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446B1 -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 - Google Patents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446B1
KR101631446B1 KR1020140149213A KR20140149213A KR101631446B1 KR 101631446 B1 KR101631446 B1 KR 101631446B1 KR 1020140149213 A KR1020140149213 A KR 1020140149213A KR 20140149213 A KR20140149213 A KR 20140149213A KR 101631446 B1 KR101631446 B1 KR 10163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ection
guide
slip ring
sid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631A (ko
Inventor
이민성
박상우
민율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446B1/ko
Priority to PCT/KR2015/002421 priority patent/WO2016068404A1/ko
Priority to CN201510152273.2A priority patent/CN106160291B/zh
Publication of KR2016005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2Connections between slip-rings and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9/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 B60L9/32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c brush displacement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5Spark suppressors associated with the commu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과; 회전축에 설치되고 로터 코일이 권선된 로터와; 로터 적어도 일부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된 스테이터와;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가 브러시 하우징에 이격 배치된 브러시 어셈블리와; 회전축에 설치되고, 제1브러시에 접촉되는 제1리드선과, 제2브러시에 접촉되는 제2리드선이 절연 가이드에 이격 배치된 슬립링을 포함하고, 슬립링은 브러시 하우징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날개부가 형성되어, 회전축 회전시 송풍날개부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브러시 가루가 브러시 어셈블리 또는 슬립링에 흡착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고, 브러시 가루가 브러시 어셈블리 또는 슬립링에 흡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Motor and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립링과 브러시를 갖는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엔진이나 모터 등의 구동원과,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포함한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구동원은 내연기관이 주로 사용되고, 내연기관 중 주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를 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얻는다. 이러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과 석유 자원의 고갈을 일으키므로, 그 대안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가 주목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와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로서, 배기가스가 없는 무공해 자동차이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구동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시킬 수 있다.
KR 10-1414657 B1(2014.07,03 공고)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는 브러시에서 발생된 브러시 가루에 의해 슬립링과 브러시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이 파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로터 코일이 권선된 로터와; 상기 로터 적어도 일부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된 스테이터와;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가 브러시 하우징에 이격 배치된 브러시 어셈블리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제1브러시에 접촉되는 제1리드선과, 상기 제2브러시에 접촉되는 제2리드선이 절연 가이드에 이격 배치된 슬립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링은 상기 브러시 하우징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날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슬립링의 원주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설치된 기어장치와; 상기 기어장치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드라이브 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드라이브축이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로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 적어도 일부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절연 가이드에 제1리드선과, 제2리드선이 이격 설치된 슬립링과; 상기 제1리드선에 접촉되는 제1브러시와 상기 제2리드선에 접촉되는 제2브러시가 브러시 하우징에 이격 배치된 브러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링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순차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 각각은 상기 절연 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갈수록 외측 테두리와 상기 회전축의 거리가 증대되는 제1구간과, 외측 테두리가 상기 제1구간에서 꺽인 형상이고 상기 절연 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외측 테두리와 상기 회전축의 거리가 균일한 제2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각각은 외측 테두리가 직선 형상의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에서 연장되고 외측 테두리가 곡선 형상의 제2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절연 가이드의 외측을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각각은 상기 절연 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타 블레이드의 제1구간을 마주보는 제3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구간은 상기 제1구간보다 더 급격하게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각각은 상기 슬립링의 회전 방향으로 제1구간, 제2구간 및 제3구간의 순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제1리드선와 제2리드선의 사이에 배치하는 센터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센터 가이드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날개부의 폭은 상기 제1브러시와 상기 제2브러시의 이격 거리 보다 짧을 수 있고, 상기 이격 거리의 절반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제1브러시의 옆을 향하는 제1사이드 가이드와; 상기 제2브러시 옆을 향하는 제2사이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의 사이를 향하는 센터 가이드와, 상기 센터 가이드와 제1리드선이 수용되는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1사이드 가이드와; 상기 센터 가이드와 제2리드선이 수용되는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사이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센터 가이드와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 각각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의 폭은 상기 제1브러시와 상기 제2브러시의 이격 거리 보다 짧고,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 폭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와 상기 제2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는 비대칭일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와 상기 제2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는 대칭일 수 있다.
