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093B1 -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093B1
KR102101093B1 KR1020180125868A KR20180125868A KR102101093B1 KR 102101093 B1 KR102101093 B1 KR 102101093B1 KR 1020180125868 A KR1020180125868 A KR 1020180125868A KR 20180125868 A KR20180125868 A KR 20180125868A KR 102101093 B1 KR102101093 B1 KR 102101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data
power
delete delete
sub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창
한국찬
심상만
박순복
김성래
이영진
박성린
Original Assignee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현장기기 제어신호에 따라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전자장치와,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에 의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운영장치를 포함하되,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 전송하기 이전에, 해당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 시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와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가 오조작으로 고장 또는 정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운영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와 함께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를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 수행 이전에 오조작 발생여부를 운영자가 쉽고 정확하게 확인하여 오조작에 따른 정전 또는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MISUSE PREVENTING SYSTEM FOR NORMAL CONTROLLING OF ELECTRIC POWER FACILITIES}
본 발명은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자동화시스템의 통신 국제 규격 IEC 61850이 제정된 이후 국내외적으로 단일 규격이 적용된 변전소 보호, 제어, 감시를 위한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와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비롯한 상위운영시스템 제품이 양산되고, IEC 61850 기반의 변전자동화시스템 적용이 확대되어가고 있다.
IEC 61850 기반의 변전자동화시스템은 기존의 제어 케이블(Hard-wire)에 의한 1 대 1 방식이 아닌 이더넷 환경 하에서 이루어지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디지털 방식으로 정보교환이 이루어진다.
IEC 61850 기반의 변전자동화시스템은 변전소를 구성하는 모든 설비를 가상의 데이터 모델로 구현하고 모든 제품에 동일한 데이터 정보객체를 가지고 구현한다.
그리고, 종래의 변전자동화시스템에서 실제 차단기, 단로기, 접지 단로기 등과 같은 개폐기기의 제어가 필요할 때 운영자가 상위시스템에서 실제 개폐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하지만, 변전소에서 휴전조작을 한다거나 차단기, 단로기, 접지 단로기 등과 같은 개폐기기를 투입하려고 했을 때, 실제 운영자의 잘못된 판단으로 다른 차단기, 단로기, 또는 집지 단로기를 잘못 제어한다면 변전소의 정전 발생이나 다른 곳으로 고장이 파급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68624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전자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운영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상태에서,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 수행 이전에 미리 변전소 내부 상황을 확인하여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 수행 시 정전 또는 고장이 발생되는지를 미리 판단해 운영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현장기기 제어신호에 따라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전자장치; 및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에 의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운영장치를 포함하되,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 전송하기 이전에, 해당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 시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와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가 오조작으로 고장 또는 정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운영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와 함께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를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운영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해당 운영자가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구성, 편집, 수정, 추가, 삭제, 또는 등록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팝업창(Pop-up) 형태로 상기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전자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부터 관리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전자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SCL(Substation Configuration Language) 기반으로 구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부터 획득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종류에 따라 트리(Tree)구조 또는 테이블 형태로 운영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운영자가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또는 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별 또는 현장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별 또는 현장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전자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신망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기 설치된 전력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부터 관리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가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외부의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의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서 다운로드된 전력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전자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운영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a)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 시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와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의 비교 분석결과,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가 오조작으로 고장 또는 정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운영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와 함께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를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에서의 비교 분석결과,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가 정상조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해당 현장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각 지능형 전자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현장기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해당 현장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a) 이전에,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운영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해당 운영자가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구성, 편집, 수정, 추가, 삭제, 또는 등록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에서,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팝업창(Pop-up) 형태로 상기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에,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 또는 상기 단계(d) 이후에, 각 지능형 전자장치를 통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1 단계와,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제1 단계에서 관리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계에서, 각 지능형 전자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SCL(Substation Configuration Language) 기반으로 구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제2 