에서 상기 정착블록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지압블록의 각각에는 상기 제2 긴장재가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제2 긴장재가 삽입되는 고정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토체를 천공하여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천공부 각각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제1 긴장재를 삽입하고, 상기 천공부를 그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긴장재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긴장재의 일단부를 정착블록에 관통시키면서 상기 토체의 전면에 대향하여 한 쌍의 상기 정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상기 토체의 전면에 대향하여 지압블록을 배치하는 단계와; 제2 긴장재의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긴장재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각각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긴장재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정착블록이 상기 토체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제1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2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제2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정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토체의 전방 지반에 지지말뚝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말뚝에 상기 정착블록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체의 전방에 기초 배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블록과 상기 지압블록이 상기 기초 배드에 지지되도록 상기 정착블록과 상기 지압블록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정착블록 및 상기 지압블록의 배면과 상기 토체의 전면 사이에 토사를 뒷채움 하고 다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압블록은, 지압블록 몸체와; 상기 지압블록 몸체를 관통하며 높이가 조절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긴장재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각각 설치하는 단계의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은 상기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압블록은 복수 개로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는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의 중앙에서 상기 정착블록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지지바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긴장재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압블록은 복수 개로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압블록의 각각에는 상기 제2 긴장재가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제2 긴장재가 삽입되는 고정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긴장재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각각 설치하는 단계의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은 상기 고정 채널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면판을 구비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 방법은, 옹벽의 전면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블록 각각에 대해서 앵커공의 천공, 앵커 설치 및 긴장력의 도입을 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옹벽을 구축함으로써 시공 시간 및 시공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식 옹벽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정착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지압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지압블록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지압블록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지지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지압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의 순서도.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정착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지압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지압블록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지압블록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지지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에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 토체(11), 정착블록(12), 제1 긴장재(14), 그라우팅(15), 지압블록(16), 제2 긴장재(18), 정착블록 몸체(20), 제1 정착홀(21), 정착구(22), 제2 정착홀(23), 지압블록 몸체(24), 지지바 몸체(25), 지지바(26), 지지머리(27), 삽입홀(28), 돌출핀(29), 수나사(30), 지지홈(31), 암나사부(32), 관통홀(34), 고정 너트(36), 고정 채널(38)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는, 서로 이격되어 토체(11)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정착블록(12)과; 일단부가 상기 정착블록(12)에 정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토체(11)에 매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정착블록(12)이 상기 토체(11)를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되는 제1 긴장재(14)와;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12)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토체(11)에 배치되는 지압블록(16)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12)에 양단부가 각각 정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16)을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되는 제2 긴장재(18)를 포함한다.
정착블록(12)과 지압블록(16)은, 토체(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옹벽의 전면벽체를 구성한다. 옹벽의 전면벽체는 토체(11)의 전면에 배치되어 토체(11)의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한다.
토체(11)는, 토사를 성토하여 형성되는 성토 사면이나 토사를 절토하여 형성되는 절토사면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전면에 옹벽이 설치되어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체를 의미한다.
정착블록(12)은, 서로 이격되어 토체(1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할 제2 긴장재(18)의 긴장력의 도입에 따라 토체(11)를 압축하게 된다. 정착블록(12)은 패널 형태로 제작되거나 블록 형태로 제작되어 제1 긴장재(14)의 긴장력의 도입에 따라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형태로 제작되어 패널의 표면이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제1 긴장재(14)는, 일단부가 정착블록(12)에 정착되고 타단부가 토체(11)에 매입되어 고정되며, 정착블록(12)이 토체(11)를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된다.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는 정착블록(12)에 정착되고 타단부는 토체(11)의 내부에 매입되고 고정되어 긴장력의 도입에 따라 정착블록(12)이 토체(11)를 압축하게 된다.