상기 브러시 하우징은 상기 슬립링을 마주보고, 상기 제1브러시가 관통되게 위치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2브러시가 관통되게 위치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슬립링 대향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슬립링 대향판을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슬립링 대향판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복수개의 브러시 어셈블리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의 사이를 향하는 센터 가이드와; 상기 제1브러시의 옆을 향하는 제1사이드 가이드와; 상기 제2브러시 옆을 향하는 제2사이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센터 가이드와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사이드 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팬부는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 또는 제2사이드 가이드의 측면에 형성된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러시 가루가 브러시 어셈블리 또는 슬립링에 흡착되는 것이 송풍날개부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브러시 가루가 브러시 어셈블리 또는 슬립링에 흡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절연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일실시예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일실시예가 브러시 어셈블리와 슬립링이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일실시예의 브러시 어셈블리와 슬립링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일실시예의 슬립링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다른 실시예가 브러시 어셈블리와 슬립링이 도시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다른 실시예의 브러시 어셈블리와 슬립링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일실시예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일실시예가 브러시 어셈블리와 슬립링이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일실시예의 브러시 어셈블리와 슬립링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일실시예의 슬립링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모터(M)는 회전축(2)과; 로터 코일이 권선되고 회전축(2)에 설치된 로터(4)와;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고 로터 적어도 일부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스테이터(6)와; 브러시 어셈블리(8)와; 회전축(2)에 설치되고 브러시 어셈블리(8)가 접촉되는 슬립링(10)을 포함한다. 슬립링(10)은 회전축(2)에 설치된 정류자일 수 있다. 슬립링(10)은 브러시 어셈블리(8)를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날개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의 회전시 슬립링(10)은 회전축(2)과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송풍날개부(11)는 팬(Fan)의 블레이드와 같이 주변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회전축(2)의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송풍날개부(11)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슬립링(10)을 마주보고 있는 브러시 어셈블리(8)로 유동될 수 있다.
모터(M)는 브러시형(Brush type) 직류 전동기로 구성될 수 있고, 로터(4)가 스테이터(6)와 전자기 작용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축(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M)는 모터 하우징(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로터(4) 및 스테이터(6)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2)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2)은 스테이터(6)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프레임(13)과, 프레임(13)의 일측에 결합된 제1커버(14)와, 프레임(13)의 타측에 결합된 제2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과 제1커버(14)와 제2커버(15)의 사이에는 로터(4) 및 스테이터(6)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14)에는 회전축(2)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16)이 설치될 수 있고, 제2커버(15)에는 회전축(2)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17)이 설치될 수 있다.
모터(M)는 전기자동차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차량 구동용 모터일 수 있다. 모터를 갖는 전기자동차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는 스테이터(6)와 연결되어 스테이터(6)로 3상 교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인버터는 브러시 어셈블리(8)와 연결되어 브러시 어셈블리(8)로 직류를 인가할 수 있다.
모터를 갖는 전기자동차는 모터(M)에 설치된 기어장치(18)와, 기어장치(18)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드라이브 축(19)을 포함한다.
기어장치(18)는 모터(M)와 결합되어 모터(M)와 하나의 구동모듈을 구성할 수 있고, 전기자동차는 모터(M)와 기어장치(18)가 일체화될 수 있다. 기어장치(18)와 모터(M)를 포함하는 구동모듈은 전기자동차의 드라이브 축(19)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일 수 있다.
