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616B1 -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616B1
KR102148616B1 KR1020190160313A KR20190160313A KR102148616B1 KR 102148616 B1 KR102148616 B1 KR 102148616B1 KR 1020190160313 A KR1020190160313 A KR 1020190160313A KR 20190160313 A KR20190160313 A KR 20190160313A KR 102148616 B1 KR102148616 B1 KR 10214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monitoring
complex
facilitie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업
Original Assignee
김경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업 filed Critical 김경업
Priority to KR102019016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설 키퍼 모듈(100); 감시 인력 단말(200); 네트워크(300); 및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 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단지 구역별로 시설을 관리하고 각 단지 구역을 통합하여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단지 구역 간 중요 시설물(20)을 IoT 기술을 적용하여 단지별 또는 여러 단지를 복수로 감시하고, 시설 키퍼 모듈(100)에 의해 생성된 감시 데이터가 시설 키퍼 모듈(100)로부터 직접 또는 감시 인력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로 수집되거나 시설 관리 서버(400)에 의한 중계에 따라 다른 단지 구역의 감시 인력 단말(200) 간에 공유에 해당하는 상호 연락이 가능하고 상호 시설의 감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 발생시 동시에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단지 구역을 통합하여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단지 구역 간 중요 시설물을 IoT 기술을 적용하여 단지별 또는 세대별로 감시하고, 생성된 감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시설 관리 서버로 수집되거나 시설 관리 서버에 의한 중계에 따라 다른 단지 구역의 감시 인력 단말 간에 공유에 해당하는 상호 신속한 연락이 가능하고 상호 시설의 감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 발생시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Facility keeper system based on multiple complex}
본 발명은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단지별로 시설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각 단지 구역을 통합하여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단지 구역 간 중요 시설물을 IoT 기술을 적용하여 단지별 공용시설을 감시하고, 생성된 감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시설 관리 서버로 수집되거나 시설 관리 서버에 의한 중계에 따라 다른 단지 구역의 감시 인력 단말 간에 공유에 해당하는 상호 신속한 연락이 가능하고 상호 시설의 감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 발생시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전기설비, 소방설비, 급수설비, 배수설비 등을 사용하기 위한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건물 내에 설치된 기자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해당 기자재가 위치된 지점을 직접 방문,상주 점검하고 유지 보수해야 한다.
이에, 건물 내에 설치된 기자재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건물 관리시스템으로 빌딩 자동화 시스템(Building Automation System, BAS), 지능형 빌딩 시스템(Intelligent Building System, IBS),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 빌딩 관리 시스템(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등이 있다.
특히,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은 시설물 관리를 위해 시설물이 설치된 환경이나 주변 공간, 설치장비나 설비 그리고 이를 운영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한 인력이 기본적으로 상호 유기적인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시스템은 각자의 단지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여러 단지를 동시에 관리하면서 서로 공유하는 시스템은 적용한 바는 없다 이로 인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협력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054536(2014.05.08)호 "맞춤형 시설물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관리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customiz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단지 구역을 통합하여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단지 구역 간 중요 시설물을 IoT 기술을 적용하여 단지별 공용시설을 감시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시설 관리 서버로 수집되거나 시설 관리 서버에 의한 중계에 따라 다른 단지 구역의 감시 인력 단말 간에 공유에 해당하는 상호 신속한 연락이 가능하고 상호 시설의 감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 발생시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은, 시설 키퍼 모듈(100); 감시 인력 단말(200); 네트워크(300); 및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 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단지 구역별로 시설을 관리하고 각 단지 구역을 통합하여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단지 구역 간 중요 시설물(20)을 IoT 기술을 적용하여 단지별 또는 여러 단지를 복수로 감시하고, 시설 키퍼 모듈(100)에 의해 생성된 감시 데이터가 시설 키퍼 모듈(100)로부터 직접 또는 감시 인력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로 수집되거나 시설 관리 