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564A -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564A
KR20050111564A KR1020050107325A KR20050107325A KR20050111564A KR 20050111564 A KR20050111564 A KR 20050111564A KR 1020050107325 A KR1020050107325 A KR 1020050107325A KR 20050107325 A KR20050107325 A KR 20050107325A KR 20050111564 A KR20050111564 A KR 2005011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substation
control panel
centralized monitoring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956B1 (ko
Inventor
윤기형
Original Assignee
윤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형 filed Critical 윤기형
Priority to KR102005010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95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05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by remotely controlling devic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소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미리 탑재한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관리하고자 하는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에 원격 접속하여 원격지에서 운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관리컴퓨터,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 시도 시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관리컴퓨터를 해당 변전소에 접속시키는 관리처메인서버,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접속 신호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의 해당 변전소 접속유지 인허를 결정하는 원격보안장치 및 상기 변전소 내에 메인컴퓨터 및 원격소장치를 구비하여 설치하고 스카다(SCADA) 기능을 갖는 상기 원격소장치를 통해 변전소 내부설비의 현재 상태값과 변전소 내외에서 사용되는 전기적 데이터 값을 취득하며 상기 원격보안장치에서 원격관리컴퓨터를 상기 메인컴퓨터에 연결시켜 상기 데이터를 열람 및 감시하여 변전소의 각종 설비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집중감시제어반으로 구성하여 관리 담당자가 현장으로 이동할 필요없이 원격지에서 컴퓨터로 접속하여 운영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 SUPERVISORY/CONTROL PANAL OF SUBSTATION HAVING SCADA REMOTE TERMINAL UNIT}
본 발명은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거나 수용 중인 변전소 설비의 수정 및 변경이 필요할 때 관리 담당자가 현장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해당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함으로써 원격 운영/관리, 원격 제어 및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의 변전소는 무인화로 운영되고 있으며 상기 변전소에 설치된 집중감시제어반에 의해 대부분의 변전소 설비들에 대한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며 아날로그 계측감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변전소 설비상태는 스카다 다기능 원격소장치를 통해 수십킬로 거리의 원격지에 위치한 급전시스템에 의하여 이중관리되기 때문에 무인화가 가능하며, 집중감시제어반은 24시간 계속적으로 전원을 투입하여 운영되며 2~3일에 한 번씩 변전소를 순회하는 점검반에 의해 상기 집중감시제어반 시스템의 운영 상태가 관리되고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운영되는 집중감시제어반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현재 수용되어 사용 중인 설비의 증설 및 변경사항이 발생되면 변전소 순회반 및 근무자는 우선 관할 전력소 담당자에게 연락하여 시스템 점검을 의뢰하며, 유지보수 담당자(관할 관리처 또는 전력소 근무자)가 해당 변전소로 직접 이동하여 시스템을 점검하거나 증설 및 변경사항에 대한 작업을 수행해야하고 특히 증설 작업의 경우에는 많은 양의 데이터베이스작업(상태, 아날로그 포인트, 페이지작업, 단선결선도 수정작업, 보고서 편집작업)을 현장에서 직접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현장 상황에 따라 작성 DB를 수정 및 변경해야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현장 파견 횟수가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담당자의 유지보수 작업으로 이상현상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작사 담당자에게 연락하여 시스템 점검을 의뢰해야하고 시스템이 정상화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전소 관리자가 원격관리컴퓨터를 해당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에 원격 접속하여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거나 수용 중인 변전소 설비의 수정 및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현장으로 이동할 필요 없이 원격지에서 운영, 관리, 제어 및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접속프로그램에 로그인 후 관리처메인서버의 안내에 따라 특정 변전소를 선택접속하고 상기 선택접속한 변전소 및 접속 컴퓨터의 IP주소를 확인하는 보안절차를 수행하여 집중감시제어반으로의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이 자동 실행되어 원격 운영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시작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미리 