기어장치(18)는 기어박스(20)와, 드라이브 축(19)이 연결된 디퍼렌셜 기어장치(22, differential gear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장치(18)는 모터(M)의 회전축(2)에 연결되고 디퍼렌셜 기어장치(22)에 치합되어 모터(M)의 구동력을 디퍼렌셜 기어장치(22)로 전달하는 구동기어장치(2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모터(M)의 구동력은 구동기어장치(21)를 통해 디퍼렌셜 기어장치(22)로 전달되고, 디퍼렌셜 기어장치(22)에서 드라이브 축(19)으로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
기어박스(20)는 기어장치(18)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위치하는 각종 기어를 보호할 수 있다. 기어박스(20)는 모터(M)의 모터 하우징(12)에 결합될 수 있다. 기어박스(20)는 제1커버(14)와 제2커버(15)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구동기어장치(21)와, 디퍼렌셜 기어장치(22)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기어박스(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나의 부재가 제1커버(14)와 제2커버(15) 중 하나에 결합되고, 그 사이에 구동기어장치(21), 디퍼렌셜 기어장치(22)가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기어박스(20)는 제1커버(14)와 제2커버(15)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기어박스와, 제1기어박스와 결합되고 제1기어박스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2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제1기어박스와 제2기어박스의 사이에 구동기어장치(21), 디퍼렌셜 기어장치(22)가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기어장치(21)는 모터(M)의 회전축(2)에 연결될 수 있고, 회전축(2)의 구동력을 디퍼렌셜 기어장치(22)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기어장치(21)는 모터(M)의 회전축(2)에 설치된 구동기어(21A)와, 회전축(2)과 나란한 카운터축(21B)과, 카운터축(21B)에 설치되고 구동기어(21A)에 치합된 카운터기어(21C)와, 카운터축(21B)에 구비되고 카운터기어(21C)와 기어비가 상이한 종동기어(21D)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장치(21)의 종동기어(21D)는 스퍼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장치(21)는 감속기어장치(reduction gear device)로 구성될 수 있고, 모터(M)의 회전축(2)에서 전달된 회전력을 감속하여 디퍼렌셜 기어장치(22)로 전달할 수 있다.
디퍼렌셜 기어장치(22)에는 드라이브 축(19)이 연결될 수 있고, 디퍼렌셜 기어장치(22)는 드라이브축(19)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디퍼렌션 기어장치(22)는 스퍼기어(22A)를 통해 차동장치 케이스(22B)에 전달된 회전력을 차동 기어(22C)와 사이드 기어(22D)를 통해 드라이브 축(19)으로 전달할 수 있다. 스퍼기어(22A)는 디퍼렌션 기어장치(22)로 구동력이 입력되는 일종의 입력기어 일 수 있고, 구동기어장치(21)의 종동기어(21D)에 치합될 수 있다. 사이드 기어(22D)는 드라이브 축(19)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출력기어일 수 있다.
구동기어장치(21)와 디퍼렌셜 기어장치(22)는 기어박스(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모터(M)의 회전축(2)이 회전되면, 드라이브 축(19)을 회전시킬 수 있다.
드라이브 축(19)은 디퍼렌션 기어(22)에 연결되고, 차륜에 연결되어 차륜을 회전시킬 수 있다. 드라이브 축(19)는 전기자동차의 제1차륜에 연결되는 제1드라이브 축(19A)과, 전기자동차의 제2차륜에 연결되는 제2드라이브 축(19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드라이브 축(19A)과, 제2드라이브 축(19B)은 둘 중 하나가 모터(M)의 회전축(2)을 관통할 수 있다.
회전축(2)은 드라이브 축(19)이 관통되는 중공부(3)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은 모터(M)의 구동시 회전되는 모터 축일 수 있다.
로터(4)는 로터 코어와, 로터 코어에 권선된 로터 코일을 포함하고, 로터 코어는 회전축(2)과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로터 코일에는 브러시 어셈블리(8) 및 슬립링(10)을 통해 직류가 인가될 수 있다.
스테이터(6)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된 스테이터 코일을 포함하고, 모터 하우징(1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터(6)는 프레임(13)과 제1커버(14)와 제2커버(15)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일은 자속을 형성하도록 스테이터 코어에 설치될 수 있고, 인버터에서 인가되는 3상 교류가 인가될 수 있다.
브러시 어셈블리(8)는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가 브러시 하우징(86)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브러시(82)는 슬립링(10)의 제1리드선(104)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브러시(82)는 일부가 브러시 하우징(86) 외부에 노출되게 브러시 하우징(86)에 배치될 수 있고, 브러시 하우징(86)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단부가 슬립링(10)의 제1리드선(104)에 접촉될 수 있다.
제2브러시(84)는 슬립링(10)의 제2리드선(106)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브러시(84)는 제1브러시(82)와 이격되게 브러시 하우징(86)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브러시(84)는 일부가 브러시 하우징(86) 외부에 노출되게 브러시 하우징(86)에 배치될 수 있고, 브러시 하우징(86)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단부가 슬립링(10)의 제2리드선(106)에 접촉될 수 있다.
