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682B1 - 커플링 - Google Patents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682B1
KR101632682B1 KR1020127000224A KR20127000224A KR101632682B1 KR 101632682 B1 KR101632682 B1 KR 101632682B1 KR 1020127000224 A KR1020127000224 A KR 1020127000224A KR 20127000224 A KR20127000224 A KR 20127000224A KR 101632682 B1 KR101632682 B1 KR 10163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locking portion
lifeboat
coupl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938A (ko
Inventor
벤트 니엘센
Original Assignee
나디로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9/05736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003761A1/en
Application filed by 나디로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나디로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3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40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 B63B23/58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with tackle engaging or release g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폴(fall)(26)을 구명보트(1)에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은 개방단과 상방으로 면하는 개구(15)를 가진 할로우(10)을 구성하는 록킹부와 수납부를 구비한다. 록킹부(25), 할로우(10) 및 개구(15)는 록킹부(25)가 개구(15)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를 가진다. 커플링은 제어기(40)에 의해 제어되는 액츄에이터들(30)(35)(39)을 구비한다. 스트링(27)은 구명보트(1)의 복귀시 록킹부의 복귀를 용이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커플링{A COUPLING}
본 발명은 구명 장치와 같은 하중의 취급에 적합한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 또는 리그(rig:유전 굴착 장치) 등으로부터 해양 표면으로 하강되어야 하는 구명보트용 진수 시스템 또는 진수 상태에서 선박 또는 리그 등으로부터 자유 낙하 형태로 진수되는 구명보트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 등에 의한 화물 취급과 같은 일반적인 리프트 작업에 응용될 수 있다.
날씨가 열악한 상태에서, 통로를 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정지된 구조물 또는 선박으로부터 구명보트의 안전한 진수는 소수의 선원들만 가지고 있는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열악한 날씨 조건에서, 위급한 상황에서만 필요한 기술의 습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극소수의 거장들만 인명과 구명보트를 구할 준비가 되어 있으므로, 진수 훈련은 실제 상황처럼 시뮬레이션이 거의 불가능하다.
의무적인 구명보트 훈련 동안의 사고는 선원들의 안전과 관련되어 계속 논의되고 있는 문제이다.
연습하는 동안뿐만 아니라 위급 상황에서 구명보트는, 선원들이 구조물 또는 선박을 포기하고, 선원들을 승선시킨 상태에서 조심해서 바다로 하강 즉, 진수됨으로써 선원을 태운채로 바다로 자유낙하될 필요가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고들은 구명보트 후크의 고장을 포함한 부하시 방출(on-load release) 기능과 관련된다. 부하시 방출은 구명보트가 폴(fall)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그 폴로부터 구명보트를 방출하는 것과 관련된다.
부하시 구명보트를 방출시키는 능력은 IMO 규정에 의해 1986. 6.1.이후부터 건조되는 모든 선박들에 의무적이다. 이러한 날짜 이전의 선박들은 구명보트가 바다에 의해 완전히 지지되지 않는 한 그러한 폴로부터 방출될 수 없는 오프-로드(off-load) 방출 후크만 일반적으로 제공되었다.
사고의 수 및 테스트 또는 시험 진수뿐만 아니라 구명보트의 위급 상황에서 진수하는 동안 사망하거나 다친 사람의 수는 100을 넘지만, 사상자의 총수를 알 수 있는 공식적인 기록은 없다. 선주, 업자, P&I Club, 각계 각층 및 다양한 다른 국제 기구 등은, 결과적으로 사고의 수를 감소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의 IMO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후크가 매달린 구명보트들은 오프-로드 방출 능력뿐만 아니라 하중시 방출 능력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하중시 방출 후크를 가진 사고들은 유지 보수 불량, 후크 작동 지식의 결여 및 설계 미숙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많은 이유들은 설계를 어렵게 하고, 유지보수 불량과 사람의 실수에 대한 충분한 조치들에 대한 준비를 어렵게 하는 것이 증명되었다.
사고의 다른 이유는, 구명보트가 2개 이상의 폴들과 함께 제공될 때, 폴이 후크로부터 동시에 방출되는 것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동시 방출은 선박의 반대편에서 작업하고 있는 2인 또는 그 이상의 승선원들에 의한 폴의 국부적 방출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경험에 의하면, 너무나 자주, 선박 선원은 폴에 여전히 연결된 다른 것으로부터 선박을 여전히 매달아 놓은 채로 하나의 후크만을 방출해야할 필요가 있다. 다음의 파도의 골에서, 선박은 거꾸로 뒤집혀서, 승선원들을 물 또는 구명보트의 선실 주위로 쳐박힘으로써, 잠재적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인 구명보트의 도입과 함께 구명보트 제조자 또는 해양 당국에 의한 이러한 문제의 인식은, 단일 제어 위치로부터 모든 폴을 방출할 수 있는, 더 복잡한 구명보트 방출 시스템의 개발을 이끌어 왔지만, 그러한 시스템은 여전히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구명보트의 상향부에 단단하게 장착된 종래의 후크 시스템에 근거하고 있다.
바다 표면으로 하강하게 될 오늘날의 구명보트 형태는 전형적으로 하나의 전방 후크와 하나의 고물(aft) 후크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후크들은 구명보트가 물에 뜨자마자 두 개의 후크들을 동시에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방출 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형적인 실시예는 2개의 방출 후크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후크는 구명보트의 각각의 끝단에 배치되어 구명보트의 하나의 끝단에 배치된 후크로부터 나오는 체인 또는 봉에 의해 구명보트의 반대 끝단에 배치된 후크에 연결된다. 2개의 후크들 사이에 배치된 체인 또는 봉은 편리한 위치에 배치된 작동 그립이 설비된다. 체인 또는 봉은 체인 또는 봉을 당기거나 그와 유사한 방식으로 후크들이 작동하게 만들어서 폴로부터 자유로워지게 하는 방식으로 후크들은 방출 후크에 고정된다. 구명보트의 바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봉에 의해 연결된 방출 후크는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통해 작동하는 레버에 의해 작동된다.
