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239B1 -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239B1
KR101634239B1 KR1020160007724A KR20160007724A KR101634239B1 KR 101634239 B1 KR101634239 B1 KR 101634239B1 KR 1020160007724 A KR1020160007724 A KR 1020160007724A KR 20160007724 A KR20160007724 A KR 20160007724A KR 101634239 B1 KR101634239 B1 KR 101634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equipment
temperature
electric
equipment
electrical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Priority to KR102016000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통해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하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기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는 발전, 송전, 변전, 배전 또는 전기 사용을 위하여 설치하는 전기기계·기구, 댐, 수로, 저수지, 전선로 및 보안통신선로 등의 전기관련 설비를 통틀어 이르는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설비는 근래에 건축물 및 산업 주요시설물 등이 대형화 및 다양화되고, 사회 또한 점점 고도 정보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전력수용가의 전력사용이 급증하면서 점차 대규모화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기설비의 사고 및 정전사고가 높은 전기적 의존을 가진 고도 산업사회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및 장애를 가져다주므로, 안정적인 전력공급 및 전기설비에 대한 신뢰성이 한층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전기설비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받아 열화가 진행되고 이와 더불어 전기적·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결국에 화재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설비의 온도상태는 항시 감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전기설비의 온도상태를 진단하기 위하여, 전기설비가 설치된 전기설비장소에서는 정기적으로 전기설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오프라인 점검 방식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점검 방식의 실시를 위해서는 전기설비를 정전한 후에 외부 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기설비 운영자에게 비용 및 시간측면에서 많은 부담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수많은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기설비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특허등록번호 제10-133604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전력수용가의 전력사용자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력의 생산, 변환 또는 전송을 수행하는 전기설비가 설치된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고,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설비 감시장치; 및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 전력을 변환하는 변전설비, 발전설비의 전력을 배전설비로 전송하는 송전설비, 전력을 전력수용가에 전송하는 배전설비, 발전설비의 전력을 공급받는 수전설비 및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전기원료를 저장하는 전기원료저장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는, 상기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서로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는, 클램프(clamp), 커넥터(connector), 터미널(terminal), 스페이서(spacer), 부싱(bushing), 커플러(coupler), 터미널 러그(terminal lug) 및 케이블(cable)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들에 대한 표면온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는,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로부터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후술하는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를 기 설정된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는 실화상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부터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열화상정보를 매칭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를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는, 복수 개의 센서를 통해 장치 내·외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모듈; 히터 및 팬(fa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장치 내부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조절모듈;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제어모듈, 통신모듈, 온·습도센서모듈 및 온·습도조절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온·습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장치 내부의 온·습도값이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장치 내부의 온·습도를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온·습도조절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위치 변경 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구동모듈의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변경하거나,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구동모듈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생성된 전기설비의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온도그래프를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인쇄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알림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알림발생신호를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생성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이 복수개의 지점들인 경우,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가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알림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 온도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기 설정된 단위시간당 변화하는 온도값을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및 그 주변에 대해 단위시간에 따른 온도상승률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클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알림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는,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모듈;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는 실화상 카메라모듈;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및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로부터 각각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 및 실화상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 및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후술하는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 및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기설비의 온도정보 및 실화상정보와 함께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 온도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기 설정된 단위시간당 변화하는 온도값을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및 그 주변에 대해 단위시간에 따른 온도상승률을 각각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실화상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의 조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큰 상태 및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의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클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통해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하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통해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서로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하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서로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특고압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아 열화가 빨리 진행되고 이와 더불어 전기적·기계적 강도가 빨리 저하되는 전기설비의 접속부분을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어 열에 약한 전기설비의 접속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같은 정보들을 암호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정보 노출 등의 보안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또는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간략하면서도 상세하게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기(일 예로, 이동통신 단말기 등)를 통해서도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일 예로, 온도 상태 등)를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전기설비장소 내의 전기설비에 대한 이상유무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화상 카메라모듈을 통해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고, 실화상 카메라모듈을 통해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열화상정보를 매칭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를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전기설비장소 내의 전기설비에 대한 이상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통해 온·습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장치 내부의 온·습도값이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장치 내부의 온·습도를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로 유지되도록 온·습도조절모듈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전기설비 감시장치 내부의 온·습도를 항상 정상상태로 유지시켜 전기설비 감시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에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통해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변경하거나,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함으로써, 전기설비 감시장치가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에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포지션 뷰(POSITION VIEW), 모니터링 뷰(MONITORING VIEW), 스테이터스 뷰(STATUS VIEW), 서치 뷰(SEARCH VIEW), 트렌드 뷰(TREND VIEW) 및 알람 뷰(ALARM VIEW) 등의 다양한 모드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의 카메라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의 카메라 하우징 및 구동 하우징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크게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및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전기설비가 설치된 전기설비장소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가 설치된 전기설비장소 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전기설비가 설치된 전기설비장소 내에 한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는 전력수용가의 전력사용자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력의 생산, 변환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전력이라는 용어는 전기, 전류 및 전압 등과 같은 동등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로 대치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르면, 특고압은 7000 볼트를 초과하는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을 의미할 수 있고, 고압은 600 볼트를 초과하고 7000 볼트 이하의 교류 전압과 750 볼트를 초과하고 7000 볼트 이하의 직류 전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저압은 600 볼트 이하의 교류 전압과 750 볼트 이하의 직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설비는 발전설비, 수전설비, 변전설비, 송전설비, 배전설비, 및 전기원료저장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수용가의 전력사용자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력을 처리(일 예로, 전력의 생산, 변환 또는 전송 등) 할 수 있는 설비라면 어떠한 설비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설비는 전력을 생산하는 설비일 수 있다. 즉, 발전설비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수많은 전기기기(또는, 기자재 등)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플랜트 시설로서, 화력발전설비, 수력발전설비, 원자력발전설비 및 복합화력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라면 어떠한 설비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전설비는 전력을 공급받는 설비일 수 있다. 예컨대, 수전설비는 발전설비로부터 단상 또는 3상 전력(또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많은 전기기기(또는, 기자재 등)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플랜트 시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설비는 수전점에서 변압기 1차측까지의 전기기기 구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변전설비는 전력을 변환(일 예로, 전력 승압 또는 감압 등)하는 설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변전설비는 수전설비를 통해 발전설비에서 생산된 전력을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변환(일 예로, 전력 승압 또는 감압 등)할 수 있도록 수많은 전기기기(또는, 기자재 등)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플랜트 시설일 수 있다.