제1 긴장재(14)의 설치과정은, 먼저 정착블록(12)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토체(11)를 천공하여 천공부를 형성한다. 천공부의 각도는 옹벽의 전면벽체의 설치각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공부는 전면 벽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천공될 수 있다. 토체(11)에 천공부가 형성되면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제1 긴장재(14)를 천공부에 삽입되고, 천공부에 시멘트 모르타르 등을 주입하여 그라우팅(15)을 수행한다. 그라우팅(15)이 양생되면 제1 긴장재(14)의 타단부가 토체(11)에 확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가 정착블록(12)을 관통하도록 토체(11)의 전면에 정착블록(12)을 설치한 후, 제1 긴장재(14)에 인장력을 가하여 긴장력을 도입하고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를 정착블록(12)에 정착함으로써 제1 긴장재(14)의 압축력에 의해 정착블록(12)이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제1 긴장재(14)로서 봉 상의 앵커 볼트, PC 강봉(prestressing steel bar), PC 강선(prestressing steel wir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정착블록(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을 이루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은 제1 긴장재(14)에 의해 토체(11)의 전면에 설치된다. 한 쌍의 정착블록(12)의 이격 거리는 그 사이에 설치될 지압블록(16)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압블록(16)은,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개재되어 토체(11)에 설치된다. 지압블록(16)은 토체(11)에 제1 긴장재(14)에 의해 설치되는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토체(11)에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 지압블록(16)은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압블록(16)이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개재된 형태를 제시하며, 이러한 지압블록(16)은 후술할 제2 긴장재(18)의 긴장력의 도입에 따라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지압블록(16)은 정착블록(12)과 마찬가지로 패널 형태로 제작되거나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형태로 제작되어 패널의 표면이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구성하였다.
제2 긴장재(18)는, 한 쌍의 정착블록(12)에 양단부가 각각 정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측단이 지압블록(16)을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된다. 제2 긴장재(18)는, 정착블록(12)의 제1 긴장재(14)와 달리, 긴장력이 도입된 후 양단부가 한 쌍의 정착블록(12)에 각각 정착된다. 제2 긴장재(18)에 대한 긴장력의 도입에 따라 제2 긴장재(18)의 측단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지압블록(16)의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압블록(16)이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종래에는 옹벽의 전면벽체를 구성하는 각 프리캐스트 패널에 대하여 지중 방향으로 앵커를 설치하여 각각의 프리캐스트 패널이 토체(11)를 가압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정착블록(12)에 대해서는 지중방향으로 긴장력을 도입하여 토체(11)를 가압하도록 하고, 정착블록(12) 사이의 지압블록(16)에 대해서는 두 개의 정착블록(12)에 양단이 정착되는 제2 긴장재(18)에 의해 토체(11)를 가압하도록 구성하여, 지중 방향으로의 천공, 제1 긴장재(14)의 설치, 긴장력의 도입을 최소화하여 시공 비용 및 시공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긴장재(18)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과정은, 먼저, 제1 긴장재(14)의 긴장력 도입하여 토체(11)에 설치된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지압블록(16)을 설치한다. 다음에, 제2 긴장재(18)의 측단이 지압블록(16)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제2 긴장재(18)의 양단부를 한 쌍의 정착블록(12)의 정착구(22)에 각각 설치한다. 다음에, 제2 긴장재(18)의 일단부는 한 쌍의 정착블록(12) 중 하나의 정착구(22)에 고정하고, 타단부를 당겨 제2 긴장재(18)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제2 긴장재(18)의 타단부를 나머지 정착블록(12)의 정착구(22)에 정착한다. 제2 긴장재(18)에 대한 긴장력의 도입에 따라 제2 긴장재(18)의 측단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지압블록(16)의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압블록(16)이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제2 긴장재(18)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은, 제2 긴장재(18)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인장력의 지중방향으로 수직분력이 지압블록(16)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제2 긴장재(18)의 긴장력의 도입으로 지압블록(16)을 가압하기 위한 수직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제2 긴장재(18)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토체(11)의 전면에 대한 높이를 달리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2 긴장재(18)의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제2 긴장재(18)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지압블록(16)이 긴장재의 측단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긴장재(18)의 중앙이 제2 긴장재(18)의 단부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압블록(16)이 제2 긴장재(18)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하나의 지압블록(16)이 배치되는 경우도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정착블록(12) 사이에 하나의 제2 긴장재(18)를 배치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긴장재의 두께, 지압블록(16)에 대한 가압력 등을 고려하여 다수의 제2 긴장재(18)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2 참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를 이용한 옹벽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를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의 정착블록(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블록(12)은, 패널 형상의 정착블록 몸체(20)와, 정착블록 몸체(20)에 결합되어 제1 긴장재(14) 및 제2 긴장재(18)가 정착되는 정착구(22)를 구비할 수 있다.
