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167B1 - 다층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167B1
KR101634167B1 KR1020150061181A KR20150061181A KR101634167B1 KR 101634167 B1 KR101634167 B1 KR 101634167B1 KR 1020150061181 A KR1020150061181 A KR 1020150061181A KR 20150061181 A KR20150061181 A KR 20150061181A KR 101634167 B1 KR101634167 B1 KR 101634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ass
heat
final
welding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홍승갑
이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6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7Means for tracking lines during arc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다층 용접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 용접방법은 적어도 1회의 선행용접패스와 선행용접패스를 덮는 최종용접패스를 포함하되, 선행용접패스는 상대적으로 입열이 높은 대입열 용접을 하고, 최종용접패스는 선행용접패스보다 입열이 낮은 저입열 용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다층 용접방법{Multi-layer welding method}
본 발명은 선행 용접패스의 경우 대입열 용접을 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최종용접패스의 경우 저입열 용접을 하여 열영향부의 인성을 향상시키는 다층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 중공업, 건설현장 등에서는 두께 수mm 이상의 후판이 구조용 재료로 사용되고, 후판을 용접으로 연결해 구조물을 만든다. 후판을 연결할 때는 한 패스(pass)의 용접만으로 연결이 어렵기 때문에 통상 몇 패스 또는 몇십 패스 용접을 반복하는 다층용접(Multi-layer welding)을 수행한다.
통상의 다층용접에서 선행 용접패스는 후속되는 용접패스에 의해 재차 가열되어 열영향부(HAZ: Heat Affected Zone)의 결정이 세립화되기 때문에 높은 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강재 표면에 가까운 최종패스(Cap pass)의 열영향부는 후속되는 용접 패스가 없어 재가열에 의한 세립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결정이 조대화된 채로 유지되어 충분한 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업계에서는 용접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용접 입열을 높여 용접패스를 줄이는 방안을 선호하지만, 용접 입열을 과도하게 높일 경우 마지막 단계인 최종 패스의 열영향부 결정이 조대화 되어 용접이음부의 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생산성만을 고려해 용접 입열을 높이는 것은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65665호(2005. 06. 29. 공개)는 다층용접 이음부의 열영향부 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이는 다층용접부의 최종 패스 열영향부 표면에 초음파 진동단자 등을 이용한 타격처리를 수행하여 최종 패스 열영향부의 인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최종 패스 열영향부를 타격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65665호(2005. 06. 29.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용접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최종용접패스의 열영향부의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층 용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회의 선행용접패스와 선행용접패스를 덮는 최종용접패스를 포함하되, 상기 선행용접패스는 상대적으로 입열이 높은 대입열 용접을 하고,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상기 선행용접패스보다 입열이 낮은 저입열 용접을 하는 다층 용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행용접패스는 3.5 ~ 7.5 kJ/mm 범위의 입열로 용접을 하고,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0.5 ~ 2 kJ/mm 범위의 입열로 용접을 할 수 있다.
상기 선행용접패스는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 Submerged Arc Welding)을 수행하고,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CAW: Flux Cored Arc Wel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열영향부의 결정립 평균 크기가 17㎛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열영향부의 미세조직 베이나이트(Bainite) 분율이 15%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열영향부의 비이커스 경도 값이 180 hv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 용접방법은 선행용접패스의 경우 고입열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용접 패스 수 감소 및 용접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최종용접패스의 경우 저입열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최종용접패스의 열영향부의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용접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용접패스 열영향부의 저온 충격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 용접방법에 의한 용접이음부를 나타낸다.
도 2는 4.9 kJ/mm의 입열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을 수행한 선행용접패스를 재가열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영향부(HAZ) 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7.9 kJ/mm의 입열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을 수행한 선행용접패스를 재가열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영향부(HAZ) 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4는 7.5 kJ/mm의 입열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을 수행한 최종용접패스의 열영향부 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1 kJ/mm의 입열로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CAW)을 수행한 최종용접패스의 열영향부 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층 용접방법에 의한 용접이음부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두꺼운 제1강재(1)와 제2강재(2)를 연결하는 용접이음부(10)는 복수회의 선행용접패스(11a~11f)와, 강재의 표면 쪽에서 선행용접패스(11d~11f)를 덮는 최종용접패스(12a~12c)를 포함하는 다층 용접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는 복수회의 선행용접패스(11a~11f)와 복수회의 최종용접패스(12a~12c)를 포함하는 다층 용접을 예로써 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층 용접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행용접패스가 1회의 용접패스일 수도 있고, 최종용접패스도 1회의 용접패스일 수 있다. 즉 선행용접패스와 최종용접패스는 각각 적어도 1회의 용접패스일 수 있다.
