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505B1 -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505B1
KR102173505B1 KR1020180091346A KR20180091346A KR102173505B1 KR 102173505 B1 KR102173505 B1 KR 102173505B1 KR 1020180091346 A KR1020180091346 A KR 1020180091346A KR 20180091346 A KR20180091346 A KR 20180091346A KR 102173505 B1 KR102173505 B1 KR 10217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methane
catalyst
moisture adsorb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082A (ko
Inventor
서명원
고강석
이도연
류호정
김광호
김용구
전상구
유인수
손성혜
박성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9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5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 C07C1/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from oxides of a carbon
    • C07C1/0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from oxides of a carbon from carbon monoxide with hydrogen
    • C07C1/0405Apparatus
    • C07C1/041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5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 B01J8/0055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gas/liquid stream using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 C07C1/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from oxides of a carbon
    • C07C1/0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from oxides of a carbon from carbon monoxide with hydrogen
    • C07C1/0405Apparatus
    • C07C1/042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s; Heat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 C07C1/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from oxides of a carbon
    • C07C1/0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from oxides of a carbon from carbon monoxide with hydrogen
    • C07C1/0425Catalysts; their physical properties
    • C07C1/045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 C07C1/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from oxides of a carbon
    • C07C1/1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one or more compounds, none of them being a hydrocarbon from oxides of a carbon from carbon dioxide with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9/00Aliphatic saturated hydrocarbons
    • C07C9/02Aliphatic saturated hydrocarbons with one to four carbon atoms
    • C07C9/04M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265Part of all of the reactants being heated or cooled outside the reactor while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4Recycling of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메탄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사용하여 반응이 진행되는 중에도 물을 계속 흡착함으로써, 반응이 평형상태에 이르지 않고 계속적으로 정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생산 방법 {Method for synthetic methane using fluidized bed}
본원 발명은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로부터 메탄을 생성할 경우 발생되는 열과 생성되는 물을 흡착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메탄의 생산속도와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탄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탄은 산업 현장, 취사 및 연료, 운송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메탄을 기반한 인프라가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메탄의 대부분은 화석연료에 기반한 천연가스로부터 얻어지고 있다. 화석연료의 유한성과 기후 변화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단순히 자원을 소비하는 차원과 달리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메탄 공급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바이오메스 또는 가스화 반응 또는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산화탄소와 신재생발전으로부터 생산되는 수소로부터 메탄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메탄 생산은 혼합 탱크 반응기 등에서 미생물의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진행되는 70℃이하의 저온반응과 촉매를 이용한 고정층 반응기에서 진행되는 250℃ 이상의 열화학적 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저온반응은 반응 수율이 낮고 반응속도가 낮아, 최근에는 촉매를 이용한 고정층 반응기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촉매를 이용한 메탄화 반응은 일산화탄소를 이용한 반응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반응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반응식은 하기와 같다.
CO + 3H2 ↔ CH4 + H2O(g) -206kJ/mol (at 298K)
CO2 + 4H2 ↔ CH4 + 2H2O(g) -164kJ/mol (at 298K)
상기 반응은 모두 빠른 발열반응이며, 생성물로서 공통적으로 물이 생성된다. 기존 고정층 반응기에서 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반응을 진행할 경우 발열에 의한 촉매의 수명 감소로 처리량을 높일 수 없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반응 중간에 열교환을 통해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여러 개의 반응기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생성되는 물로 인하여 반응물의 전환율과 메탄의 수율이 떨어지고 이러한 평형을 극복하기 위해 반응 압력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수소를 하나 이상의 탄소계 화합물과 반응시켜 메탄을 제조하기 위한 메탄화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소 및 각각의 탄소계 화합물을 위한 입구를 포함하고 촉매 입자의 유동층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공 바디; 및 메탄 및 물을 위한 출구를 포함한다. 각각의 탄소계 화합물은 기체이며, 상기 반응기는 수소 및 탄소계 기체를 포함하는 기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주입 노즐 및 하나 이상의 물-주입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물-주입 노즐은 하나 이상의 기체-주입 노즐 밑에 위치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유동층 반응기는 메탄을 생산함에 있어서 생성되는 물을 제거하여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차르 메탄화 촉매를 사용한 기체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알칼리 금속 촉매-로딩된 탄소질 공급원료의 기체화에 의해 생성된 기체 스트림과 같은 일산화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메탄-풍부 기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서 유용한 차르 메탄화 촉매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또한 메탄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기본 기술을 제시하고 있을 뿐 평형 관점에서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없다.