단계에서 획득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종류에 따라 트리(Tree)구조 또는 테이블 형태로 운영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해당 운영자가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또는 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별 또는 현장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와,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별 또는 현장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계 이후에, 각 지능형 전자장치를 통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통신망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기 설치된 전력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부터 관리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가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 이후에,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외부의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의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이용하여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설정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서 다운로드된 전력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술한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전자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운영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상태에서,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 수행 이전에 미리 변전소 내부 상황을 확인하여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 수행 시 정전 또는 고장이 발생되는지를 미리 판단해 운영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전소의 각 포인트의 구조를 연결 리스트에 담아 변전소 연결리스트를 구성해 정전이나 고장파급의 발생여부를 미리 판단함으로써, 제어 시도 시 발생되는 문제를 사전에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어 운영자가 잘못된 판단을 했을 경우 재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문제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지능형 운영장치의 운영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20), 클라이언트 단말(3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지능형 전자장치(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ED)(100-1 내지 100-N)는 외부(예컨대,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 운영자 단말(20), 클라이언트 단말(30) 등)로부터 입력된 현장기기 제어신호에 따라 변전소(Transforming Station)(미도시)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예컨대, 변압기, 변류기, 변성기, 피뢰기, 부하개폐기, 전력퓨즈, 차단기, 분전반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Serv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예컨대, SCL(Substation Configuration Language) 기반으로 구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지능형 운영장치(예컨대, HMI(Human Machine Interface) 등)(200-1 내지 200-N)는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에 의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로 전송하기 이전에, 해당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 시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와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가 오조작으로 고장 또는 정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운영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와 함께 고장 또는 정전 경보정보를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는 예컨대, 제어기기 포인트 전/후로 연결된 연결고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운영자 단말(2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통해 해당 운영자가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구성, 편집, 수정, 추가, 삭제, 및/또는 등록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팝업창(Pop-up) 형태로 운영자 단말(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모듈(미도시)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관리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 상위 장치들로서, 특히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획득된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운영자 단말(2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운영자가 해당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및/또는 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획득된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및/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종류에 따라 트리(Tree)구조 및/또는 테이블(Table) 형태로 운영자 단말(2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운영자가 해당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및/또는 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획득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변전소 도면과 매핑하여 해당 운영자가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또는 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시간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요일별 및/또는 주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분기별 및/또는 년별로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별 및/또는 현장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저장모듈(미도시)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별 및/또는 현장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외부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각 현장기기의 상태값 및/또는 계측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 설정된 각 현장기기의 기준 상태값 및/또는 계측값을 초과할 경우 각 현장기기에 대응되는 경고 메시지를 해당 운영자가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와 연결된 별도의 음성출력장치(미도시)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네트워크상에서 운영자가 소지한 복수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과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복수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게 시스템 자원(이는 OS,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제공하는 물리적 장비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된 것이며, 예컨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게스트 머신을 통해 복수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공지의 일반적인 개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 환경이란, 인터넷 기반(클라우드)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Infra) 구조를 가지며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가상화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주문형 서비스(on-demand) 컴퓨팅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개념과 통신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컴퓨터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컴퓨터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이에 접속하여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및 컴퓨팅 능력 등을 주문형 서비스(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서버(Server)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스토리지, OS 및 보안 등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골라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해준다.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요청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바코드 파일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장치 즉, 스토리지(Storage)를 구비한다.
