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257B1 -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257B1
KR101632257B1 KR1020140096216A KR20140096216A KR101632257B1 KR 101632257 B1 KR101632257 B1 KR 101632257B1 KR 1020140096216 A KR1020140096216 A KR 1020140096216A KR 20140096216 A KR20140096216 A KR 20140096216A KR 101632257 B1 KR101632257 B1 KR 101632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d
drying
steam
roller
dy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246A (ko
Inventor
조경철
채효정
박시우
박대규
이재원
이진옥
Original Assignee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이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이진옥 filed Critical (재)한국섬유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96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2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후처리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물염색된 피염물을 후처리 가공장치를 이용, 후처리하여 피염물에 고착되는 감물의 염색성과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색시간을 단축시켜 공정기계화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염물을 염료화된 감물에 침지시켜 피염물에 감물이 흡착되게 한 다음 압착롤러로 가압하여, 과다하게 흡착된 감물을 제거한 감물염색된 피염물을 얻고, 상기 피염물을 후처리 가공장치를 통하여 후처리하되, 상기 피염물을 예비건조하여 적절한 수분, 즉 감물이 피염물에 잔류되게 하고(예비건조장치), 상기 피염물을 스팀처리하여 염료화된 감물이 피염물에 견고히 고착되게 한 다음(스팀처리장치) 상온에서 수세하고(수세장치), 건조하는 과정으로(건조장치) 발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AFTER TREATMENT PROCESSING METHOD FOR IMPROVEMENT DYEABILITY OF FABRICS DYED WITH PERSIMMON EXTRACT}
본 발명은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후처리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물염색된 피염물을 후처리 가공장치를 이용, 후처리하여 피염물에 고착되는 감물의 염색성과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색시간을 단축시켜 공정기계화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물염색은 감물에 들어있는 탄닌성분이 섬유와 결합되고, 섬유와 결합된 탄닌성분이 햇빛에 노출되면, 점진적으로 산화, 중합되어 갈색으로 변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감은 9~15% 당분과 펙틴, 아스코르빈산 및 크산토필, 카로틴과 떫은 맛을 내는 탄닌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분 중 색소성분인 탄닌은 여러가지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중합된 고분자물질의 총칭으로 화학구조는 명확히 분류되지 않는다.
상기 탄닌은 무색이지만 산화되면 갈색을 띄며, 플로보놀의 유도체가 모인 축합형으로 미숙과에 많이 포함되어 있고, 성숙됨에 따라 산화되어 안토시아닌과 안토크산틴으로 변해 쓴맛이나 떫은맛이 사라진다.
축합형 탄닌은 수수, 두류, 과일 및 채소류, 목초 등에 상당량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서 가수분해형 탄닌과 달리 탄수화물이 주로 falvan-3-ol도는 favan-4,4-diol의 중합체이거나 이 두물질이 혼합된 중합체의 형태를 지닌다.
이들 축합형 탄닌은 산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고 중합되어 무정형의 phlobaphene이나 tanin-red를 형성하는 성질을 가지며, 각 식물성 식품의 축합형 탄닌은 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하여 아직 완전한 구조가 결정되어 있지 않다.
전통적인 감 추출물 염색직물의 발색은 일광에서 염색직물에 수분을 부여하면서 수일간 행하여 왔으며, 일광의 양과 장소의 문제가 있는 것을 극복하기 위한 산업적 의미의 방법으로서 자외선을 이용하여 발색시키는 방법으로 실용화의 길을 모색한 연구도 많다.
발색의 조건에서는 현재 일광에 의한 발색, 자외선에 의한 발색, 열에 의한 발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생즙으로 염색하고 일광발색시키는 방법이 기본적인 체계였다.
일광발색은 날씨에 따라 7일에서 10일정도의 시간이 걸리고 장소가 필요하다 보니 그 개선책으로 좀더 신속한 발색을 위해 생즙으로 염색하고 자외선발색을 시도하고 있다.