선행용접패스들(11a~11f)은 상대적으로 입열이 높은 대입열 용접을 수행한다. 선행용접패스들(11a~11f)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AW: Submerged Arc Welding) 방식에 의해 3.5 ~ 7.5 kJ/mm 범위의 높은 입열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대입열 용접의 일 예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제시하였으나, 대입열 용접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대입열 용접을 수행하면, 용접패스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용접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행용접패스들(11a~11f)은 높은 입열에 의해 열영향부(HAZ)의 금속조직이 조대화될 수 있으나, 선행하는 용접패스가 후속되는 용접패스에 의해 재차 가열되면서 결정립이 세립화되기 때문에 높은 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표면 쪽의 최종용접패스(12a~12c)는 후열의 영향을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선행용접패스들(11a~11f)보다 입열이 낮은 저입열 용접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 최종용접패스(12a~12c)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CAW: Flux Cored Arc Welding)방식에 의해 0.5 ~ 2 kJ/mm 범위의 상대적으로 낮은 입열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CAW)의 경우, 와이어(Wire) 직경이 작아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AW)에 비해 낮은 입열 범위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최종용접패스(12a~12c)에서 이처럼 저입열 용접을 수행하면, 최종용접패스 열영향부(13) 내 결정립 성장 및 저온조직의 분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후열의 영향을 받을 수 없는 최종용접패스임에도 조직의 결정립이 미세화 되어 저온인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선행용접패스(11a~11f) 입열을 3.5 ~ 7.5 kJ/mm 범위로 하고, 최종용접패스(12a~12c)의 입열을 0.5 ~ 2 kJ/mm 범위로 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행용접패스의 입열범위]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을 수행하면서 입열을 3.5 kJ/mm이하로 하는 경우도 많지만, 이럴 경우 용접생산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선행용접패스(11a~11f)에서 용접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열을 3.5 kJ/mm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용접 생산성만을 고려한다면 선행용접패스(11a~11f)의 입열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럴 경우 열영향부의 결정립이 매우 조대해져 저온충격인성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선행용접패스(11a~11f)의 입열을 과도하게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Process 전류 (A) 전압 (V) 속도 (cm/min) 입열량 (kJ/mm) HAZ 미세조직 Bainite 분율 (%) 결정립 평균 크기 (㎛) 비ㅇ커스경도 (hv) 충격인성
@ -60 oC (J)
비교예1 SAW 780 34 20 7.95 Bainite/Ferrite 90 44 198 87
실시예1 SAW 760 33 20 7.50 Bainite/Ferrite 79 37 189 198
실시예2 SAW 620 34 26 4.87 Bainite 67 22 175 128
표 1은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 방식의 선행용접패스 입열변화에 따른 용접이음부(10)의 물성을 비교한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또 위 결과는 후행용접패스에 의해 재가열이 되지 않은 선행용접패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 입열이 7.50 kJ/mm인 실시 예1의 경우는 열영향부(HAZ) 내 결정립 평균크기가 37㎛이고, 미세조직의 베이나이트(Bainite) 분율이 79%이며, 저온충격인성 값이 190J 이상이다. 또 이 보다 낮은 4.87 kJ/mm의 입열로 용접한 실시 예2의 경우는 열영향부(HAZ) 내 결정립 평균크기가 22㎛로 조직이 미세하고, 미세조직의 베이나이트(Bainite) 분율도 상대적으로 더 낮은 67%다.
반면에, 실시 예1 및 2보다 입열이 큰 비교 예1의 경우는 7.95 kJ/mm의 입열에서 열영향부(HAZ) 결정립 평균크기가 40㎛ 이상으로 조직이 현저히 조대해지고, 다소 느린 냉각속도에도 불구하고 베이나이트(Bainite) 분율도 90%에 이르러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는 결정립 크기 증가에 따라 페라이트(Ferrite) 핵생성 사인트인 결정립계 면적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결과적으로 저온충격인성 값도 90 J 이하로 감소하였다.