다른 방출 시스템은 작업자들이 특정의 선박 또는 리그에서 구명보트에 장착된 후크 방출 시스템에 익숙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구명보트를 작동시키는 선원의 특별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P&I Club, 각계 각층 및 다양한 다른 국제 기구는 부하시 방출을 할 수 없는 종래의 후크 시스템이 신규의 향상된 디자인의 후크들로 교체되는 것을 추천한다.
대부분의 종래의 후크 디자인들은 후크로부터 매달리는 보트의 중량이 후크 작동 메커니즘의 독자적인 설비에 의해 지탱해야만 하는 후크 개방 효과의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특별히 불안정하다.
오늘날, 다양한 후크 시스템들이 사용 가능하고, 하나의 흔한 시스템은 신속한 하중시 방출이 가능하고 전통적인 대빗(davit) 진수식 구명보트의 진수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SAFELAUCH 구명보트 방출 후크이다. 후크는 다양한 이동 부품들과 합체되고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덴마크 특허 출원 PA 2008 00829는 폴을 구명보트에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을 개시한다. 커플링은 록킹부와 수납부를 구비한다. 수납부는 개방단과 상방으로 면하는 개구를 가진 할로우(hollow)로 구성된다. 그러나, 록킹부, 할로우 및 개구는 록킹부가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커플링은 할로우 내부에 록킹부를 유지시킴은 물론 할로우 밖으로 록킹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커플링을 방출하기 위해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미국 특허 번호 7,360,498 B2는 더욱 간단한 디자인을 가진 구명보트 진수 시스템을 개시하지만, 제안된 후크 디자인은 많은 복잡한 이동 부품들을 여전히 포함한다. 미국 특허는 구명보트의 전방과 고물에 배치된 상응하는 한 쌍의 리프팅 링크에 결합되고 방출가능한 한 쌍의 후크들을 구비하는 트윈 폴(twin fall) 구명보트를 지지 및 방출하는 시스템을 더 개시한다. 후크는 중앙 하중 설계 때문에 하중 상태에서 긍정적인 록킹을 제공하며, 여기서, 하중은 후크 회전의 중심과 비슷하며, 따라서 후크가 부주의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체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시스템은 방출 핸들, 방출 아암, 중량 랙(rack), 및 랙의 제1 끝단에 부착되고 후크의 제2 끝단에 부착된 한 쌍의 유연한 케이블을 구비한다. 방출 핸들은 회동점에서 방출 아암에 부착된다. 방출 아암은 중량 랙에 부착된 휠 용기 내부에 배치된 휠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리프팅 링크들이 후크들에 의해 고정되고, 방출 핸들이 작업자에 의해 당겨질 때, 방출 아암을 보스를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중량 랙을 상승시키고 유연한 케이블을 당겨서 후크로부터 리프팅 링크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방출하는 결합 구성을 가정할 수 있다.
대안적이고 간단한 방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고, 그 몇 가지 예들은 아래에 설명된다.
GB 695072 A는 선박 태클(tackle) 결합 및 방출 시스템을 개시한다. 시스템은 바아(bar) 내부에 위치된 공간에 후크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바아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핀은 바아 내부에 위치된 공간을 교차하는 브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바아 내부의 구멍과 결합한다. 핀은 공간 내부에 후크를 고정하고, 선박은 핀이 추(pendulum) 하중 레버에 의해 공간으로부터 퇴각될 때 후크로부터 방출된다.
GB 191303305 A는 물 위에서 구명보트에 매달린 폴로부터 구명보트를 해체하기 위한 해체 기어를 개시한다. 서포트는 구명보트에 부착된 링과 결합하는 스프링-하중 볼트를 포함하는 폴의 동활차(running block)에 부착된다. 구명보트가 물에 떨어지게 되면, 링은 교차 슬롯으로 삽입되고 볼트가 자동적으로 빠져서, 매달린 폴로부터 구명보트를 방출시킨다.
JP 10017263 A2는 모선으로부터 보내진 와이어에 의해 구명보트를 매달도록 구성된 구명보트 현가 장치를 개시한다. 구명보트는 와이어에 배치된 록킹부를 통해 와이어에 연결되고 선박에 마련된 할로우에 연결된다. 와이어에 매달린 록킹부는 개구를 통해 할로우 속으로 도입되고 선박은 예를 들어, 레버 등을 통해 수납 할로우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와이어로부터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JP 2007160955 A2는 선박으로부터 컨넥터를 방출할 수 있는 후크 장치를 개시한다. 실질적으로 대칭인 2개의 부품을 구비하는 후크는 선박에 있는 연결 베이스에 컨넥터를 연결하고, 후크 부품들 내부에 마련된 공간 내부에 컨넥터를 고정한다. 컨넥터가 해체되면, 후크는 개방되고 컨넥터가 후퇴됨으로써 선박이 자유로워 진다.
GB 191027179(GB27179)는 소켓 부재 및 구명보트를 매달고 있는 폴에 부착된 헤드 행거(headed hanger)를 구비한다. 행거는 구명보트를 고정하기 위해 소켓 부재에 의해 수납된다. 소켓은 다양한 가동 부품들에 의해 선박이 물에 있을 때 행거를 탈출시키기 위해 회전되게 구성된다. 매달린 구명보트에 의해 하중이 시스템에 부과되면, 행거를 통해 소켓 부재에 의해 운송된다.