상기 송전설비는 전력을 전송하는 설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송전설비는 발전설비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변전설비에서 변환된 전력을 배전설비로 전송할 수 있도록 수많은 전기기기(또는, 기자재 등)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플랜트 시설일 수 있다.
상기 배전설비는 전력을 전력수용가에 전송하는 설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전설비는 송전설비를 통해 발전설비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변전설비에서 변환된 전력을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변환(일 예로, 전력 감압 등) 및 전력수용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수많은 전기기기(또는, 기자재 등)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플랜트 시설일 수 있다.
상기 전기원료저장설비는 전기원료를 저장하는 설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기원료저장설비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전기원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수많은 전기기기(또는, 기자재 등)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플랜트 시설로서, 저탄장설비, 저유소설비, 가스저장설비, 석유비축설비 및 핵원료저장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설비라면 어떠한 설비라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설비는 변압기, 차단기, 단로기, 개폐기(일 예로, 가스절연개폐기(gas insulated switchgear , GIS), 피뢰기, 계기용 변성기, 전력퓨즈, 전력용 콘덴서, 배전반, 보호계전기, 애자, 콘서베이터(conservator), 회전기, 모터, 모선지지대, 변압기 보호장치, 충전기, 제어반, 클램프(clamp), 커넥터(connector), 터미널(terminal), 스페이서(spacer), 부싱(bushing), 커플러(coupler), 터미널 러그(terminal lug), 템플레이트(template), 앵커볼트(anchor bolt) 및 케이블(cable)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을 처리(일 예로, 전력의 생산, 변환 또는 전송 등) 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기기라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장소는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장소로서, 발전소, 개폐소, 변전소, 수전실, 배전실, 저탄장, 저유소, 가스저장소, 석유비축소 및 핵연료저장소 중 적어도 하나의 장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가 설치되는 장소라면 어떠한 장소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주변환경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주변환경 온도정보(일 예로, 대기온도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원료에 대한 내부온도(일 예로, 저탄장의 석탄 내부온도 등)를 측정하여 전기원료에 대한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실시간으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주기적으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임의의 시간(일 예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는 전기설비의 내부 또는 표면온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전기설비의 내부 또는 표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획득된 정보들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보들을 처리(processing)(일 예로, 연산 등)하여 획득된 어떠한 정보들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서로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는 각각의 전기기기들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또는, 접속 등)시키거나 이들을 절연시킬 수 있는 전기기기들에 대한 표면온도일 수 있다.
예컨대,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클램프(clamp), 커넥터(connector), 터미널(terminal), 스페이서(spacer), 부싱(bushing), 커플러(coupler), 터미널 러그(terminal lug) 및 케이블(cable)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들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임의의 시간(일 예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식별정보는 다른 장치들과 구별하기 위한 해당 장치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식별정보는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생산자 및 관리자(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자 또는 운영자 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의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식별정보는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포함된 구성요소(일 예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실화상 카메라모듈(120), 통신모듈(170) 및 제어모듈(190) 등)에 대한 식별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식별정보는 장치의 이름정보, 장치의 비밀번호정보, 장치의 일련번호정보, 장치의 종류정보, 장치의 제조회사정보,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정보, 장치의 모델정보, 장치의 버전정보, 장치의 라벨링책임자 정보, 장치의 생산일자정보 및 장치의 배치장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0)은 유선통신망 및 무선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iFi, Wibro,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통신망(10)은 규모에 따라 구분되는 광역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도시권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및 개인통신망(Personal area network, PAN)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근거리통신망(LAN) 또는 개인통신망(PAN)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10)은 구축형식에 따라 구분되는 링형통신망, 별형통신망, 트리형통신망, 그물형통신망 및 버스형통신망 중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거나, 실시간으로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거나, 주기적으로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임의의 시간(일 예로, 관리자로부터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제공받거나, 임의의 시간(일 예로, 관리자로부터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안전한 데이터 및 정보의 전송을 위해, 해시함수, HMAC(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 또는 암호키(일예로, 대칭키, 공개키 또는 개인키) 등의 암호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일 예에서, HMAC(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 암호화 메커니즘 또는 암호키(일예로, 대칭키, 공개키 또는 개인키) 암호화 메커니즘과 같이 암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키가 필요한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키를 설정하고, 설정된 키를 관리할 수 있는 키 설정 관리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키 설정 관리모듈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암화화된 데이터(일 예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 등)를 복호화하기 위해, 후술할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에도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설정된 키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갱신될 수 있으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의 설정된 키와,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의 설정된 키는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같은 정보들을 암호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정보 노출 등의 보안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및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는 전기설비의 온도 크기, 온도상태등급,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명칭 및 위치 등을 포함할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실시간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일 예로, 2D 또는 3D 등)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주기적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일 예로, 2D 또는 3D 등)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임의의 시간(일 예로, 관리자로부터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일 예로, 2D 또는 3D 등)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 Emitting Diode, L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표면 얼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를 분석(또는, 추출 등)하고, 상기 분석된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와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가 미리 포함된 기 설정된 이미지(일 예로,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와 매칭하며, 매칭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기 설정된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맵핑(mapping)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인터넷 전기설비 이미지(일 예로, 2D 또는 3D 등)와 연동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연동되는 인터넷 전기설비 이미지(일 예로, 2D 또는 3D 등)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맵핑(mapping)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는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간략하게 표현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는 색깔, 도형(일 예로, 동그라미 등), 이모콘티, 숫자, 약어, 이미지(일 예로, 간략그래프 등) 및 텍스트(일 예로, 간략설명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간략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는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상세하게 표현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는 색깔, 도형(일 예로, 동그라미 등), 이모콘티, 숫자, 약어, 이미지(일 예로, 상세그래프 등) 및 텍스트(일 예로, 상세설명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상세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또는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간략하면서도 상세하게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의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온도 상태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표면온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별도로 구비되는 인쇄장치(50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전기설비와 관련된 정보들이 출력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별도로 구비되는 인쇄장치(500)를 통해 전기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가 