정착블록 몸체(20) 및 정착구(22)에는 정착블록 몸체(20)의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제1 긴장재(14)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정착홀(21)이 형성되고, 정착구(22)에는 제1 정착홀(21)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2 긴장재(18)가 관통할 수 있는 제2 정착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착홀(21)을 통하여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가 관통된 상태에서 긴장력을 도입한 후 제1 긴장재(14)가 정착블록(12)에 정착되며, 제2 정착홀(23)을 통하여 제2 긴장재(18)의 단부가 관통한 상태에서 긴장력을 도입한 후 제2 긴장재(18)가 정착블록(12)에 정착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의 지압블록(16)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의 지압블록(16)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압블록(16)은, 지압블록 몸체(24)와, 지압블록 몸체(24)를 관통하며 제2 긴장재(18)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바(26)를 구비할 수 있다.
지압블록 몸체(24)는 패널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지지바(26)는 지압블록 몸체(24)의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단부가 제2 긴장재(18)의 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지압블록 몸체(24)의 일면은 토체(11)의 전면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지압블록 몸체(24)의 타면에서 돌출된 지지바(26)의 단부는 제2 긴장재(18)의 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지압블록 몸체(24)의 타면에서 돌출된 지지바(26)의 관통 높이는 제2 긴장재(18)의 인장력의 수직분력의 크기를 결정하게 되며, 관통 높이에 따른 수직분력은 지지바(26)를 통해 지압블록(16)에 전달되고 이를 통해 지압블록(16)은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게 된다.
정착블록(12) 사이에 복수의 지압블록(16)이 개재되는 경우,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의 중앙부에서 양측의 정착블록(12)을 향하여 지지바(26)의 관통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지압블록 몸체(24)에 대한 지지바(26)의 관통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바(26)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0)가 형성될 수 있고, 지압블록 몸체(24)에는 지지바(26)의 나사결합을 위한 암나사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압블록 몸체(24)의 암나사부(32)에 대한 지지바(26)의 나사결합에 따라 지지바(26)의 관통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압블록 몸체(24)의 암나사부(32)는 지압블록 몸체(24)를 관통하여 직접 형성되거나, 암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지압블록 몸체(24)에 매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너트를 지압블록 몸체(24)에 매입하여 암나사부(32)를 형성한 형태를 제시한다.