JP 2005212534 A는 보트에 고정된 돔(dome)을 포함하는 보트 후크 장치를 개시한다. 후크는 와이어에 고정되어 돔에 경사질 수 있게 수납된다. 후크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해 돔에는 틸팅 스토퍼가 마련된다. 개시에 따른 후크는 볼록면 모양의 거의 구형을 가진 디스크이고 오목면 형상의 거의 구형을 가진 돔에 장착된다. 후크 록킹 윈도우가 제공되어 그곳을 통해 후크는 통과할 수 없고 와이어 로프는 강제로 들어간다. 후크 통과 윈도우는 후크가 통과하는 곳에 마련된다.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커플링을 방출하기 위해, 커플링이 하중을 받을 때 보트를 방출하기 위해 보트의 하중 즉, 보트로부터 후크에 가해지는 수직 힘에 의존하는 하중시 방출 시스템을 교시한다. 이러한 하중시 방출 특징은 커플링 시스템을 잠재적으로 우연하게 방출시키는 한편 보트가 의도적으로 폴로부터 매달리게 하여, 구명보트 승선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명 장비를 위한 커플링의 신뢰성과 성능을 개량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선행기술은 시스템의 중량 및/또는 부품들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안전하고 믿을만한 방식의 간단하고 더욱 믿을 만하고 저렴한 커플링 시스템의 교사에 실패하였고, 선원들에 대한 그 어떤 상해의 위험과 기계적 고장으로부터 기인하는 장비에 대한 손해를 최소화시키는 커플링 시스템의 제공에 실패하였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폴(fall) 또는 구조물을 구명보트에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커플링은 폴 또는 구조물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하중 지지 록킹부 및 구명보트에 부착되거나 일체화되도록 구성된 수납부를 구비한다.
수납부는 개방단을 가지며 록킹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할로우(hollow)를 구비한다. 할로우의 벽에는 개구가 마련되어, 개구를 통해 록킹부가 폴 또는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폴과 같은 표현은 드럼에 감겨지거나 드럼으로부터 감겨질 수 있는 그 어떤 형태의 와이어 또는 로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 따른 개량된 커플링을 제공하고, 특히, 할로우의 개방단 근처에 배치된 멈춤쇠, 보다 적은 이동 부품들을 포함하는 하중시 방출가능한 커플링을 더 구비하는 한편 효과적이고 믿을 만한 커플링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시스템은 폴로부터 보트를 방출하기 위해, 폴에 의한 상방의 힘들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존한다. 수평 힘들은 완료된 후에만 록킹부가 수납부로부터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특정 작용들의 순서에 의해 만들어진다.
멈춤쇠가 할로우 속으로 들어가도록 멈춤쇠는 구성되고, 록킹부가 할로우 속으로 들어가면, 록킹부가 할로우로부터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멈춤쇠를 포함하는 커플링은, 트윈 폴의 적용에서, 보트의 하나의 끝단에만 있는 하중을 포함하는 완전한 보트의 중량을 멈춤쇠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커플링이 사고로 방출되거나 고장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커플링이 물에 완전히 하강할 때까지 보트를 고정하게 될 것이다.
커플링의 간단한 디자인은 아주 약간의 유지 보수만을 필요로 하고, 선행기술에서 부식 등과 같은 후크 장치의 고장에 의해 요구되는 부품들의 그 어떤 리스크도 사실상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은 커플링을 방출하기 위해 할로우 밖으로 록킹부에 힘을 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다. 그 중에서도, 할로우 밖으로 록킹부에 힘을 가하는 수단은, 할로우의 개방단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액츄에이터가 작동할 때 할로우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록킹부에 실질적으로 선형의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는, 상호 연결에 의해, 록킹부가 할로우로부터 나오는 것을 허용하도록 멈춤쇠의 위치를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멈춤쇠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회전의 결과로서, 멈춤쇠는 록킹부가 할로우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의 작동시 멈춤쇠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록킹부가 할로우를 나올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액츄에이터로부터 멈춤쇠까지 액츄에이터에 의해 만들어지는 선형 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글라이더를 구비하는 장치를 통해 멈춤쇠가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이더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제1 플랜지 및 멈춤쇠에 인접한 제2 플랜지를 가진 각진 부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록킹부는, 록킹부가 할로우 속으로 수납될 때, 글라이더의 플랜지들 내부에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는 복귀 스프링이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는 유압에 의해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은 제2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록킹부는 볼-형상 부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string)을 구비하고, 스트링의 당김에 의해 할로우 속으로 록킹부가 용이하게 복귀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할로우의 내측 또는 내면은 가늘고 긴 깔때기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할로우를 구획하는 벽들은 하중 지지 록킹부로 하중을 전달하는 하중 지지 부재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할로우를 구획하는 벽들은 록킹부가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할로우는 개구의 폭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보장하는 고정된 벽들을 가진 단단한 구조물을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록킹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테프론, PE 또는 균등물과 같은 마찰 감소 수단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할로우의 내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마찰 감소 수단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은 록킹부가 수납부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한편 수납부의 벽들이 록킹부에 연결된 폴에 의해 매달린 구명보트의 50% 이상의 중량을 전달하도록 하중시 방출 커플링을 구성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은 록킹부의 표면과 록킹부가 할로우 밖으로 힘을 가하도록 록킹부를 수납하는 할로우의 표면 사이에서 생성된 마찰력을 극복하는데 충분한 크기를 가진 힘을 록킹부에 가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을 구비하는 구명보트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보트는 2개의 대향되는 수납부들을 구비하고, 하나는 구명보트에 대해 전방으로 향하는 개방단을 가진 구명보트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구명보트의 고물에 배치되어 그 개방단은 구명보트에 대해 고물을 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부를 포함하는 구명보트는 개구들이 구명보트에 대해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은 구명보트에 새로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보트는 자유낙하 구명보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보트 커플링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커플링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배, 선박, 보트 등과 같은 표현은 승객, 화물 또는 그들의 결합의 어느 하나를 실어 나르기 적합한 그 어떤 종류의 부동(floating) 구조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폴들(falls)로부터 매달린 구명보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따른 것이지만 다른 시나리오에 의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폴들로부터 매달린 구명보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커플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커플링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진수된 구명보트의 도면이다.