비특허문헌 1은 이러한 문제점을 이론적인 모사를 통해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성되는 물을 흡착을 통해서 제거하여 전환율의 변화를 예측을 하였으나, 메탄 생산 공정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64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30894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42 (2014) 379386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응에 의해발생하는 열을 제거함과 동시에 반응물의 전환율을 높이고 생산되는 메탄의 순도를 높일 수 있는 유동층 메탄화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메탄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제1양태는 반응물의 전환율과 메탄의 순도를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에 있어서,
고온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챔버; 상기 반응챔버의 상단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응챔버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상 물질을 수분흡착제 및 촉매와 분리하는 분리사이클론; 상기 기체상 물질로부터 메탄을 분리하고 물과 수소를 회수하는 제1기체분리부; 상기 수분흡착제에 흡착된 수분을 제거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로부터 재생된 수분흡착제와 촉매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를 포함하는 반응물의 전환율과 메탄의 순도를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제2양태는 반응물의 전환율과 메탄의 순도를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를 사용하여 메탄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반응챔버에 수소와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와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반응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생성물을 상기 분리사이클론을 사용하여 기체상 물질과 수분흡착제 및 촉매로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분리된 기체상 물질에서 메탄, 수소, 물을 분리하며, d) 상기 분리된 수분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수분흡착제와 촉매가 가진 열을 제거하는 단계로 분리되며, f) 상기 단계 e)의 온도가 낮아진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다시 반응챔버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탄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반응에 따른 발열을 제어함으로써 반응물의 처리량을 높이고 반응 중 발생하는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메탄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사용하여 반응이 진행되는 중에도 물을 계속 흡착함으로써, 반응이 평형상태에 이르지 않고 계속적으로 정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 비해 메탄의 전환율이 높다. 한편 본원 발명은 촉매 이외에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입자가 추가됨으로써 고속유동층에서 열용량이 증가하고 별도의 반응영역에서 열교환을 통해 추가로 열을 제거할 수 있어 발열에 따른 반응물 처리속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유동층 메탄화반응기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원 발명에 따른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유동층 메탄화반응기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유동층 메탄화반응기(100)는 고온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챔버(10), 상기 반응챔버(10)의 상단출구부(18)와 연결되며 상기 반응챔버(10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상 물질을 수분흡착제 및 촉매와 분리하는 분리사이클론(20), 상기 기체상 물질로부터 메탄을 분리하고 물과 수소를 회수하는 제1기체분리부(30), 상기 수분흡착제로부터 수분을 탈착시키는 재생부(40), 상기 재생부(40)로부터 재생된 수분흡착제와 촉매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챔버(10)는 수소와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가 공급되는 기상원료공급부(12),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공급되는 고상부공급부(14), 상기 공급된 수소와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고속유동층 영역에서 반응이 진행되는 메탄전환부(16), 상기 메탄전환부(16)에서 반응이 진행된 반응물을 배출하는 상기 상단출구부(18)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탄전환부는 250℃ 내지 500℃의 고온에서 전환반응이 일어나며, 이때 유동층은 고속유동층(fast fluidized bed)이다. 고속유동층은 이미 알려진 기술로서 Ind. Eng. Chem., Process Des. Dev., Vol. 15, No. 1, 1976, pp47-53에 기재되어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소와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로부터 메탄 및 물을 생성하는 촉매는 통상의 촉매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원 발명은 고속유동층에서 반응이 진행됨과 동시에 같이 투입된 수붑흡착제에 의해서 생성된 물이 흡착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서 정반응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에 대비해서 메탄의 전환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수분흡착제는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하는 미세기공을 갖은 흡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미세기공을 갖는 촉매 지지체를 흡착제와 촉매지지제로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에 따른 수분흡착제는 고온의 반응 조건에 의해서 흡착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는바, 반응 조건에서는 수분흡착이 가능하며 이후 반응 조건보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는 수분의 탈착이 진행되는 수분흡착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부(40)는 상기 분리사이클론(20)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투입되는 재생부투입구(42), 상기 재생부(40)의 하단에 위치하며 수소 또는 비활성 가스가 투입되는 수소투입구(44), 상기 재생부(20)의 하단에 위치하며 수소에 의해서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배출되는 재생부배출구(46), 상기 재생된 수분흡착제와 촉매로부터 제거된 물과 온도가 낮아진 수소를 배출하는 재생부수소배출구(48)을 포함한다. 수분흡착제로부터 수분을 탈착하는 방법은 온도를 높여 탈착하거나 낮은 온도에서 가스 조성의 변화를 이용한 평형 조건을 사용하는 것이다. 수소투입구(44)로 투입되는 수소 또는 비활성 가스는 수분 함량이 매우 낮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낮은 온도에서도 수분흡착제로부터 수분을 탈착할 수 있다.