지지바(26)가 제2 긴장재(18)를 용이하게 지지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바(26)의 단부에 제2 긴장재(18)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2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긴장재(18) 설치 시 지지바(26)의 삽입홀(28)에 제2 긴장재(18)를 삽입하여 설치과정이나 긴장력 도입과정에서 제2 긴장재(18)가 지지바(26)지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의 지압블록(16)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변형례에 따른 지압블록(16)은, 지압블록 몸체(24)에 대한 지지바(26)의 관통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압블록 몸체(24)에는 지지바(26)가 관통하는 관통홀(34)이 형성되며, 관통홀(34)을 관통한 지지바(26)가 나사결합 됨에 따라 지지바(26)를 지압블록 몸체(24)에 결합하기 위하여 고정 너트(36)를 구비한다. 즉, 지지바(26)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0)가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30)가 형성된 지지바(26)를 지압블록 몸체(24)의 관통홀(34)을 통하여 관통시킨 상태에서 고정 너트(36)를 지지바(26)에 나사결합하여 지지바(26)의 관통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상의 지지바 몸체(25)와, 지지바 몸체(25)의 단부에 지지바 몸체(25)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긴장재(18)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머리(2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머리(27)는 지지바 몸체(25)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머리(27) 하단에 돌출핀(29)을 마련하고, 지지바 몸체(25)의 상단면에는 지지홈(31)을 형성한 형태를 제시한다. 돌출핀(29)이 지지홈(31)에 삽입되도록 지지머리(27)를 지지바 몸체(25)에 결합하면 지지머리(27)가 지지바 몸체(25)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한 이후에 제2 긴장재(18)의 긴장력이 소실되는 경우, 각 지압블록(16)의 지지바(26)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2 긴장재(18)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한데, 지지바(26)를 회전시켜 지지바(26)의 관통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제2 긴장재(18)가 꼬일 수 있으므로, 지지바 몸체(25)에 대해 지지머리(27)가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지지바(26)의 관통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바(26)를 회전하더라도 지지머리(27)가 지지바 몸체(25)에 대해 회전되어 제2 긴장재(18)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의 지압블록(1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정착블록(12), 제1 긴장재(14), 지압블록(16), 제2 긴장재(18), 정착구(22), 고정 채널(38)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는, 상기 일 실시예와 달리, 지압블록(16)에 대한 제2 긴장재(18)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지지바를 사용하지 않고 정착블록(12) 사이에 배치되는 지압블록(16)의 두께를 달리 구성한 형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압블록(16)의 위치에 따라 제2 긴장재(18)의 인장력의 수직분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2 긴장재(18)가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는데,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지압블록(16)을 복수 개로 배치하는 경우, 복수 개의 지압블록(16)은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의 중앙에서 정착블록(12)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압블록(16)에 의해 측단이 지지되는 제2 긴장재(18)는 아치 형상을 이루게 되고 아치 형상의 제2 긴장재(18)에 의해 각 지압블록(16)에 대한 제2 긴장재(18)의 인장력의 수직분력이 일정하게 발생된다.
한편, 지압블록(16)을 가압하는 제2 긴장재(18)의 이동 방지를 위하여, 복수의 지압블록(16)의 각각에는 제2 긴장재(18)가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제2 긴장재(18)가 삽입되는 고정 채널(38)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압블록(16)에 의해 연결되는 고정 채널(3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치 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고정 채널(38)에 제2 긴장재(18)가 삽입되어 제2 긴장재(18)의 이동을 방지하면서 각 지압블록(16)을 가압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 토체(11), 정착블록(12), 제1 긴장재(14), 그라우팅(15), 지압블록(16), 제2 긴장재(18), 정착구(22, 48), 제2 정착홀(23), 지지바(26), 기초 베드(40), 채널홈(41), 뒷채움(44), 지지말뚝(46)이 도시되어 있다.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10)의 규모가 커질 경우 제2 긴장재(18)의 인장력을 증가시키거나 제2 긴장재(18)를 복수 개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긴장재(18)의 인장력에 대해 정착블록(12)의 지지력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정착블록(12)의 하단의 지반에 지지말뚝(46)을 매입하고 정착블록(12)과 결합하여 정착블록(12)의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지말뚝(46)으로는 마이크로 파일, H-형강, 현장 타설 말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정착블록(12)에 대하여 정착블록(12)의 양측으로 지압블록(16)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긴장재(18)는 정착블록(12)의 양측에 배치되는 지압블록(16)을 각각 가압하도록 양측으로 배치되어 긴장력이 도입될 수 있다. 