브러시 하우징(86)은 슬립링(10)을 마주보는 슬립링 대향판(88)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립링 대향판(88)은 제1브러시(82)가 관통되게 위치되는 제1관통공(89)과 제2브러시(84)가 관통되게 위치되는 제2관통공(90)이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하우징(86)의 내부에는 제1브러시(8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고, 제2브러시(84)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브러시 어셈블리(8)는 복수개가 모터(M)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M)에는 슬립링(10)에 접촉되게 모터 하우징(12)에 설치된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슬립링(10)에 접촉되게 모터 하우징(12)에 설치되고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이격되는 제2브러시 어셈블리(8B)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는 구조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브러시 어셈블리(8)로 칭하여 설명하고,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를 구분하여 설명할 경우에는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로 칭하여 설명한다.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는 그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는 슬립링(10)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슬립링(10)은 회전축(2)에 설치되어 회전축(2)과 함께 회전될 수 있고, 브러시 어셈블리(8)에서 인가되는 전류를 로터(4)의 로터 코일로 인가할 수 있다.
슬립링(10)은 절연 가이드(102)에 제1리드선(104)과, 제2리드선(106)이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절연 가이드(102)는 제1리드선(104)와 제2리드선(106)을 절연시킴과 아울러 제1리드선(104)과 제2리드선(106)을 고정하는 리드선 홀더일 수 있다. 절연 가이드(102)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가이드(102)는 회전축(2)이 관통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가이드(102)는 제1리드선(104)과 제2리드선(106)의 사이에 배치하는 센터 가이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가이드(102)는 센터 가이드(112)와 제1리드선(104)이 수용되는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1사이드 가이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가이드(102)는 센터 가이드(112)와 제2리드선(106)이 수용되는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사이드 가이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가이드(102)는 회전축(2)의 외둘레에 설치된 통체(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 가이드(114)와 센터 가이드(112)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는 통체(118)에 이격되게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리드선(104)은 제1사이드 가이드(114)와 센터 가이드(112)의 사이에 위치되게 통체(118)의 외둘레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리드선(106)은 센터 가이드(112)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 사이에 위치되게 통체(118)의 외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가이드(112)는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의 사이를 향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1사이드 가이드(114)는 제1리드선(104)이 접촉되는 제1브러시(82)의 옆을 향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2사이드 가이드(116)는 제2리드선(106)이 접촉되는 제2브러시(84)의 옆을 향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1리드선(104) 및 제2리드선(106)은 구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M)는 슬립링(10)의 회전시,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에서 브러시 가루가 발생되어 주변으로 비산될 수 있다. 이렇게 비산된 브러시 가루 중 적어도 일부는 슬립링(10) 또는 브러시 어셈블리(8)에 묻을 수 있다. 또한, 브러시 가루는 모터(M) 내부의 오일과 혼합되어 혼합물이 될 수 있고, 이러한 혼합물은 슬립링(10) 또는 브러시 어셈블리(8)에 묻을 수 있다.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는 제1리드선(104)과 제2리드선(106)의 사이에 흡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제1리드선(104)과 제2리드선(106)을 통전시킬 수 있으며, 제1리드선(104)과 제2리드선(106)의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는 브러시 어셈블리(8)의 슬립링 대향판(88)에 붙을 수 있고, 이 경우 슬립링 대향판(88)에 붙은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는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를 통전시킬 수 있으며,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의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연 파괴시, 로터(4)에 인가되는 직류전압 및 직류전류가 급변할 수 있고, 모터(M)가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슬립링(10) 외둘레면에서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축(2)과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슬립링(10)으로 유동되는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를 원심력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제1리드선(104)과 제2리드선(106) 사이에는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가 흡착되지 않고, 제1리드선(104)과 제2리드선(106)이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에 의해 통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슬립링(10)에 형성되어 슬립링(10)의 회전시 주변에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브러시 어셈블리(8)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슬립링 대향판(88)을 마주보게 형성되고 주변의 공기를 슬립링 대향판(88)로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날개부(11)에 의해 슬립링 대향판(88)으로 송풍된 공기는 슬립링 대향판(88)에 위치하는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를 불어낼 수 있고, 슬립링 대향판(88)에 위치하는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는 슬립링 대향판 주변으로 밀려날 수 있다. 즉, 슬립링 대향판(88)에는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가 흡착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가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에 의해 통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슬립링 대향판(88)을 향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복수개의 블레이드(B)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슬립링(10)의 외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B)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슬립링(10)의 원주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B)는 슬립링(10)의 외둘레면 중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B)는 슬립링(10) 특히 절연 가이드(102)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B)는 절연 가이드(102)의 외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순차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블레이드(B) 사이 