서버(400)에 의한 중계에 따라 다른 단지 구역의 감시 인력 단말(200) 간에 공유에 해당하는 상호 연락이 가능하고 상호 시설의 감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 발생시 동시에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는, 각 단지 영역의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소방 시설(23)을 포함하는 시설물(20)에 대한 감시 데이터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각 단지 영역의 시설 키퍼 모듈(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거나, 각 단지 영역의 시설 키퍼 모듈(100)을 관리하는 감시 인력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각 제 1 내지 제 3 단지 DB에 구비된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분류되어 저장하도록 하는 정보 수집 모듈(4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인력 단말(200)은, 자신이 관리하는 시설 키퍼 모듈(100)에 대해서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액세스(access)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은, IoT 연계와 공유 인력의 협력으로 효율적인 시설관리를 통한 화재예방 및 긴급고장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단지 구역을 통합하여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단지 구역 간 중요 시설물을 IoT 기술을 적용하여 단지별 또는 세대별로 감시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은, 감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시설 관리 서버로 수집되거나 시설 관리 서버에 의한 중계에 따라 다른 단지 구역의 감시 인력 단말 간에 공유에 해당하는 상호 신속한 연락이 가능하고 상호 시설의 감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 발생시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기능으로 전력 DR(Demand Response) 참여로 Smart grid 및 Micro grid 시장에 참여할 수 있다. 즉, 전력상승으로 발전소의 신규건설이 요구되고 미세먼지 등으로 화력발전소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 전력사용의 자재를 요청하는 제도가 활성화 되고 있는데 이를 DR이라 하며, 공동주택의 통합관리를 통하여 이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참여한 건축물은 일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 중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 중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에 의해 각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에서 각 시설물(20)에 대해서 각 단지 구역(11, 12, 13) 별로 관리 및 DB가 저장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 중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 중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에 의해 각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에서 각 시설물(20)에 대해서 각 단지 구역(11, 12, 13) 별로 관리 및 DB가 저장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시설물에 대한 관리를 제공받는 제 1 단지(11), 제 2 단지(12), 제 3 단지(13)에 해당하는 단지 구역, 그리고 각 단지 구역에 대해서 설치되는 하나의 시설 키퍼 모듈(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 인력 단말(200), 그 밖에 네트워크(300),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 복수의 보수 업체 단말(500)로 이루어진 보수 업체 단말 그룹(500g), 빅데이터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단지 구역은 3개를 예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최소한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인력 단말(200)은 각 단지 구역(11, 12, 13) 별로 시설물 관리를 위해 관리자가 운영하는 단말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정될 수 있거나, 모든 단지(11, 12, 13)에 대한 공통적인 시설물 관리자가 운영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3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3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각 단지 구역에 대해서 설치되는 하나의 시설 키퍼 모듈(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 인력 단말(200),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 복수의 보수 업체 단말(500)로 이루어진 보수 업체 단말 그룹(500g), 빅데이터 서버(6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해서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은 각 단지 구역(11, 12, 13) 별로 시설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각 단지 구역을 통합하여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단지 구역 간 중요 시설물(20)을 IoT 기술을 적용하여 단지별 또는 세대별로 감시하고, 생성된 감시 데이터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로 수집되거나 시설 관리 서버(400)에 의한 중계에 따라 다른 단지 구역의 감시 인력 단말(200) 간에 공유에 해당하는 상호 신속한 연락이 가능하고 상호 시설의 감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 발생시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는 송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하며, 제어부(420)는 정보 수집 모듈(421), 시설 키핑 모듈(422), 시설 톡 모듈(423) 및 시설물 관리 모듈(4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제어부(420)를 구성하는 각 모듈을 중심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 및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정보 수집 모듈(421)은 각 단지 