도 7은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커플링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자유 낙하 구명보트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록킹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커플링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 1은 구명보트(1)의 전방 끝단과 고물 끝단에 마련된 커플링들을 통해 폴들(falls)(26)에 의해 매달린 구명보트(1)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라 매달린 구명보트는 대체적으로 트윈 폴(twin fall) 구명보트로 명명된다. 폴들(26)은 선박 또는 리그(rig) 위에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윈치(winch)(미도시) 또는 유사한 장치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 폴들(26)의 반대 끝단들에서, 폴들(26)은 록킹부들(25)이 제공된다. 록킹부들(25)은 폴들(26)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단단하게 연결되고, 록킹부들(25)이 선원 등을 포함하는 구명보트의 중량을 폴들(26)에 전달할 때, 폴들(26)과 록킹부들(25) 사이의 연결 강도는 시스템의 신뢰성에 중요하다. 연결의 파괴는 구명보트(1)의 바다 표면으로의 자유낙하를 초래하여 선원에게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손상을 명백히 유발시킨다.
록킹부(25)는 폴(26)과 합체된 부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필요조건은 아니다.
록킹부(25)는 다수의 도면들에서 구형의 볼(ball)로서 도시되었지만, 록킹부(25)는 예를 들어, 반-구형, 원통형, 피라미드 또는 입방체형 등과 같은 대안적 형태를 대등하게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록킹부는 예를 들어, 편평부들을 가진 볼(도 7 참조) 또는 베어링 또는 롤러를 구비하는 교차 샤프트(도 10 참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록킹부(25)는 구명보트(1)에 마련된 할로우(hollows)(10) 내부에 수납된다. 할로우(10)는 록킹부(25)와 느슨한 결합을 허용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다. 여러 개의 실시예들에 따른 할로우(10)는 액츄에이터 등을 위한 다수의 구멍들을 구비한다.
할로우(10)는 구명보트(1)의 항해 방향을 실질적으로 향하는 가늘고 긴 할로우(10)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할로우는 구명보트(1)의 항해 방향 쪽으로 각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로우(10)는 개구(15)를 더 구비하고,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방을 향하는 개구(15)를 구성한다. 또한, 개구(15)는 할로우(10)를 따르는 방향이고, 자유로운 폭을 가지며, 한편으로, 폴(26) 사이, 또는 핸들 또는 록킹부(25)와 폴(26) 사이에 개재된 그 어떤 다른 부품들과 같은 중간 요소 사이에 간극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 개구(15)의 폭은 록킹부(25)가 개구(15)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방출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츄에이터들(30)(35)은 할로우(10) 부근에 배치되고, 액츄에이터들(30)(35)은 작용과 운동을 가하는 그 어떤 적절한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수단은 전기 액츄에이터들(30)935)을 구성할 수 있지만, 액츄에이터들은 유압으로 작동되는 액츄에이터들 또는 그 등가물을 대등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들(30)(35)은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될 필요는 없으며, 액츄에이터들은 밀고-당기는 봉, 체인 또는 와이어 등일 수 있는 연결장치를 통해 작동되는 수동 또는 스프링 작동 액츄에이터들일 수 있다.
방출(release) 시스템은 병행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보조 또는 백업 시스템(미도시)이 설비될 수 있다. 병행 시스템은 완전하고 독립적인 시스템일 수 있지만, 백업 시스템은 방출 시스템의 선택된 부품들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백업 시스템은 메인 방출 시스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도 1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향하는 액츄에이터(30)는 작동시, 할로우(10)의 개방단을 향해 록킹부(25)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향하는 액츄에이터(35)는 작동시, 록킹부(25)가 할로우(10) 속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30)는 록킹부(25)와 할로우(10)와 개구(15) 각각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극복할 수 있어야만 한다. 선원을 포함하는 구명보트의 중량이 록킹부(25)와 할로우(10)와 개구(15) 각각의 사이의 접촉면을 통해 폴(26)로 전달될 때 힘들은 필수적일 수도 있다. 구명보트(1)가 2개의 폴들(26)로부터 매달려 있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나의 폴(26)에 전달될 중량은 선원을 포함하는 구명보트(1)의 중량의 대략 50%이다.
개구(15)를 포함하는 할로우(10), 폴(26) 및 록킹부(25)는 저마찰 코팅, 테프론 또는 유사한 재질의 인서트들, 플라스틱 인서트들 또는 코팅재 또는 심지어 베어링 수단과 같은 마찰 감소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들(30)(35)은 그들의 정지된 상태에서 설명되었고, 즉, 액츄에이터(30)는 수축되어 록킹부(25)가 할로우(10) 내부에 놓여지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액츄에이터(35)는 신장됨으로써 록킹부(25)가 할로우(10)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커플링이 해체되고 구명보트(1)가 폴(26)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30)(35)는 액츄에이터(30)(35)의 놓여진 위치가 도 1에 따르도록 즉, 액츄에이터(30)는 수축된 위치에 놓여지고, 액츄에이터(35)는 신장된 위치에 놓여지도록 선택된다.
