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888B1 -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888B1
KR101632888B1 KR1020140186306A KR20140186306A KR101632888B1 KR 101632888 B1 KR101632888 B1 KR 101632888B1 KR 1020140186306 A KR1020140186306 A KR 1020140186306A KR 20140186306 A KR20140186306 A KR 20140186306A KR 101632888 B1 KR101632888 B1 KR 10163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ydrogen
heat exchanger
water
fluid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1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10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에 의하면, 가루 형태의 철광석을 환원시키는 유동환원로, 상기 유동환원로의 상부에서 배출되는 에프오지가스(FOG: FINEX OFF GAS)의 열을 이용하여 물을 수증기로 전환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에프오지가스와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제1온도조건에서 수소를 포함하는 제1가스를 생성하고, 이를 배출하는 고온개질장치, 및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배출되는 제1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물을 수증기로 전환하는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수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ENERGY REDUCTION HIGH EFFICIENCY WATER GAS SHIFT REACTION SYSTEM}
본 발명은 철강을 생산하는 파이넥스 설비에서 배출되는 FOG(FINEX OFF GAS)를 HTS 또는 LTS 반응을 통해서 수소가스를 생산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종래 방식 중 WGS 반응은 SR(Steam Reforming)에 의해 생산된 CO와 수소의 비율을 적정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공정으로 현재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데 흔히 사용되고 있다.
WGS촉매 반응은 일반적으로 HTS(High Temperature Synthesis), LTS(Low Temperature Synthesis)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촉매는 Fe-Cr 계열과 Cu-Zn계열을 사용한다.
WGS 반응은 발열반응 (41kJ/mol)로 반응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반응 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CO를 clean up하기 위한 용량에 따라 일반적으로 두 개의 반응기와 최적의 열교환망을 이용하여 온도를 제어, CO의 전환율 및 수소 생산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최근 철강 연/원료 가격 급등 및 세계적 에너지 위기는 제철공정 효율 극대화 및 부생가스의 고부가가치화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를 심화 시키고 있다.
특히 다량의 환원성 가스(CO, H2)를 함유하고 있는 FOG(FINEX Off Gas)는 수성 가스 전환(water gas shift) 개질 반응을 이용한 수소 증폭 및 수소 압력 순환 흡착(PSA: Pressure swing adsorption)을 이용한 수소 분리 공정으로 경제적 대량 수소생산에 적합한 원료로 평가 받고 있다.
아울러, FOG가스 중 CO를 수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스팀이 필요하데 이론적으로는 스팀 대 카본(Steam to Carbon)이 비율이 1이지만, 현실적으로 촉매의 내구성에 직결되는 탄소 침적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카본1에 대해서 약 2~3의 배율로 스팀량을 조절하여 투입하고 있다.
이 또한 에너지 비용이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촉매를 개발하는 기술사들은 스팀의 비율이 낮아도 충분히 CO를 수소로 전환시키는 신 촉매를 개발 중에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질하고자 하는 가스 CO에는 수분함량이 거의 미량으로 존재하여 탄소침적에 의한 촉매 활성도를 유지하기 위해 당량비로 약 3배 이상의 스팀을 공급하고 있어서, 에너지 소모의 효율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넥스 설비에서 배출되는 에프오지(FOG: finex off gas)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및 증기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되,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 에너지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수소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에 의하면, 가루 형태의 철광석을 환원시키는 유동환원로, 상기 유동환원로의 상부에서 배출되는 에프오지가스(FOG: FINEX OFF GAS)의 열을 이용하여 물을 수증기로 전환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에프오지가스와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제1온도조건에서 수소를 포함하는 제1가스를 생성하고, 이를 배출하는 고온개질장치, 및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배출되는 제1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물을 수증기로 전환하는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수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배출되는 제1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온도조건보다 낮은 제2온도조건에서 수소를 포함하는 제2가스를 생성하고, 이를 배출하는 저온개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온개질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수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2가스를 정제하여 설정된 순도의 수소를 생성하는 수소분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분리장치는 압력변동을 이용하여 기체성분을 흡착분리하는 PSA(pressure swing absorption)일 수 있다.