재생부(40) 자체의 온도를 올려서 수분을 탈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반응챔버(10)에서의 온도보다 높아야 되며 예를 들면 350℃ 내지 600℃의 온도가 필요하다. 온도를 올려서 수분을 탈찰하는 경우 온도 상승에 추가의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다른 공정에서 사용되는 않는 에너지가 있지 않다면, 온도를 올리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고온의 수소를 공급한다면, 분리사이클론(20), 제1기체분리부(30)을 통해서 분리된 수소를 사용하거나 별도로 수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재생부수소배출구(48)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수소를 분리하기 위한 제2기체분리부(60)가 부가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물은 별도의 과정을 통해서 제거하며, 수소는 반응챔버(10)의 기상원료공급부(12)로 제공되거나, 열회수부(50)의 저온수소투입구(52)로 공급될 수 있다.
제1기체분리부(30) 및 제2기체분리부(60)는 메탄, 물, 수소 등의 기상 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기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인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회수부(50)는 상기 재생부배출구로(46)부터 배출되는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투입되는 열회수부투입구(52), 상기 열회수부(50)의 하단에 위치하며 저온의 수소가 투입과는 저온수소투입구(54), 상기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고온의 수소를 배출하는 열회수부고온수소배출부(58), 온도가 낮아진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배출하는 열회수부배출구(56)을 포함한다.
상기 열회수부(50)의 저온수소투입구(54)에 투입되는 수소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체분리부(60)에서 분리된 수소이거나 별도의 수소일 수 있다.
상기 기상원료공급부(12)에 공급되는 수소는 상기 제1기체분리부(30)로부터 분리되는 수소, 상기 제2기체분리부로(60)부터 분리되는 수소, 상기 열회수부(50)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또는 별도의 수소 공급라인을 통해서 공급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이들을 혼합한 후 별도의 열교환기를 거처 반응에 적합한 온도로 변환 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고상부공급부(14)에 공급되는 수분흡착제 및 촉매는 상기 열회수부(50)로부터 배출되는 것이거나 별도로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생부(40) 및 열회수부(50)는 내부에 열교환을 위한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도 1에서는 이와 관련된 자세한 구성은 생략하였다. 기체-기체, 기체-액체, 기체-고체, 액체-고체와 관련된 열교환 장치이면 충분하고 이와 관련되어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은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유동층 메탄화반응기를 사용하여 메탄을 생산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에 따라 진행된다.
a) 상기 반응챔버(10)에 수소와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와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반응챔버로(10)부터 배출되는 생성물을 상기 분리사이클론(20)을 사용하여 기체상 물질과 수분흡착제 및 촉매로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기체상 물질에서 메탄, 수소, 물을 분리하며, 상기 단계 b)의 수분흡착제에 흡착된 수분을 수소 기체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처리 후의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저온의 수소와의 접촉 및 열교환시스템을 사용하여 온도를 낮추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온도가 낮아진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다시 반응챔버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때 수분흡착제는 별도의 제올라이트이거나 촉매 또는 촉매의 지지체로 사용하는 제올라이트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모든 구성에 있어서 제1기체분리부(30) 및 제2기체분리부(60)는 응축에 의해서 물을 먼저 분리한다. 이후 메탄, 수소 및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를 분리한다. 기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통상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수소, 메탄,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메탄은 생성물이므로 수소,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은 상기 설명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유동층 메탄화반응기는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사용하여 반응이 진행되는 중에도 물을 계속 흡착함으로써, 반응이 평형상태에 이르지 않고 계속적으로 정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100 : 유동층 메탄화반응기
10 : 반응챔버
12 : 기상원료공급부
14 : 고상부공급부
16 : 메탄전환부
18 : 상단출구부
20 : 분리사이클론
30 : 제1기체분리부
40 : 재생부
42 : 재생부투입구
44 : 수소투입구
46 : 재생부배출구
48 : 재생부수소배출구
50 : 열회수부
52 : 열회수부투입구
54 : 저온수소투입구
56 : 열회수부배출구
58 : 열회수부고온수소배출구
60 : 제2기체분리부

Claims (10)

  1.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유동층 메탄화반응기에 있어서,
    고온의 촉매 전환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챔버;
    상기 반응챔버의 상단출구부와 연결되며 상기 반응챔버로부터 배출되는 기체상 물질을 수분흡착제 및 촉매와 분리하는 분리사이클론;
    상기 기체상 물질로부터 메탄을 분리하고 물과 수소를 회수하는 제1기체분리부;
    상기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재생부로부터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
    를 포함하는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부는 상기 재생부로부터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투입되는 열회수부투입구;
    상기 열회수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저온의 수소가 투입과는 저온수소투입구;
    상기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고온의 수소를 배출하는 열회수부고온수소배출부;
    온도가 낮아진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배출하는 열회수부배출구;
    를 포함하는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챔버는 수소와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가 공급되는 기상원료공급부;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공급되는 고상부공급부;
    상기 공급된 수소와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고속유동층 영역에서 반응이 진행되는 메탄전환부;
    상기 메탄전환부에서 반응이 진행된 반응물을 배출하는 상기 상단출구부;