각각에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는 회전축(2)을 향하는 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절연 가이드(102)는 그 원주방향으로 블레이드(B)와 홈부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B)는 4개 내지 12개가 하나의 송풍날개부를 구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B) 각각은 절연 가이드(102)의 원주방향으로 갈수록 외측 테두리와 회전축(2)의 거리(L4)가 증대되는 제1구간(B1)과, 외측 테두리가 제1구간(B1)에서 꺽인 형상이고 절연 가이드(102)의 원주방향으로 외측 테두리와 회전축(2)의 거리(L5)가 균일한 제2구간(B2)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B) 각각은 외측 테두리가 직선 형상의 제1구간(B1)과, 제1구간(B1)에서 연장되고 외측 테두리가 곡선 형상의 제2구간(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간(B2)은 절연 가이드(102)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B) 각각은 절연 가이드(102)의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타 블레이드의 제1구간(B1)을 마주보는 제3구간(B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구간(B3)은 절연 가이드(102)의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타 블레이드의 제1구간(B1)과 둔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구간(B1)과 제3구간(B3)은 제2구간(B2)을 사이에 두고 위치될 수 있고, 둘 다 제2구간(B2)에 대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구간(B3)의 외측 테두리는 제1구간(B1)의 외측 테두리 보다 더 급격하게 경사질 수 있다. 제1구간(B1)의 외측 테두리는 제3구간(B3)의 외측 테두리 보다 상대적으로 더 완만하게 경사질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B) 각각은 제1구간(B1)과 제2구간(B2)의 제1경계(B4)와, 제2구간(B2)과 제3구간(B3)의 제2경계(B5)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2구간(B2)의 외측 테두리는 제1경계(B4)를 사이에 두고 제1구간(B1)의 외측 테두리와 꺽인 형상일 수 있고, 제2경계(B5)를 사이에 두고 제3구간(B3)의 외측 테두리와 꺽인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B) 각각은 슬립링(10)의 회전 방향으로 제1구간(B1), 제2구간(B2) 및 제3구간(B3)의 순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2)이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송풍날개부(11) 중 제1구간(B1)이 회전방향으로 가장 먼저 위치하고, 제2구간(B2)이 제1구간(B1) 이후에 위치하며, 제3구간(B3)가 제2구간(B2) 이후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센터 가이드(112)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센터 가이드(112)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는 회전축(2)의 회전시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 사이의 틈(G1)을 향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센터 가이드(112)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는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 사이에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 각각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센터 가이드(112)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A)의 폭(L1)은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의 이격 거리(L2) 보다 짧을 수 있다. 여기서, 송풍날개부의 폭(L1)은 회전축(2)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폭일 수 있다. 센터 가이드(112)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의 폭(L1)은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 이격 거리(L2)의 절반 보다 길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제1사이드 가이드(114)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 중 적어도 하나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제1사이드 가이드(114)의 외둘레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의 외둘레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센터 가이드(112)와 제1사이드 가이드(114)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 각각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는 회전축(2)의 회전시 제1브러시(82)의 옆(G2)을 향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는 제1브러시(82) 옆에 제1브러시(82)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는 회전축(2)의 회전시 제2브러시(84)의 옆(G3)을 향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는 제2브러시(84) 옆에 제2브러시(84)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터 가이드(112)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와,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송풍날개부(11)로 칭하여설명하고, 이들을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센터 가이드(112)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A)와,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B)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C)로 칭하여 설명한다.
브러시 어셈블리(8)와 슬립링(10)은 회전축(2)의 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C)와, 제2브러시(84)와, 센터 가이드(112)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A)와, 제1브러시(82)와,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B)의 순서로 위치될 수 있다.
센터 가이드(112)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A)의 폭(L1)은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의 이격 거리 보다 짧고,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B)의 폭(L3) 및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C)의 폭(L3) 보다 보다 길 수 있다.
한편,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B)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C)는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B)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C)는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날개부(11)는 회전축(2)의 회전시, 복수개의 브러시 어셈블리(8A)(8B)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모터(M)가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를 포함할 경우, 송풍날개부(11)는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 각각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모터(M)는 하나의 슬립링(10)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가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 각각의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슬립링(10)에 형성된 송풍날개부(11)의 간단한 구조로 제1브러시 어셈블리(8A)와 제2브러시 어셈블리(8B) 각각의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M)의 구동시, 브러시 어셈블리(8)에는 직류전류 및 직류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슬립링(10)의 제1리드선(104)과 제2리드선(106)을 통해 로터(4)의 로터 코일로 인가될 수 있다.