도 2와 도 3은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을 수행한 선행용접패스를 재가열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영향부(HAZ)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으로, 도 2는 입열이 4.9 kJ/mm 인 경우, 도 3은 입열이 7.9 kJ/mm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처럼 선행용접패스의 열영향부(HAZ)는 상대적으로 용접 입열이 낮은 도 2의 경우 결정립 평균크기가 대략 22㎛인 반면에, 용접입열이 높은 도 3의 경우 결정립 평균크기가 40㎛ 이상으로 미세조직이 현저히 조대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실험결과들을 감안할 때 선행용접패스(11a~11f)의 입열은 3.5 ~7.5 kJ/mm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최종용접패스의 입열범위]
본 실시 예와 같은 다층 용접에서 최종용접패스(12a~12c)의 물성은 열영향부(HAZ) 내 결정립의 평균 크기가 17㎛ 이하이고, 열영향부(HAZ) 미세조직이 페라이트(Ferrite)/ 퍼얼라이트(Pearlite)/ 베이나이트(Bainite)로 한정되되 베이나이트의 분율이 전체의 15%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열영향부(HAZ)의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 값이 180hv 이하이고, 저온충격인성(-160℃)이 150J 이상이어야 한다.
Process 전류 (A) 전압 (V) 속도 (cm/min) 입열량 (kJ/mm) HAZ미세조직 Bainite 분율 (%) Ferrite 결정립 평균크기 (㎛) 비커스경도 (hv) 충격인성
@ -60 oC (J)
비교예1 SAW 760 33 20 7.52 Bainite/Ferrite 90 - 195 44
비교예2 SAW 620 34 26 4.87 Bainite/Ferrite 93 - 204 38
비교예3 SAW 650 33 37 3.48 Bainite 99 - 210 29
비교예4 FCAW 360 35 34 2.22 Ferrite/Bainite 36 21 183 68
실시예1 FCAW 300 35 35 1.80 Ferrite/Bainite <10 16 172 181
실시예1 FCAW 240 28 40 1.00 Ferrite/Pearlite <5 13 160 208
표 2는 최종용접패스 입열변화에 따른 용접이음부(10)의 물성을 비교한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1 내지 3은 최종용접패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입열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을 수행한 경우 물성을 나타내고, 비교예4와 실시예1 및 2는 최종용접패스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입열로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CAW)을 수행한 경우 물성을 나타낸다.
표 2에서 최종용접패스(12a~12c)의 입열을 2.2 kJ/mm 이상으로 한 비교 예1 내지 4는 열영향부(HAZ) 미세조직 내 베이나이트 분율이 35% 이상이고, 결정립의 평균크기가 20 ㎛ 이상이며, 비커스 경도 값이 180 hv 이상으로 증가해 결과적으로 저온충격인성 값이 70J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모두 최종용접패스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종용접패스에서 2.0 kJ/mm 이하의 입열로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을 수행한 실시예1과 실시예2는 열영향부(HAZ) 미세조직 내 베이나이트 분율이 15% 이하이고, 결정립의 평균크기가 17 ㎛ 이하이고, 비커스 경도 값이 180 hv 이하이고, 저온충격인성 값이 150J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모두 최종용접패스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였다.
한편, 표 2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최종용접패스의 입열을 0.5 kJ/mm 이하로 할 경우에는 낮은 입열에 기인한 냉각속도의 증가로 인해 저온균열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였다.
도 4는 7.5 kJ/mm의 입열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을 수행한 최종용접패스(12a~12c)의 열영향부(13)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으로, 결정립이 조대하고 저온변태 조직인 상부 베이나이트(Upper bainite)가 형성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1 kJ/mm의 입열로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CAW)을 수행한 최종용접패스(12a~12c)의 열영향부(13)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으로, 결정립의 평균크기가 13 ㎛ 이하로 미세한 페라이트(Ferrite)/ 퍼얼라이트(Pearlite) 조직이 형성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결과들을 감안할 때 최종용접패스(12a~12c)는 상대적으로 입열이 낮은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CAW)을 수행하되, 입열범위를 0.5 ~ 2 kJ/mm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10: 용접이음부, 11a~11f: 선행용접패스,
12a~12c: 최종용접패스.

Claims (6)

  1. 적어도 1회의 선행용접패스와 상기 선행용접패스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선행용접패스를 덮되 후열의 영향을 받을 수 없는 최종용접패스를 포함하며,
    상기 선행용접패스는 대입열 용접을 하고,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상기 선행용접패스보다 입열이 낮은 저입열 용접을 하는 다층 용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용접패스는 3.5 ~ 7.5 kJ/mm 범위의 입열로 용접을 하고,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0.5 ~ 2 kJ/mm 범위의 입열로 용접을 하는 다층 용접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용접패스는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 Submerged Arc Welding)을 수행하고,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FCAW: Flux Cored Arc Welding)을 수행하는 다층 용접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열영향부의 결정립 평균 크기가 17㎛ 이하가 되도록 하는 다층 용접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열영향부의 미세조직 베이나이트(Bainite) 분율이 15% 이하가 되도록 하는 다층 용접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용접패스는 열영향부의 비이커스 경도 값이 180 hv 이하가 되도록 하는 다층 용접방법.
