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395A -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395A
KR20090032395A KR1020070097588A KR20070097588A KR20090032395A KR 20090032395 A KR20090032395 A KR 20090032395A KR 1020070097588 A KR1020070097588 A KR 1020070097588A KR 20070097588 A KR20070097588 A KR 20070097588A KR 20090032395 A KR20090032395 A KR 20090032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management
data
information
sub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319B1 (ko
Inventor
박신열
하복남
이성우
신창훈
권성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7009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3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미들웨어와 연결되고, 변전소, 배전선로, 분산전원에 대한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고, 기본도 데이터, 설비관리 데이터, 고객정보 데이터, 전기고장 축약데이터의 초기데이터를 구축하는 SCADA/DMS 서버와; GIS 설비관리, 고객관리, TCS 관리를 수행하는 GIS 서버와;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이력 서버와; 배전지능화의 시뮬레이션 처리를 수행하는 시뮬레이터와; 변전소의 화면을 배전선로 화면위에서 표출하는 HMI와; 배전선로와 변전소와 분산전원에서의 프론트 엔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FEP;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변전소, 배전선로, 수용가, 분산전원에 이르는 배전계통과 모든 전기설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지능화된 배전계통 통합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배전자동화, 중앙제어장치, SCADA/DMS, 변전소, 배전선로, 분산전원

Description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distribution automation}
본 발명은 배전지능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전소, 배전선로, 수용가, 분산전원에 이르는 배전계통과 모든 전기설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지능화된 배전계통 통합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변전소를 감시 및 제어하는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와 배전계통을 감시 및 제어하는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DAS가 SCADA로부터 단 방향 정보를 취득하였다.
그러나 배전계통을 최적 운전을 위해서는 변전과 배전을 모두 배전제어센터에서 통합 원격운전 할 수 있는 SCADA와 DAS가 통합된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히 단순하게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배전계통을 최적 운전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갖춘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즉, 변전소 단선도용 토폴로지 표시, 조류계산, 원격검침 연동 등 배전계통을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이 탑재되어야 한다.
또한 AM(Automated Mapping) / FM(Facilities Management Systems) /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기능이 구현되는 GIS를 사용하여 고압과 저압 및 고객관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기능과 공사관리, 작업관리, 설비관리 기능과, 고객정보관리 및 TCS(Trouble Call System), AMR(Automatic Meter Reading)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기본적인 기능인 원격감시제어 기능 외에 배전계통을 효율적으로 운전하는데 도움이 되는 부가기능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의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최적화기법의 도입이 필요하며 지능화된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전소, 배전선로, 수용가, 분산전원에 이르는 배전계통과 모든 전기설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지능화된 배전계통 통합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계통 전반의 자동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종래에는 도 1의 전력계통 자동화 시스템 구성도에서, 배전자동화 시스템(11)은 배전선로(15)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기만을 원격 감시 및 제어하는 제한적인 시스템이어서 배전계통의 최적화 운전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의 전력계통 자동화 시스템 구성도에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전소(14), 배전선로(15), 수용가(16), 분산전원(17)에 이르는 배전계통과 모든 전기설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지능화된 배전계통 통합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하고자 것이 목적이다.
종래에는 고압 배전계통이 감시제어 대상이었고, 통신 프로토콜은 DNP3.0만 지원하였으며, 응용프로그램 또한 고장처리, 토폴로지, 단락계산, 조작순서, 보호협조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배전계통의 최적화 운전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고압 및 저압 배전계통이 감시제어 대상이며, 통신 프로토콜은 DNP3.0과 IEC60870을 동시에 지원하며, 응용프로그램 또한 종래의 기능에 부가하여 변전소 단선도용 토폴로지 표시, 조류계산, 작업관리, 정전관리, 보호협조, 고장점 계산,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부하예측, 서비스품질 관리, 분산전원 운전 기능을 지원하여 배전계통의 최적화 운전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GIS 기반 위에서 설비관리, 고객관리 및 TCS를 통합하였으며, AMR 시스템을 연계한 배전선로 통합운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전지능화 시스템에서 중앙제어장치의 설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웨어(Middleware)(28)와 연결되고, 변전소, 배전선로, 분산전원에 대한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고, 기본도 데이터(48), 설비관리 데이터(47), 고객정보 데이터(46), 전기고장 축약데이터(45)의 초기데이터를 구축하는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DMS(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서버(20)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GIS 설비관리, 고객관리, TCS(Trouble Call System) 관리를 수행하는 GIS 서버(21)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이력 서버(22)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배전지능화의 시뮬레이션 처리를 수행하는 시뮬레이터(23)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변전소의 화면을 배전선로 화면위에서 표출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24)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배전선로(Feeder)와 변전소(Substation)와 분산전원(Distributed Generations, D.G.)