상기 수소분리장치에서 형성된 수소가스는 상기 유동환원로로 공급되어, 반응가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환원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에프오지가스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백필터(back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환원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에프오지가스에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수소, 수분, 및 질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소분리장치에서 생산되는 수소는 순도 9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저온개질장치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발전기, 응축기, 및 압축기를 거쳐서 상기 수소분리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수증기의 일부는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사용되고, 나머지는 재사용되도록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에 따라서, 파이넥스 설비에서 배출되는 FOG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되, LTS 또는 HTS에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여 스팀을 생산하고, 이를 다시 재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투입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즉, 이미 개질하고자 하는 제철소에 발생하는 FOG(FINEX Off Gas)내에 함유된 스팀을 그대로 활용하되, 나머지 필요한 스팀은 수성반응(WGS)시스템을 통해 스팀을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는 HTS 또는 LTS촉매 반응 특성상 발열반응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발열반응 특성상 열을 잘 빼앗아 주어야 발열반응이 잘 일어나는데, 이를 위해 열을 회수하여 발열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로법이 아니라, 파이넥스 공법에 적용되는데, 고로법에서는 소결과정을 거친 덩어리 상태의 철광석(괴철광) 또는 자연상태의 괴철광이 사용되는 반면 파이넥스 공정에서는 가루형태의 철광석(분철광)이 사용된다.
또한, 고로법에서는 유연탄을 가공한 코크스가 사용되나 파이넥스 공정에서는 일반탄이 직접 사용된다.
이와 같은 파이넥스법은 코크스 제조설비, 철광석의 소결설비, 정화설비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괴철광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분철광과 유연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일반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철강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파이넥스법은 고로법에 비해 매우 친환경적이다.
파이넥스 공정에서는 분철광을 환원시키는 유동환원로와, 환원된 분철광과 일반탄을 용융시켜 용선을 제조하는 용융가스화로가 사용된다. 분철광의 환원을 위해 유동환원로의 내부로는 환원서 가스가 공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성가스 반응시스템은 용융로(102), 유동환원로(100), 제1열교환기(105), 백필터(110), 제1제어밸브(120), 고온개질장치(125), 제2열교환기(130), 저온개질장치(135), 발전기(140), 응축기(145), 압축기(150), 수소분리장치(155), 제2제어밸브(165), 및 제3제어밸브(16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환원로(100)에서는 가루 형태의 광석을 환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용융로(102)는 환원된 가루 형태의 광석을 용융시켜 용선을 제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유동환원로(100)에서는 에프오지가스(FOG; finex off gas)가 배출되고, 상기 에프오지가스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수소, 수분, 및 질소가스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질량비(또는 부피비)로써 상기 일산화탄소는 24%, 상기 이산화탄소는 28%, 상기 수소는 14%, 상기 수분은 18%, 및 상기 질소는 16%일 수 있다.
상기 유동환원로(1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에프오지가스는 제1열교환기(105), 상기 백필터(110), 상기 제1제어밸브(120), 상기 고온개질장치(125), 상기 제2열교환기(130), 상기 저온개질장치(135), 상기 발전기(140), 상기 응축기(145), 상기 압축기(150), 및 상기 수소분리장치(15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수소분리장치(155)에서 분리된 수소는 일부는 상기 제3제어밸브(160)를 거쳐서 상기 용융로(102) 또는 상기 유동환원로(100)에서 재사용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제어밸브(165)를 거쳐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환원로(100)에서 배출되는 상기 에프오지가스의 온도는 섭씨 약 450도이고, 상기 제1열교환기(105)에서 물과 상기 에프오지가스가 열을 교환하여 물은 수증기로 전환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105)에서 배출되는 에프오지가스는 상기 백필터(110)로 공급된다.
상기 백필터(110)는 상기 에프오지가스에 포함된 입자상물질을 걸려내고, 상기 제1열교환기(105)에서 생성된 증기의 일부는 상기 고온개질장치(125)로 공급되어 사용된다.
상기 백필터(110)는 건식필터로써 열손실이 적은 장점이 있고, 전체적인 시스템의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반면에, 수분을 이용하여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경우에, 수분이 증발하면서 온도를 저감시켜 에너지의 손실이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백필터(110)에서 입자상물질이 걸러진 에프오지가스의 일부(약 30%, 설계사양에 따라서 가변적임)는 상기 발전소(115)로 전달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1제어밸브(120)를 거쳐서 상기 고온개질장치(125)로 공급된다.