출력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별도로 구비되는 인쇄장치(500)를 통해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표면온도 상태가 출력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와 관련된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통해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하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통해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서로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하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서로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특고압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아 열화가 빨리 진행되고 이와 더불어 전기적·기계적 강도가 빨리 저하되는 전기설비의 접속부분을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어 열에 약한 전기설비의 접속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는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는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는 미리 탑재된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와 서로 연결되어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는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는 전기설비의 관리자, 운영자, 이용자, 사용자 및 유지보수업체의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와 관련된 사람의 단말기라면 어떠한 사람의 단말기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지보수업체의 단말기는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의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통해 전기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요청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관리자 또는 운영자의 단말기는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의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통해 전기설비에 대한 위험 또는 경보신호(일 예로, 알림발생신호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기(일 예로, 이동통신 단말기 등)를 통해서도 전기설비에 대한 상태(일 예로, 온도 상태 등)를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는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예로, 스마트 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TV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상기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은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유지보수업체의 스마트폰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의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통해 전기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요청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관리자 또는 운영자의 스마트폰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의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통해 전기설비에 대한 위험 또는 경보신호(일 예로, 알림발생신호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미리 탑재된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와 서로 연결되어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알림발생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발생장치(400)는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알림발생장치(400)는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는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와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알림발생장치(400)는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알림발생장치(400)는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알림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알림발생장치(400)는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알림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알림발생장치(400)는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알림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주기적으로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알림발생장치(400)는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알림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임의의 시간에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알림발생장치(400)는 경고등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알림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알림을 발생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또는, 기기, 방법 등)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알림발생신호는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생성되어 알림발생장치(400)로 전송되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400)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는 한 개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값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이 복수개의 지점들인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가 각각의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즉,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가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설비의 표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한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400)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는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알림발생신호를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생성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발생신호는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생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위험 또는 경보 상황을 알릴 즉,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형태로라도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전기설비장소 내의 전기설비에 대한 이상유무를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열화상 카메라모듈(110)로부터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 온도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기 설정된 단위시간당 변화하는 온도값을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및 그 주변에 대해 단위시간에 따른 온도상승률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클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400)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기설비의 주변은 줄열에 의한 발열(예컨대, 전기설비 자체의 발열)우려가 없는 기준점(Reference point)으로서 관리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기준점이 미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준 온도상승률은 태양복사에너지에 의한 기준 온도상승률로서, 상기 전기설비의 주변 즉, 기 설정된 각 기준점에 대하여 기상상황 변화에 따른 반복적인 실험데이터에 의해 이상적인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준 온도상승률은 줄열에 의한 발열 즉, 모니터링 대상 전기설비 자체의 이상발열을 나타내는 기준 온도상승률로서, 상기 제1 기준 온도상승률 즉, 태양복사에너지에 의한 온도상승률을 반영한 반복적인 실험데이터에 의해 이상적인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및 실화상 카메라모듈(120)로부터 전기설비의 온도정보 및 실화상정보와 함께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 온도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기 설정된 단위시간당 변화하는 온도값을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및 그 주변에 대해 단위시간에 따른 온도상승률을 각각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실화상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의 조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큰 상태 및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의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클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400)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기설비의 주변은 줄열에 의한 발열(예컨대, 전기설비 자체의 발열)우려가 없는 기준점(Reference point)으로서 관리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기준점이 미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준 온도상승률은 태양복사에너지에 의한 기준 온도상승률로서 상기 전기설비의 주변 즉, 기 설정된 각 기준점에 대하여 기상상황 변화에 따른 반복적인 실험데이터에 의해 이상적인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준 조도값은 전기설비 및/또는 그 주변의 기상상황 변화에 따라 반복적인 실험데이터에 의해 이상적인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준 온도상승률은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기준 온도상승률과 구분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으로서, 전술한 제2 기준 온도상승률과 용어가 동일하게 기재되었지만, 이는 동일한 값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2 기준 온도상승률은 줄열에 의한 발열 즉, 모니터링 대상 전기설비 자체의 이상발열을 나타내는 기준 온도상승률로서, 상기 제1 기준 온도상승률 즉, 태양복사에너지에 의한 온도상승률과 함께 상기 기준 조도값을 반영한 반복적인 실험데이터에 의해 이상적인 값으로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을 통한 알림발생 서비스는, 낮 시간의 경우 모니터링 되어야 하는 물체 즉, 대상 전기설비가 태양복사에너지를 흡수하면 비정상적으로 높은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알람 발생을 유발하여 장비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발전소 운영에도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태양복사에너지에 의한 온도 상승값을 줄열에 의한 과열현상과 구분하여 보정함으로써, 전기설비의 이상유무에 대해 보다 정확한 알림발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양복사에너지에 의한 온도상승에는 특별한 패턴이 없다. 즉, 대기가 맑은 경우에는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태양복사에너지가 싸인함수의 형태로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가 천천히 상승하지만, 대기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구름이나 비행체에 의해 태양복사에너지가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므로 온도 변화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태양복사에 의한 온도상승은 일정 온도에서 정지된다.