KR1020150061181A 2015-04-30 2015-04-30 다층 용접방법 KR101634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81A KR101634167B1 (ko) 2015-04-30 2015-04-30 다층 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81A KR101634167B1 (ko) 2015-04-30 2015-04-30 다층 용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167B1 true KR101634167B1 (ko) 2016-06-30

Family

ID=5635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181A KR101634167B1 (ko) 2015-04-30 2015-04-30 다층 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79200A (zh) * 2023-03-10 2023-05-09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钢结构双丝埋弧焊大热输入焊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879A (ja) * 1997-12-24 1999-09-07 Kawasaki Steel Corp 極厚鋼板の多層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極厚溶接部材
KR20050065665A (ko) 2002-10-30 2005-06-29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강재의 용접 이음부에 있어서의 열 영향부의 인성 향상방법
JP2008062277A (ja) * 2006-09-08 2008-03-21 Toden Kogyo Co Ltd ステンレス鋼管の多層溶接方法及び多層溶接物
KR20100065449A (ko) * 2008-12-08 2010-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V 개선형상의 용접 맞대기 이음의 일면 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879A (ja) * 1997-12-24 1999-09-07 Kawasaki Steel Corp 極厚鋼板の多層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極厚溶接部材
KR20050065665A (ko) 2002-10-30 2005-06-29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강재의 용접 이음부에 있어서의 열 영향부의 인성 향상방법
JP2008062277A (ja) * 2006-09-08 2008-03-21 Toden Kogyo Co Ltd ステンレス鋼管の多層溶接方法及び多層溶接物
KR20100065449A (ko) * 2008-12-08 2010-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V 개선형상의 용접 맞대기 이음의 일면 용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79200A (zh) * 2023-03-10 2023-05-09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钢结构双丝埋弧焊大热输入焊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5299B2 (ja) 隅肉アーク溶接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JP5079419B2 (ja) 溶接熱影響部の靱性が優れた溶接構造物用鋼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溶接構造物の製造方法
CN110337344B (zh) 搭接角焊缝电弧焊接头及其制造方法
JP2016011439A (ja) 冷間プレス成形角形鋼管用厚鋼板、冷間プレス成形角形鋼管、及び溶接継手
CN105269175A (zh) 用于X7Ni9钢与S30408钢相焊的焊条电弧焊方法
JP6217666B2 (ja) 厚鋼板の突合せ溶接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形成される突合せ溶接継手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突合せ溶接継手を得る溶接構造物の製造方法
KR101634167B1 (ko) 다층 용접방법
US11648626B2 (en) Laser-welded lap joint, method for producing laser-welded lap joint, and automobile frame component
KR101720087B1 (ko) 피로 특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80561B1 (ko) 충격인성 및 경도편차 개선을 위한 전기저항용접 강관의 다단 열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관 제조 방법
KR100631404B1 (ko) 탄소강의 편면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부와 그 용접방법
KR20190077744A (ko) 용접 열영향부 ctod 특성이 우수한 용접부 및 제조 방법
KR102109230B1 (ko) 초고강도 가스 메탈 아크 용접금속부
JP2009012049A (ja) 耐脆性き裂伝播特性に優れた多層盛突合せ溶接継手及び溶接構造体
KR101543851B1 (ko) 레이저 용접용 용접재료, 이를 이용한 레이저 용접이음부 및 이를 위한 용접방법
US20190184497A1 (en) Laser gma hybrid welding with targeted inductive heat conduction
KR101480768B1 (ko) 표면에 AlSi 코팅층을 갖는 HPF용 강재의 TWB 레이저 용접방법
KR20180000019A (ko) 용접 생산성 및 용접부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판 용접이음부의 제조방법
KR20170056756A (ko) 고강도 후판 강재의 용접이음부 고온균열 저감 방법 및 용접구조물
KR20160121712A (ko) 초대입열 용접용 강판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대입열 용접용 강판
KR102218452B1 (ko) 접합부 가공성이 우수한 휠림 DC butt 접합부재 및 제조방법
KR102046952B1 (ko) 용접 열영향부 ctod 특성이 우수한 용접부
KR102043520B1 (ko) Ctod 특성이 우수한 용접부
KR102046957B1 (ko) 취성균열 전파 정지 성능이 우수한 고능률 용접 이음부 및 이의 제조방법
JP7040435B2 (ja) 厚鋼板の多層盛りアーク溶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