모터(M)의 구동시, 로터(4)는 스테이터(6)와 전자기 작용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회전축(2)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립링(10)의 제1리드선(104)은 브러시 어셈블리(8)의 제1브러시(82)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축(2)과 함께 회전되고, 슬립링(10)의 제2리드선(106)은 브러시 어셈블리(8)의 제2브러시(84)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축(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모터(M)의 구동이 계속됨에 따라,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에서는 브러시 가루가 발생되어 주변으로 흩날릴 수 있고, 이렇게 흩날린 브러시 중 일부는 슬립링(10)의 외둘레면 또는 브러시 어셈블리(8) 중 슬립링(10)을 마주보는 면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브러시 어셈블리(8) 중 슬립링(10)을 마주보는 면은 슬립링 대향판(88) 중 슬립링(10)의 외둘레면을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한편, 슬립링(10)의 회전시 슬립링(10)의 주변에는 송풍날개부(11)에 의해 기류가 발생될 수 있고, 송풍날개부(11)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보다 슬립링(10) 주변의 풍속이 증대될 수 있다.
슬립링(10)의 외둘레면을 향해 유동되는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는 송풍날개부(11)에 부딪히거나 원심력에 의해 슬립링(10)의 외둘레면에 흡착되지 못하고, 슬립링(10)의 외둘레면에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가 흡착되는 것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송풍날개부(11)에 의해 형성된 기류는 브러시 어셈블리(8) 중 브러시 대향판(88) 외면을 향해 유동되는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를 불어낼 수 있고,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는 브러시 대향판(88)에 남지 않고, 브러시 어셈블리(8) 주변으로 낙하될 수 있다. 브러시 가루와 오일의 혼합물 또는 브러시 가루는 브러시 어셈블리(8)의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의 사이(G1)와, 제1브러시(82)의 옆(G2) 및 제2브러시(84)의 옆(G3)에 흡착되지 못하고, 브러시 어셈블리(8)의 제1브러시(82)와 제2브러시(84)의 절연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다른 실시예가 브러시 어셈블리와 슬립링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다른 실시예의 브러시 어셈블리와 슬립링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송풍날개부(11)가 센터 가이드(112)와 제1사이드 가이드(114)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 중 적어도 하나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고, 제1사이드 가이드(114)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사이드 팬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이드 팬부(10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이드 팬부(100)는 제1사이드 가이드(114) 또는 제2사이드 가이드(116)의 측면에 형성된 허브부(102)와, 허브부(102)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블레이드(10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팬부(100)는 프로펠러 팬의 블로워로 구성될 수 있다. 허브부(102)는 사이드 팬부(100)의 회전 중심축일 수 있고, 복수개의 블레이드(104)는 허브부(102)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104)는 허브부(102)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슬립링(10)의 주변에, 회전축(2)의 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사이드 팬부(100)는 절연 가이드(102)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사이드 팬부(100)는 절연 가이드(102)의 회전시, 절연 가이드(102)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회전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팬부(110)는 제1사이드 가이드(114)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사이드 팬부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사이드 팬부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사이드 팬부(110)로 칭하여 설명하고, 구분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사이드 팬부(100A)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사이드 팬부(100B)로 칭하여 설명한다.