그러나, 줄열에 의한 이상 발열은 지속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온도상승률을 모니터링하면 태양복사에 의한 온도상승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상승률은 단위시간당 변화하는 온도값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포인트 즉, 모니터링 대상 전기설비의 온도를 시간에 따라 미분하여 온도상승률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즉,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의 카메라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 배치도이며,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의 카메라 하우징 및 구동 하우징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크게,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통신모듈(170) 및 제어모듈(1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은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일 예로, 적외선 등)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은 실시간으로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은 주기적으로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은 임의의 시간(일 예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은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은 상기 측정된 전기설비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정보(또는, 열에너지값)를 온도보정함수를 통해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또는, 온도값)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보정함수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은 상기 변환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밝기보정함수를 통해 전기설비의 밝기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밝기보정함수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은 상기 변환된 전기설비의 밝기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후술할 제어모듈(19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 카메라는 온도에 따라 다른 색으로 표현하여 우리 눈으로 그 온도를 볼 수 있게 한 카메라로서, 물체에서 나온 열에너지(일 예로, 적외선)을 감지해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열화상 카메라는 열의 강도에 따라 달라지는 적외선의 강도를 수천 개의 점으로 인식해 색깔로 표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을 통해 전기설비의 열에너지정보, 온도정보, 밝기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각각 측정, 변환 또는 획득할 수 있다고 상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을 통해 전기설비의 열에너지정보를 획득하고, 후술할 제어모듈(190)을 통해 전기설비의 온도정보, 밝기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각각 변환 또는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을 통해 열화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고 상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센서(일 예로, 적외선 센서 등)를 통해 전기설비의 열에너지정보를 획득하고, 제어모듈(190)을 통해 측정된 전기설비의 열에너지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 밝기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각각 변환 또는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D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모듈(19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후술할 저장모듈(160)에 저장되고, 제어모듈(19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90)은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모듈(190)은 상술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및 후술할 통신모듈(170)과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190)은 열화상 카메라모듈(1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90)은 열화상 카메라모듈(110)로부터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90)은 상기 제공받은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후술하는 통신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모듈(170)은 제어모듈(190)과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70)은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70)은 통신망(1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와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모듈(170)은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어모듈(190)로부터 제공받아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신모듈(170)은 실시간으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어모듈(190)로부터 제공받아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통신모듈(170)은 주기적으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어모듈(190)로부터 제공받아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통신모듈(170)은 임의의 시간(일 예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어모듈(190)로부터 제공받아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70)은 유선 인터넷(또는, 유선 통신 등) 접속을 위한 유선 통신모듈 및 무선 인터넷(또는, 무선 통신 등)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신모듈(170)은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통신 기술이 이용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무선통신 표준기술인 IEEE802.11n, IEEE802.11ac, IEEE802.11ad, IEEE802.11af, IEEE802.11ah, IEEE802.11ai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IEEE802.11ad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기그(WiGig), Wibro(Wireless broadband), WLAN(Wireless LAN)(Wi-Fi),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모듈(170)은, 무선 통신모듈과 함께 이동 통신을 위한 이동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는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통신모듈(17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및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는 전기설비의 열화상 영상, 온도 크기, 온도상태등급,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명칭 및 위치 등을 포함할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실시간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일 예로, 2D 또는 3D 등)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주기적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일 예로, 2D 또는 3D 등)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임의의 시간(일 예로, 관리자로부터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일 예로, 2D 또는 3D 등)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를 분석(또는, 추출 등)하고, 상기 분석된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와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가 미리 포함된 기 설정된 이미지(일 예로,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와 매칭하며, 매칭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기 설정된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맵핑(mapping)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인터넷 전기설비 이미지(일 예로, 2D 또는 3D 등)와 연동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연동되는 인터넷 전기설비 이미지(일 예로, 2D 또는 3D 등)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맵핑(mapping)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는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간략하게 표현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는 열화상 영상, 색깔, 도형(일 예로, 동그라미 등), 이모콘티, 숫자, 약어, 이미지(일 예로, 간략그래프 등) 및 텍스트(일 예로, 간략설명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를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간략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는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상세하게 표현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는 열화상 영상, 색깔, 도형(일 예로, 동그라미 등), 이모콘티, 숫자, 약어, 이미지(일 예로, 상세그래프 등) 및 텍스트(일 예로, 상세설명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를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상세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암호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열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의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열화상 상태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열화상 상태(일 예로, 표면온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실시간으로,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주기적으로,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임의의 시간(일 예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전기설비장소 내에 설치된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에 대한 아날로그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을 하다마드 변환, 이산 여현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이산 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등과 같이 공간축의 화상 신호를 주파수축으로 변환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변환된 데이터(주파수 계수)에 대해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변환된 데이터인 주파수 계수들을 양자화 스텝사이즈(Quantization Step-Size)로 나누어 근사화하여 양자화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산출된 양자화 결과값을 엔트로피 부호화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일 예로, 비트스트림 등)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실화상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실화상 카메라는 IP카메라, CCTV, 전방향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 이동통신 단말기, PTZ(Pan Tilt Zoom) 카메라, 온도 센서, 적외선 센서, 열감지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가 포함되어 영상 획득이 가능하고, 획득된 영상을 서버 또는 타 단말기에 전송 가능한 단말기로서,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3G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을 통해 전기설비에 대한 아날로그영상, 주파수 계수, 양자화 결과값 및 실화상정보를 각각 측정, 변환 또는 획득할 수 있다고 상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을 통해 전기설비에 대한 아날로그영상을 획득하고, 제어모듈(190)을 통해 전기설비의 아날로그영상에 대한 주파수 계수, 양자화 결과값 및 실화상정보를 각각 변환 또는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190)은 실화상 카메라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90)은 실화상 카메라모듈(120)로부터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90)은 상기 제공받은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통신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는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통신모듈(170)을 통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및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를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을 통해 수행된 부호화 작업을 역순으로 복호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및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실화상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는 전기설비의 실화상 영상, 온도 크기, 온도상태등급,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명칭 및 위치 등을 포함할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실시간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일 예로, 2D 또는 3D 등)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주기적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일 예로, 2D 또는 3D 등)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임의의 시간(일 예로, 관리자로부터 관리자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시점 등)에,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일 예로, 2D 또는 3D 등)에 표시 및 전송(일 예로,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 등)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를 분석(또는, 추출 등)하고, 상기 분석된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와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가 미리 포함된 기 설정된 이미지(일 예로,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와 매칭하며, 매칭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기 설정된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맵핑(mapping)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인터넷 전기설비 이미지(일 예로, 2D 또는 3D 등)와 연동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상기 연동되는 인터넷 전기설비 이미지(일 예로, 2D 또는 3D 등)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맵핑(mapping)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는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간략하게 표현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는 