영역의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소방 시설(23) 등을 포함하는 시설물(20)에 대한 감시 데이터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각 단지 영역의 시설 키퍼 모듈(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거나, 각 단지 영역의 시설 키퍼 모듈(100)을 관리하는 감시 인력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도 5와 같이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각 제 1 내지 제 3 단지 DB에 구비된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분류되어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시 인력 단말(200)은 자신이 관리하는 시설 키퍼 모듈(100)에 대해서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액세스(access)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시설(21)은 모듈화된 장비로 변압기 보호 및 정전 감시 장치일 수 있으며, 각 단지 구역의 변압기 보호 및 정전 감시 장치에 의한 정전을 감시하며, 설비 시설(22)은 급수펌프/배수펌프/정화조 감시 장치일 수 있으며, 급수펌프 감시 장치는 급수펌프 주의의 압력 측정을 통해 각 단지 구역의 급수펌프의 전원 Off 또는 정지를 감시하며, 배수펌프 감시 장치는 배수펌프 주의의 수위 측정을 통해 배수펌프의 전원 Off 또는 정지를 감시하며, 정화조 감시 장치도 정화조 배수펌프 주위의 수위 측정을 통해 각 단지 구역의 배수펌프의 전원 Off 또는 정지를 감시할 수 있다. 한편, 소방 시설(23)은 화재수신반 감시 장치로 테스트 신호를 통해 각 단지 구역의 화재수신반의 작동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시설(21)에 해당하는 모듈화된 변압기 보호 및 정전 감시 장치는 변압기의 상별 전류, 상별 전압, 상별 불평형, 상별 온도, 상별 고조파를 감시할 수 있으며, 시설 키핑 모듈(422)에 의한 분석에 따라 이상시 시설 톡 모듈(423)에 의한 담당 감시 인력 단말(200)로 문자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지 영역의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은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RS-485 유선 통신 방식으로 시설 키퍼 모듈(100)로 감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정보 수집 모듈(421)은 수집된 감시 데이터에 대해서 각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 각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의 메인 식별 ID, 그리고 각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의 하위에 속하는 구성요소가 복수개인 경우 보조 식별 ID와 함께 감시 데이터의 집합을 데이터베이스(430)에 각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네트워크 기반으로 저장될 수 있다.
시설 키핑 모듈(422)은 각 단지 영역의 감시 데이터의 집합이 수신되는 경우, 감시 데이터의 집합의 메타데이터인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를 추출한 뒤, 감시 데이터가 수신된 하나의 단지 영역에 대해서 설정된 모든 감시 인력 단말(200) 뿐만 아니라, 감시 데이터가 수신된 단지 영역에 대해서 설정되지 않은 다른 모든 감시 인력 단말(200)의 단말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한 뒤, 감시 데이터 공유 가능 메시지와 함께 각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업로드된 감시 데이터에 대해서 동일한 소속 그룹 단지에 속하는 각 제 1 내지 제 3 단지(11 내지 13)에서 시설 관리 인력이 운영하는 모든 감시 인력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시설 톡 모듈(423)은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에서 정전, 단수, 침수, 화재 등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든 단지 영역(11 내지 13)에 소속된 감시 인력 단말(200)에 대한 시설 토크 방이 개설이 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설 톡 모듈(423)은 시설 토크 방을 개설시 복수개로 개설하고, 메인 메뉴에서 각 감시 인력 단말(200)의 GPS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사전에 수집한 뒤, 하나의 단지 영역에서 위치 정보에 따라 구분된 분할 영역별 시설 토크 방 목록을 제공하거나, 자동적으로 감시 인력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단지 영역에서 위치 정보에 따라 구분된 분할 영역별 시설 토크 방으로 입장하도록 하는 푸쉬 메시지 또는 URL 메시지를 복수의 감시 인력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설 토크 방 개설 과정을 통해 시설 톡 모듈(423)은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메인 식별 ID 및/또는 보조 식별 ID을 이용해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지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메인 식별 ID 및/또는 보조 식별 ID이 위치하는 구분된 분할 영역을 전자 맵 상에서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구분된 분할 영역에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감시 인력 단말(200)에게 시설 토크 방을 우선적으로 개설할 수 있으며, 시설 토크 방이 개설된 구분된 분할 영역의 반경에서 근접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시설 토크 방과 함께 시설 토크 방의 구분된 분할 영역의 위치 정보와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이 위치한 위치 정보 간의 실시간 거리 정보를 시설 토크 방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메인 메뉴에 시설 토크 방의 방제목을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위치 정보와 거리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감시 인력 단말(200)을 운영하는 시설 관리 인력이 각 거리 정보에 따른 시설 토크 방에 대한 선택을 통해 이벤트의 성격에 따른 상호 긴급 연락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지 영역(10: 11, 12, 13)의 그룹에 속한 시설 관리 인력은 자신의 감시 인력 단말(200)을 통해 다른 감시 인력 단말(200)과 상호 연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벤트 발생시 동시 전달 가능한 시설 토크가 효과적으로 제공 가능하다.