탑재한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관리하고자 하는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에 원격 접속하여 원격지에서 운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관리컴퓨터,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 시도 시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관리컴퓨터를 해당 변전소에 접속시키는 관리처메인서버,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접속 신호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의 해당 변전소 접속유지 인허를 결정하는 원격보안장치 및 상기 원격보안장치와 연결되며 변전소 내에 메인컴퓨터 및 원격소장치를 구비하여 설치하고 스카다(SCADA) 기능을 갖는 상기 원격소장치를 통해 변전소 내부설비의 현재 상태값과 변전소 내외에서 사용되는 전기적 데이터 값을 취득하며 상기 데이터를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열람 및 감시하여 변전소의 각종 설비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집중감시제어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를 통해 원격관리컴퓨터와 연결되어 접속사용 현황이 관리되고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 의해 집중감시제어반 접속권한이 주어지는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한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에서 일정 시간동안 작업을 중단하면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접속을 차단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관리컴퓨터는 상기 접속사용현황 데이터를 저장하여 검색 및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운용방법은,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접속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접속프로그램에 로그인하여 상기 접속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실행 후 관리처메인서버의 안내에 따라 관리하고자 하는 변전소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선택한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 접속 후 집중감시제어반을 자동 실행하여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 운영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시작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는 관리처 및 변전소의 IP주소와 관리처 슈퍼유저 및 일반유저의 ID/패스워드를 등록 및 관리하고 상기 슈퍼유저의 원격관리컴퓨터와 연결되어 일반유저가 관리처메인서버 및 원격관리컴퓨터를 통해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일반유저는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슈퍼유저의 최초 접속 시도가 이루어진 후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 접근신호를 전송하여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인증절차 시 입력되는 ID데이터와 등록되어있는 데이터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고 상기 입력 및 등록 ID데이터가 일치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등록되어있는 패스워드데이터와 일치하면 제 3 단계를 실행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단계는 변전소 내의 원격보안장치에서 보안접속절차를 거쳐 집중감시제어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보안장치는 변전소의 IP주소 및 상기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하고자 하는 관리처의 IP주소와 패스워드를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접속절차는 원격보안장치에 입력되는 변전소 IP주소 및 관리처의 IP주소와 패스워드를 사전등록되어있는 데이터와 비교확인하여 상기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면 집중감시제어반에 연결시키고 일치하지 않으면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는 관리처에서의 접속 이력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접속 이력정보는 관리처 사용자의 이름, ID, 접속시작, 접속종료, 변전소명, 접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은 스카다(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기능을 갖는 원격소장치를 통해 고압전력 설비의 스위치 개폐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상태 데이터값과 전기적인 데이터값을 취득하며 상기 데이터값을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은 변전소 관리처의 담당자가 컴퓨터(100:원격관리컴퓨터 또는 120: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망(200)을 통해 변전소 원격보안장치(300)에 접속하면 상기 원격보안장치에서 보안절차를 거쳐 집중감시제어반(310)으로 연결되어 원격 운영 및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전소의 설비가 증설된 경우 현장에 직접가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각종 증설작업이 가능하며, 상기 설비 증설작업으로는, 상태와 아날로그포인트 및 페이지를 편집하는 데이터베이스 편집작업과 단선결선도를 편집하는 그래픽 수정작업과 일보 및 월보보고서를 편집하는 보고서 수정작업과 변전소 설비 상태 및 아날로그 감시를 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모든 기능 점검이 원격지에서 가능하여 시스템을 재부팅 할 수도 있고 각 장치 간의 통신상태 점검 및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3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순회반 또는 근무자가 관리처 담당자에게 이상 발생을 알리고 상기 관리처 담당자가 제작사 담당자에게 연락하면 상기 제작사 담당자가 원격관리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인증절차를 완료한 후 해당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에 원격 접속하고 시스템의 이상현상을 점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의 관리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관리처의 원격관리컴퓨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격관리컴퓨터(100)는 관리처메인서버(110)를 통해 네트워크망(200)과 연결되어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원격관리컴퓨터(100)와 네트워크망(200)은 랜케이블(LAN Cable)로 연결된다. 