실화상 영상, 색깔, 도형(일 예로, 동그라미 등), 이모콘티, 숫자, 약어, 이미지(일 예로, 간략그래프 등) 및 텍스트(일 예로, 간략설명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를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간략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는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상세하게 표현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에 대한 상세정보는 실화상 영상, 색깔, 도형(일 예로, 동그라미 등), 이모콘티, 숫자, 약어, 이미지(일 예로, 상세그래프 등) 및 텍스트(일 예로, 상세설명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실화상 상태를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상세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저장모듈(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또는 관리자 단말기(300-1 내지 300-N)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의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실화상 상태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실화상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개별적 즉, 서로 다른 시간에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을 통해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획득하고,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을 통해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통신모듈(170)을 통해 각각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을 통해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를 획득하고, 이와 동시에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을 통해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모듈(19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190)은 열화상 카메라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 및 실화상 카메라모듈(120)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제공받아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통신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 및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 및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각각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열화상정보를 매칭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를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를 각각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별로 분석(또는, 추출 등)하고, 각각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별로 분석(또는, 추출 등)된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위치를 서로 매칭하며, 매칭결과에 따라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를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열화상 카메라모듈을 통해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고, 실화상 카메라모듈을 통해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열화상정보를 매칭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를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전기설비장소 내의 전기설비에 대한 이상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구동모듈(1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듈(130)은 제어모듈(190)과 연결되어,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모듈(130)은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및 실화상 카메라모듈(12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모듈의 위치 변경 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어모듈(190)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구동모듈(130)의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및 실화상 카메라모듈(12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모듈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190)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구동모듈(130)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및 실화상 카메라모듈(12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모듈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듈(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팬(Pan), 틸트(Tilt) 및 줌(Zoo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및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의 위치 변경 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 카메라가 고정 렌즈를 가지고 있는 경우, 구동모듈(130)은 열화상 카메라의 줌(Zoom)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통해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변경하거나,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함으로써, 전기설비 감시장치가 전기설비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에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온·습도센서모듈(140), 온·습도조절모듈(150), 저장모듈(160) 및 전원모듈(180)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온·습도센서모듈(140)은 제어모듈(190)과 연결되어,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온·습도센서모듈(140)은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센서를 통해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외부의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외부의 온도는 대기온도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센서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열전대, 금속온도측정 저항체, 서미스터, 반도체(IC) 온도센서, 자기 온도센서, 서모파일 및 초전형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외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센서라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습도센서는 노점 습도센서, 염화리튬노점 습도센서, 부피식 습도센서, 전기분해식 습도센서, 중량식 습도센서, 건습구 습도센서, 탄소피막 습도센서, 전기식 습도센서, 전기용량식 습도센서, 색 습도센서, 근적외선 습도센서, 마이크로파 습도센서, 확산식 습도센서 및 방전식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외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센서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조절모듈(150)은 제어모듈(190)과 연결되어,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온·습도조절모듈(150)은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히터 및 팬(fa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의 온·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190)은 온·습도센서모듈(140)에서 측정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의 온·습도값이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의 온·습도를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로 유지되도록 온·습도조절모듈(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190)은 온·습도센서모듈(140)에서 측정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의 온·습도값과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온·습도센서모듈(140)에서 측정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의 온·습도값이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의 온·습도를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로 유지되도록 전원모듈(18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가 온·습도조절모듈(150)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습도조절모듈(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습도조절모듈(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 및 팬(f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의 온·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온·습도조절모듈(150)은 열전달(heat transfer), 열흐름(heat flow) 및 열교환(heat exchang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전기설비 감시장치를 통해 온·습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장치 내부의 온·습도값이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장치 내부의 온·습도를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로 유지되도록 온·습도조절모듈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전기설비 감시장치 내부의 온·습도를 항상 정상상태로 유지시켜 전기설비 감시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에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저장모듈(160)은 제어모듈(190)과 연결되어, 제어모듈(19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60)은 제어모듈(190)과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60)은 제어모듈(19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모듈(160)은 전기설비의 열에너지정보, 온도정보, 밝기정보 및 열화상정보; 전기설비에 대한 아날로그영상, 주파수 계수, 양자화 결과값 및 실화상정보; 전기설비의 주변환경 온도정보(일 예로, 대기온도정보 등); 및 전기원료에 대한 온도정보 등을 제어모듈(19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160)은 온도보정함수, 밝기보정함수 및 장치식별정보 등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장모듈(1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모듈(180)은 제어모듈(190)과 연결되어,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원모듈(180)은 제어모듈(190)의 제어에 따라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각 구성요소들 즉,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실화상 카메라모듈(120), 구동모듈(130), 온·습도센서모듈(140), 온·습도조절모듈(150), 저장모듈(160), 통신모듈(170) 및 제어모듈(19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에너지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모듈(190)은 온·습도센서모듈(140)에서 측정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의 온·습도값이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 내부의 온·습도를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로 유지되도록 전원모듈(18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가 온·습도조절모듈(15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원모듈(18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원모듈(180)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원모듈(180)은 제공받은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에 상응하여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모듈(180)은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각 구성요소들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모듈(180)은 전원변환부, 배터리충전부, 배터리 및 분배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변환부는 외부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변환부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변환부는 제공받은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전원 변환하여 변환된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원이 직류 전원일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는 직류-직류 변환기 또는 직류-교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원이 교류 전원일 경우, 상기 전원변환부는 교류-직류 변환기 또는 교류-교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충전부는 전원변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충전부는 전원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충전부는 변환된 전원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충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충전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충전부로부터 제공받은 전기에너지에 상응하여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부는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부는 배터리로부터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부는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분배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분배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부는 분배된 전기에너지를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각 구성요소들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분배부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기둥(100d)에 3개의 하우징(100a, 100b, 100c)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기둥(100d) 상부에는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실화상 카메라모듈(120), 온·습도센서모듈(140), 온·습도조절모듈(150), 저장모듈(160) 및 전원모듈(180) 등으로 구비되는 카메라 하우징(100a)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100d) 상부와 카메라 하우징(100a) 사이에는 구동모듈(130) 등으로 구비되는 구동 하우징(100b)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100d) 아랫부분에는 통신모듈(170) 등으로 구비되는 송수신 하우징(100c)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는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와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통신모듈(170)만을 카메라 하우징(100a) 내부에 내장시키지 않고 별도로 구비되는 송수신 하우징(100c) 내부에 내장시킬 수 있다.