에서의 프론트 엔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FEP(25, 26, 2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CADA/DMS 서버(20)는, 강결합(Tightly Coupled) 방식으로 구성하여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IS 서버(21)는, 약결합(Loosely Coupled)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EP(25, 26, 27)는, 광통신망을 통해 변전소내의 단말장치(Substation RTU)(29),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용 단말장치(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30), 수용가를 감시/제어하는 단말장치(Customer RTU)(31) 및 분산전원용 단말장치(D.G. RTU)(32)와 연결되어 프론트 엔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EP 중에서 변전소 FEP(26)는, 이중화로 구성하고, 실시간 운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전지능화 시스템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원격 요금 검침을 수행하는 AMR(Automatic Meter Reading)(33)과;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설비관리를 수행하는 FM(Facilities Management Systems)(34)과;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고객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CIS(Customer Information System)(35);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전지능화 시스템에서 중앙제어장치의 모듈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성되고 MSSQL(Microsoft Structured Query Language)을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로 사용하며,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는 SCADA/DMS(60)와; 윈도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성되고 MSSQL(Microsoft Structured Query Language)을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로 사용하며, 상기 SCADA/DMS(60)와 연계하며, GIS 설비관리를 수행하는 GIS 설비관리(61)와;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계하며, 고객관리를 수행하는 고객정보시스템(62)과;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계하며, TCS(Trouble Call System) 관리를 수행하는 TCS(63)와; 상기 SCADA/DAS(60)와 연결하며, 원격검침을 수행하는 AMR(Automatic Meter Reading)(64)과;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결하며, 설비관리를 수행하는 FM(Facilities Management Systems)(65)과;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계하여 외부시스템과의 데이터를 교환 처리를 수행하는 CIS(Customer Information System)(66)와; 상기 SCADA/DAS(60) 및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결하고, 변전소의 화면을 배전선로 화면위에서 표출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6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IS 설비관리(61)는, 고/저압 설비의 등록, 조회, 수정, 삭제 기능을 가지며, 설비관리 대상은 상기 SCADA/DMS(60)에서 관리되고 있는 설비와 전기고장 접수 시 고장위치 예측에 필요한 최소한의 설비만을 관리하고, 설비관리 부분은 상기 FM(65)을 참고하여 초기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IS 설비관리(61)는, 설비 ID 및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설비정보 등록, 도면에 나타내기 위한 설비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설치위치 등록, 도면에 해당 설비의 도형 이미지를 생성하는 도형 생성, 설비 ID를 이용하여 설비 정보를 조회하는 설비정보 조회, 설비 ID를 이용하여 설비 위치를 조회하는 설비위치 조회, 생 성된 설비의 정보를 수정/삭제하는 설비정보 편집/삭제, 생성된 설비의 위치를 수정/삭제하는 설비위치 편집/삭제, 설비 명, 종류, D/L(Distribution Line, 배전선로)의 조건으로 해당 설비 검색하는 설비 검색, 등록된 설비의 룰 및 오류를 체크하는 설비 룰 체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정보시스템(62)은, 고/저압 설비와 관련된 고객의 정보를 관리하며 고/저압 고객의 정보를 등록/수정/삭제/조회/검색하는 기능을 가지며, 고객정보의 경우 상기 SCADA/DMS(60)에서 연계되어 관리되도록 하며, 상기 SCADA/DMS(60)에서 요청 시 GIS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정보시스템(62)은, 고객번호 및 계약사항 생성하는 고객정보 등록,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고객정보 조회하는 고객정보 조회,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고객위치 조회하는 고객위치 조회, 고객명, 주소 등의 조건을 이용하여 고객 검색하는 고객 검색, 생성된 고객에 대한 정보 수정/삭제하는 고객정보 편집/삭제, 생성된 고객에 대한 위치 수정/삭제하는 고객위치 편집/삭제,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현재 지침 및 검침 사항을 조회하는 지침사항 조회, 저/고압 고객의 월별 검침이력을 조회하는 검침이력 조회, 조회일자에 해당하는 시간단위 사용량 조회하는 일자별 사용량 조회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CS(63)는, 전기고장 접수 및 고장위치를 예측하며, 고객으로부터 전기고장 신고를 접수하고, 유사 고장정보 조회 및 고장위치를 예측한 후 최종적으로는 고객에게 고장정보를 안내하며, 전기고장 접수 내용을 기반으로 고장위치를 예측 시 배치로 GIS 계통의 축약모델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CS(63)는, 접수번호를 이용하여 전기고장 접수 내용 조회하는 전기고장 접수사항 조회,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고객의 계약사항 조회하는 고객정보 조회, 접수번호 생성 및 고장 사항, 접수자 사항 등록하는 전기고장 접수사항 저장, 접수된 내용의 수정 및 취소하는 전기고장 접수사항 수정/취소, 접수된 고객 리스트의 주소를 기반으로 고장위치 및 설비 예측하는 고장위치 예측, 예측된 위치를 도면에 표시하는 고장위치 표시, 예측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고장정보 알림, 근접 시간 및 근접 지역의 고장접수 현황 조회하는 유사접수 현황 조회, 상기 TCS(63)에서 사용될 GIS 계통의 축약모델 작성하는 축약모델 작성 기능으로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HMI(67)는, 변전소의 화면을 배전선로 화면위에서 표출할 수 있게 하여 배전선로 화면에서 변전소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변전소 전용 HMI를 두어 변전소만을 별도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전지능화 시스템의 SCADA/DMS 모듈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웨어(Middleware)(99)와 연결되고, 변전소에 대한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고, 변전소 전용의 변전소 FEP(81), 변전소 서버(82), 변전소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83), 변전소 그래픽 에디터(84), 변전소 GUI(85)를 구비한 변전소 SCADA/DAS와; 상기 미들웨어(Middleware)(99)와 연결되고, 배전선로에 대한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고, 배전선로 전용의 배전선로 FEP(91), 배전선로 서버(92), 배전선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 램)(93), 배전선로 그래픽 에디터(94), 배전선로 GUI(95)를 구비한 배전선로 SCADA/DAS와; 상기 미들웨어(99)와 연결되고, 상기 변전소 SCADA/DAS 및 상기 배전선로 SCADA/DAS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실시간DB(96), 제어DB(97), 이력DB(9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전소 서버(82)는, 원격데이터 계측, 원격 제어, 경보 인지 보고, 이벤트 기록, 이력데이터 저장 관리, 계산, 태깅(Tagging) 및 해제, 개폐기 조작순서 생성 실행, 전력설비의 투입/개방에 의한 운전상태 감시, 전압 전류값의 아날로그 운전정보 계측, 투입/개방 조작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최소동작전류 설정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전소 서버(82)는, 변전소의 단선도용 토폴로지 표시, 변전소 주변압기 고장시 모선절체 기능, 저압 및 중압망 조류 표시, 지능형 경보처리, 주변압기 고장시 모선절체 후 배전선로를 통한 부하절체, 무효전력 제어를 위한 스태콘(Stacon) 최적제어, 변전소 모선 활선/사선 표시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전선로 서버(92)는, 원격데이터 계측, 원격 제어, 경보 인지 보고, 이벤트 기록, 이력데이터 저장 관리, 계산, 태깅(Tagging) 및 해제, 개폐기 조작순서 생성 실행, 전력설비의 투입/개방에 의한 운전상태 감시, 전압 전류값의 아날로그 운전정보 계측, 투입/개방 조작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최소동작전류 설정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전선로 서버(92)는, 배전선로의 작업관리, 정전관리, 보호협조, 고장 점 계산,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부하예측, 서비스품질 관리, 분산전원 운전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전지능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ADA/DAS 서버(20)는 기본도 데이터, 설비관리 데이터, 고객정보 데이터, 전기고장 축약 