감물염색에 관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특허출원 제10-2001-0073053호 "천연염색용 감즙액 추출방법 및 천연염색 자동화시스템"(특허문헌 1)과, 특허출원 제10-2002-0013583호 "감즙분말 및 인공광원을 이용한 천연감즙 염색포 제조방법"(특허문헌 2)과, 특허출원 제10-2010-00138955호 "공방형 감물염색기"(특허문헌 3)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감잎과 열매로부터 많은 양의 감즙 염색제 추출과 효과적인 감즙추출을 위해 대용량의 회전식 믹서탱크에 선별된 감잎 또는 열매를 넣고 회전시킨후 감 열매의 경우에는 매우 작은 입자로 분쇄된 것을 압착탱크에 넣어 감즙액을 추출하고, 감잎의 경우에는 섬유질분해 유기제가 들어있는 감잎색소 추출탱크에서 일정시간 실온에서 추출하여, 불순물 여과필터가 내장된 색소여과 농축탱크를 거쳐 추출된 감잎 농축색소를 원액 또는 일정의 물을 혼합한 감액에 색소변화를 방지하는 색소안정제를 첨가하여 감액의 농도와 색소안정제 첨가비율에 따라 색조의 농도가 다양하게 재현할 수 있는 성질을 갖추게 한 다음, 물 파도를 일으키는 염색탱크에 감액 염색원료와 면직물을 담궈놓고 물 파도를 일으키면 손으로 주무르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어 염색색소가 섬유의 조직까지 침투할 수 있게 하고, 염색된 면직물을 UV램프 건조암실에서 염색제의 농도에 맞게 조사 건조한 다음, 색소 고착액이 들어있는 탱크에 침전한후 세척하여 최종 건조하는 염색과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감즙액을 분말화하여 감즙액 분말로 제조하고, 이를 3~20중량%로 물에 용해시켜 감즙염액을 제조한 후, 피염물에 염색픽업율 80~100%로 패딩처리한 다음, 인공광원을 조사하여 발색시킨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은 감물염액을 수용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탱크의 전방에 장착되어 직물지에 흡수된 감물 염액을 탈수시키는 압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전방의 상부에 직물지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통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일측 내측면에 나란히 설치되어 증기가 순환하는 히터파이프와, 상기 바닥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하방으로 홀이 형성되어 감물 염액을 공급하는 분출관과,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직물지를 감아서 순환시키는 순환롤러와, 상기 순환롤러의 전방 또는 후방에 나란하도록 상기 내측면에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보조롤러와, 상기 바디에 부착되어 상기 순환롤러와 보조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물염색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경우 감즙액이 흡착된 피염물에 색상을 발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UV램프 건조암실을 이용하거나 근자외선을 주파장으로 하는 인공광원을 사용한다는 것이나, 색발현성이 부족할 뿐 아니라 염착성, 즉 염색견뢰도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경우 주로 공방에서 수작업으로 실시하던 감물염색과정을 기계화한 것으로서, 수작업성 염색은 탈퇴하였으나, 염색원리는 종래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감물염색의 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서 감물염색에 사용되는 감물준비는 감즙액 혹은 감즙분말에 적량의 물을 첨가하여 감물염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나, 감물염색 특성상 천연염료와는 다르게 산소와 수분에 의해 산화발색되어 갈색을 띄게 되는데, 이러한 발색과정을 거치는데에 많은 시간과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될 뿐 아니라 염색성과 염색견뢰도 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01-0073053호 "천연염색용 감즙액 추출방법 및 천연염색 자동화시스템" 특허출원 제10-2002-0013583호 "감즙분말 및 인공광원을 이용한 천연감즙 염색포 제조방법" 특허출원 제10-2010-00138955호 "공방형 감물기"