하나의 정착블록(12)에 대하여 양측으로 제2 긴장재(18)가 배치되어 긴장력이 도입되는 경우 해당 정착블록(12)에 대해서는 각각의 제2 긴장재(18)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인장력이 상쇄되어 제2 긴장재(18)의 인장력에 대해 정착블록(12)의 지지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말뚝(46)에 정착블록(12)을 결합한 상태에서 정착블록(12)의 양측으로 제2 긴장재(18)를 배치하여 긴장력을 도입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지지말뚝(46)을 설치하지 않고 정착블록(12)의 양측으로 제2 긴장재(18)를 배치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다수의 제2 긴장재(18)를 설치하는 경우 별도의 정착구(48)를 마련하여 별도의 정착구(48)에 제2 긴장재(18)의 단부를 정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20에는, 토체(11), 정착블록(12), 제1 긴장재(14), 그라우팅(15), 지압블록(16), 제2 긴장재(18), 정착구(22), 지지바(26), 기초 베드(40), 채널홈(41), 천공부(42), 뒷채움(44)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은, 토체(11)를 천공하여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천공부(42)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천공부(42) 각각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제1 긴장재(14)를 삽입하고, 상기 천공부(42)를 그라우팅(15)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긴장재(14)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를 정착블록(12)에 관통시키면서 상기 토체(11)의 전면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상기 정착블록(12)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상기 토체(11)의 전면에 대향하여 지압블록(16)을 배치하는 단계와; 제2 긴장재(18)의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16)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긴장재(18)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12)에 각각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긴장재(14)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정착블록(12)이 상기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긴장재(14)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제1 긴장재(14)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12)에 정착하는 단계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긴장재(18)의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16)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2 긴장재(18)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제2 긴장재(18)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12)에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을 살펴 보면,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체(11)를 천공하여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천공부(42)를 형성한다(S100). 천공부(42)를 형성하기 이전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체(11)의 전방 하단부에 대해 정지(整地) 작업을 수행하고, 후술할 정착블록(12) 및 지압블록(16)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 베드(4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설치하고자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의 규모가 커서 지지말뚝을 설치하는 경우, 정착블록을 설치하기 전에 토체(11)의 전방 지반에 지지말뚝을 설치하고, 지지말뚝과 정착블록(12)을 결합하면서 정착블록(12)을 설치할 수 있다
기초 베드(40)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형성하거나, 공장에서 제작된 기초 블록을 연이어 설치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초 베드의 상면에는 정착블록(12)과 지압블록(16)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채널홈(41)을 형성하여 정착블록(12) 및 지압블록(16)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서로 이격되어 있는 천공부(42)의 이격 거리는 정착블록(12)의 크기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지압블록(16)의 개수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천공부(42)의 각도는 옹벽의 전면벽체의 설치각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공부(42)는 전면변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천공될 수 있다.
다음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천공부(42) 각각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제1 긴장재(14)를 삽입하고, 천공부(42)를 그라우팅 한다(S200).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가 정착블록(12)에 정착되고 타단부가 토체(11)에 매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긴장재(14)에 긴장력을 도입함에 따라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정착블록(12)이 토체(11)를 가압하게 된다.
정착블록(12)의 결합을 위하여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는 천공부(42)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는 토체(11) 내부에 매입되어 고정된다. 제1 긴장재(14)의 고정을 위하여 시멘트 모르타르 등으로 천공부(42)를 그라우팅 하면, 그라우팅(15)이 양생되면서 제1 긴장재(14)의 타단부가 토체(11) 내부에 매입되어 고정된다. 본 작업은 각 천공부(42)에 대해 수행되며 이에 따라 두 개의 제1 긴장재(14)가 서로 이격되어 토체(11)에 고정된다.