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하는 제 1 단계(ST1)와; 상기 제 1 단계 후 상기 SCADA/DAS 서버(20)는 SCADA/DMS와 통합 HMI 간 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전기고장 접수 후 고장위치예측 및 표시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AMR 시스템의 검침 및 고객정보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사용자 등록, 사용자 정보 조회, 비밀번호 변경, 로그인 기능, 환경설정을 수행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기능, 고장접수 통계, 설비통계, 고객 및 검침 통계, 보고서 출력하는 통계 및 리포트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여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는 제 2 단계(ST2);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도 5에서 기본도 데이터의 구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계에서 기본도 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은, 지적도, 지형도, 사업소 경계 데이터로 구성하고, FM(65)에서 추출하여 시스템에 맞도록 가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도 5에서 설비관리 데이터의 구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비관리 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은, FM(65)에서 설비정보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도 5에서 고객정보 데이터의 구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계에서 고객정보 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은, CIS(35)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등록하거나 또는 상기 CIS(35)에서 필요한 고객정보만을 추출하여 일괄 등록하고, 대량의 고객데이터는 기본적으로 관리해야 할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일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도 5에서 전기고장 축약데이터의 구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기고장 축약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은, 전기고장 위치 예측시에 사용될 GIS 계통의 축약모델을 생성하고, FM(65)에서 추출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변전소, 배전선로, 수용가, 분산전원에 이르는 배전계통과 모든 전기설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지능화된 배전계통 통합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GIS 기반 위에서 변전소, 배전선로, 수용가, 분산전원에 이르는 배전계통과 모든 전기설비에 대한 지능화된 원격 감시 및 제어 가능해져 배전계통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전력산업 전반에 걸친 업무의 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고압 및 저압 배전계통의 감시제어, 다양한 프로토콜의 선택 및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의 활용이 가능하여 배전계통의 최적화 운전이 가능하 다.
나아가 본 발명은 GIS 기반 위에서 설비관리, 고객관리 및 TCS를 이용할 수 있으며, AMR 시스템을 연계한 배전선로 통합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에서 현장에 설치된 각종 전력기기의 상태를 취득하여 계통에서 발생할 고장징후 등을 미리 예측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발생한 고장에 대해서는 최적화 기법을 도입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의 신뢰도 및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전력손실 저감 및 설비투자 지연 효과가 있으며, 신뢰도 향상 및 호당정전시간 감소시키며, 순간정전을 비롯한 전력품질 저하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변전소, 배전선로, 수용가, 분산전원에 이르는 배전계통과 모든 전기설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지능화된 배전계통 통합운영 시 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도 2의 중앙제어장치의 설비도에서,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 DMS(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서버(20), GIS 서버(21), 이력 서버(22), 시뮬레이터(23), HMI(24), 배전선로 FEP(25)(Front End Processor), 변전소 FEP(26), 분산전원 FEP(2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LAN(Local Area Network) 상에서 미들웨어(Middleware)(28)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FEP(25, 26, 27)은 광통신망을 통해 변전소내의 단말장치(29),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다양한 배전선로용 단말장치(30), 수용가를 감시/제어하는 단말장치(31) 및 분산전원용 단말장치(32)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AMR(33), FM(34), CIS(35)(Customer Information System)가 외부시스템으로 존재하며 배전지능화 시스템과 연계된다.
또한, 인버터, 컨버터 등의 전력변환 설비를 거쳐 전력계통에 연계된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및 연료전지 등의 분산전원과 통신하기 위해, 분산전원용 보호기기의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는 분산전원용 RTU(32), FEP(27), 전력계통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출력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분산전원시스템으로 구성된 시스템도 통합운영 된다.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SCADA/DMS 서버(20)는 강결합(Tightly Coupled) 방식으로 설계하여 실시간성을 높이고, 교환데이터가 많으나 실시간성 데이터가 아닌 설비정보를 다루는 GIS 서버(21)는 약결합(Loosely Coupled) 방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대부분 장치들은 윈도우 운영시스템으로 되 어 있으며, 변전소 FEP(26)은 변전소의 특성상 이중화로 구성하고 실시간 운영시스템을 기본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여기서 SCADA/DMS 서버(20)는 강결합(Tightly Coupled) 방식으로 구성하는데, 강결합 방식이란 동일 운영체제 하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다중(병렬)처리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그래서 강결합 방식은 하나의 운영체제가 모든 프로세스와 시스템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스 간의 통신은 공유메모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하나의 메모리를 사용하므로 프로세서 간의 결합력이 강하다. 또한 공유 메모리를 차지하려는 프로세스 간의 경쟁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GIS 서버(21)는 약결합(Loosely Coupled) 방식으로 구성하는데, 약결합(Loosely Coupled) 방식이란 각 프로세스마다 독립된 메모리를 각지 시스템으로, 분산처리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약결합 방식은 둘 이상의 독립된 컴퓨터 시스템을 통신망(통신 링크)을 통하여 연결한 시스템이다. 또한 약결합 방식은 각 시스템마다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호 통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스 간의 통신은 메시지 전달이나 원격 프로시저 호출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각 시스템마다 독자적인 운영이 가능하므로 프로세서 간이 결합력이 약하다.
그리고 도 3의 중앙제어장치의 모듈 구성도에서, SCADA/DMS(60)를 중심으로 GIS설비관리(61), 고객정보시스템(62), TCS(Trouble Call System)(63)가 통합되어 있으며, 원격검침시스템(64) 시스템이 SCADA/DMS(60)과 연계되며, 설비관리시스 템(65), 고객정보시스템(66)이 외부시스템으로 GIS설비관리 시스템(61)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즉, 각각의 시스템은 각 시스템의 역할 및 기능에 따라 다른 시스템에 물리적/논리적으로 통합되거나 인터페이스 된다. 배전지능화시스템 중앙제어장치의 SCADA/DMS(60) 및 GIS설비관리(61)는 윈도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성하였고 MSSQL(Microsoft Structured Query Language)을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로 사용한다.