본 발명의 목적은 피염물에 고착되는 감물염색을 후처리 가공장치를 통하여 공정을 기계화함과 동시에, 염색성과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키고 발색시간을 줄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염물을 염료화된 감물에 침지시켜 피염물에 감물이 흡착되게 한 다음 압착롤러로 가압하여, 과다하게 흡착된 감물을 제거한 감물염색된 피염물을 얻고, 상기 피염물을 후처리 가공장치를 통하여 후처리하되, 상기 피염물을 예비건조하여 적절한 수분, 즉 감물이 피염물에 잔류되게 하고(예비건조장치), 상기 피염물을 스팀처리하여 염료화된 감물이 피염물에 견고히 고착되게 한 다음(스팀처리장치) 상온에서 수세하고(수세장치), 건조하는 과정으로(건조장치) 발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피염물을 염료화된 감물에 침지시켜 피염물에 감물이 흡착되게 한 다음 압착롤러로 가압하여, 과다하게 흡착된 감물을 제거하고, 상기 피염물을 예비건조하여 적절한 수분이 함유되게 하고, 상기 피염물을 스팀처리하여 염료화된 감물이 피염물에 견고히 고착되게 한 다음 수세하고, 건조하는 과정의 장치를 통하여 감물염색이 기계화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피염물에 고착되는 감물의 염색성과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색시간을 줄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염착성 향상을 위한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후처리 가공장치(10)는 염료화된 감물이 흡착된 상태의 피염물(20)을 후처리 가공장치를 통하여 후처리하되, 상기 피염물(20)을 예비건조하는 예비건조장치(30)와, 증열처리하는 스팀처리장치(40)와, 수세하는 수세장치(50)와, 건조공정(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처리 가공장치(10)는 도 1에서와 같이 구성되며, 이들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예비건조장치(30) 일측에 송출롤러(32)를 설치하고, 예비건조장치(30)를 구성하는 건조실(31) 내에는 상하예비건조 가이드롤러(33)(34)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실(31)의 내부온도는 약100℃ 유지되게 한다.
상기 예비건조장치(30) 일측에는 스팀처리장치(40)를 구성하며, 상기 스팀처리장치(40) 내부에는 스팀실(41)을 구성하되, 상기 스팀실(41) 상하부에 상부스팀가이드롤러(43)과 하부스팀가이드롤러(44)를 다수개 설치하여, 피염물(20)이 스팀실(41) 내에서 일정시간 정체될 수 있게 하며, 내부온도는 약90~100℃ 유지되게 한다.
상기 스팀처리장치(40) 일측에는 수세장치(50)를 구성한다.
상기 수세장치(50)를 구성하는 수세조(51) 내부에는 한쌍의 상하부롤러(55)(56)으로 구성된 전방압착롤러(57)와, 한쌍의 상하부롤러(55')(56')로 구성된 하부압착롤러(57')가 구성된다.
또한 전방압착롤러(57) 전방에는 다수개의 전방수세롤러(52)를 설치하고, 후방압착롤러(57') 전방에는 다수개의 후방수세롤러(52')를 설치한다.
상기에서 전후방압착롤러(57)(57')는 수세조(51) 상부에 위치되게 하여 수세용 물로부터 분리되게 하며, 각 상부롤러(55)(55')는 가압실린더(58)(58')에 의해 가압력이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수세는 상온(25℃전후)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수세장치(50) 일측에는 건조장치(60)를 구성한다.
상기 건조장치(60) 내에 건조실(61)을 구성하되, 상기 건조실(61) 내에는 상부건조가이드롤러(63)와 하부건조가이드롤러(64)를 설치하며, 상기 건조실(61) 내부온도는 약120℃정도 유지되게 한다.
건조장치(60) 일측에는 권취롤러(62)를 설치하여 건조실(61)을 통과한 피염물이 롤상태로 권취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후처리 가공장치(10)를 통한 감물염색된 피염물은 연속처리공정을 통하여 처리되며 후처리는 다음과 같이 된다.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피염물(10)은 면직물, 마직물, 견직물, 레이온직물 등 염료화된 감물과 친화력이 있는 소재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면직물을 피염물로 실시하였다.
감물염색은 다음과 같다.
감물염색은 공지된 염색과정이나 간략 설명하면 감물 20ℓ에 NaOH 0.8ℓ를 투입하여 pH 11~12로 조정한 다음, 80~90℃까지 가열하고, 가열된 감물을 다시 50℃미만으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감물에 구연산 1.6ℓ를 투입 pH 5~6이 되도록 하여 염료화된 감물을 얻는다.
상기 염료화된 감물을 욕비 1:40으로 염색조에 투입 80~90℃로 승온시키고, 상기 감물에 피염물(면직물)을 5~10분간 침지시킨 다음 압착롤러로 압착하여 피염물에 과다하게 흡착된 감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감물이 피염물에 골고루 흡착되게 하고, 상기 피염물을 롤상태로 권취한다.