또한, 송수신 하우징(100c)은 랙마운트타입(Rack mount Type (19" / 2U))일 수 있으며, Audio AMP & Matrix / Video / Network Switch / Serial 등의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송수신 하우징(100c) 내에 구비된 통신모듈(17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카메라 하우징(100a)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실화상 카메라모듈(120), 온·습도센서모듈(140), 온·습도조절모듈(150), 제어보드, 전원모듈(180) 및 I/O 포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과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의 동일한 지점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촬영하는 부분이 카메라 하우징(100a)의 일측면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습도센서모듈(140)은 카메라 하우징(100a)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실내온·습도센서모듈(140a) 및 카메라 하우징 외부의 온·습도(일 예로, 대기온도 등)를 측정하는 실외온·습도센서모듈(140b)로 각각 나뉘어 카메라 하우징(100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온·습도조절모듈(150)은 실내온·습도센서모듈(140a)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온·습도조절모듈(150)은 히터 및 팬(fan)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는 회로소자가 실장될 수 있고, 또한 실장된 회로소자 간 전기적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패턴(일 예로, 도체 패턴 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회로소자는 제어모듈(190) 및 저장모듈(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모듈(180)은 카메라 하우징(100a)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 즉,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실화상 카메라모듈(120), 온·습도센서모듈(140), 온·습도조절모듈(150) 및 제어보드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전원모듈(18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I/O 포트는 구동 하우징(100b)에 구비된 구동모듈(130)과 송수신 하우징(100c)에 구비된 통신모듈(170)과 데이터 및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입출력 포트로서, UTP 게이블 포트 및 통합게이블 포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모듈(110) 및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이 구비된 카메라 하우징(100a) 하부에는 팬(Pan) 및 틸트(Tilt)가 구비된 구동 하우징(100b)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과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의 동일한 지점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촬영하는 부분이 카메라 하우징(100a)의 일측면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 카메라모듈(110)은 30Hz Infrared Camera(W/Lens)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76mm(6°) 렌즈(lens)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은 1/2.8" Exmor CMOS 이미지센서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Optical 30배의 줌(Zoom)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팬(Pan) 및 틸트(Tilt)의 Preset 정밀도는 0.1°일 수 있으며, 팬(Pan)의 회전각은 0~355°일 수 있고, 틸트(Tilt)의 회전각은 -70° ~ +20°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관리자에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포지션 뷰(POSITION VIEW)모드, 모니터링 뷰(MONITORING VIEW)모드, 스테이터스 뷰(STATUS VIEW)모드, 서치 뷰(SEARCH VIEW)모드, 트렌드 뷰(TREND VIEW)모드 및 알람 뷰(ALARM VIEW)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 포지션 뷰 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포지션 뷰(POSITION VIEW)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열화상정보를 매칭(일 예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열화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매칭 등)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현재 온도값, 온도상태등급 및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를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 모니텅링 뷰 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모니터링 뷰(MONITORING VIEW)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현재 온도값, 온도상태등급 및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리스트화된 전기설비 모니터링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또는 인쇄장치(5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화된 전기설비 모니터링목록은 일정한 양식(일 예로, 표 등)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현재 온도값, 온도상태등급 및 명칭 등을 간단하면서도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양식(일 예로, 표 등)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 스테이터스 뷰 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스테이터스 뷰(STATUS VIEW)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열화상정보를 매칭(일 예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와 열화상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매칭 등)하여 동일한 지점에 대한 현재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 및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각각의 영역에 표시하고, 현재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스템 로그(Log)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그(Log)는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또는, 관리자 등)들의 행위들을 저장해 놓은 기록들로서, 로그 파일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로그에는 외부의 침입을 해온 공격자가 시스템에서 어떠한 일을 행했는지, 또는 사용자(또는, 관리자)가 어떠한 명령어들을 사용해 주었는지 등의 보안적인 의미의 정보들과 시스템이 처리한 업무와 에러 등의 시스템 운영정보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 서치 뷰 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서치 뷰(SEARCH VIEW)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현재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 및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각각의 영역에 표시하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동안에 해당하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온도값 및 외부 대기온도값을 온도값에 상응하는 색깔별로 나타낸 서치 뷰 온도그래프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은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리자에 의해 임의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은 하나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기간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치 뷰 온도그래프는 일정한 양식(일 예로, 그래프 등)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온도값 및 외부 대기온도값을 온도값에 상응하는 색깔별로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양식(일 예로, 그래프 등)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 서치 뷰 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서치 뷰(SEARCH VIEW)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현재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 및 실화상 상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동안에 해당하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온도값, 최대온도값 및 외부 대기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보고서화된 서치 뷰 보고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또는 인쇄장치(5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고서화된 서치 뷰 보고서는 일정한 양식(일 예로, 표 및 그래프 등이 포함된 보고서 등)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온도값, 최대온도값 및 외부 대기온도값을 간단하면서도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양식(일 예로, 표 및 그래프 등이 포함된 보고서 등)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 서치 뷰 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서치 뷰(SEARCH VIEW)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현재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스템 로그(Log)가 리스트화된 시스템로그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또는 인쇄장치(5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화된 시스템로그목록은 일정한 양식(일 예로, 표 등)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현재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스템 로그를 간단하면서도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양식(일 예로, 표 등)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 트렌드 뷰 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트렌드 뷰(TREND VIEW)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현재 온도값, 온도상태등급 및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설비의 열화상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를 온도값에 상응하는 색깔별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동안에 해당하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온도값을 온도값에 상응하는 색깔별로 나타낸 트렌드 뷰 온도그래프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은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리자에 의해 임의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은 하나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기간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렌드 뷰 온도그래프는 일정한 양식(일 예로, 그래프 등)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온도값을 온도값에 상응하는 색깔별로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양식(일 예로, 그래프 