HMI(67)에서는 변전소의 화면을 배전선로 화면위에서 표출할 수 있게 하여 배전선로 화면에서 변전소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변전소 전용 HMI를 두어 변전소만을 별도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스템 유연성을 갖추었다. GIS도 현재 대부분의 GIS개발 도구에서 Active-X와 같은 컨트롤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바로 여러 시스템을 한 개의 HMI에서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각 시스템은 최대한 모듈화하여 미들웨어 프레임워크(Framework)를 통해 쉽게 탑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되며, 모든 데이터의 교환은 미들웨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전체 시스템이 통일화된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의 중앙제어장치의 모듈 구성도에서, GIS 설비관리(61)는 고/저압 설비의 등록, 조회, 수정, 삭제 기능을 가지며, 설비관리 대상은 SCADA/DMS에서 관리되고 있는 설비와 전기고장 접수 시 고장위치 예측에 필요한 최소한의 설비만을 관리한다. 설비관리 부분은 외부 FM시스템(65)을 참고 하여 초기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고 GIS(61)에서 설비를 관리한다.
설비 ID 및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설비정보 등록, 도면에 나타내기 위한 설 비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설치위치 등록, 도면에 해당 설비의 도형 이미지를 생성하는 도형 생성, 설비 ID를 이용하여 설비 정보를 조회하는 설비정보 조회, 설비 ID를 이용하여 설비 위치를 조회하는 설비위치 조회, 생성된 설비의 정보를 수정/삭제하는 설비정보 편집/삭제, 생성된 설비의 위치를 수정/삭제하는 설비위치 편집/삭제, 설비 명, 종류, D/L 등의 조건으로 해당 설비 검색하는 설비 검색, 등록된 설비의 룰 및 오류를 체크하는 설비 룰 체크 기능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의 중앙제어장치의 모듈 구성도에서, GIS 기반 고객관리(62)는 고/저압 설비와 관련된 고객의 정보를 관리하며 고/저압 고객의 정보를 등록/수정/삭제/조회/검색하는 기능을 가지며, 고객정보의 경우 SCADA/DMS에서 연계되어 관리되어지며, SCADA/DMS에서 요청 시 GIS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보여준다.
고객번호 및 계약사항 생성하는 고객정보 등록,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고객정보 조회하는 고객정보 조회,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고객위치 조회하는 고객위치 조회, 고객명, 주소 등의 조건을 이용하여 고객 검색하는 고객 검색, 생성된 고객에 대한 정보 수정/삭제하는 고객정보 편집/삭제, 생성된 고객에 대한 위치 수정/삭제하는 고객위치 편집/삭제,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현재 지침 및 검침 사항을 조회하는 지침사항 조회, 저/고압 고객의 월별 검침이력을 조회하는 검침이력 조회, 조회일자에 해당하는 시간단위 사용량 조회하는 일자별 사용량 조회 기능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의 중앙제어장치의 모듈 구성도에서, GIS 기반 TCS(63)는 전기고장 접수 및 고장위치를 예측하며, 고객으로부터 전기고장 신고를 접수하고, 유사 고장정보 조회 및 고장위치를 예측한 후 최종적으로는 고객에게 고장정보를 안내한다. 전기고장 접수 내용을 기반으로 고장위치를 예측 시 직접 GIS 상의 계통을 분석하면 수행시간 및 성능 저하가 우려되므로 배치로 GIS 계통의 축약모델을 작성한다.
접수번호를 이용하여 전기고장 접수 내용 조회하는 전기고장 접수사항 조회,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고객의 계약사항 조회하는 고객정보 조회, 접수번호 생성 및 고장 사항, 접수자 사항 등록하는 전기고장 접수사항 저장, 접수된 내용의 수정 및 취소하는 전기고장 접수사항 수정/취소, 접수된 고객 리스트의 주소를 기반으로 고장위치 및 설비 예측하는 고장위치 예측, 예측된 위치를 도면에 표시하는 고장위치 표시, 예측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고장정보 알림, 근접 시간 및 근접 지역의 고장접수 현황 조회하는 유사접수 현황 조회, TCS에서 사용될 GIS 계통의 축약모델 작성하는 축약모델 작성 기능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SCADA/DMS의 모듈 구성도에서, 변전소 SCADA/DMS와 배전선로 SCADA/DMS로 각각 분리하여 SCADA/DMS을 구축하고 변전소 SCADA/DMS는 변전소 전용의 FEP(81), 서버(82), 응용프로그램(83), 그래픽 에디터(84), GUI(85)로 구성하며, 배전선로 SCADA/DMS는 배전선로 전용의 FEP(91), 서버(92), 응용프로그램(93), 그래픽 에디터(94), GUI(95)로 구성한다. 하지만 변전소 SCADA/DMS와 배전선로 SCADA/DMS는 실시간DB(96), 제어DB(97), 이력DB(98)는 미들웨어(99)를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공유한다.
변전소서버(82)와 배전선로서버(92)는 원격데이터 계측, 원격 제어, 경보 인지 보고, 이벤트 기록, 이력데이터 저장 관리, 계산, 태깅(Tagging) 및 해제, 개폐 기 조작순서 생성 실행 등이 포함된다. 대표적인 기본기능으로서 전력설비의 투입/개방 등 운전상태 감시, 전압 전류값 등 아날로그 운전정보 계측, 투입/개방 조작 등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최소동작전류 설정과 같은 SCADA 기능이 있다.