사이드 팬부(100)는 슬립링(10)으로의 오일 유입을 막도록 오일 유입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오일은 제1사이드 가이드(114) 또는 제2사이드 가이드(116)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사이드 팬부(100A)는 슬립링(10)의 옆에서 제1사이드 가이드(114)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오일을 그 반대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사이드 팬부(100B)는 슬립링(10)의 옆에서 제2사이드 가이드(116)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오일을 그 반대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제1사이드 가이드(114)에 형성된 사이드 팬부(100A)와 제2사이드 가이드(116)에 형성된 사이드 팬부(10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회전축 4: 로터
6: 스테이터 8: 브러시 어셈블리
10: 슬립링 11: 송풍날개부
18: 기어장치 19: 드라이브 축
82: 제1브러시 84: 제2브러시
86: 브러시 하우징 88: 슬립링 대향판
89: 제1관통공 90: 제2관통공
100: 절연 가이드 102: 절연 가이드
104: 제1리드선 106: 제2리드선
112: 센터 가이드 114: 제1사이드 가이드
116: 제2사이드 가이드 M: 모터
G1: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의 사이

Claims (20)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로터 코일이 권선된 로터와;
    상기 로터에 적어도 일부의 외둘레를 둘러싸고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된 스테이터와;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가 브러시 하우징에 이격 배치된 브러시 어셈블리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제1브러시에 접촉되는 제1리드선과, 상기 제2브러시에 접촉되는 제2리드선이 절연 가이드에 이격 배치된 슬립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링은 상기 브러시 하우징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슬립링의 원주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각각은 제1구간, 제2구간 및 제3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링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구간, 상기 제2구간 및 상기 제3구간의 순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절연 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갈수록 외측 테두리와 상기 회전축의 거리가 증대되고,
    상기 제2구간은 외측 테두리가 상기 제1구간에서 꺽인 형상이고 상기 절연 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외측 테두리와 상기 회전축의 거리가 균일하고,
    상기 제3구간은 외측 테두리가 상기 제2구간에서 꺽인 형상이고 상기 절연 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타 블레이드의 상기 제1구간과 연결되는 모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각각은
    상기 제1구간은 외측 테두리가 직선 형상이고,
    상기 제2구간은 외측 테두리가 곡선 형상인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절연 가이드의 외측을 향해 볼록한 모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간의 외측 테두리는 상기 제1구간의 외측 테두리보다 더 급격하게 경사진 모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제1리드선와 제2리드선의 사이에 배치하는 센터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센터 가이드의 외둘레에 형성된 모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날개부의 폭은
    상기 제1브러시와 상기 제2브러시의 이격 거리 보다 짧고,
    상기 이격 거리의 절반 보다 긴 모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제1브러시의 옆을 향하는 제1사이드 가이드와;
    상기 제2브러시 옆을 향하는 제2사이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외둘레에 형성된 모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의 사이를 향하는 센터 가이드와,
    상기 센터 가이드와 제1리드선이 수용되는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1사이드 가이드와;
    상기 센터 가이드와 제2리드선이 수용되는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사이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센터 가이드와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 각각의 외둘레에 형성된 모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의 폭은
    상기 제1브러시와 상기 제2브러시의 이격 거리 보다 짧고,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 폭 보다 긴 모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와 상기 제2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는 비대칭인 모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와 상기 제2사이드 가이드에 형성된 송풍날개부는 대칭인 모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하우징은
    상기 슬립링을 마주보고, 상기 제1브러시가 관통되게 위치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2브러시가 관통되게 위치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슬립링 대향판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슬립링 대향판을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슬립링 대향판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모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복수개의 브러시 어셈블리로 공기를 송풍하는 모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제1브러시와 제2브러시의 사이를 향하는 센터 가이드와;
    상기 제1브러시의 옆을 향하는 제1사이드 가이드와;
    상기 제2브러시 옆을 향하는 제2사이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부는 상기 센터 가이드와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외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와 제2사이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사이드 팬부가 형성된 모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팬부는 상기 제1사이드 가이드 또는 제2사이드 가이드의 측면에 형성된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모터.
  20. 모터와; 상기 모터에 설치된 기어장치와; 상기 기어장치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드라이브 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드라이브축이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로터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에 적어도 일부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절연 가이드에 제1리드선과, 제2리드선이 이격 설치된 슬립링과;
    상기 제1리드선에 접촉되는 제1브러시와 상기 제2리드선에 접촉되는 제2브러시가 브러시 하우징에 이격 배치된 브러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링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순차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각각은 제1구간, 제2구간 및 제3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슬립링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1구간, 상기 제2구간 및 상기 제3구간의 순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절연 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갈수록 외측 테두리와 상기 회전축의 거리가 증대되고,
    상기 제2구간은 외측 테두리가 상기 제1구간에서 꺽인 형상이고 상기 절연 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외측 테두리와 상기 회전축의 거리가 균일하고,
    상기 제3구간은 외측 테두리가 상기 제2구간에서 꺽인 형상이고 상기 절연 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타 블레이드의 상기 제1구간과 연결되는 전기자동차.