상기 롤상태로 권취된 피염물(20)를 예비건조장치(30) 일측에 구성된 송출롤러(32) 상에 안치하여 가이드롤러(11)를 경유, 순차적으로 인출하면서 예비건조실(31)로 안내되게 하고, 상기 예비건조실(31) 내로 안내된 피염물은 상하부 예비건조가이드롤러(33)(34)를 지나면서 예비건조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예비건조장치(30)는 감물이 흡착된 피염물을 적절한 수분율로 건조하여 스팀처리장치에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감물염색된 피염물을 확포시킨 상태에서 상하부 예비건조가이드롤러(33)(34)를 경유하면서 피염물(20)이 건조되며, 이때 건조실(31) 내의 온도는 약100℃, 이송속도는 분당 3~4m의 속도로 이송시켜 염료화된 감물에 침지된 피염물(20)의 수분율이 10~30%(피염물 중량대비) 유지되게 예비건조한다.
예비건조장치(30)를 통하여 예비건조를 마친 피염물(20)은 가이드롤러(11)를 경유 스팀처리장치(40)를 구성하는 스팀실(41)로 안내되고, 스팀실(41)로 안내된 피염물(20)은 복수개로 구성된 상하부스팀가이드롤러(43)(44)를 지그재그로 지나면서 스팀처리된다.
즉 수분율이 10~30%의 조건으로 예비건조된 피염물을 스팀이 분사되는 스팀실(41)을 서서히 통과하면서, 증열처리되게 함으로서 염료화된 감물이 피염물(20)에 견고히 고착되게 한다.
상기 증열처리의 이유는 감물염료제조시 첨가한 알칼리가 감성분의 탄닌과 가수분해를 통해 구조변환이 일어나 축합탄닌의 특성을 잃고 일반탄닌으로 변화되고, 이 과정에서 산화발색이 촉진되어 농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발색이 많이 진행되면 섬유와의 결합력이 점차 약해지기 때문에 스팀처리가 요구된다.
스팀실(31)의 조건은 약90~100℃에서 15~20분간 처리한다.
상기에서 스팀처리가 완료된 피염물(20)은 다시 가이드롤러(11)를 경유하여 일측에 설치된 수세장치(50)로 안내된다.
즉 가이드롤러(11)를 경유하여 수세실(51)로 안내된 피염물은 전방수세롤러(52)를 지그재그로 지나면서 1차수세되고, 동시에 전방수세롤러(52) 상부에 위치한 전방압착롤러(57)를 지나면서 피염물(20)에 흡착된 수분을 1차압착제거한다.
1차탈수된 피염물(20)은 다시 수세조(51)에 위치한 후방수세롤러(52')를 지그재그로 지나면서 2차수세되고, 다시 후방수세롤러(52') 상단에 위치한 후방압착롤러(57')를 지나면서 수세과정에서 흡착된 물기를 어느 정도 탈수시킨다.
수세조(51)의 세척수 온도는 25℃전후의 상온에서 수세하게 되며, 25℃보다 고온일 경우에는 온도상승에 따른 섬유의 팽윤과 동시에 섬유에 고착되었던 염료의 탈리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저온일 경우에는 피염물(20) 표면에 부착된 염료의 충분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세장치(50)를 통하여 수세가 완료된 피염물(20)은 마지막 공정인 건조장치(60)를 통하여 건조된다.
즉 수세가 완료된 피염물(20)을 가이드롤러(11)를 경유 건조장치(60)를 구성하는 건조실(61)로 안내되고, 건조실(61)로 안내된 피염물(20)은 상하부건조가이드롤러(63)(64)를 지나면서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며, 건조가 완료된 피염물(20)은 일측에 위치한 권취롤러(62)에 의해 롤상태로 권취되게 한다.
상기 건조실(61) 내부온도는 약120℃ 유지되게 하며, 피염물(20)의 두께와 이송속도에 따라 조정된다.