상기 고온개질장치(125)는 HTS로 불리우고, HTS는 high temperature shift 의 약자이다. 상기 고온개질장치(125)는 고용용 촉매와 스팀을 이용하여 일산화탄소를 수소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섭씨 약 400 내외에서 운전된다.
상기 고온개질장치(125)는 발열반응에 의해서 섭씨 약 450도의 가스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130)는 상기 고온개질장치(125)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서 물을 증기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105)와 상기 제2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상기 고온개질장치(125)에서 반응 스팀으로 사용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최소화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열교환기(105)와 상기 제2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증기는 증기를 필요로 하는 외부장치(미도시)로 별도로 공급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130)를 지난 가스는 상기 저온개질장치(135)로 공급된다.
상기 저온개질장치(135)는 LTS로 불리우고, LTS는 low temperature shift 의 약자이고, 상기 저온개질장치(135)는 저온용 촉매와 스팀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를 수소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섭씨 약 250도 내외에서 운전된다.
상기 저온개질장치(135)를 통과한 가스는 상기 발전기(140), 상기 응축기(145), 및 상기 압축기(150)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상기 수소분리장치(155)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140)는 고온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상기 응축기(145)는 응축을 통해서 수분을 걸러내고, 상기 압축기(150)는 배출가스를 상기 수소분리장치로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수소분리장치(155)는 PSA(pressure swing adsorption)방식으로 CO, CO2, H2, O 등의 혼합가스에서 수소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AS 방식의 흡착공정에 의한 혼합성분의 분리는 흡착제에 대한 각 성분들의 흡착선택도에 의해서 이뤄지는데, 혼합기체를 흡착제가 충진된 흡착탑으로 흘려 보내면, 혼합기체 중에 흡착성능이 높은 성분은 흡착제상에 많이 흡착되고, 흡착성능이 낮은 성분은 농축되어 탑의 출구로 방출되어 제품가스가 된다.
흡착이 끝난 흡착탑은 흡착된 성분을 탈착시켜 흡착제를 재생하여 다음 흡착을 시작하고, 흡착 분리 공정은 흡착기능과 탈착기능을 반복함으로써 이뤄지며, 크게 보면 PSA공정은 승압, 흡착, 감압, 세정의 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소분리장치(155)에서 정제된 수소는 약 95%이상의 순도를 가지며, 정제된 수소는 상기 제3제어밸브(160)를 통해서 상기 용융로(102)나 상기 유동환원로(100)로 분배될 수 있다. 아울러, 여분의 수소는 상기 제2제어밸브(165)를 통해서 별도의 챔버(미도시)에 압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유동환원로 102: 용융로
105: 제1열교환기 110: 백필터
115: 발전소 120: 제1제어밸브
125: 고온개질장치 130: 제2열교환기
135: 저온개질장치 140: 발전기
145: 응축기 150: 압축기
155: 수소분리장치 160: 제3제어밸브
165: 제2제어밸브

Claims (10)

  1. 가루 형태의 철광석을 환원시키는 유동환원로;
    상기 유동환원로의 상부에서 배출되는 에프오지가스(FOG: FINEX OFF GAS)의 열을 이용하여 물을 수증기로 전환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에프오지가스와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제1온도조건에서 수소를 포함하는 제1가스를 생성하고, 이를 배출하는 고온개질장치; 및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배출되는 제1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물을 수증기로 전환하는 제2열교환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수증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배출되는 제1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온도조건보다 낮은 제2온도조건에서 수소를 포함하는 제2가스를 생성하고, 이를 배출하는 저온개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저온개질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수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2가스를 정제하여 설정된 순도의 수소를 생성하는 수소분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수소분리장치는 압력변동을 이용하여 기체성분을 흡착분리하는 PSA(pressure swing adsorp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수소분리장치에서 형성된 수소가스는 상기 유동환원로로 공급되어, 반응가스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유동환원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에프오지가스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백필터(back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유동환원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에프오지가스에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수소, 수분, 및 질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8. 제3항에서,
    상기 수소분리장치에서 생산되는 수소는 순도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9. 제3항에서,
    상기 저온개질장치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발전기, 응축기, 및 압축기를 거쳐서 상기 수소분리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10. 제1항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수증기의 일부는 상기 고온개질장치에서 사용되고, 나머지는 재사용되도록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KR1020140186306A 2014-12-22 2014-12-22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KR10163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306A KR101632888B1 (ko) 2014-12-22 2014-12-22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306A KR101632888B1 (ko) 2014-12-22 2014-12-22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888B1 true KR101632888B1 (ko) 2016-06-24