개구(15)를 포함하는 할로우(10) 및 액츄에이터들(30)(35)은 수납부를 구성한다. 수납부는 구명보트(1)의 실질적으로 중앙, 설명된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구명보트(10)의 끝단 부근,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명보트의 끝단에 또는 구명보트(1)(미도시)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개방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면하도록 할로우(10)가 방향을 정하면, 커플링은 액츄에이터들의 도움없이도 록킹부(25)를 방출할 수도 있다.
도 2는 록킹부(25)가 밀려져서 할로우(10)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직전의 커플링의 부분 확대도이다. 액츄에이터(30)는 거의 완전히 신장되는 반면 액츄에이터(35)는 수축된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할로우(10)는 내측 또는 내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도시된다. 그러나, 평행하지 않은 측면들을 가진 할로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깔때기 또는 그와 유사한 골격을 가진 내부 구조를 가진 할로우(10)를 구성하여,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가장자리들의 효과가 감소됨으로써 시스템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할로우(10)의 내면은 록킹부(25)의 편평부를 전적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된 편평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록킹부의 편평부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지 않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에 의해 매달린 구명보트(1)의 정면도이고, 여기서, 록킹부(25)는 신장된 액츄에이터(35)에 의해 할로우(10) 안에 유지된다. 액츄에이터(35)는 봉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액츄에이터는 회동 아암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동등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향하도록 설명되어 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스프링 등과 같이 할로우(10) 내부에 록킹부(25)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수단들이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할로우(10) 내부에 안착된 록킹부(25)를 포함하는 수납부의 사시도이다. 액츄에이터(35)는 설명에서 도시되지 않았다.
도 5는 수납부의 평면도로서, 여기서 록킹부(25)는 액츄에이터(35)에 의해 할로우(10) 내부에 유지된다.
도 6은 진수된 상태의 구명보트(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명보트(1)가 복귀되면, 록킹부(25)는 스트링(27)(구명보트(1)의 일단만 도시됨)에 의해 할로우(10) 속으로 당겨질 수 있다. 스트링(27)은 그 일단이 록킹부(25)에 연결되어 있는 반면, 그 타단은 구명보트(1)에 또는 그 내부에 연결된다. 스트링은, 구명보트(1) 내부에 있는 동안, 선원이 스트링(27)을 당기게 되면 록킹부(25)가 구명보트(1)의 안전하고 노력이 들지 않은 회복을 용이하게 하는 할로우(10) 속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스트링(27)은 구명보트(1)가 복귀의 의도없이 진수되는 경우, 구명보트(1)가 록킹부(1)와 스트링(27)으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스트링(27)은 제한된 힘으로만 잡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 즉, 받침점(38)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배치되고, 액츄에이터(39)에 연결된 아암(37)은, 액츄에이터(39)의 작동시, 록킹부(25)가 할로우(10) 밖으로 나오도록 힘을 가하여, 커플링이 해체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9)는 이동가능한 받침점(50)을 통해 아암(37)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방출 메커니즘은 레버 아암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9)는 전기 또는 유압 액츄에이터와 같은 그 어떤 종류의 액츄에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9)는 밀고-당기는 봉, 체인 또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간단한 형태의 순수한 기계적 연결 장치 조차도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할로우(10)의 상부 내측 부분은 베이스(60) 즉, 당기거나 전달하는 힘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되게 놓여진 평면에 대해 각도(α)를 형성하여, 커플링의 수납부(25)에 힘들을 전달할 때, 록킹부(25)가 할로우(10)의 개방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해체가 하중을 받는 상태에서 커플링의 구조 또는 레이아웃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장한다. 그러나, 만약 액츄에이터(39)가 작동되면, 록킹부(25)는, 할로우(10)의 각진 상부 부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할로우(10) 밖으로 힘을 받게 될 것이다. 또한, 할로우(10)의 상부 영역은, 개구(15)에 가까운 영역에서, 록킹부(25)의 편평부(29)를 수납하기 위해 편평해 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보트(1)의 베이스라인 또는, 대안적으로, 진수 및/또는 복귀 상황에서 구명보트의 수직 이동 방향에 직교되게 놓인 평면에 대해 1.5˚ 내지 15˚, 바람직하게 2˚ 내지 10˚, 더 바람직하게 4˚ 내지 8˚의 각도(α)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액츄에이터(35)는 스프링(36)에 의해 매달린다.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스프링(36)은, 록킹부(25)가 할로우(10)의 개방단을 통과할 때 록킹부(25)에 의해 판 스프링(36)이 수축되도록 할로우(10)의 개방단 근처에 배열된다. 폴(26)이 느슨해 질 때 스프링이 할로우(10) 내부의 록킹부(25)를 지탱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된 실시예는 판 스프링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을 위한 필요조건으로 고려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도시된 판 스프링(3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일 스프링들 등을 포함하는 그러한 장비와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다른 장비에 의해 대체 및 교체될 수 있다.
록킹부(25) 즉, 볼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폴(26)이 볼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곳의 볼의 부분 주위에 편평하게 된다. 편평부(29)는 록킹부(25)뿐만 아니라 할로우(10)의 상부 영역에 가해지는 응력과 하중을 어느 정도 낮출 수 있으므로, 커플링의 단점이 감소될 수 있고 커플링의 내구성이 증가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25)는 폴(26)에 대한 연결 반대편에 편평할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들은 수납부의 설계 및 커플링의 일반적인 기능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25)는 록킹부와 폴(26) 또는 핸들 등과 같은 그 어떤 중간 부품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는 할로우 또는 구멍(42)이 마련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25)는 록킹부(25) 및 폴(26)과 일체화되거나 그들 사이에 개재된 줄기(43)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선택된 실시예에 있어서, 커플링의 전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플링이 도시된 줄기(42)를 구비하는 경우, 개구(15)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폴(26) 위의 그 어떤 마모도 제거될 것이고 록킹부(25)의 방위는 줄기(42)와 개구(15) 사이의 간극에 의해 제거될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커플링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의 수납부는 수납부의 베이스(60)를 구명보트(1) 위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고(도 7 및 도 8에 미도시), 또한, 베이스(60)는 볼트, 스크류, 리벳 등을 이용하여 구멍들(61)을 통해 미도시된 구명보트에 부착되거나 대안적으로, 구명보트(1)의 구조물에 용접될 수 있다.