한편, 통신망(10)은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도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 및/또는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과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 및/또는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기 설치된 전력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관리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상기 획득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가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서 다운로드된 전력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네트워크 관리서버(6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 A/V(Audio/Video) 입력모듈(22), 사용자 입력모듈(23), 센싱모듈(24), 출력모듈(25), 저장모듈(26), 인터페이스 모듈(27), 단말 제어모듈(28) 및 전원모듈(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21)은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과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은 방송 수신 모듈(21a), 이동 통신 모듈(21b), 무선 인터넷 모듈(21c), 근거리 통신 모듈(21d) 및 위치 정보 모듈(21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a)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21b)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c)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d)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21e)은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22)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a)와 마이크부(22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a)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b)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23)은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의 디스플레이부(25a)를 통해 표시되는 네트워크 유지관리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24)은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개폐 상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방위,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25)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a),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및 햅틱부(2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a)는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25b)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25c)는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25d)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d)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d)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26)은 단말 제어모듈(2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26)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전력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26)은 전력설비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전력설비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력설비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2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28)은 통상적으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28)은 저장모듈(26)에 저장된 전력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전력설비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전력설비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상기 전력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전력설비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a)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b), 알람부(25c), 햅틱부(25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은 배터리부(29a)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29)은 단말 제어모듈(28)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a)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만약,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지능형 운영장치의 운영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방법은, 먼저,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 시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와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비교 분석한다(S100).
만약, 상기 단계S100에서의 비교 분석결과,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가 오조작으로 고장 또는 정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운영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와 함께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를 운영자 단말(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S200)(도 4 내지 도 7 참조).
이때, 상기 단계S200에서,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팝업창(Pop-up) 형태로 운영자 단말(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도 4 내지 도 7 참조).
한편, 상기 단계S100에서의 비교 분석결과,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가 정상조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해당 현장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로 전송한다(S300).
이후에,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를 통해 상기 단계S300에서 전송된 현장기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해당 현장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S400).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단계S100 이전에,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운영자 단말(2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해당 운영자가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구성, 편집, 수정, 추가, 삭제, 및/또는 등록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7 참조).
더욱이, 상기 단계S100 이전에,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100 이전 및/또는 상기 단계S400 이후에,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를 통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1 단계와,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1 단계에서 관리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계에서, 각 지능형 전자장치(200-1 내지 200-N)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예컨대, SCL(Substation Configuration Language) 기반으로 구성하여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제2 단계에서 획득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종류에 따라 트리(Tree)구조 및/또는 테이블(Table) 형태로 운영자 단말(2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해당 운영자가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또는 제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 이후 및/또는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별 및/또는 현장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와,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별 및/또는 현장기기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전력설비별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 이후에,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를 통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 이후에, 통신망(10)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30)에 기 설치된 전력설비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관리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데이터, 상태정보 데이터, 계측정보 데이터, 감시정보 데이터, 제어정보 데이터,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데이터,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가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S400 이후에,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외부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외부의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를 통해 기 설정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을 통해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설정된 운영자 단말(20) 및/또는 클라이언트 단말(30)은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서 다운로드된 전력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지능형 전자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200-1 내지 200-N)에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설정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또는 정전 경보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단계들은 상기 변전소의 운영 조건에 따라 순서가 변경되거나 직렬적 및/또는 병렬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지능형 전자장치,