상기 원격관리컴퓨터(100)는 중앙 운영부서에 설치하는 원격관리시스템의 중앙처리컴퓨터로, 변전소에 설치한 원격보안장치 접속권한을 갖고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의 접근관리에서부터 접속 사용 현황을 관리하며 집중감시제어반을 원격지에서 직접적으로 운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다. 상기 변전소에의 접속 및 운용과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원격관리컴퓨터뿐만 아니라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에도 원격관리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상기 원격관리컴퓨터(100)는 관리처메인서버(110)와 연결되며 주요기능으로는 사용자 등록기능, 접근관리 기능, 하위사용자(관리처를 기준으로 한 경우 전력소 운용자)관리 기능, 접속 및 사용현황 관리기능이 있다. 사전에 탑재한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 완료 시 변전소에서 집중감시제어반을 재부팅한 것과 동일한 시스템 초기 운영화면이 표시되어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을 운용할 수 있지만, 상기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에서 원격관리프로그램을 실행시킨 경우에는 사용자와 변전소를 등록 및 관리하는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상기 등록 및 관리 기능은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슈퍼유저 권한을 갖는 담당자에 한하여 가능하며, 또한 변전소별로 원격보안장치 IP주소를 등록하여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변전소를 선택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전력관리처 슈퍼유저 권한을 갖는 담당자는 전력소 사용자(일반유저)가 일정시간 사용을 중지한 경우에 접속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소 사용자의 일반컴퓨터가 변전소 원격보안장치를 통해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된 순간부터 접속이 중단된 시간까지 적산한 접속 이력이 원격관리컴퓨터에 저장되어 시스템 누산관리자를 통해 접속현황을 검색 및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의 변전소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원격보안장치(300)의 주요기능은 변전소 IP주소 등록과 보안관리 및 접속현황관리 등이며, 관리처에서 원격관리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네트워크망(200)을 통해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310)에 접속을 시도할 경우 접속 목적에 따라 LAN 접속을 통해 집중감시제어반을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슈퍼유저 권한을 갖는 관리처 담당자의 최초 접속 시도가 있어야 일반유저의 계속적인 접속을 인허하며, 사전 등록된 사용자(일반유저)가 아닌 경우 즉시 접속을 중단하고 슈퍼유저 권한을 갖는 관리처 담당자의 재접속을 기다린다. 상기 원격보안장치에 관리처 원격관리컴퓨터로부터 원격접속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응답하고 원격접속 목적에 따라 입력IP주소를 확인한 후 통신을 정상화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원격보안장치(300)에 외부에서의 접속 신호가 전송되면 사전 등록된 슈퍼유저 IP주소가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 담당자의 접속시도인 경우에는 슈퍼유저의 최초 접속이 있고 인증절차가 완료된 경우라도 담당자의 IP주소가 불일치하면 즉시 접속을 차단한다. 정상적인 인증절차를 거쳐 사용자가 운용중인 경우에 미등록 사용자가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켜 운용중인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정상적인 인증절차를 거쳐 사용자가 운용 중이어도 일정시간 동안 사용을 중지한 경우에는 원격보안장치에서 접속을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원격보안장치(300)는 정상적인 인증절차를 거쳐 사용이 시작된 시간부터 접속을 중지한 시간까지 사용자별로 적산하여 파일에 저장하고, 시스템 누산관리자를 통해 사용자별 접속현황의 검색 및 출력이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파일로 저장할 수 있어 접속현황을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에서는 변전소 내 설비에 대한 현재 상태값(예; 스위치 개폐여부) 또는 변전소 외부에서 설비로 유입되는 전기, 변전소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전기, 내부설비에서 사용되는 전기 등의 전기적인 데이터값(전류, 전압, 유효전력, 무효전력, 주파수, 역률, 온도 등)을 SCADA 기능을 갖는 원격소장치를 통해 취득하여 관리자의 변전소 설비 운영을 편리하게 해준다.(상기 데이터값은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하는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원격 관리 및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의 기본 운영 순서를 살펴보면, 원격관리컴퓨터의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 후 접속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1).