등)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 트렌드 뷰 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트렌드 뷰(TREND VIEW)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동안에 해당하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온도값이 보고서화된 트렌드 뷰 보고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또는 인쇄장치(50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고서화된 트렌드 뷰 보고서는 일정한 양식(일 예로, 표 및 그래프 등이 포함된 보고서 등)을 가지는 것은 아니고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온도값을 간단하면서도 관리자가 쉽게 알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양식(일 예로, 표 및 그래프 등이 포함된 보고서 등)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리자 입력신호(일 예로, 전기설비 관리모드선택신호 - 알람 뷰 모드선택신호 등)에 따라 알람 뷰(ALARM VIEW)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화 및/또는 암호화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바탕으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동안에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여 발생되는 알림발생신호에 따라 기록되는 알람 로그가 존재하는 경우, 알람 로그가 발생된 때의 전기설비의 실화상 정보 및 열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은 일별, 요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리자에 의해 임의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기간은 하나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기간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은,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를 통해 포지션 뷰(POSITION VIEW), 모니터링 뷰(MONITORING VIEW), 스테이터스 뷰(STATUS VIEW), 서치 뷰(SEARCH VIEW), 트렌드 뷰(TREND VIEW) 및 알람 뷰(ALARM VIEW) 등의 다양한 모드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기설비의 무정전 상태에서도 각각의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된 전기설비들의 온도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전기설비를 효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 즉, 전기설비의 27개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설비의 27개 지점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클램프(clamp), 커넥터(connector), 터미널(terminal), 스페이서(spacer), 부싱(bushing), 커플러(coupler), 터미널 러그(terminal lug), 케이블(cable) 및 콘서베이터(conserv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 상태에 대한 간략정보 및/또는 상세정보를 맵핑(mapping)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는 기 설정되어 미리 저장되거나 인터넷 전기설비 이미지와 연동될 수 있으며, 또한 실화상 카메라모듈(120)을 통해 획득된 실화상일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의 27개 지점을 번호와 파란색 색깔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설비의 27개 지점에 해당하는 표면온도를 전기설비의 27개 지점 번호 옆에 숫자로 각각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기설비의 4번 지점처럼 빨간색으로 알림발생신호의 발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열화상정보를 매칭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를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전기설비의 두 개의 지점 즉, 전기설비의 13번 및 27번 지점에 해당하는 열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적용된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 및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각각의 영역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부분에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줌(Zoom) 동작에 의해 확대된 전기설비의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 및 왼쪽 위쪽 부분에 이에 상응하는 온도값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오른쪽 부분에 전기설비 감시장치(100-1 내지 100-N)의 줌(Zoom) 동작에 의해 확대된 전기설비의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실화상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전기설비 감시장치
110: 열화상 카메라모듈 120: 실화상 카메라모듈
130: 구동모듈 140: 온·습도센서모듈
150: 온·습도조절모듈 160: 저장모듈
170: 통신모듈 180: 전원모듈
190: 제어모듈
200: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
300-1 내지 300-N: 관리자 단말기
400: 알림발생장치
500: 인쇄장치

Claims (15)

  1. 전력수용가의 전력사용자가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력의 생산, 변환 또는 전송을 수행하는 전기설비가 설치된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고,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설비 감시장치;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 및
    전기설비장소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알림발생신호를 제공받아 알림을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발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는,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가 포함된 열화상정보를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모듈; 전기설비를 촬영하여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를 획득하는 실화상 카메라모듈; 복수 개의 센서를 통해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 내외부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모듈; 히터 및 팬(fa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 내부의 온·습도를 조절하는 온·습도조절모듈; 열전달(heat transfer), 열흐름(heat flow) 및 열교환(heat exchang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판; 상기 온·습도조절모듈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온·습도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 내부의 온·습도값이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 내부의 온·습도를 기 설정된 온·습도 정상값 범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에 상응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온·습도조절모듈로 공급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상기 온·습도센서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부터 제공받은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 및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후술하는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 및 상기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의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된 전기설비의 열화상정보 및 실화상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감시장치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전기설비장소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 및 열화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기설비의 온도정보 및 실화상정보와 함께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 온도정보를 기 설정된 단위시간당 변화하는 온도값을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및 그 주변에 대해 단위시간에 따른 온도상승률을 각각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실화상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의 조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큰 상태 및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의 조도값이 기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클 경우, 상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상기 알림발생장치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알림발생신호를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생성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 전력을 변환하는 변전설비, 발전설비의 전력을 배전설비로 전송하는 송전설비, 전력을 전력수용가에 전송하는 배전설비, 발전설비의 전력을 공급받는 수전설비 및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전기원료를 저장하는 전기원료저장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는, 상기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서로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기기기들이 접속되는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는, 클램프(clamp), 커넥터(connector), 터미널(terminal), 스페이서(spacer), 부싱(bushing), 커플러(coupler), 터미널 러그(terminal lug) 및 케이블(cable)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들에 대한 표면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전기설비 장소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 열화상정보 및 실화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해시함수, HMAC(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 또는 암호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온도 상태, 열화상 상태 및 실화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기 설정된 2D 또는 3D 전기설비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실화상정보와 열화상정보를 매칭하여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대한 열화상 상태를 전기설비의 실화상 이미지 상에 표시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 감시장치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위치 변경 또는 줌(Zoom)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구동모듈의 위치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팬(Pan) 또는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변경하거나,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구동모듈의 줌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모듈 또는 상기 실화상 카메라모듈의 줌(Zoom)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대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전기설비장소별로 전기설비의 온도정보를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설비장소별로 생성된 전기설비의 일별/요일별/주별/월별/분기별/년별 온도그래프를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인쇄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이 복수개의 지점들인 경우,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대한 표면온도가 전기설비의 각각의 지점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온도 정상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 통합관리서버는, 각 전기설비 감시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기설비의 온도정보와 함께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 온도정보를 기 설정된 단위시간당 변화하는 온도값을 이용하여 해당 전기설비 및 그 주변에 대해 단위시간에 따른 온도상승률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의 주변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1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산출된 해당 전기설비에 대한 온도상승률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온도상승률보다 클 경우, 알림발생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전기설비장소에 배치되는 알림발생장치로 전송되도록 전기설비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15. 삭제