참조부호 28은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핸들과 일체화될 수 있는 칼라(collar)를 나타낸다. 칼라(28)는 록킹부(25)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칼라(28)는 록킹부가 개구(15)를 통해 할로우(10) 속으로 너무 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핸들과 칼라는 분명히 볼 수 있는 투명한 물질로 제조되거나 대안적으로 유사한 성질을 보이는 페인트로 페인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칼라(28) 및/또는 핸들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26)과 록킹부(28) 사이에 개재된 중간 부품 또는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9는 특히, 도 7 및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이 제공된 구명보트의 자유 낙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의 수납부는 자유 낙하 구명보트의 후방부에 연결되거나 그에 일체화됨으로써, 구명보트는 하나의 커플링만에 의해 진수 시설에 지탱된다. 그러나, 자유 낙하 구명보트에 복수의 커플링들(미도시)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자유 낙하 구명보트들은 바다로 하강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트윈 폴 구명보트들을 매달고 있는 폴들은 자유 낙하 구명보트들의 진수를 위해 필요하지 않다. 그 결과로서, 록킹부는 폴들 대신에 봉과 회동 연결 장치(81)를 통해 구조물(80)에 연결된다.
도 10은 록킹부가 폴(26)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봉 또는 샤프트(90)를 구성하는 경우의 록킹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샤프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찰 감소 베어링들(9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는 폴(26)에 교차되는 방향을 향하고, 글라이드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 등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2개의 베어링이 마련된 샤프트(90)를 구비하는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논의될 커플링의 실시예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커플링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가능한 멈춤쇠(120)는 할로우(10)의 개방단 부근에 배치된다. 멈춤쇠(120)는 록킹부(25)가 할로우(10)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고, 록킹부(25)가 할로우(10) 속으로 들어가면, 록킹부(25)가 할로우(10)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멈춤쇠(120)는 구성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멈춤쇠(120)는 록킹부(25)의 들어감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 후의 실질적으로 상부 위치를 멈춤쇠(120)가 가정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스프링 또는 등가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로우(10)의 개방단의 반대편에 배치된 액츄에이터(110)는, 작동시 할로우(1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록킹부(25)에 힘을 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10)의 작동시, 상호 연결에 의한, 멈춤쇠(120)의 위치 또는 방위는, 록킹부(25)가 할로우(10)를 나오는 것이 허용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멈춤쇠(120)는 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하지만, 멈춤쇠(120)의 선형 운동이 동등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멈춤쇠(120)는 글라이더(125)를 구비하는 장비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글라이더(125)는 액츄에이터(110)에 의해 만들어지는 선형 운동을 액츄에이터(110)로부터 멈춤쇠(120)로 전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으므로, 액츄에이터(110)의 작동시, 멈춤쇠(120)는 축(121)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록킹부(25)가 할로우(10)를 빠져나갈 수도 있는 위치로 회전된다.
글라이더(125)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납부 내부에 수용되고, 하나의 플랜지는 액츄에이터(110)에 연결되고 나머지 플랜지는 멈춤쇠(120)에 인접한 각진 부재 또는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이더(125)의 제2 플랜지의 끝단 또는 뾰족부는 선택된 실시예 및 디자인에 따라 각지게 되거나 가공처리될 수 있고, 멈춤쇠(120)의 뾰족부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지거나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록킹부(25)는, 할로우(10)에 록킹부(25)를 수납하면, 글라이더(125)의 플랜지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커플링은, 선택된 실시예에 따라, 제2 액츄에이터(1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112)는 안정성 이유 등을 위해 액츄에이터와 연합하여 작용할 수 있고, 아니면, 제2 액츄에이터는 여분의 이유로 제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들(110(112)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귀 스프링 또는 등가물이 마련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들(110)(112)은 천공된 도관(130) 또는 균등물을 통해 유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들(110)(112)은 각각 여분이 보장되도록 독립적인 도관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따른 커플링의 단면도이고, 커플링이 방출되는 시나리오에 의해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이더(125)는 액츄에이터들(110)(112)에 의해, 할로우(10) 밖으로 부분적으로 밀려지고 따라서 글라이더(125)의 제2 플랜지는 축(121)을 기준으로 멈춤쇠(120)를 회전시킴으로써, 할로우(10)의 개방단은 미도시된 록킹부가 수납부 밖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출 시스템은 이미 설명된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을 위한 방출 시스템은 전기 또는 전자 유압 제어를 허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0)는 케이블(41)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액츄에이터들(30)(35)(39)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는 버튼(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버튼은 작동시, 제어기가 커플링의 실시예에 따른 적절한 방출 순서를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35)는 수축되고 액츄에이터(30)(39)는 신장된다.
시스템은 구명보트(1)의 작동 및 방출을 위해 중요하지 않은 모선의 "데드-쉽(dead-ship:본선 모든 기관의 정지)" 상황을 주는 독립된 전력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원은 그 어떤 형태의 배터리 또는 등가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시스템은 방출이 액츄에이터 또는 변환기의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다른 액츄에이터로 시작될 수 있는 유정압(hydrostatic) 방출 메커니즘에 의해 또는 그와 연합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방출 시스템은 액츄에이터(30)(39)가 할로우(10) 밖으로 록킹부(25)에 힘을 가하기 전에 액츄에이터(25)가 수축하는 순서를 시작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 유압 장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유압 장비는 팽창 탱크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압력하에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전력원을 구비할 수 있거나, 시스템은 레버 등에 의해 작동되는 완전히 수동일 수 있다.