시설물 관리 모듈(424)은 각 단지 영역에 속하는 세대 전유 부분에 대해서도 시설물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시설물(20)은 세대 전유 부분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설물 관리 모듈(424)은 정보 수집 모듈(421)에 의해 수집하는 감시 데이터에 대해서 각 세대 전유 부분에 해당하여 각 단지 영역의 고유 번호에 추가하여 각 세대 고유 번호가 함께 수신되는 경우, 각 단지 영역의 고유 번호 및 각 세대 고유 번호와 함께 각 세대 전유 부분의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의 메인 식별 ID, 그리고 각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의 하위에 속하는 구성요소가 복수개인 경우 보조 식별 ID와 함께 감시 데이터의 집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벤트가 발생시, 세대 전유 부분의 노후 설비 교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시설(21)은 전기 조명 등에 대한 감시 센서로 각 세대 전유 부분에 구성된 전기 조명에 대한 IoT 스위치에 대한 전원 On인 경우의 전기 조명에 의한 조도 변화를 감시할 수 있으며, 설비 시설(22)은 수도, 변기, 보일러, 방충망 등에 대한 감시 센서로 각 세대 전유 부분의 변기 펌프, 보일러 펌프 주의의 압력을 측정하여 각 펌프의 전원 Off 또는 정지를 감지하고, 각 세대 전유 부분의 방충망 등에 대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으로 보수해야할 곳을 감시할 수 있으며, 소방 시설(23)은 각 세대 전유 부분의 화재 가스 감지기에 대한 감시 센서에 해당하며, 화재 가스 감지기로 테스트 신호를 통해 화재 가스 감지기의 작동을 감시할 수 있다.
이후, 시설물 관리 모듈(424)은 세대 전유 부분에 대한 감시 데이터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보수 업체 단말 그룹(500g)을 구성하는 각 보수 업체 단말(500)로의 견적의뢰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설물 관리 모듈(424)은 각 감시 데이터에 대한 분석에 따라 전기 조명 교체, 범프 교체, 방충망 수리, 화재 가스 감지기 수리 등에 해당하는 수리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모든 단지 영역(10 : 11 내지 13)에 소속된 감시 인력 단말(200)에 대해서 수리 이벤트가 발생한 단지 영역의 고유 번호, 세대 고유 번호와 함께 수리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 중 하나를 포함한 시설물 관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설물 관리 요청을 수신한 감시 인력 단말(200)이 복수인 경우, 시설물 관리 모듈(424)은 시설물 수리를 위한 시설 토크 방이 개설이 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각 감시 인력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시설물 관리 모듈(424)은 개설된 시설 토크 방 상에서 각 감시 인력 단말(200)을 운영하는 시설 관리 인력에 의한 보수 업체 의뢰 결정이 완료됨을 챗봇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즉 시설물 관리 모듈(424)은 챗봇 알고리즘을 통해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단가 정보 및 교체에 따른 작업료 정보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600)로 액세스하여 요청하여 작업료 정보를 수신하여 개설된 시설 토크 방에 제공하고, 각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에 해당하는 수리해야하는 시설물(20)의 단가 정보를 합산하여 합산된 가격 정보 및 작업료 정보와 함께, 각 시설물(20)의 가격정보 및 작업료 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웹 사이트상에 게시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 서버(600)는 각 보수 업체 단말(500)로부터 각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에 해당하는 수리해야하는 시설물(20)의 단가정보, 그리고 각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에 해당하는 수리해야하는 시설물(20)에 대한 건축 구조도면에 따른 작업료를 수신하여 평균을 연산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한 뒤, 시설물 관리 모듈(424)에 의한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모듈(42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설물(20)의 가격정보 및 작업료 정보에 대한 웹 사이트 상의 게시에 따라 각 보수 업체 단말(500)의 신청을 통해 가장 먼저 신청하거나 제시된 단가정보 및 작업료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금액을 제시한 보수 업체 단말(500)을 선정한 뒤, 선정된 보수 업체 단말(500)로 단지 영역의 고유 번호 및 세대 고유 번호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세대주 단말의 단말식별번호로 보수 업체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물 관리 모듈(424)은 선정된 보수 업체 단말(500)에 의한 시설물(20)에 대한 수리에 따른 가격정보 및 작업료를 합산한 뒤, 합산된 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에 대한 수수료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보수 업체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보수 업체 단말(500)에 의한 금융기관서버(미도시) 온라인 이체 또는 온라인 카드 결제가 수행되도록 하고 결제된 금액을 단지 영역의 관리를 위한 관리비로 충당할 수 있다.