상기 후처리 가공장치(10)를 통과하는 피염물(20)의 이송속도는 2~4m정도가 적합하나 피염물의 두께와 종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염료화된 감물로 피염물을 염색하고, 염색된 피염물을 예비건조장치와, 스팀처리장치와, 수세장치와, 건조장치로 구성된 후처리가공장치를 통하여 후처리되게 하되, 염색성과 견뢰도 향상은 물론, 발색시간을 단축시켜 공정기계화를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10)--후처리 가공장치 (11)--가이드롤러
(20)--피염물 (30)--예비건조장치
(31)--예비건조실 (32)--송출장치
(33)--상부예비건조가이드롤러
(34)--하부예비건조가이드롤러
(40)--스팀처리장치 (41)--스팀실
(43)--상부스팀가이드롤러 (44)--하부스팀가이드롤러
(50)--수세장치 (51)--수세실
(52)--전방수세롤러 (52')--후방수세롤러
(55)(55')--상부롤러 (56)(56')--하부롤러
(57)--전방압착롤러 (57')--후방압착롤러
(58)(58')--가압실린더 (60)--건조장치
(61)--건조실 (62)--권취롤러
(63)--상부건조가이드롤러 (64)--하부건조가이드롤러

Claims (2)

  1. 감물에 알칼리를 투입하여 pH 11~12로 조정한 다음 80~90℃까지 가열하고, 가열된 감물을 다시 50℃미만으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감물에 산을 투입, pH 5~6이 되도록 하여 염료화된 감물을 얻고, 상기 감물을 물과 혼합하여 염색조에 투입하고, 상기 감물에 피염물을 침지시켜 감물이 흡착된 피염물을 얻고, 상기 피염물을 후처리하여 염착성이 향상되도록 한 후처리 가공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후처리 가공장치(10)를 예비건조장치(30)와, 스팀처리장치(40)와, 수세장치(50)와, 건조장치(6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예비건조장치(30)는 예비건조실(31) 전방에 송출롤러(32)를 설치하고, 예비건조장치(30)를 구성하는 예비건조실(31) 내에 상하예비건조가이드롤러(33)(34)를 설치하되, 내부온도를 약100℃유지되게 하고, 상기 예비건조장치(30) 일측에 스팀처리장치(40)를 구성하고, 상기 스팀처리장치(40) 내에 스팀실(41)을 구성하고, 상기 스팀실(41) 내에 상하부스팀가이드롤러(43)(44)를 다수개 설치하되, 내부온도는 90~100℃유지되게 하며, 상기 스팀처리장치(40) 일측에 수세장치(50)를 구성하고, 상기 수세장치(50) 내에 수세실(51)을 설치하고, 상기 수세실(51) 내에 전후방압착롤러(57)(57')와 전후방수세롤러(52)(52')를 설치하되, 세척수의 온도는 상온으로 유지되게 하고, 상기 수세장치(50) 일측에 건조장치(60)를 구성하되, 건조장치(60)를 구성하는 건조실(61) 내부에 상하부 건조가이드롤러(63)(64)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실(61) 내부온도는 120℃로 유지하고, 상기 건조장치(60) 일측에는 권취롤러(62)가 설치되게 한 후처리 가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공장치에 구성된 송출롤러(32) 상에 롤상태로 권취된 피염물(20)을 안치하고, 상기 피염물(20)을 인출하여 예비건조장치(30)의 예비건조실(31)로 안내되게 한 다음, 상하부예비건조가이드롤러(33)(34)를 지나면서 수분율 10~30%(피염물 중량대비) 예비건조하고, 예비건조된 피염물(20)을 스팀처리장치(40)를 구성하는 스팀실(41) 내로 안내하여, 복수개로 구성된 상하부스팀가이드롤러(43)(44)를 지그재그로 지나면서 스팀처리하고, 스팀처리된 피염물(20)은 다시 수세장치(50)를 구성하는 수세실(51)로 안내되게 하여 전방수세롤러(52)와 전방압착롤러(57) 및 후방수세롤러(52')와 후방압착롤러(57')를 지나면서 수세하고, 수세된 피염물(20)은 건조장치(60)를 구성하는 건조실(61)로 안내되게 한 다음 상하부건조가이드롤러(63)(64)를 지나면서 건조하고, 건조된 피염물(20)은 권취롤러(62)를 통하여 롤상태로 권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
  2. 삭제
KR1020140096216A 2014-07-29 2014-07-29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 KR10163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216A KR101632257B1 (ko) 2014-07-29 2014-07-29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216A KR101632257B1 (ko) 2014-07-29 2014-07-29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246A KR20160014246A (ko) 2016-02-11
KR101632257B1 true KR101632257B1 (ko) 2016-07-01

Family

ID=5535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216A KR101632257B1 (ko) 2014-07-29 2014-07-29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76B1 (ko) 2019-08-27 2020-09-01 (주)대주기계 수중 충격파를 이용한 섬유의 표면개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715B1 (ko) * 2018-05-31 2019-04-11 허호 감물과 안료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방법 및 이의 염색방법으로 제조된 직물의 세척장치