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에의 접속은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에서 원격관리컴퓨터를 통해 할 수도 있고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직접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접속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기존의 등록정보와 비교확인하고 접속인증을 확인 후 상기 접속프로그램을 활성화한다(S2). 상기 입력한 접속ID가 사전등록된 ID와 일치하지 않으면 시스템은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고 상기 입력 및 등록 ID가 일치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등록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확인비교하며, 입력 및 등록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접속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상기 입력 및 등록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접속프로그램이 활성화되면 관리처메인서버의 안내에 따라 관리하고자 하는 변전소를 선택하여(S3) 상기 선택한 변전소의 원격보안장치에 접속되며 해당 변전소의 IP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정보를 사전에 등록된 정보와 비교확인하고, 상기 입력되는 IP의 등록여부 및 등록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입력 IP가 등록되지 않은 데이터이거나 등록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의 보안절차를 수행한 후에 정상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면(S4) 집중감시제어반의 메인컴퓨터가 자동으로 재부팅되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해당 변전소를 원격 운영 및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한다(S5).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원격관리프로그램의 사용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원격관리프로그램은 관리처 원격관리컴퓨터 및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에 설치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한국전력공사 네트워크망을 통해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에 원격 접속하여 상기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 관리자가 마치 변전소에서 근무하는 것처럼 집중감시제어반을 운영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격관리프로그램은 슈퍼유저 권한을 갖는 관리처 담당자가 총괄 관리하며 상기 담당자에 의해 등록된 변전소 및 사용자에 한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담당자의 인증절차가 있어야만 하위전력소 담당자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원격관리프로그램에서는 상기 도 5a에서 볼 수 있듯이 등록, 접속, 이력관리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 ID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변경 및 조회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변전소의 ID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변전소 ID와 패스워드를 변경 및 조회할 수 있고, 관리자 접속 기능키를 선택하여 슈퍼유저 ID와 패스워드를 확인하면 관리자 접속이 실행되어 변전소별 원격보안장치의 IP와 패스워드를 확인할 수 있고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의 사용자 접속은 접속 전에 관리자(슈퍼유저)에게 접속 목적 및 용도를 통보한 후 관리자의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 사전절차를 정상적으로 종료하여야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관리자의 인증 절차가 성공적으로 종료되면 상기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의 사용자가 해당 변전소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다. 원격관리프로그램은 원격관리컴퓨터와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에서 모두 구동되지만, 상기한 등록 및 관리기능은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경우에만 활성화되고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에서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상기 도 5b는 사용자 접속현황을 나타낸 화면으로,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의 사용자 인증 절차가 종료된 후 해당 변전소에 접속이 성공되면 그때부터 시간이 계산되어 접속을 종료할 때까지 누산하여 파일로 저장하며 사용자 접속현황 기능키를 선택하여 사용자별 접속현황을 검색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 5c는 관리자 접속현황을 나타낸 것으로, 원격관리컴퓨터에서 관리자가 원격접속을 실행하여 변전소 원격보안장치와 접속되면 그때부터 시간을 계산하여 접속 종료시까지 누산하여 파일로 저장하며 관리자 접속현황 기능키를 선택하여 관리자 접속현황을 검색 및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는 실시 예들은 이하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설명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집중감시제어반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거나 수용 중인 변전소 설비의 수정 및 변경이 필요할 때,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관리처메인서버를 통해 해당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에 원격 접속하여 원격지에서 운영, 관리, 제어 및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담당자가 현장으로 이동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작업 수행을 위한 시간을 단축하며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의 관리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의 변전소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관리 시스템의 기본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원격관리프로그램의 사용 실시 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원격관리컴퓨터 110: 관리처메인서버