추가기능으로 전력 DR(Demand Response) 참여로 Smart grid 및 Micro grid 시장에 참여할 수 있다. 즉, 전력상승으로 발전소의 신규전설이 요구되고 미세먼지 등으로 화력발전소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 전력사용의 자재를 요청하는 제도가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를 DR이라 하며, 공동주택의 통합관리를 통하여 이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참여한 건축물은 일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요한 경우 약정된 전력을 끌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면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보다 더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DR 이란 전력거래소와 전력소비자가 약정을 하고 전력거래소가 요구하는 시간에 최소 1시간에서 최대 2시간 동안 전력을 꺼 주거나 대체 전원을 사용하면 비용을 지불하는 제도로, 최근에 국민 DR(에너지 쉼표라는 제도)가 11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도로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에 적용하면 전체건물을 통합관리하는 기능으로 매우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그리드 시스템이란 한 채의 건물에서도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가 된다는 개념으로, 작은 개념은 마이크로 그리드 조금 큰 개념으로는 스마트 그리드라고 한다. 건축물 전체가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발전소가 덜 가동 되어도 되므로 전력을 생산한다 라는 개념이고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으로 전체 건물을 공유 시스템으로 묶는다면 엄청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전기를 최대로 사용하는 시간이 오후 8시부터 11시까지 이고 일반 상업시설은 오전 9시30분부터 오후 4시30분까지이며 전국 최대 전기사용량은 상업시설 사용시간에 발생된다. 이때 공동주택은 전기를 대부분 사용하지 않으며 주로 지하주차장 관리사무소 등 공용시설에서만 사용되기 때문이다.
야간근무자 근무중, 근무형태가 24시간 격일제로 삶의 질이 추락하고, 노령화 비전문가 기술력약화(비전문가)로 30년전 시스템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화재발생 이유로 점검부주의로 인한 모두 인재로 인한 화재 사고하고 있다. 즉, 용역화로 점검 재대로 이루지지 않아 인건비 절감이 목적이며, 체계화된 관리가 안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른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의 기대효과로 IoT, ICT융합 전문가 엔지니어링 컨설팅 매뉴얼 점검의 체계와 부실점검에 대해서 바로 확인하고 협업공유로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DR로 에너지 절감 수익창출에 따라 관리비를 지출할 수 있다.
시설물 빅데이터 활용으로 화재예방 시설 노후 교체 타이밍 예측 점검부실을 확인하고 단지별 인력공유로 동일한 기술직렬의 협조로 공동점검 가능하여, 인건비 절감으로 야간인력 1명이 근무하는 곳도 매우 많은 실태에 따라 공유인력 필요로 하고 있어서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1)에 의해 제공되는 인력공유, 엔지니어, DR, 시설점검, ICT, IOT 개념의 복합 서비스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11 : 제 1 단지
12 : 제 2 단지
13 : 제 3 단지
100 : 시설 키퍼 모듈
200 : 감시 인력 단말
300 : 네트워크
400 : 통합 시설 관리 서버
410 : 송수신부
420 : 제어부
421 : 정보 수집 모듈
422 : 시설 키핑 모듈
423 : 시설 톡 모듈
424 : 시설물 관리 모듈
430 : 데이터베이스
500 : 보수 업체 단말
500g : 보수 업체 단말 그룹
600 : 빅데이터 서버

Claims (3)

  1. 시설 키퍼 모듈(100); 감시 인력 단말(200); 네트워크(300); 및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 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단지 구역별로 시설을 관리하고 각 단지 구역을 통합하여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단지 구역 간 중요 시설물(20)을 IoT 기술을 적용하여 단지별 또는 여러 단지를 복수로 감시하고, 시설 키퍼 모듈(100)에 의해 생성된 감시 데이터가 시설 키퍼 모듈(100)로부터 직접 또는 감시 인력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300)를 통해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로 수집되거나 시설 관리 서버(400)에 의한 중계에 따라 다른 단지 구역의 감시 인력 단말(200) 간에 공유에 해당하는 상호 연락이 가능하고, 상호 시설의 감시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 발생시 동시에 이벤트 정보를 다른 단지 구역의 감시 인력 단말(200)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통합 시설 관리 서버(400)는,