다음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긴장재(14) 각각에 대하여,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를 정착블록(12)에 관통시키면서 토체(11)의 전면에 대향하도록 한 쌍의 정착블록(12)을 설치한다(S300). 본 단계는 제1 긴장재(14)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를 정착블록(12)에 관통시키면서 정착블록(12)을 토체(11)의 전면에 대향하도록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베드(40)를 미리 형성한 경우에는 정착블록(12)의 하단부가 기초 베드(40)에 지지되도록 정착블록(12)을 설치하게 된다. 기초 베드(40)의 상면에 채널홈(41)이 형성된 경우에는 정착블록(12)의 하단부가 채널홈(41)에 삽입되도록 하여 정착블록(12)이 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작업은 제1 긴장재(14) 각각에 대하여 수행되며 이에 따라 두 개의 정착블록(12)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다음에,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토체(11)의 전면에 대향하여 지압블록(16)을 배치한다(S400). 지압블록(16)은 한 쌍의 정착블록(12) 사이에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정착블록(12) 사이에 3개의 지압블록(16)을 설치한 상태를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베드(40)를 미리 형성한 경우에는 지압블록(16)의 하단부가 기초 베드(40)에 지지되도록 지압블록(16)이 설치된다. 기초 베드(40)의 상면에 채널홈(41)이 형성된 경우에는 지압블록(16)의 하단부가 채널홈(41)에 삽입되도록 하여 지압블록(16)이 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압블록(16)에 지지바(26)가 결합된 경우에는, 각 지압블록(16)의 위치에 따라 미리 지지바(26)의 관통 높이를 조절하여 둔다. 지지바(26)의 관통 높이는 두 개의 정착블록(12)의 중앙에서 정착블록(12)을 향하여 관통 높이가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26)의 단부에 제2 긴장재(18)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28)이 형성된 경우에는, 각 지압블록(16)의 지지바(26)의 삽입홀(28)에 제2 긴장재(18)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 긴장재(18)의 양단부를 정착블록(12)에 결합한다.
한편, 정착블록(12) 사이에 배치되는 지압블록(16)의 두께를 달리 하고, 지압블록(16)을 가압하는 제2 긴장재(18)의 이동 방지를 위하여 고정 채널(38)을 형성한 경우에는, 고정 채널(38)에 제2 긴장재(18)가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 긴장재(18)의 양단부를 정착블록(12)에 결합한다.
다음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긴장재(18)의 측단이 지압블록(16)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제2 긴장재(18)의 양단부를 한 쌍의 정착블록(12)에 각각 설치한다(S500). 제2 긴장재(18)의 도입에 따라 제2 긴장재(18)의 측단이 지압블록(16)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제2 긴장재(18)를 배치한 상태에서 제2 긴장재(18)의 양단을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정착블록(12)에 결합한다. 본 단계 또한 제2 긴장재(18)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제2 긴장재(18)의 일단부를 정착블록(12)의 정착구(22) 등에 관통시켜 결합하여 둔다.
정착블록(12)과 지압블록(16)이 설치가 완료되면, 정착블록(12) 및 지압블록(16)의 배면과 토체(11)의 전면 사이에 토사 등으로 뒷채움(44)을 하고 다짐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1 긴장재(14) 각각에 대하여, 정착블록(12)이 토체(11)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제1 긴장재(14)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제1 긴장재(14)의 단부를 정착블록(12)에 정착한다(S600). 정착블록(12)과 지압블록(16)의 설치가 완료되면 각 긴장재에 대해 긴장력을 도입하게 되는데, 긴장력의 도입은 제1 긴장재(14)를 먼저 하게 된다.