Family

ID=5634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306A KR101632888B1 (ko) 2014-12-22 2014-12-22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8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411B1 (ko) 2021-05-31 2021-08-24 제이엔케이히터(주)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수성가스전환반응을 통한 고순도 수소생산 시스템
KR20220087770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처리 장치 및 수소 가스 제조 방법
KR102525842B1 (ko) 2023-02-14 2023-04-2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고농도 합성가스용 다단 열교환 일체형 수성가스 전환반응장치
KR102593782B1 (ko) * 2023-03-28 2023-10-26 제이엔케이히터(주)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수성가스전환반응을 통한 고순도 수소생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148A (ko) * 2009-08-07 2011-0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스화 합성가스를 이용하는 다단 유동층 수성가스 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생산방법
KR20110084772A (ko) *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포스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하는 용철 제조 장치
JP2011213545A (ja) * 2010-03-31 2011-10-27 Nippon Steel Corp 合成ガスの製造方法及び還元鉄の製造方法
KR101321930B1 (ko) * 2012-06-07 2013-10-28 주식회사 포스코 환원철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원철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5148A (ko) * 2009-08-07 2011-02-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스화 합성가스를 이용하는 다단 유동층 수성가스 반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생산방법
KR20110084772A (ko) *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포스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하는 용철 제조 장치
JP2011213545A (ja) * 2010-03-31 2011-10-27 Nippon Steel Corp 合成ガスの製造方法及び還元鉄の製造方法
KR101321930B1 (ko) * 2012-06-07 2013-10-28 주식회사 포스코 환원철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원철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770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처리 장치 및 수소 가스 제조 방법
KR102503631B1 (ko) 2020-12-18 2023-02-24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처리 장치 및 수소 가스 제조 방법
KR102292411B1 (ko) 2021-05-31 2021-08-24 제이엔케이히터(주)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수성가스전환반응을 통한 고순도 수소생산 시스템
KR102525842B1 (ko) 2023-02-14 2023-04-2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고농도 합성가스용 다단 열교환 일체형 수성가스 전환반응장치
KR102593782B1 (ko) * 2023-03-28 2023-10-26 제이엔케이히터(주)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수성가스전환반응을 통한 고순도 수소생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6672B2 (ja) 高炉又は製鉄所の操業方法
EP2543743B1 (en) Blast furnace operation method, iron mill operation method, and method for utilizing a gas containing carbon oxides
Bermúdez et al. An overview of novel technologies to valorise coke oven gas surplus
CA2428263C (en) Method for producing ammonia on the basis of a nitrogen-hydrogen mixture from natural gas
Scholz Processes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hydrogen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effects
KR102292411B1 (ko)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수성가스전환반응을 통한 고순도 수소생산 시스템
KR101632888B1 (ko) 에너지 절감형 수성가스 반응시스템
KR101717121B1 (ko) 메탄올 및 암모니아의 공동 제조
KR101142501B1 (ko) 용철 제조 장치
UA119697C2 (uk)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аміаку
Nurdiawati et al. Microalgae-based coproduction of ammonia and power employing chemical looping process
CN103648970A (zh) 用于制备氨和尿素的方法
WO2015104532A1 (en) Hydrogen production processing
JP2013087021A (ja) 化石燃料から合成ガスを生成するプラントの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
JP2017048087A (ja) 化石燃料からの水素製造方法及び水素製造装置
JP2008143770A (ja) 廃熱回収システムおよび廃熱回収装置
JP6930513B2 (ja) 有機物の合成装置および合成方法
CN210261105U (zh) 一种利用黄磷尾气制备多种合成气的装置
US20150299595A1 (en) Method for producing synthesis natural gas using straw gas
KR102173505B1 (ko)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생산 방법
CN111100716B (zh) 一种制天然气的方法及装置
CN110143572B (zh) H2/co原料气的生产方法及装置
CN112744785A (zh) 一种原位利用二氧化碳联产合成气和氢气的化学链耦合工艺
JP2000233918A (ja) Coの製造方法
JP5154968B2 (ja) 二酸化炭素を含有する混合ガスの改質・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