    전기 시설(21)이 모듈화된 장비로 변압기 보호 및 정전 감시 장치에 해당하여, 각 단지 구역의 변압기 보호 및 정전 감시 장치에 의한 정전을 감시하며, 설비 시설(22)이 급수펌프 감시 장치, 배수펌프 감시 장치, 정화조 감시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급수펌프 감시 장치는 급수펌프 주의의 압력 측정을 통해 각 단지 구역의 급수펌프의 전원 Off 또는 정지를 감시하며, 배수펌프 감시 장치는 배수펌프 주의의 수위 측정을 통해 배수펌프의 전원 Off 또는 정지를 감시하며, 정화조 감시 장치는 정화조 배수펌프 주위의 수위 측정을 통해 각 단지 구역의 배수펌프의 전원 Off 또는 정지를 감시하며, 소방 시설(23)이 화재수신반 감시 장치로 테스트 신호를 통해 각 단지 구역의 화재수신반의 작동을 감시하며, 각 단지 영역의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은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RS-485 유선 통신 방식으로 시설 키퍼 모듈(100)로 감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각 단지 영역의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소방 시설(23)을 포함하는 시설물(20)에 대한 감시 데이터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각 단지 영역의 시설 키퍼 모듈(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거나, 각 단지 영역의 시설 키퍼 모듈(100)을 관리하는 감시 인력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한 뒤,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각 제 1 내지 제 3 단지 DB에 구비된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분류되어 저장하도록 하되, 수집된 감시 데이터에 대해서 각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 각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의 메인 식별 ID, 그리고 각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의 하위에 속하는 구성요소가 복수개인 경우 보조 식별 ID와 함께 감시 데이터의 집합을 데이터베이스(430)에 각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를 메타데이터로 저장하는 정보 수집 모듈(421);
    각 단지 영역의 감시 데이터의 집합이 수신되는 경우, 감시 데이터의 집합의 메타데이터인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를 추출한 뒤, 감시 데이터가 수신된 하나의 단지 영역에 대해서 설정된 모든 감시 인력 단말(200) 뿐만 아니라, 감시 데이터가 수신된 단지 영역에 대해서 설정되지 않은 다른 모든 감시 인력 단말(200)의 단말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추출한 뒤, 감시 데이터 공유 가능 메시지와 함께 각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430) 상에 업로드된 감시 데이터에 대해서 동일한 소속 그룹 단지에 속하는 각 단지에서 시설 관리 인력이 운영하는 모든 감시 인력 단말(200)로 제공하는 시설 키핑 모듈(422);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에서 정전, 단수, 침수, 화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동일한 소속 그룹 단지에 속하는 모든 단지 영역에 소속된 감시 인력 단말(200)에 대한 시설 토크 방이 개설이 됨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되, 시설 토크 방을 개설시 복수개로 개설하고, 메인 메뉴에서 각 감시 인력 단말(200)의 GPS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사전에 수집한 뒤, 하나의 단지 영역에서 위치 정보에 따라 구분된 분할 영역별 시설 토크 방 목록을 제공하거나, 자동적으로 감시 인력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단지 영역에서 위치 정보에 따라 구분된 분할 영역별 시설 토크 방으로 입장하도록 하는 푸쉬 메시지 또는 URL 메시지를 복수의 감시 인력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며,
    시설 토크 방 개설 과정을 통해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메인 식별 ID 및 보조 식별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해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단지 영역의 고유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지 영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메인 식별 ID 및 보조 식별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하는 구분된 분할 영역을 전자 맵 상에서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구분된 분할 영역에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감시 인력 단말(200)에게 시설 토크 방을 우선적으로 개설하며, 시설 토크 방이 개설된 구분된 분할 영역의 반경에서 근접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시설 토크 방과 함께 시설 토크 방의 구분된 분할 영역의 위치 정보와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이 위치한 위치 정보 간의 실시간 거리 정보를 시설 토크 방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메인 메뉴에 시설 토크 방의 방제목을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위치 정보와 거리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감시 인력 단말(200)을 운영하는 시설 관리 인력이 각 거리 정보에 따른 시설 토크 방에 대한 선택을 통해 이벤트의 성격에 따른 상호 긴급 연락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각 단지 영역의 그룹에 속한 시설 관리 인력에 대해서 자신의 감시 인력 단말(200)을 통해 다른 감시 인력 단말(200)과 상호 연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벤트 발생시 동시 전달 가능한 시설 토크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설 톡 모듈(423); 및