120: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 200: 네트워크망
300: 원격보안장치 310: 집중감시제어반

Claims (16)

  1.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탑재한 원격관리프로그램을 구동시켜 관리하고자 하는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에 원격 접속하여 원격지에서 운용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격관리컴퓨터;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 시도 시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관리컴퓨터를 해당 변전소에 접속시키는 관리처메인서버;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접속 신호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의 해당 변전소 접속유지 인허를 결정하는 원격보안장치; 및
    상기 원격보안장치와 연결되며 변전소 내에 메인컴퓨터 및 원격소장치를 구비하여 설치하고 스카다(SCADA) 기능을 갖는 상기 원격소장치를 통해 변전소 내부설비의 현재 상태값과 변전소 내외에서 사용되는 전기적 데이터 값을 취득하며 상기 데이터를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열람 및 감시하여 변전소의 각종 설비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집중감시제어반;
    으로 이루어지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를 통해 원격관리컴퓨터와 연결되어 접속사용 현황이 관리되고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 의해 집중감시제어반 접속권한이 주어지는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한 하위전력소 일반컴퓨터에서 일정 시간동안 작업을 중단하면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접속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컴퓨터는 상기 접속사용현황 데이터를 저장하여 검색 및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5.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을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접속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접속프로그램에 로그인하여 상기 접속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실행 후 관리처메인서버의 안내에 따라 관리하고자 하는 변전소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선택한 변전소의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 접속 후 집중감시제어반을 자동 실행하여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 운영 및 유지보수 작업을 시작하는 제 5 단계;
    로 이루어지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는 관리처 및 변전소의 IP주소와 관리처 슈퍼유저 및 일반유저의 ID/패스워드를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는 슈퍼유저의 원격관리컴퓨터와 연결되어 상기 일반유저가 관리처메인서버 및 원격관리컴퓨터를 통해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유저는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서 슈퍼유저의 최초 접속 시도가 이루어진 후 상기 원격관리컴퓨터에 접근신호를 전송하여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인증절차 시 입력되는 ID데이터와 등록되어있는 데이터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등록 ID데이터가 일치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등록되어있는 패스워드데이터와 일치하면 제 3 단계를 실행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변전소 내의 원격보안장치에서 보안접속절차를 거쳐 집중감시제어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보안장치는 변전소의 IP주소 및 상기 변전소 집중감시제어반에 접속하고자 하는 관리처의 IP주소와 패스워드를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접속절차는 원격보안장치에 입력되는 변전소 IP주소 및 관리처의 IP주소와 패스워드를 사전등록되어있는 데이터와 비교확인하여 상기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면 집중감시제어반에 연결시키고 일치하지 않으면 초기화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처메인서버는 관리처에서의 접속 이력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이력정보는 관리처 사용자의 이름, ID, 접속시작, 접속종료, 변전소명, 접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감시제어반은 스카다(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기능을 갖는 원격소장치를 통해 고압전력 설비의 스위치 개폐 여부를 나타내는 현재상태 데이터값과 전기적인 데이터값을 취득하며 상기 데이터값을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 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운용방법.