KR1020160007724A 2016-01-21 2016-01-21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KR10163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24A KR101634239B1 (ko) 2016-01-21 2016-01-21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24A KR101634239B1 (ko) 2016-01-21 2016-01-21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239B1 true KR101634239B1 (ko) 2016-06-28

Family

ID=5636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724A KR101634239B1 (ko) 2016-01-21 2016-01-21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239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557B1 (ko) * 2016-07-26 2017-11-20 박순구 농축산 또는 그린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
KR101951700B1 (ko) * 2018-08-17 2019-02-26 파이어컨트롤(주) 전력설비 및 발전설비의 과열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20190066817A (ko) * 2017-12-06 2019-06-14 한국광기술원 증강현실 이미지 생성장치 및 방법
KR102030767B1 (ko) * 2019-05-03 2019-10-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전기 설비 노후화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093B1 (ko) * 2018-10-22 2020-04-14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KR102101094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력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101092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정상 운영을 위한 통신 사전검증 시스템
WO2020138574A1 (ko) * 2018-12-28 2020-07-02 한국 전기안전공사 기후 정보 기반의 전기설비 열화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148616B1 (ko) * 2019-12-05 2020-08-26 김경업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KR20210018602A (ko) * 2019-08-06 2021-02-18 (주)아이리녹스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6030B1 (ko) * 2021-09-06 2021-12-07 (주)제이앤씨아이앤씨 전기차 충전기 화재 감지 및 상태 이상 예측 시스템
KR102512691B1 (ko) * 2022-07-29 2023-03-24 (주)넥슨스타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
KR20230065442A (ko) * 2021-11-05 2023-05-12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쿨링 방법
KR102555156B1 (ko) * 2022-12-13 2023-07-18 김대호 고정 열화상 카메라와 이동 열화상 카메라에 기반한 수배전반용 열화상 감시 진단 시스템
KR102654584B1 (ko) * 2023-07-10 2024-04-05 (주)빅트론 터널용 전기실의 무인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366A (ja) * 2003-06-24 2005-02-10 Constec Engi Co 赤外線構造物診断システム及び赤外線構造物診断方法
KR20100034086A (ko) * 2008-09-23 2010-04-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화상 인식을 이용한 전력설비 열화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194021B1 (ko) * 2012-05-10 2012-10-24 주식회사 포스 다면적 온도감지를 이용한 배전반
KR101336045B1 (ko) 2012-06-22 2013-12-05 대림대학교산학협력단 분전반 및 배전반의 무정전 절연저항 측정장치
KR20140137475A (ko) * 2013-05-21 2014-12-03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현장 설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366A (ja) * 2003-06-24 2005-02-10 Constec Engi Co 赤外線構造物診断システム及び赤外線構造物診断方法
KR20100034086A (ko) * 2008-09-23 2010-04-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화상 인식을 이용한 전력설비 열화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194021B1 (ko) * 2012-05-10 2012-10-24 주식회사 포스 다면적 온도감지를 이용한 배전반
KR101336045B1 (ko) 2012-06-22 2013-12-05 대림대학교산학협력단 분전반 및 배전반의 무정전 절연저항 측정장치
KR20140137475A (ko) * 2013-05-21 2014-12-03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현장 설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557B1 (ko) * 2016-07-26 2017-11-20 박순구 농축산 또는 그린 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
KR20190066817A (ko) * 2017-12-06 2019-06-14 한국광기술원 증강현실 이미지 생성장치 및 방법
KR101997770B1 (ko) * 2017-12-06 2019-07-08 한국광기술원 증강현실 이미지 생성장치 및 방법
KR101951700B1 (ko) * 2018-08-17 2019-02-26 파이어컨트롤(주) 전력설비 및 발전설비의 과열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2101092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정상 운영을 위한 통신 사전검증 시스템
KR102101093B1 (ko) * 2018-10-22 2020-04-14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KR102101094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력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134861B1 (ko) * 2018-12-28 2020-07-17 한국전기안전공사 기후 정보 기반의 전기설비 열화 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20138574A1 (ko) * 2018-12-28 2020-07-02 한국 전기안전공사 기후 정보 기반의 전기설비 열화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2380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 전기안전공사 기후 정보 기반의 전기설비 열화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030767B1 (ko) * 2019-05-03 2019-10-10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전기 설비 노후화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8602A (ko) * 2019-08-06 2021-02-18 (주)아이리녹스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5308B1 (ko) * 2019-08-06 2021-04-05 (주)아이리녹스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8616B1 (ko) * 2019-12-05 2020-08-26 김경업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KR102336030B1 (ko) * 2021-09-06 2021-12-07 (주)제이앤씨아이앤씨 전기차 충전기 화재 감지 및 상태 이상 예측 시스템
KR20230065442A (ko) * 2021-11-05 2023-05-12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쿨링 방법
KR102567252B1 (ko) 2021-11-05 2023-08-28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쿨링 방법
KR102512691B1 (ko) * 2022-07-29 2023-03-24 (주)넥슨스타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
KR102555156B1 (ko) * 2022-12-13 2023-07-18 김대호 고정 열화상 카메라와 이동 열화상 카메라에 기반한 수배전반용 열화상 감시 진단 시스템
KR102654584B1 (ko) * 2023-07-10 2024-04-05 (주)빅트론 터널용 전기실의 무인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239B1 (ko)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KR101762534B1 (ko)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25423B1 (ko) 전기설비 통합관리 방법
CN105187769B (zh) 高压输电线路状态监测系统
KR102148638B1 (ko)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발열 감지 장치
CN104202881B (zh) 路灯控制系统
US9548943B2 (en) Dual communication-interface faci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106724B1 (ko) 보조 배터리와 블랙박스를 구비한 스마트 분전반
KR101631679B1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KR101800231B1 (ko) 드론을 이용한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 온도 감시 방법
CN204705416U (zh) 10kv电缆线路接头监控报警装置
KR101867469B1 (ko)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KR20210019625A (ko) 네트워크 기반의 비상벨 경보장치를 이용한 비상벨 통제 시스템
KR101687189B1 (ko) 공연연출 관리 시스템
KR20210123042A (ko)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공유형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WO2014180335A1 (zh) 热像分析监测装置、监测系统和热像分析监测方法
CN203788397U (zh) 一种led灯智能监控系统
KR101655321B1 (ko) 가로등 전력을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US20140184195A1 (en) Power quality measuring device used in distribution line for integrated voltage and var control
US20140320671A1 (en) Television camera device
CN105811578A (zh) 输电线路监控平台及其电源监控算法和图像预警算法
KR20210095472A (ko)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산업용 장비의 온도 및 전류 감시 방법
CN205719262U (zh) 一种红外测温分析系统
WO2014180338A1 (zh) 热像监测装置、监测系统及热像监测方法
KR102288535B1 (ko)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수처리시설의 현장감시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