또한 변전소서버(82)는 변전소의 단선도용 토폴로지 표시, 변전소 주변압기 고장시 모선절체 기능, 저압 및 중압망 조류 표시, 지능형 경보처리, 주변압기 고장시 모선절체 후 배전선로를 통한 부하절체, 무효전력 제어를 위한 스태콘(Stacon) 최적제어, 변전소 모선 활선/사선 표시가 있으며, 배전선로서버(92)는 배전선로의 작업관리, 정전관리, 보호협조, 고장점 계산,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부하예측, 서비스품질 관리, 분산전원 운전 기능과 같은 DMS 기능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전지능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래서 초기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는, 도 2의 중앙제어장치의 설비도에서, 기본도 데이터(48), 설비관리 데이터(47), 고객정보 데이터(46), 전기고장 축약 데이터(45)를 구축한다.
도 6의 기본도 데이터 구축은 지적도, 지형도, 사업소 경계 데이터로 구성되며, 국가 기본도에서 직접 제공받거나 기존에 존재하는 FM시스템(65)에서 추출하여 시스템에 맞도록 가공한다.
도 7의 설비관리 데이터 구축은 기존에 존재하는 FM시스템(65)에서 설비정보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구축한다.
도 8의 고객정보 데이터구축은 기존에 존재하는 CIS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등록하는 방법과 CIS에서 필요한 고객정보만을 추출하여 일괄 등록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대량의 고객데이터는 기본적으로 관리해야 할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후자의 방법으로 구축한다.
도 9의 전기고장 축약 데이터 구축은 전기고장 위치 예측시에 사용될 GIS 계통의 축약모델을 생성하는 기능이며 기 구축 FM시스템(65)에서 추출하여 구축한다.
이와 같이 초기 데이터가 구축된 상태에서, SCADA/DMS와 통합 HMI 간 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전기고장 접수 후 고장위치 예측 및 표시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AMR 시스템의 검침 및 고객정보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단계, 사용자 등록, 사용자 정보 조회, 사용자 정보 수정, 비밀번호 변경, 로그인, 환경 설정을 수행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단계, 고장접수 통계, 설비 통계, 고객 및 검침 통계, 보고서 출력하는 통계 및 리포트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변전소, 배전선로, 수용가, 분산전원에 이르는 배전계통과 모든 전기설비에 대한 원격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지능화된 배전계통 통합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계통 전반의 자동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전지능화 시스템에서 중앙제어장치의 설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전지능화 시스템에서 중앙제어장치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전지능화 시스템의 SCADA/DMS 모듈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전지능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기본도 데이터의 구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설비관리 데이터의 구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서 고객정보 데이터의 구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서 전기고장 축약데이터의 구축예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SCADA/DMS 서버
21 : GIS 서버
22 : 이력 서버
23 : 시뮬레이터
24 : HMI
25 : Feeder FEP
26 : Substation FEP
27 : D.G. FEP
28 : 미들웨어
29 : Substation RTU
30 : FRTU
31 : Customer RTU
32 : D.G. RTU
33 : AMR
34 : FM
35 : CIS
41 : 실시간 DB
42 : 제어 DB
43 : 이력 DB
44 : 전기고장 축약데이터
45 : 고객정보 데이터
47 : 설비관리 데이터
48 : 기본도 데이터

Claims (24)

  1. 미들웨어(Middleware)(28)와 연결되고, 변전소, 배전선로, 분산전원에 대한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고, 기본도 데이터(48), 설비관리 데이터(47), 고객정보 데이터(46), 전기고장 축약데이터(45)의 초기데이터를 구축하는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DMS(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서버(20)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GIS 설비관리, 고객관리, TCS(Trouble Call System) 관리를 수행하는 GIS 서버(21)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이력 서버(22)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배전지능화의 시뮬레이션 처리를 수행하는 시뮬레이터(23)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변전소의 화면을 배전선로 화면위에서 표출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24)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배전선로(Feeder)와 변전소(Substation)와 분산전원(Distributed Generations, D.G.)에서의 프론트 엔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FEP(25, 26, 27);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CADA/DMS 서버(20)는,
    강결합(Tightly Coupled) 방식으로 구성하여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IS 서버(21)는,
    약결합(Loosely Coupled)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FEP(25, 26, 27)는,
    광통신망을 통해 변전소내의 단말장치(Substation RTU)(29),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배전선로용 단말장치(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30), 수용가를 감시/제어하는 단말장치(Customer RTU)(31) 및 분산전원용 단말장치(D.G. RTU)(32)와 연결되어 프론트 엔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FEP 중에서 변전소 FEP(26)는,
    이중화로 구성하고, 실시간 운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지능화 시스템은,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원격 요금 검침을 수행하는 AMR(Automatic Meter Reading)(33)과;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설비관리를 수행하는 FM(Facilities Management Systems)(34)과;
    상기 미들웨어(28)와 연결되고, 고객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CIS(Customer Information System)(35);
    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7. 윈도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성되고 MSSQL(Microsoft Structured Query Language)을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로 사용하며,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는 SCADA/DMS(60)와;
    윈도우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성되고 MSSQL(Microsoft Structured Query Language)을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로 사용하며, 상기 SCADA/DMS(60)와 연계하며, GIS 설비관리를 수행하는 GIS 설비관리(61)와;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계하며, 고객관리를 수행하는 고객정보시스템(62)과;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계하며, TCS(Trouble Call System) 관리를 수행하는 TCS(63)와;
    상기 SCADA/DAS(60)와 연결하며, 원격검침을 수행하는 AMR(Automatic Meter Reading)(64)과;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결하며, 설비관리를 수행하는 FM(Facilities Management Systems)(65)과;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계하여 외부시스템과의 데이터를 교환 처리를 수행하는 CIS(Customer Information System)(66)와;