    시설물(20)이 세대 전유 부분에 대한 것으로, 전기 시설(21)이 전기 조명 등에 대한 감시 센서로 각 세대 전유 부분에 구성된 전기 조명에 대한 IoT 스위치에 대한 전원 On인 경우의 전기 조명에 의한 조도 변화를 감시하고, 설비 시설(22)이 수도, 변기, 보일러, 방충망을 포함하는 감시 대상에 대한 감시 센서로 각 세대 전유 부분의 변기 펌프, 보일러 펌프 주의의 압력을 측정하여 각 펌프의 전원 Off 또는 정지를 감지하고, 각 세대 전유 부분의 방충망에 대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으로 보수해야할 곳을 감시하며, 소방 시설(23)이 각 세대 전유 부분의 화재 가스 감지기에 대한 감시 센서에 해당하며, 화재 가스 감지기로 테스트 신호를 통해 화재 가스 감지기의 작동을 감시하는 경우,
    각 단지 영역에 속하는 세대 전유 부분에 대해서도 시설물 관리를 제공하되,
    정보 수집 모듈(421)에 의해 수집하는 감시 데이터에 대해서 각 세대 전유 부분에 해당하여 각 단지 영역의 고유 번호에 추가하여 각 세대 고유 번호가 함께 수신되는 경우, 각 단지 영역의 고유 번호 및 각 세대 고유 번호와 함께 각 세대 전유 부분의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의 메인 식별 ID, 그리고 각 전기 시설(21), 설비 시설(22) 및 소방 시설(23)의 하위에 속하는 구성요소가 복수개인 경우 보조 식별 ID와 함께 감시 데이터의 집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벤트가 발생시, 세대 전유 부분의 노후 설비 교체 서비스를 제공하며,
    세대 전유 부분에 대한 감시 데이터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보수 업체 단말 그룹(500g)을 구성하는 각 보수 업체 단말(500)로의 견적의뢰를 수행하기 위해, 각 감시 데이터에 대한 분석에 따라 전기 조명 교체, 범프 교체, 방충망 수리, 화재 가스 감지기 수리에 해당하는 수리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300)를 통해 동일한 소속 그룹 단지에 속하는 모든 단지 영역에 소속된 감시 인력 단말(200)에 대해서 수리 이벤트가 발생한 단지 영역의 고유 번호, 세대 고유 번호와 함께 수리 이벤트가 발생한 시설물(20)의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 중 하나를 포함한 시설물 관리 요청을 전송하며, 시설물 관리 요청을 수신한 감시 인력 단말(200)이 복수인 경우, 시설물 수리를 위한 시설 토크 방이 개설이 됨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각 감시 인력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함으로써, 개설된 시설 토크 방 상에서 각 감시 인력 단말(200)을 운영하는 시설 관리 인력에 의한 보수 업체 의뢰 결정이 완료됨을 챗봇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챗봇 알고리즘을 통해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단가 정보 및 교체에 따른 작업료 정보에 대해서 네트워크(3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600)로 액세스하여 요청하여 작업료 정보를 수신하여 개설된 시설 토크 방에 제공하고, 각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에 해당하는 수리해야 하는 시설물(20)의 단가 정보를 합산하여 합산된 가격 정보 및 작업료 정보와 함께, 각 시설물(20)의 가격정보 및 작업료 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웹 사이트상에 게시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설물(20)의 가격정보 및 작업료 정보에 대한 웹 사이트 상의 게시에 따라 각 보수 업체 단말(500)의 신청을 통해 가장 먼저 신청하거나 제시된 단가정보 및 작업료를 기준으로 가장 낮은 금액을 제시한 보수 업체 단말(500)을 선정한 뒤, 선정된 보수 업체 단말(500)로 단지 영역의 고유 번호 및 세대 고유 번호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세대주 단말의 단말식별번호로 보수 업체 단말(500)의 단말식별번호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30)를 제어하며,
    선정된 보수 업체 단말(500)에 의한 시설물(20)에 대한 수리에 따른 가격정보 및 작업료를 합산한 뒤, 합산된 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에 대한 수수료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보수 업체 단말(5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410)를 제어하는 시설물 관리 모듈(424); 을 포함하며,
    빅데이터 서버(600)는 각 보수 업체 단말(500)로부터 각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에 해당하는 수리해야하는 시설물(20)의 단가정보, 그리고 각 메인 ID 및 보조 식별 ID에 해당하는 수리해야하는 시설물(20)에 대한 건축 구조도면에 따른 작업료를 수신하여 평균을 연산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한 뒤, 시설물 관리 모듈(424)에 의한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160313A 2019-12-05 2019-12-05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KR10214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13A KR102148616B1 (ko) 2019-12-05 2019-12-05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13A KR102148616B1 (ko) 2019-12-05 2019-12-05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616B1 true KR102148616B1 (ko) 2020-08-26