KR1020140149213A 2014-10-30 2014-10-30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 KR10163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13A KR101631446B1 (ko) 2014-10-30 2014-10-30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
PCT/KR2015/002421 WO2016068404A1 (ko) 2014-10-30 2015-03-12 모터 및 그를 갖는 자동차
CN201510152273.2A CN106160291B (zh) 2014-10-30 2015-04-01 电机及具有该电机的汽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13A KR101631446B1 (ko) 2014-10-30 2014-10-30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631A KR20160050631A (ko) 2016-05-11
KR101631446B1 true KR101631446B1 (ko) 2016-06-24

Family

ID=5585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213A KR101631446B1 (ko) 2014-10-30 2014-10-30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31446B1 (ko)
CN (1) CN106160291B (ko)
WO (1) WO2016068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4530B2 (en) * 2018-06-20 2020-09-22 Tesla, Inc. Dioxazolones and nitrile sulfites as electrolyte additives for lithium-ion batteri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9258A (ja) * 2008-11-14 2010-05-27 Toyota Central R&D Labs Inc 回転電機用ブラシ摺接機構
JP2012222843A (ja) 2011-04-04 2012-11-12 Toyota Central R&D Labs Inc 回転電機
JP2013192427A (ja) 2012-03-15 2013-09-26 Toyota Motor Corp スリップリング装置
JP2014033491A (ja) 2012-08-01 2014-02-20 Toyota Industries Corp 回転電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451B2 (ja) * 1995-12-26 2000-06-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2233110A (ja) * 2001-02-02 2002-08-16 Toshiba Tec Corp 電動送風機及び電気掃除機
JP2004068986A (ja) * 2002-08-08 2004-03-04 Nippon Koei Co Ltd 発電機軸受用オイルミスト遮断装置
JP4566868B2 (ja) * 2005-09-08 2010-10-20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回転電機
KR101098748B1 (ko) * 2009-10-01 2011-12-23 (주) 디에이치홀딩스 브러쉬리스 직류모터
CN102195409A (zh) * 2010-03-12 2011-09-21 永济新时速电机电器有限责任公司 双馈异步发电机
CN201830090U (zh) * 2010-10-28 2011-05-11 浙江江山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轮发电机
US8723468B2 (en) * 2011-04-28 2014-05-13 Aurora Office Equipment Co., Ltd. Cooled motor
KR101414657B1 (ko) 2012-10-29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9258A (ja) * 2008-11-14 2010-05-27 Toyota Central R&D Labs Inc 回転電機用ブラシ摺接機構
JP2012222843A (ja) 2011-04-04 2012-11-12 Toyota Central R&D Labs Inc 回転電機
JP2013192427A (ja) 2012-03-15 2013-09-26 Toyota Motor Corp スリップリング装置
JP2014033491A (ja) 2012-08-01 2014-02-20 Toyota Industries Corp 回転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8404A1 (ko) 2016-05-06
CN106160291B (zh) 2018-10-23
KR20160050631A (ko) 2016-05-11
CN106160291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2593B2 (en) Electrical machine
JPH05161286A (ja) 自動車用三相交流発電機
US20060163963A1 (en) Counter rotating generator
JP2017539193A (ja) ローター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ー
US20070222311A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in Particular Motor Vehicle Alternator, Whereof the Input/Outputs Comprise Fines Inclined Relative to the Fan Blades
CN111628621B (zh) 无刷盘式双转子电机
KR101631446B1 (ko) 모터 및 그를 갖는 전기자동차
KR20170077516A (ko) 로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1501638A (ja) 多機能原動機
CN105656268B (zh) 外转子型可变励磁式电动机
KR102408250B1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3876912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WO2016147038A1 (en) Electricity generator
KR102216135B1 (ko) 모터용 회전자 어셈블리
GB2369503A (en) Direct-drive wheel motor
US5731644A (en) Integral cooling air diffuser for electromechanical apparatus
US20190093673A1 (en) Impeller, impeller blade wheel, air-blow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ir-blowing device
WO2016189699A1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回転子
US201500543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sorless Control of a Separately Excited Synchronous Machine
CN113014054B (zh) 一体式无壳电机
US20160126789A1 (en) Permanent magnet motor
CN106160333B (zh) 车辆用驱动模块
KR102413954B1 (ko) 슬립 링,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200269673Y1 (ko) 전동기의 팬
JP2007325330A (ja) 二輪車用交流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