    를 포함하는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분리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투입되는 재생부투입구;
    상기 재생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고온의 수소가 투입되는 고온수소투입구;
    상기 재생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고온의 수소에 의해서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가 배출되는 재생부배출구;
    상기 재생된 수분흡착제 및 촉매로부터 제거된 물과 온도가 낮아진 수소를 배출하는 재생부저온수소배출구;
    를 포함하는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소투입구에 투입되는 고온의 수소는 상기 제1기체분리부에서 분리된 수소이고,
    상기 재생부저온수소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온도가 낮아진 수소를 분리하기 위한 제2기체분리부가 부가된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부의 저온수소투입구에 투입되는 수소는 상기 제2기체분리부에서 분리된 수소이거나 별도의 수소인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원료공급부에 공급되는 수소는 상기 제1기체분리부로부터 분리되는 수소, 상기 제2기체분리부로부터 분리되는 수소, 상기 열회수부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또는 별도의 수소 공급라인을 통해서 공급되는 것인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부공급부에 공급되는 수분흡착제 및 촉매는 상기 열회수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이거나 별도로 공급되는 것인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메탄 유동층 반응기를 사용하여 메탄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반응챔버에 수소와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와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공급하여 메탄과 물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반응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생성물을 상기 분리사이클론을 사용하여 기체상 물질과 수분흡착제 및 촉매로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기체상 물질에서 메탄, 수소, 물을 분리하며, 상기 단계 b)의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고온의 수소 기체를 사용하여 재생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저온의 수소를 사용하여 온도를 낮추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온도가 낮아진 수분흡착제 및 촉매를 다시 반응챔버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탄을 생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착제는 제올라이트인 메탄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180091346A 2018-08-06 2018-08-06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생산 방법 KR10217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346A KR102173505B1 (ko) 2018-08-06 2018-08-06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346A KR102173505B1 (ko) 2018-08-06 2018-08-06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82A KR20200016082A (ko) 2020-02-14
KR102173505B1 true KR102173505B1 (ko) 2020-11-03

Family

ID=6951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346A KR102173505B1 (ko) 2018-08-06 2018-08-06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390B1 (ko) * 2021-01-13 2022-11-0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메탄 생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2007B2 (en) 2008-09-19 2013-08-06 Greatpoint Energy, Inc. Char methanation catalyst and its use in gasification processes
KR20160016405A (ko)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6160273A1 (en) * 2015-03-30 2016-10-0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c3-c4 hydrocarbon dehydrogena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82A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0192C (en) Methods for fuel conversion into syngas with composite metal oxides
Barelli et al. Hydrogen production through sorption-enhanced steam methane reforming and membrane technology: a review
CN101774542B (zh) 一种生物质气化制氢系统及方法
CA2751882C (en) Method for producing ethanol
RU2670761C9 (ru) Регулирование кислого газа в процессе производства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CN106629600B (zh) 粗合成气吸附催化制氢工艺及其设备
WO2010045232A4 (en) Calcium looping process for high purity hydrogen production intergrated with capture of carbon dioxide, sulfur and halides
Gómez et al. Sorption-enhanced CO and CO2 methanation (SEM) for the production of high purity methane
JP2012528925A (ja) 一体化された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を有するガス化装置
CN112624041A (zh) 一种废弃生物质碳制氢的方法
CN103373706A (zh) 一种甲烷重整制氢方法及装置
CN108946661B (zh) 一种生物质气化制备氢气的方法及系统
CN103288049A (zh) 一种流化-固定复合床反应吸附强化甲烷水蒸气重整制氢的装置及方法
KR101178831B1 (ko) 이산화탄소 동시 분리를 위한 유동층 수성가스 분리막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
KR101142501B1 (ko) 용철 제조 장치
CN114479950B (zh) 一种生物质热解气化制氢方法和系统
CN104098419B (zh) 煤、天然气联用甲醇制低碳烯烃系统及方法
CN203144344U (zh) 固体燃料化学链气化制氢系统
CN102746870B (zh) 一种费托合成工艺
CN103060003A (zh) 一种基于钙基吸收剂制取氢气并分离co2的方法和装置
KR102173505B1 (ko)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 생산 방법
KR102080092B1 (ko)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2단계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메탄의 생산 방법
JP2004137149A (ja) 燃料の蒸気改質用装置ならびにシステム、および燃料を改質する方法
CN214456841U (zh) 一种废弃生物质碳制氢的装置
KR102554803B1 (ko) 메탄으로부터 흡착부과 개질 반응 및 건식 개질 반응을 통한 고순도 수소 및 합성 가스 동시 생산을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