Family

ID=7229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313A KR102148616B1 (ko) 2019-12-05 2019-12-05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6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8559A (zh) * 2020-12-24 2021-04-02 四川众望安全环保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智慧园区综合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572750B1 (ko) * 2023-02-14 2023-08-29 유광열 보증보험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구독형 설비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7376698A (zh) * 2023-10-08 2024-01-09 广东文城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摄像头认领管控方法、装置及系统
CN117575170A (zh) * 2024-01-03 2024-02-20 广东汇通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4661A (ja) * 1992-02-28 1993-09-21 Meidensha Corp ビル群の施設管理システム
KR101634239B1 (ko) * 2016-01-21 2016-06-28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4661A (ja) * 1992-02-28 1993-09-21 Meidensha Corp ビル群の施設管理システム
KR101634239B1 (ko) * 2016-01-21 2016-06-28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054536(2014.05.08)호 "맞춤형 시설물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관리방법(Facility management method using customiz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8559A (zh) * 2020-12-24 2021-04-02 四川众望安全环保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智慧园区综合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598559B (zh) * 2020-12-24 2024-04-12 四川众望安全环保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智慧园区综合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572750B1 (ko) * 2023-02-14 2023-08-29 유광열 보증보험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구독형 설비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7376698A (zh) * 2023-10-08 2024-01-09 广东文城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摄像头认领管控方法、装置及系统
CN117376698B (zh) * 2023-10-08 2024-03-22 广东文城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摄像头认领管控方法、装置及系统
CN117575170A (zh) * 2024-01-03 2024-02-20 广东汇通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616B1 (ko) 복수의 단지 기반의 시설 키퍼 시스템
Kappagantu et al. Challenges and issues of smart grid implementation: A case of Indian scenario
US10872348B1 (en) Determining status of building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s sensor data
CN108765187B (zh) 一种停电故障辅助研判方法、装置及系统
KR100448668B1 (ko) 산업시설 관리 시스템
CN110855004B (zh) 基于多站融合的智慧站一体化监控系统
CN108805441A (zh) 电力应急指挥系统
CN106872856B (zh) 基于多元故障采集的配电网故障主动抢修系统、方法
CN106203830A (zh) 提升配网故障响应和抢修能力的供电服务体系
CN110779573A (zh) 智慧小区物联网数据采集箱
WO2021114856A1 (zh) 一种基于多源数据的保供电系统
CN104516324B (zh) 智能型建筑管理系统及多建筑管理系统
CN105868940A (zh) 一种电网故障信息发布和处理系统
CN103199559A (zh) 智能中控式太阳能家庭屋顶并网发电系统及其操作方法
CN112990681A (zh) 一种电网应急指挥系统
CN106845780A (zh) 一种发电机组运行工况分析系统及其分析方法
CN104678773B (zh) 基于公共云服务的智能化建筑群及其控制方法
KR102634956B1 (ko) Ai 기반 빅 데이터 분석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주기 사후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48014A (ko) 철도 전기설비 기술지원 시스템
CN115641070A (zh) 一种电网突发事件多层级多部门联动处置方法与推演装置
CN106026388A (zh) 一种变电站故障信息自动发布和处理系统
CN213024482U (zh) 一种土壤修复场站冗余监控管理系统
CN111353767B (zh) 一种土壤修复场站冗余监控管理系统
CN116582566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慧园区管理平台
CN116800800A (zh) 一种基于5g网关的智慧社区物联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