200-1 내지 200-N : 지능형 운영장치

Claims (30)

  1. 외부로부터 입력된 현장기기 제어신호에 따라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전자장치; 및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에 의해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 운영장치를 포함하되,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 전송하기 이전에, 해당 운영자의 현장기기 제어요청 시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와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현장기기의 제어요청 동작상태정보가 오조작으로 고장 및 정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운영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와 함께 고장 및 정전 경보정보를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운영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운영자가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를 구성, 편집, 수정, 추가, 삭제 및 등록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 정전 경보정보를 팝업창(Pop-up) 형태로 상기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 정전 경보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부터 관리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및 제어정보 데이터를 획득하며, 각 지능형 전자장치로부터 획득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및 제어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종류에 따라 트리(Tree)구조 또는 테이블 형태로 운영자 단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해당 운영자가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및 제어정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지능형 전자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및 제어정보 데이터를 SCL(Substation Configuration Language) 기반으로 구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및 제어정보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율로 인코딩된 채널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클라우드 호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및 제어정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 전송하며,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는, 상기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를 상기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별 또는 현장기기별로 암호화 및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암호화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 정전 경보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외부의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부의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부의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 정전 경보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외부의 운영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 정전 경보정보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며,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나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서 다운로드된 전력설비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각 지능형 전자장치 또는 각 지능형 운영장치에 저장된 각 현장기기의 전력설비정보, 상태정보, 계측정보, 감시정보, 제어정보, 기 등록된 단선도 내 포인트별 전력흐름에 따른 연결고리 상태정보, 고장, 및 정전 경보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80125868A 2018-10-22 2018-10-22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KR102101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868A KR102101093B1 (ko) 2018-10-22 2018-10-22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868A KR102101093B1 (ko) 2018-10-22 2018-10-22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093B1 true KR102101093B1 (ko) 2020-04-14

Family

ID=7029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868A KR102101093B1 (ko) 2018-10-22 2018-10-22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7179A (zh) * 2020-07-02 2020-11-10 江苏胜太电力系统有限公司 基于多模物联网的变电站实时在线防误操作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018A (ko) * 2002-04-01 2003-10-10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지유아이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력계통모의고장발생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50111564A (ko) * 2005-11-10 2005-11-25 윤기형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20090032395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전력공사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22508A (ko) * 2008-05-26 2009-12-01 한국전력공사 구스 메시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4505A (ko) * 2013-11-12 2015-05-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가전기기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서버 및 홈 가전기기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4239B1 (ko) * 2016-01-21 2016-06-28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KR101686249B1 (ko) 2011-08-16 2016-12-14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모듈화된 인터록 장치 및 그의 구성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018A (ko) * 2002-04-01 2003-10-10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지유아이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력계통모의고장발생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50111564A (ko) * 2005-11-10 2005-11-25 윤기형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20090032395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전력공사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22508A (ko) * 2008-05-26 2009-12-01 한국전력공사 구스 메시지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6249B1 (ko) 2011-08-16 2016-12-14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모듈화된 인터록 장치 및 그의 구성 방법
KR20150054505A (ko) * 2013-11-12 2015-05-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가전기기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서버 및 홈 가전기기들에 대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4239B1 (ko) * 2016-01-21 2016-06-28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전기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7179A (zh) * 2020-07-02 2020-11-10 江苏胜太电力系统有限公司 基于多模物联网的变电站实时在线防误操作系统
CN111917179B (zh) * 2020-07-02 2024-04-30 江苏胜太电力系统有限公司 基于多模物联网的变电站实时在线防误操作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609B1 (ko)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인터록 확인 시스템
KR102101094B1 (ko)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력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CN108156205B (zh) 消息推送方法、客户端、服务端及可编程设备
KR102244634B1 (ko) IoT 기반의 유해화학물질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8708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가전기기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876183B1 (ko) IoT 기반의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
KR101878710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홈 관리 시스템
CN104281065A (zh) 一种网络控制充电方法和系统
CN105338550B (zh) 一种用于无线网络的连接的管理方法和装置
WO2020218715A1 (ko) 제로에너지 빌딩에서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CN102938030A (zh) 一种应用的使用权限设置及控制限定区域的方法和终端
KR102244635B1 (ko) 유해화학물질 누출 방재를 위한 관제 시스템
CN108093058B (zh) 演示状态同步方法、装置与系统
CN110941642B (zh) 基于Lucene全文检索的配电网数据处理方法、装置
KR102101093B1 (ko)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CN112311740B (zh) 数据加密方法、数据解密方法、终端及存储介质
KR101971538B1 (ko) 산업용 클라우드 커넥터 관리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3530549B (zh) 移动通讯终端上的文件/应用程序处理方法及装置
KR101990210B1 (ko) 맞춤형 자동 설계 프로그램 생성 시스템
CN112488872A (zh) 一种电力运行数据监控系统
CN111385152A (zh) 一种基于vr设备的硬件管理和内容分发系统
KR102101092B1 (ko)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정상 운영을 위한 통신 사전검증 시스템
KR20210146215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거주 시설 공실 관리 시스템
KR20220027039A (ko) 디지털 트윈 기반의 재난 대피 제어 및 관리 시스템
KR101921588B1 (ko) 산업용 클라우드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