    상기 SCADA/DAS(60) 및 상기 GIS 설비관리(61)와 연결하고, 변전소의 화면을 배전선로 화면위에서 표출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67);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GIS 설비관리(61)는,
    고/저압 설비의 등록, 조회, 수정, 삭제 기능을 가지며, 설비관리 대상은 상기 SCADA/DMS(60)에서 관리되고 있는 설비와 전기고장 접수 시 고장위치 예측에 필요한 최소한의 설비만을 관리하고, 설비관리 부분은 상기 FM(65)을 참고하여 초기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GIS 설비관리(61)는,
    설비 ID 및 속성 정보를 생성하는 설비정보 등록, 도면에 나타내기 위한 설비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설치위치 등록, 도면에 해당 설비의 도형 이미지를 생성하는 도형 생성, 설비 ID를 이용하여 설비 정보를 조회하는 설비정보 조회, 설비 ID를 이용하여 설비 위치를 조회하는 설비위치 조회, 생성된 설비의 정보를 수정/삭제하는 설비정보 편집/삭제, 생성된 설비의 위치를 수정/삭제하는 설비위치 편집/삭제, 설비 명, 종류, D/L(Distribution Line, 배전선로)의 조건으로 해당 설비 검색하는 설비 검색, 등록된 설비의 룰 및 오류를 체크하는 설비 룰 체크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시스템(62)은,
    고/저압 설비와 관련된 고객의 정보를 관리하며 고/저압 고객의 정보를 등록/수정/삭제/조회/검색하는 기능을 가지며, 고객정보의 경우 상기 SCADA/DMS(60)에서 연계되어 관리되도록 하며, 상기 SCADA/DMS(60)에서 요청 시 GIS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시스템(62)은,
    고객번호 및 계약사항 생성하는 고객정보 등록,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고객정보 조회하는 고객정보 조회,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고객위치 조회하는 고객위치 조회, 고객명, 주소 등의 조건을 이용하여 고객 검색하는 고객 검색, 생성된 고객에 대한 정보 수정/삭제하는 고객정보 편집/삭제, 생성된 고객에 대한 위치 수정/삭제하는 고객위치 편집/삭제,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현재 지침 및 검침 사항을 조회하는 지침사항 조회, 저/고압 고객의 월별 검침이력을 조회하는 검침이력 조회, 조회일자에 해당하는 시간단위 사용량 조회하는 일자별 사용량 조회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TCS(63)는,
    전기고장 접수 및 고장위치를 예측하며, 고객으로부터 전기고장 신고를 접수하고, 유사 고장정보 조회 및 고장위치를 예측한 후 최종적으로는 고객에게 고장정보를 안내하며, 전기고장 접수 내용을 기반으로 고장위치를 예측 시 배치로 GIS 계통의 축약모델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TCS(63)는,
    접수번호를 이용하여 전기고장 접수 내용 조회하는 전기고장 접수사항 조회, 고객번호를 이용하여 고객의 계약사항 조회하는 고객정보 조회, 접수번호 생성 및 고장 사항, 접수자 사항 등록하는 전기고장 접수사항 저장, 접수된 내용의 수정 및 취소하는 전기고장 접수사항 수정/취소, 접수된 고객 리스트의 주소를 기반으로 고장위치 및 설비 예측하는 고장위치 예측, 예측된 위치를 도면에 표시하는 고장위치 표시, 예측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고장정보 알림, 근접 시간 및 근접 지역의 고장접수 현황 조회하는 유사접수 현황 조회, 상기 TCS(63)에서 사용될 GIS 계통의 축약모델 작성하는 축약모델 작성 기능으로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HMI(67)는,
    변전소의 화면을 배전선로 화면위에서 표출할 수 있게 하여 배전선로 화면에서 변전소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변전소 전용 HMI를 두어 변전소만을 별도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5. 미들웨어(Middleware)(99)와 연결되고, 변전소에 대한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고, 변전소 전용의 변전소 FEP(81), 변전소 서버(82), 변전소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83), 변전소 그래픽 에디터(84), 변전소 GUI(85)를 구비한 변전소 SCADA/DAS와;
    상기 미들웨어(Middleware)(99)와 연결되고, 배전선로에 대한 배전지능화 관리를 수행하고, 배전선로 전용의 배전선로 FEP(91), 배전선로 서버(92), 배전선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93), 배전선로 그래픽 에디터(94), 배전선로 GUI(95)를 구비한 배전선로 SCADA/DAS와;
    상기 미들웨어(99)와 연결되고, 상기 변전소 SCADA/DAS 및 상기 배전선로 SCADA/DAS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실시간DB(96), 제어DB(97), 이력DB(98);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서버(82)는,
    원격데이터 계측, 원격 제어, 경보 인지 보고, 이벤트 기록, 이력데이터 저장 관리, 계산, 태깅(Tagging) 및 해제, 개폐기 조작순서 생성 실행, 전력설비의 투입/개방에 의한 운전상태 감시, 전압 전류값의 아날로그 운전정보 계측, 투입/개방 조작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최소동작전류 설정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서버(82)는,
    변전소의 단선도용 토폴로지 표시, 변전소 주변압기 고장시 모선절체 기능, 저압 및 중압망 조류 표시, 지능형 경보처리, 주변압기 고장시 모선절체 후 배전선로를 통한 부하절체, 무효전력 제어를 위한 스태콘(Stacon) 최적제어, 변전소 모선 활선/사선 표시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 서버(92)는,
    원격데이터 계측, 원격 제어, 경보 인지 보고, 이벤트 기록, 이력데이터 저장 관리, 계산, 태깅(Tagging) 및 해제, 개폐기 조작순서 생성 실행, 전력설비의 투입/개방에 의한 운전상태 감시, 전압 전류값의 아날로그 운전정보 계측, 투입/개방 조작을 수행하는 원격제어, 최소동작전류 설정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 서버(92)는,
    배전선로의 작업관리, 정전관리, 보호협조, 고장점 계산,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 부하예측, 서비스품질 관리, 분산전원 운전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시스템.
  20. SCADA/DAS 서버(20)는 기본도 데이터, 설비관리 데이터, 고객정보 데이터, 전기고장 축약 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하는 제 1 단계(ST1)와;
    상기 제 1 단계 후 상기 SCADA/DAS 서버(20)는 SCADA/DMS와 통합 HMI 간 정보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전기고장 접수 후 고장위치예측 및 표시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AMR 시스템의 검침 및 고객정보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사용자 등록, 사용자 정보 조회, 비밀번호 변경, 로그인 기능, 환경설정을 수행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기능, 고장접수 통계, 설비통계, 고객 및 검침 통계, 보고서 출력하는 통계 및 리포트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여 배전지능화 관리 를 수행하는 제 2 단계(ST2);
    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기본도 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은,
    지적도, 지형도, 사업소 경계 데이터로 구성하고, FM(65)에서 추출하여 시스템에 맞도록 가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비관리 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은,
    FM(65)에서 설비정보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방법.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고객정보 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은,
    CIS(35)의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등록하거나 또는 상기 CIS(35)에서 필요한 고객정보만을 추출하여 일괄 등록하고, 대량의 고객데이터는 기본적으로 관리 해야 할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일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방법.