트윈 폴 구명보트 구성들에 있어서, 할로우(10) 밖으로 하나의 록킹부(25)만 힘을 받는 경우, 선택된 실시예에 따라서, 할로우가 움직일 수 없는 록킹부를 상방으로 잡고 있도록 함으로써 록킹부(25)가 구명보트의 하중에 의해 할로우 밖으로 당겨지게 되는 구명보트(1)의 경향 때문에 시스템은 부분적으로 절대 안전할 수 있다.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방출 시스템은 액츄에이터들의 동시 작동이 얻어져서 할로우로부터 록킹부들(25)이 동시에 방출되도록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들은 약간 비동기화되어 작동하는 방출 시스템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는 신속 작동 액츄에이터들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출 메커니즘은 동력의 도움 없이, 푸시/풀 로드, 레버 및 케이블과 통합된 다수의 연결장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록킹부(25)가 할로우(10) 내부에 유지되거나 할로우(10) 밖으로 힘을 받거나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하나의 중앙 액츄에이터 작동 연결장치 및/또는 와이어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은 존재하는 구명보트 시스템들에 새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플링은 폴을 포함하는 구명보트의 제안된 재구성 작업 또는 변형만 필요하기 때문에, 신규 장착 또는 변환은 아주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중이 폴에 전달되는 분리 상황에서 록킹부(25)가 할로우(10)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볼(ball)로서 구성되어 있는 록킹부(25)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은 대안적 등가물로서, 폴에 대해, T자의 양측면 모두에 배치된 롤러 또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교차 샤프트(T자형으로 구성됨)에 구비된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할로우를 포함하는 수납부는, 그러한 실시예에서, 롤러 또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T를 수납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고, 전술한 슬라이드는 롤링에 의해 대체될 것이므로 커플링의 마모는 엄청나게 감소된다.
커플링을 구성하는 물질은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고, 동시에 부식 등에 기인하여 록킹부(25)가 할로우(10) 안에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채용은 대빗(davit) 진수 또는 자유 낙하 구명보트와 같은 선박들의 진수 시스템 안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커플링은 텐더 보트(tender boat), MOB 보트, 구조 보트 및 일반 화물 취급선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1...구명보트 10...할로우(hollow)
15...개구 25...록킹부
26...폴 27...스티링
28...칼라 30,35,39...액츄에이터
37...아암 43...줄기
50...받침점 60...베이스
62...구멍 81...회동 연결 장치
90...샤프트 92...마찰 감소 베어링
110...액츄에이터 120...멈춤쇠
121...축 125...글라이더

Claims (25)

  1. 폴(fall)(26) 또는 구조물(80)을 구명보트(1)에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으로서, 상기 커플링은 폴(26) 또는 구조물(8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하중을 지지하는 록킹부(25) 및 구명보트(1)에 부착되거나 일체화되도록 준비된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는,
    - 개방단을 가지고 상기 록킹부(2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할로우(hollow)(10);
    - 상기 록킹부(25)가 폴(26) 또는 구조물(80)과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할로우(10)의 벽에 마련되며, 상기 록킹부(25)가 그곳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 폭이 선택되는 개구(15);
    - 상기 할로우(10)의 상기 개방단 부근에 배치되며, 상기 할로우(10) 속으로 상기 록킹부(25)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할로우(10) 속으로 상기 록킹부(25)가 들어가게 되면, 상기 할로우(10)로부터 상기 록킹부(25)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축(12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러한 회전의 결과로서 상기 록킹부(25)를 상기 할로우(10) 속으로 들어가게 하는 멈춤쇠(120); 및
    - 상기 할로우(10)의 상기 개방단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작동시, 상기 할로우(1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부(25)에 선형의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액츄에이터(110)를 구비하는, 상기 커플링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할로우(10) 밖으로 상기 록킹부(25)에 힘을 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10)는, 상호 연결에 의해, 상기 록킹부(25)가 상기 할로우(10)를 빠져나오도록 상기 멈춤쇠(120)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멈춤쇠(120)는 상기 액츄에이터(110)에 의해 만들어진 선형의 힘을 상기 액츄에이터(110)로부터 상기 멈춤쇠(120)까지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110)의 작동시, 상기 멈춤쇠(120)가 상기 축(121)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록킹부(25)가 상기 할로우(10)를 빠져나올 수 있는 위치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글라이더(125)를 구비하는 장치를 통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라이더(125)는 상기 액츄에이터(110)에 연결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멈춤쇠(120)에 인접한 제2 플랜지를 가진 각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할로우(10)에 상기 록킹부(25)가 수납되면, 상기 록킹부(25)는 상기 글라이더(125)의 플랜지들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10)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10)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제2 액츄에이터(11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25)는 볼(ball)-형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록킹부(2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링(27)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트링(27)을 당김에 의해 상기 할로우(10) 속으로 상기 록킹부(25)의 복귀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할로우(10)의 내측들 또는 내면들은 가늘고 긴 깔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할로우(10)를 구획하는 벽들은 상기 록킹부로 하중을 전달하는 하중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할로우(10)를 구획하는 벽들은 상기 록킹부(25)가 상기 개구(15)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모양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할로우(10)는 상기 개구(15)의 폭이 평행한 것을 보장하는 고정된 벽들을 가진 단단한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25)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마찰 감소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할로우(10)의 적어도 일 부분의 내면은 마찰 감소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하중시(on-load) 방출 커플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의 커플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구명보트(1)는 2개의 대향되는 수납부들을 구비하고, 하나의 수납부는 상기 개방단이 상기 구명보트(1)에 대해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구명보트(1)의 전방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수납부는 상기 개방단이 상기 구명보트(1)에 대해 고물을 향하도록 상기 구명보트(1)의 고물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개구(15)는 상기 구명보트(1)에 대해 상방으로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구명보트(1)에 신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구명보트(1)는 자유 낙하 구명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플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보트 커플링 시스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27000224A 2009-06-15 2009-11-02 커플링 KR101632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EP2009/057367 2009-06-15