정착블록(12)을 관통한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기계를 설치하고 제1 긴장재(14)를 잡아 당긴 상태에서 제1 긴장재(14)의 일단부를 정착블록(12)에 정착하여 제1 긴장재(14)에 긴장력을 도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압블록(16)이 토체(11)를 가압하게 된다. 각 제1 긴장재(14)에 대해 긴장력을 도입하게 되면 두 개의 정착블록(12)이 토체(11)를 가압하면서 토체(11)에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
다음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긴장재(18)의 측단이 지압블록(16)을 가압하도록 제2 긴장재(18)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제2 긴장재(18)의 단부를 정착블록(12)에 정착한다(S700). 두 개의 정착블록(12) 중 하나에 결합되어 있는 제2 긴장재(18)의 단부를 고정하고, 나머지 정착블록(12)에 결합되는 제2 긴장재(18)를 잡아 당긴 상태에서 제2 긴장재(18)의 단부를 정착블록(12)에 정착하여 제2 긴장재(18)에 긴장력을 도입하게 된다. 제2 긴장재(18)에 긴장력을 도입함에 따라 제2 긴장재(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긴장재(18)의 측단이 지압블록(16)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압블록(16)이 토체(11)에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
제1 긴장재(14)와 제2 긴장재(18)에 대한 긴장력이 도입에 따라 정착블록(12) 및 지압블록(16)이 토체(11)에 압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토체(11)의 강도가 증진하여 수평토압에 저항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11: 토체
12: 정착블록 14: 제1 긴장재
15: 그라우팅 16: 지압블록
18: 제2 긴장재 20: 정착블록 몸체
21: 제1 정착홀 22, 48: 정착구
23: 제2 정착홀 24: 지압블록 몸체
25: 지지바 몸체 26: 지지바
27: 지지머리 28: 삽입홀
29: 돌출핀 30: 수나사
31: 지지홈 32: 암나사부
34: 관통홀 36: 고정 너트
38: 고정 채널 40: 기초 베드
41: 채널홈 42: 천공부
44: 뒷채움 46: 지지말뚝

Claims (19)

  1. 서로 이격되어 토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정착블록과;
    일단부가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토체에 매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정착블록이 상기 토체를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되는 제1 긴장재와;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토체에 배치되는 지압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양단부가 각각 정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을 가압하도록 긴장력이 도입되는 제2 긴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압블록은,
    지압블록 몸체와;
    상기 지압블록 몸체를 관통하며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봉 상의 지지바 몸체와;
    상기 지지바 몸체의 단부에 상기 지지바 몸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머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긴장재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긴장재가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지압블록이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블록 몸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의 상기 암나사부에 대한 나사결합에 따라 상기 지지바의 관통되는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블록 몸체에는 상기 지지바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지지바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바를 상기 지압블록 몸체에 결합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블록의 양측에 상기 지압블록이 배치되며,
    상기 제2 긴장재는
    상기 정착블록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지압블록을 각각 가압하도록 양측으로 배치되어 긴장력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긴장재는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정착블록에 결합되며 지반으로 매입되는 지지말뚝을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10. 삭제
  11. 삭제
  12. 토체를 천공하여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천공부 각각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제1 긴장재를 삽입하고, 상기 천공부를 그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긴장재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긴장재의 일단부를 정착블록에 관통시키면서 상기 토체의 전면에 대향하여 한 쌍의 상기 정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상기 토체의 전면에 대향하여 지압블록을 배치하는 단계와;
    제2 긴장재의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긴장재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각각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긴장재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정착블록이 상기 토체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제1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2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제2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압블록은,
    지압블록 몸체와; 상기 지압블록 몸체를 관통하며 높이가 조절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봉 상의 지지바 몸체와;
    상기 지지바 몸체의 단부에 상기 지지바 몸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머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긴장재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각각 설치하는 단계의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은 상기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제2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지지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바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2 긴장재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토체의 전방 지반에 지지말뚝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말뚝에 상기 정착블록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체의 전방에 기초 배드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블록과 상기 지압블록이 상기 기초 배드에 지지되도록 상기 정착블록과 상기 지압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정착블록 및 상기 지압블록의 배면과 상기 토체의 전면 사이에 토사를 뒷채움 하고 다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블록은 복수 개로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지바는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의 중앙에서 상기 정착블록을 향하여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
  18. 삭제
  19. 토체를 천공하여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천공부 각각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제1 긴장재를 삽입하고, 상기 천공부를 그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긴장재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긴장재의 일단부를 정착블록에 관통시키면서 상기 토체의 전면에 대향하여 한 쌍의 상기 정착블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상기 토체의 전면에 대향하여 지압블록을 배치하는 단계와;
    제2 긴장재의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긴장재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각각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긴장재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정착블록이 상기 토체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제1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이 상기 지압블록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2 긴장재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상기 제2 긴장재의 단부를 상기 정착블록에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압블록은 복수 개로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압블록의 각각에는 상기 제2 긴장재가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제2 긴장재가 삽입되는 고정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긴장재의 양단부를 상기 한 쌍의 정착블록에 각각 설치하는 단계의 상기 제2 긴장재의 측단은 상기 고정 채널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 방법.