  24. 청구항 20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전기고장 축약데이터의 초기 데이터 구축은,
    전기고장 위치 예측시에 사용될 GIS 계통의 축약모델을 생성하고, FM(65)에서 추출하여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지능화 방법.
KR1020070097588A 2007-09-27 2007-09-27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588A KR100901319B1 (ko) 2007-09-27 2007-09-27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588A KR100901319B1 (ko) 2007-09-27 2007-09-27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395A true KR20090032395A (ko) 2009-04-01
KR100901319B1 KR100901319B1 (ko) 2009-06-09

Family

ID=4075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588A KR100901319B1 (ko) 2007-09-27 2007-09-27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319B1 (ko)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32A1 (ko) * 2009-11-16 2011-05-19 일진전기 주식회사 분산전원의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R101048496B1 (ko) * 2009-12-16 2011-07-1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분산망 프로토콜을 이용한 원격전력제어시스템
WO2011109381A2 (en) * 2010-03-02 2011-09-09 Hunt Technologies, Llc Power outage verification
KR101064509B1 (ko) * 2009-05-14 2011-09-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리 정보 기반 전력 계통 데이터의 전력 계통 해석 시스템 및 해석 방법
KR101125378B1 (ko) * 2010-09-29 2012-03-27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배전시스템과 지능형 검침 인프라 시스템을 연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연계방법
WO2013032044A1 (ko) * 2011-08-26 2013-03-07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74167B1 (ko) * 2011-11-24 2013-06-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선로 상의 긴급 부하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4627B1 (ko) * 2012-09-26 2014-01-23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변전소의 엔지니어링 토폴로지 생성방법 및 장치
KR20140078889A (ko) * 2012-12-18 2014-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티브이 망을 이용한 공용등 관리 장치
KR101443200B1 (ko) * 2012-09-28 2014-09-2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 지능화장치 관리 시스템
CN104091286A (zh) * 2014-06-23 2014-10-08 北京北斗星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城市管网生产运营综合管理系统
CN104134246A (zh) * 2014-08-14 2014-11-05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管控电力系统中流程规范与设备全生命周期的系统
KR20150028436A (ko) * 2013-09-06 2015-03-16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전원 연계 가능 용량 산정 장치 및 방법
CN105185207A (zh) * 2015-10-20 2015-12-23 国网浙江省电力公司培训中心 一种分层分区结构的智能变电站培训系统
CN106022977A (zh) * 2016-08-09 2016-10-12 国网山西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变电站工作现场安全分析方法
WO2018062611A1 (ko) * 2016-09-28 2018-04-05 한국전력공사 다양한 마이크로그리드 및 배전계통에 적용 가능한 범용적 운영시스템 구축방법 및 그에 의해 구축되는 운영시스템
US10122291B2 (en) 2015-03-10 2018-11-06 Lsis Co., Ltd. Redundan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HVDC system
CN108964277A (zh) * 2018-07-27 2018-12-07 盘锦广利达电气有限公司大庆分公司 35kV橇装电控一体化变电站
CN109150924A (zh) * 2018-11-07 2019-01-04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便携式配电网网架结构信息查询终端
KR102101093B1 (ko) * 2018-10-22 2020-04-14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KR102101092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정상 운영을 위한 통신 사전검증 시스템
KR20200069782A (ko) * 2018-12-07 2020-06-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분야 통합 그래픽 편집기 및 뷰어 시스템
CN111313552A (zh) * 2020-03-06 2020-06-19 广东君兆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力机电配电站房监控系统
KR20210076457A (ko) * 2019-12-16 2021-06-24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감시 제어를 위한 전단처리 장치 및 방법
CN113515268A (zh) * 2021-07-20 2021-10-19 北京天方恒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python的变电站连接关系图自动成图系统
KR20220052654A (ko) * 2020-10-21 2022-04-28 한국전력공사 메시지 전송 버스를 이용한 고가용성 배전 지능화 시스템 및 지능화 클러스터 시스템
KR20220106444A (ko) * 2021-01-22 2022-07-29 한국전력공사 전압형 hvdc 시스템의 상태 전송 장치 및 방법
CN115049355A (zh) * 2022-05-20 2022-09-13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漳州供电公司 用于电力系统的配电工程信息管理平台及其方法
CN115085208A (zh) * 2022-08-04 2022-09-2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西双版纳供电局 无功电压调控方案管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282B1 (ko) * 2012-09-20 2014-03-17 한국전력공사 계통 데이터 축약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323280B (zh) * 2014-07-24 2019-08-09 国家电网公司 用于电力系统的业务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665195B1 (ko) * 2014-10-31 2016-10-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발전소 고유심벌을 전산화절차서에 수록하기 위한 방법
KR20210094787A (ko) 2020-01-22 2021-07-30 한국전력공사 보호계전기 동작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270B2 (ja) * 1987-06-11 1999-02-1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視線方向検出装置
KR100365238B1 (ko) * 1999-12-30 2002-12-18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60038A (ko) * 2005-02-17 2005-06-21 파워텍(주) 이더넷 기반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방법
KR100622084B1 (ko) * 2006-06-09 2006-09-11 주식회사 애니게이트 배전자동화 시스템에서 연계기능을 가지는 실시간 미들웨어모듈

Cited B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509B1 (ko) * 2009-05-14 2011-09-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리 정보 기반 전력 계통 데이터의 전력 계통 해석 시스템 및 해석 방법
WO2011059132A1 (ko) * 2009-11-16 2011-05-19 일진전기 주식회사 분산전원의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R101048496B1 (ko) * 2009-12-16 2011-07-1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분산망 프로토콜을 이용한 원격전력제어시스템
US9037305B2 (en) 2010-03-02 2015-05-19 Landis+Gyr Technologies, Llc Power outage verification