KR1020050107325A 2005-11-10 2005-11-10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10066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325A KR100663956B1 (ko) 2005-11-10 2005-11-10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325A KR100663956B1 (ko) 2005-11-10 2005-11-10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880U Division KR200406649Y1 (ko) 2005-11-10 2005-11-10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564A true KR20050111564A (ko) 2005-11-25
KR100663956B1 KR100663956B1 (ko) 2007-01-04

Family

ID=3728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325A KR100663956B1 (ko) 2005-11-10 2005-11-10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95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4664A1 (en) * 2006-11-01 2008-05-08 Abb Research Ltd. Electrical substation monitoring and diagnostics
KR100888744B1 (ko) * 2007-12-20 2009-03-17 (주)한빛테크 자동 트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810185A (zh) * 2011-06-03 2012-12-05 北京三博中自科技有限公司 一种流程工业管网系统的调度系统与方法
KR200465307Y1 (ko) * 2008-05-02 2013-02-13 (주)이지시스템 전력시설관리장치
CN109583603A (zh) * 2018-12-06 2019-04-05 国家电网有限公司 基于scada系统的电力设备信息获取和处理系统及其方法
KR102101093B1 (ko) * 2018-10-22 2020-04-14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KR102101092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정상 운영을 위한 통신 사전검증 시스템
KR102101094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력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00103501A (ko) * 2019-02-25 2020-09-02 서우석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KR102262485B1 (ko) * 2019-12-31 2021-06-08 주식회사 대림 일회성 보안키를 이용한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556B1 (ko) 2010-11-25 2013-02-12 한국전력공사 Scada를 이용한 자동 전압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1475571B1 (ko) * 2012-11-28 2014-1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감시 제어 장치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13067B1 (ko) 2017-09-06 2017-12-28 홍석민 IoT 감시 기능을 갖는 게이트웨이 및 스카다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KR20210043135A (ko) 2019-10-11 2021-04-21 한국전력공사 변전소 작업 현황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132A (ko) * 1998-01-08 1999-08-05 이종수 원방 감시 제어장치
KR100347748B1 (ko) * 1999-08-31 2002-08-09 주식회사 젤파워 전력계통의 상태 정보 수집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20010096033A (ko) * 2000-04-17 2001-11-07 이승철 인터넷망을 이용한 산업전력의 감시 및 진단 제어시스템
KR20030036286A (ko) * 2003-02-17 2003-05-09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원격 전력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4664A1 (en) * 2006-11-01 2008-05-08 Abb Research Ltd. Electrical substation monitoring and diagnostics
KR100888744B1 (ko) * 2007-12-20 2009-03-17 (주)한빛테크 자동 트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465307Y1 (ko) * 2008-05-02 2013-02-13 (주)이지시스템 전력시설관리장치
CN102810185A (zh) * 2011-06-03 2012-12-05 北京三博中自科技有限公司 一种流程工业管网系统的调度系统与方法
KR102101093B1 (ko) * 2018-10-22 2020-04-14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KR102101092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정상 운영을 위한 통신 사전검증 시스템
KR102101094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력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CN109583603A (zh) * 2018-12-06 2019-04-05 国家电网有限公司 基于scada系统的电力设备信息获取和处理系统及其方法
KR20200103501A (ko) * 2019-02-25 2020-09-02 서우석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KR102262485B1 (ko) * 2019-12-31 2021-06-08 주식회사 대림 일회성 보안키를 이용한 스마트홈 보안 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956B1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956B1 (ko)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CN108155719A (zh) 用于配电监测的智能云采集系统及方法
CN109857020A (zh) 远程运维管理系统
CN103324148B (zh) 一种机柜安全集中管理系统及控制方法
CN111524306A (zh) 一种机房动力环境集中监控系统
CN105139139A (zh) 用于运维审计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及系统
CN101027873A (zh) 网络管理的系统和方法
CN106911685B (zh) 一种物联网光交箱的智能控制系统
KR101371057B1 (ko) 중계 통신 시스템 및 액세스 관리 장치
CN105785946B (zh) 机房环控一体化监视平台
CN106877508A (zh) 一种倒闸操作实时监控防误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257564A (zh) 一种电气设备运行状态监控系统
CN111293784A (zh) 施工现场临时用电系统
KR20030083880A (ko) 홈네트워크의 정보 단말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128162A (zh) 压缩机远程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200406649Y1 (ko)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CN111210547A (zh) 通过nb-iot技术远程控制的光交箱智能锁系统及方法
KR102406905B1 (ko) 산업 IoT 플랫폼을 이용한 엣지 컴퓨팅 기반 HMI 시스템
CN101578593A (zh) 使用控制台通信的非集中式网络设备管理的系统和方法
CN106230614A (zh) 登录故障自动监控修复方法、系统及电力企业信息系统
KR100586432B1 (ko) 변압기 수냉각설비용 plc 및 ddc 원방운전시스템 및방법
CN11376578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便携式运维网关
CN208675257U (zh) 一种基于通信网管设备的远程登录系统
CN113161913A (zh) 一种重大活动客户侧保电中的配电间巡检装置
JPH10210033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