PCT/EP2009/057367 WO2010003761A1 (en) 2008-06-16 2009-06-15 A coup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938A KR20120036938A (ko) 2012-04-18
KR101632682B1 true KR101632682B1 (ko) 2016-06-22

Family

ID=4595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224A KR101632682B1 (ko) 2009-06-15 2009-11-02 커플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443028A1 (ko)
KR (1) KR101632682B1 (ko)
CN (1) CN102803061B (ko)
CA (1) CA2765515C (ko)
HK (1) HK1178134A1 (ko)
SG (1) SG176935A1 (ko)
WO (1) WO2010145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8377B1 (fr) 2013-07-12 2015-08-14 Ecole Nationale Superieure Maritime Assemblage a croc de levage a largage en charge rapide et dispositif de largage d'embarcation de sauvetage l'integrant
FR3016858B1 (fr) 2014-01-24 2016-01-29 Nereus Technologies Dispositif et procede d'accrochage d'une charge, telle que notamment une embarcation de sauvetage, permettant un largage rapide
CN104326059B (zh) * 2014-10-23 2017-01-11 南通市海鸥救生防护用品有限公司 救生艇防坠落装置
FR3054997B1 (fr) * 2016-08-10 2018-07-27 Nereus Tech Systeme et procede d'accrochage d'une charge, telle que notamment une embarcation de sauvetage, permettant un largage rapide de la charge
CN206750082U (zh) * 2017-05-27 2017-12-1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半潜船救生艇遥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7179D0 (en) 1999-11-08 2000-12-27 Aisin Ai Co Ltd Automatic shift-down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2005212534A (ja) 2004-01-28 2005-08-11 Universal Shipbuilding Corp 作業艇フック装置および揚艇装置
JP2008126823A (ja) 2006-11-21 2008-06-05 Universal Shipbuilding Corp フック装置および揚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027179A (en) * 1910-11-22 1911-08-10 David Senacol Improvements in Life-boat Releasing Appliances.
GB191303305A (en) 1913-02-08 1914-01-15 Robert Clifton Knight Improvements in or connected with Disengaging Gear for Ships' Boats.
GB695072A (en) 1951-07-03 1953-08-05 Robert Cameron Fawke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ifeboat engaging and release gear
FR87561E (fr) * 1965-03-08 1966-01-07 Appareil de largage automatique pour embarcation sous bossoir
US4379579A (en) * 1981-12-16 1983-04-12 The B. F. Goodrich Company Automatic locking and ejecting hook assembly
JPS60142193A (ja) * 1983-12-23 1985-07-27 ザ ギヤレツト コ−ポレ−シヨン 熱交換装置
JPH0713692U (ja) * 1993-08-03 1995-03-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係留ブイのアンカーチェーン係止装置
JP3667451B2 (ja) * 1996-07-02 2005-07-06 カヤバ システム マシナリー株式会社 艇吊り下げ装置
JP2007160955A (ja) 2005-12-09 2007-06-28 Kayaba System Machinery Kk フック装置及び揚艇装置
US7360498B1 (en) 2006-10-05 2008-04-22 Survival Systems International, Inc. Lifeboat disengagement system
EP2303681B1 (en) * 2008-06-16 2016-08-10 Nadiro A/S A coupl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7179D0 (en) 1999-11-08 2000-12-27 Aisin Ai Co Ltd Automatic shift-down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2005212534A (ja) 2004-01-28 2005-08-11 Universal Shipbuilding Corp 作業艇フック装置および揚艇装置
JP2008126823A (ja) 2006-11-21 2008-06-05 Universal Shipbuilding Corp フック装置および揚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78134A1 (en) 2013-09-06
SG176935A1 (en) 2012-01-30
KR20120036938A (ko) 2012-04-18
EP2443028A1 (en) 2012-04-25
CN102803061A (zh) 2012-11-28
CN102803061B (zh) 2015-03-11
CA2765515C (en) 2015-02-24
WO2010145721A1 (en) 2010-12-23
CA2765515A1 (en)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921B2 (en) Coupling
KR101632682B1 (ko) 커플링
US4083072A (en) Connection system for marine structures
US64579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chor and mooring deployment and connection
DK2817210T3 (en) The coupling element, the release device as well as the boat.
EP0027313A1 (en) Hook disengaging apparatus
CA1189747A (en) Life saving system for marine structure
US4763943A (en) Crane hook
US4348043A (en) Disengaging apparatus
US10358190B2 (en) Lifeboat release and retrieval system (LRRS)
US4586453A (en) Launching apparatus for boats
US9079640B1 (en) System and process for directing actions of a helmsman of a lifeboat
EP0223231A2 (en) A boat or the like raising and lowering system
WO2010110668A1 (en) Releasable attachment apparatus for lifeboats and other hanging devices attached to a lifting arrangement
CA1256325A (en) Launching apparatus for boats
GB2135272A (en) Apparatus for launching life boats
Goudey A quick-release hook for lifeboats and offshore rigging
WO2013180576A1 (en) System for a free fall lifeb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