KR102455160B1 (ko) * 2020-12-07 2022-10-14 박보화 비효소적 갈변반응을 이용한 속성 감물염색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35B1 (ko) 2010-05-04 2011-01-24 이진옥 감즙천연염료의 제조방법 및 감즙천연염료 그리고 감즙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483B1 (ko) * 1995-07-04 1998-12-01 조여익 섬유질 절연재의 제조방법
KR20030042320A (ko) 2001-11-22 2003-05-28 (주)우리 천연염색용 감즙액 추출방법 및 천연염색 자동화시스템
KR100479126B1 (ko) 2002-03-13 2005-03-28 주식회사 우성염직 감즙 분말 및 인공광원을 이용한 천연 감즙 염색포 제조방법
US8095991B2 (en) 2008-02-26 2012-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streaming captured content based on criteria regulating a sequence of ele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35B1 (ko) 2010-05-04 2011-01-24 이진옥 감즙천연염료의 제조방법 및 감즙천연염료 그리고 감즙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76B1 (ko) 2019-08-27 2020-09-01 (주)대주기계 수중 충격파를 이용한 섬유의 표면개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246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257B1 (ko)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
Satyanarayana et al. Dyeing of cotton cloth with natural dye extracted from pomegranate peel and its fastness
CN106758369A (zh) 有机棉花染色工艺及设备
CN108049213B (zh) 一种锦纶的染色方法
Dayioglu et al. The effect of dyeing properties of fixing agent and plasma treatment on silk fabric dyed with natural dye extract obtained from Sambucus ebulus L. plant
CN103669031A (zh) 混纺面料的染色方法
JP2017509804A (ja) 色(色相と色調)のマッチ・コンシステンシイを確保する、天然繊維染色用天然染料組成物および染色方法
CN105348851A (zh) 花色苷染料的制备及其在纤维素纤维织物染色上的应用
CN102517651A (zh) 天然彩色家蚕丝的颜色固定方法
CN106245357B (zh) 一种将树叶中的色素直接转印到织物上的方法
Akbari et al. Extraction and preparation of dye powders from Reseda luteola L. using membrane processes and its dyeing properties
KR20110050619A (ko) 재순환 염색욕을 이용한 셀룰로스 섬유와 그들의 배합물 및 폴리에스터와 그의 배합물의 직물 염색 방법
CN105019264A (zh) 一种环保竹纤维织物的染色方法
KR20160006376A (ko) 감물염색된 피염물의 염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 가공방법
JPH04281079A (ja) 糸と織物の染色方法
CN102864651A (zh) 茶叶用于竹纤维织物的着色方法
Ali et al. Green strategy for dyeing wool fibers by madder natural dye
CN102408572A (zh) 具有吸收紫外线功能的蛋白质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10027556A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천연착색제로 염색된 면소재의 의복 및 그의 염색방법
WO2006032623A1 (de) Verfahren zur ringfärbung von textilen flächengebilden aus cellulosischen fasern und mischmaterialien enthaltend cellulosische fasern
KR101554433B1 (ko) 줄풀 천연염색 방법
CN105088831A (zh) 一种利用天然染料紫胶红染羊毛的方法
Sodsangchan et al. Influence of monochlorotriazine-β-cyclodextrin treatment on dyeing and fastness properties of the hot-dyeing reactive dye on cotton
Kusumastuti et al. Application of Avocado Seed as Textile Natural Dye
KR20030072163A (ko) 녹차 염색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