WO2011109381A2 (en) * 2010-03-02 2011-09-09 Hunt Technologies, Llc Power outage verification
WO2011109381A3 (en) * 2010-03-02 2011-12-29 Hunt Technologies, Llc Power outage verification
KR101125378B1 (ko) * 2010-09-29 2012-03-27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배전시스템과 지능형 검침 인프라 시스템을 연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연계방법
WO2013032044A1 (ko) * 2011-08-26 2013-03-07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85065B1 (ko) * 2011-08-26 2013-07-10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590426B2 (en) 2011-08-26 2017-03-07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274167B1 (ko) * 2011-11-24 2013-06-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선로 상의 긴급 부하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4627B1 (ko) * 2012-09-26 2014-01-23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변전소의 엔지니어링 토폴로지 생성방법 및 장치
KR101443200B1 (ko) * 2012-09-28 2014-09-25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 지능화장치 관리 시스템
KR20140078889A (ko) * 2012-12-18 2014-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티브이 망을 이용한 공용등 관리 장치
KR20150028436A (ko) * 2013-09-06 2015-03-16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전원 연계 가능 용량 산정 장치 및 방법
CN104091286A (zh) * 2014-06-23 2014-10-08 北京北斗星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城市管网生产运营综合管理系统
CN104134246A (zh) * 2014-08-14 2014-11-05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管控电力系统中流程规范与设备全生命周期的系统
US10122291B2 (en) 2015-03-10 2018-11-06 Lsis Co., Ltd. Redundan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HVDC system
CN105185207A (zh) * 2015-10-20 2015-12-23 国网浙江省电力公司培训中心 一种分层分区结构的智能变电站培训系统
CN106022977A (zh) * 2016-08-09 2016-10-12 国网山西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变电站工作现场安全分析方法
WO2018062611A1 (ko) * 2016-09-28 2018-04-05 한국전력공사 다양한 마이크로그리드 및 배전계통에 적용 가능한 범용적 운영시스템 구축방법 및 그에 의해 구축되는 운영시스템
CN108964277B (zh) * 2018-07-27 2019-05-10 盘锦广利达电气有限公司大庆分公司 35kV橇装电控一体化变电站
CN108964277A (zh) * 2018-07-27 2018-12-07 盘锦广利达电气有限公司大庆分公司 35kV橇装电控一体化变电站
KR102101093B1 (ko) * 2018-10-22 2020-04-14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정상 제어를 위한 오조작 방지 시스템
KR102101092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구비된 전력설비의 정상 운영을 위한 통신 사전검증 시스템
CN109150924A (zh) * 2018-11-07 2019-01-04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便携式配电网网架结构信息查询终端
CN109150924B (zh) * 2018-11-07 2023-12-05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便携式配电网网架结构信息查询终端
KR20200069782A (ko) * 2018-12-07 2020-06-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분야 통합 그래픽 편집기 및 뷰어 시스템
KR20210076457A (ko) * 2019-12-16 2021-06-24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 감시 제어를 위한 전단처리 장치 및 방법
CN111313552A (zh) * 2020-03-06 2020-06-19 广东君兆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力机电配电站房监控系统
KR20220052654A (ko) * 2020-10-21 2022-04-28 한국전력공사 메시지 전송 버스를 이용한 고가용성 배전 지능화 시스템 및 지능화 클러스터 시스템
KR20220106444A (ko) * 2021-01-22 2022-07-29 한국전력공사 전압형 hvdc 시스템의 상태 전송 장치 및 방법
CN113515268A (zh) * 2021-07-20 2021-10-19 北京天方恒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python的变电站连接关系图自动成图系统
CN113515268B (zh) * 2021-07-20 2023-09-05 北京天方恒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python的变电站连接关系图自动成图系统
CN115049355A (zh) * 2022-05-20 2022-09-13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漳州供电公司 用于电力系统的配电工程信息管理平台及其方法
CN115085208A (zh) * 2022-08-04 2022-09-2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西双版纳供电局 无功电压调控方案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319B1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319B1 (ko) 배전지능화 시스템 및 그 방법
EP2537001B1 (en) Utility grid command filter system
US108335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ower grid
RU2541911C2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ядро системы
US9897665B2 (en) Power grid outage and fault condition management
CN104716745B (zh) 一种面向配电自动化终端的拓扑生成方法及其系统
RU2525859C2 (ru) Управление перерывами подачи энергии и состоянием неисправности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Song et al. Design of smar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for obtaining real-time security analysis and predictive operation in Korea
CN112216077B (zh) 物联感知监测系统及监测预警方法、移动终端及云端服务器
CN104104151B (zh) 配电终端设备信息的接入方法
KR101423109B1 (ko) Scada 및 변전소 자동화에 적용되는 이기종 표준간의 통합 맵핑 시스템
US9733639B2 (en) Dynamic facility management system
CN104635084A (zh) 一种基于模拟主站的配电自动化设备传动试验方法
KR101492579B1 (ko) 변전소 자동화를 위한 iec 61850 데이타 변환방법
US20220137600A1 (en) Iot gateway for industrial control systems,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5703708A (zh) 一种光伏发电站监控系统及监控方法
AU20152307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ower grid
CN115133652A (zh) 一种采用实时传感技术的电力系统参数监测系统
CN115189476B (zh) 一种无人值守微电网的智能运维控制系统及方法
Ca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lay protection fault information intelligent analysis system in Smart Grid
CN119543293A (zh) 一种低压分布式光伏并网装置及控制方法
CN119154499A (zh) 一种用于智能变电站保护配置信息的解耦方法
CN113409007A (zh) 一种馈线转供电场景自动分析系统和方法
EICHLER et al. Improvements in smart grid management through advance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s
Rajaci et al. Communication requirements for control and monitoring of HV feeders in digital substation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