KR1020140083922A 2014-07-04 2014-07-04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63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922A KR101636381B1 (ko) 2014-07-04 2014-07-04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922A KR101636381B1 (ko) 2014-07-04 2014-07-04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841A KR20160004841A (ko) 2016-01-13
KR101636381B1 true KR101636381B1 (ko) 2016-07-05

Family

ID=5517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922A KR101636381B1 (ko) 2014-07-04 2014-07-04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760B1 (ko) 2016-08-26 2017-02-21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돌출리브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39B1 (ko) * 2023-07-13 2023-11-20 주식회사 하이콘텍 에너지 발전가능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3099A (ja) * 2007-11-30 2009-06-18 Ikuo Suzuki 自立式土留擁壁
JP2014091933A (ja) * 2012-11-01 2014-05-19 Nishi Nippon Spc Kk 盛土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710A (ko) * 2007-12-17 2009-06-22 이창남 강선긴장으로 1방향 지하 연속벽을 2방향 지지로변환시키는 공법
KR20110100697A (ko) * 2010-03-05 2011-09-15 임기택 설치가 용이한 보강토 옹벽블록 고정장치
KR101105092B1 (ko) 2010-09-13 2012-01-17 윤정배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3099A (ja) * 2007-11-30 2009-06-18 Ikuo Suzuki 自立式土留擁壁
JP2014091933A (ja) * 2012-11-01 2014-05-19 Nishi Nippon Spc Kk 盛土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760B1 (ko) 2016-08-26 2017-02-21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돌출리브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841A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228B1 (ko) 재인상이 가능한 압입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0816044B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구조물 인상 및 지지공법
KR101859969B1 (ko) 신설기초파일 압입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09111B1 (ko) 수직시공이 보강된 파일 압입 시설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 보강 공법
KR101636381B1 (ko)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732134B1 (ko)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방법
KR20190000257A (ko) 지오그리드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절토 사면의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KR20190046513A (ko)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83080B1 (ko) 추가파일 시공방법
JP483489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間の間詰め部に対する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KR101489387B1 (ko) 지반 보강과 부력 방지용 마이크로 파일 및 이 시공 방법
KR101426066B1 (ko) 기계적 기능에 의한 선단정착 복합형 마이크로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 보강 공법
KR100739941B1 (ko) 어스앵커 설치 및 재인장용 간격유지기구
KR101822412B1 (ko) 적층이 가능한 배면보강 판넬옹벽 및 배면보강 판넬옹벽 시공방법
JP5087026B2 (ja) 耐震補強構造
JP6860412B2 (ja) 木造建築物の構造躯体の接合方法、接合構造及び木造建築物
JP7136597B2 (ja) 補強アンカー
KR101689781B1 (ko) 구조물관통고정구와 파일압입보강체를 이용한 파일압입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92577A (ko) 침하구조물 인상을 위한 원형강관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195236B1 (ko) 티형 지지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JP3810759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による既設下部構造物の縁端拡幅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518034B1 (ko) 자기구속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 기둥 형성 및 이의 시공방법
CN212317551U (zh) 房建墙体抗震加固结构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KR20090028095A (ko) 가이드 월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