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024B1 -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024B1
KR101631024B1 KR1020150047553A KR20150047553A KR101631024B1 KR 101631024 B1 KR101631024 B1 KR 101631024B1 KR 1020150047553 A KR1020150047553 A KR 1020150047553A KR 20150047553 A KR20150047553 A KR 20150047553A KR 101631024 B1 KR101631024 B1 KR 101631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late
conductor
heating
heating conducto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태
성환호
성환진
이상현
성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피에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피에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4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위치하며, 일단이 도전성 판재의 위치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가열도체 및 각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도체를 이용하여 유도가열 코일을 구성함으로써 도전성 판재의 상면 및 하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도 모두 균등하게 가열하거나 측면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장치{Induction Heating Apparatus}
본 실시예는 도전성 판재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강판 등의 도전성 판재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가열 장치는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한 높은 주파수의 자기장(magnetic field)을 도전성 판재에 인가시켜 도전성 판재의 표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줄열을 통해 도전성 판재를 가열한다. 이러한 유도가열 장치의 도전성 판재 가열 방식으로는 솔레노이드 방식과 트랜스버스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유도가열 장치의 경우 도전성 판재의 상면 및 하면을 균등 가열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어, 실질적으로 도전성 판재의 측면의 경우 충분히 가열되지 않거나 선택적으로 발열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도전성 판재의 상면 및 하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균등하게 가열하거나 측면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더불어, 도전성 판재를 가열코일로부터 자유로이 개방-분리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도전성 판재의 상면 및 하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도 모두 균등하게 가열하거나 측면의 발열량을 조절하고 유사시 가열코일과 도전성 판재를 자유로이 분리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일측에 도전성 판재가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도전성 판재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1 코일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코일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부는 일단이 상기 도전성 판재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가열도체와 상기 제1 및 제2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을 상기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도전성 판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제1 코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부는, 동일 평면상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1 가열도체 및 제2 가열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도체 및 상기 제2 가열도체 중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는 일단이 상기 도전성 판재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전성 판재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에 상기 제1 가열도체 및 상기 제2 가열도체 중 다른 하나의 가열도체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의 타단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가열도체의 타단은 상기 도전성 판재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전성 판재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의 절곡된 타단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가열도체의 절곡된 타단은 제2 연결도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성 판재의 상면 및 하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도 모두 균등하게 가열 또는 추가 가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성 판재의 측면 발열 분포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성 판재 내 유연한 발열 분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내 제1 코일부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내 제2 코일부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는 연결도체의 구현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트랜스버스 방식에 이용하여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1 코일부(110), 제1 코어부(120), 제2 코일부(130), 제2 코어부(140), 제1 전원장치(150) 및 제2 전원장치(160)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 전류 방향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부(110)의 일측에는 도전성 판재(17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코일부(110)의 일단은 상기 도전성 판재(17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코일부(110)의 타단에는 제1 코일부(110)로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전원장치(15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코일부(110)는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하며, 제1 전원장치(150)로부터 교류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제1 교류자계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1 코일부(110)는 제1 가열도체(112), 제2 가열도체(114) 및 제1 연결도체(116)를 포함한다. 한편, 제1 방향은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이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에 대해 특정 방향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에서는 제1 방향이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가열도체(112)는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며,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절곡된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열도체(114)는 제1 가열도체(112)와 동일 평면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제1 가열도체(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 가열도체(114)는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며,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열도체(112)의 절곡된 일단 및 제2 가열도체(114)의 절곡된 일단은 제1 연결도체(116)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된다. 즉, 제1 가열도체(112)의 절곡된 일단에 제1 연결도체(116)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1 연결도체(116)의 타단에 제2 가열도체(114)의 절곡된 일단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도체(116)는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 가열도체(112)와 제2 가열도체(114)를 연결할 수 있으며,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코일부(110)는 일단이 각각 도전성 판재(17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1 가열도체(112) 및 제2 가열도체(112)를 구비하고, 제1 연결도체(116)는 제1 가열도체(112)의 절곡된 일단 및 제2 가열도체(114)의 절곡된 일단을 서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1 전원장치(150), 제1 가열도체(112), 제1 연결도체(116) 및 제2 가열도체(114)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하나의 전류 루프 예컨대, 제1 교류자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류 루프에 의해서 도전성 판재(170)에 자속이 전달되며, 전달된 자속에 의해 도전성 판재(170)에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의 경우 제1 가열도체(112)의 절곡된 일단과 제2 가열도체(114)의 절곡된 일단을 제1 연결도체(116)를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도 자속이 전달되도록 동작한다. 다시 말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도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도전성 판재(170)의 상면 및 하면뿐만 아니라 측면 또한 균등하게 가열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1 코일부(110)를 제작 시 제1 연결도체(116)와 도전성 판재(170) 사이의 간격을 상황에 따라 달리 조절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밀도, 유도전류 통전거리 즉, 측면에서의 발열 분포 면적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도체(116)와 도전성 판재(170)의 일측면 사이의 간격은 도전성 판재(170)의 두께 등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1 코일부(110)를 제작 시 제1 연결도체(116)의 고정 위치 및 제1 연결도체(116)의 폭을 상황에 따라 달리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밀도 영역 즉, 발열 분포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도체(116)의 고정 위치 및 제1 연결도체(116)의 폭을 도전성 판재(170)의 두께 등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도체(116)의 폭은 제1 가열도체(112)의 일단 및 제2 가열도체(114)의 일단의 절곡된 길이보다 작도록 구현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일측면이 세밀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제1 연결도체(116)의 고정 위치는 도전성 판재(170)의 일측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구현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일측면이 세밀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도체(116)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가지는 제1 연결도체(116)를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전성 판재(170)의 일측면의 발열 분포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가열도체(112)의 절곡된 일단 및 제2 가열도체(114)의 절곡된 일단은 각각 제1 연결도체(116)의 탈부착을 위한 제1 연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연결도체(116)는 각각의 제1 연결부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코어부(120)는 제1 가열도체(112)가 권취되는 제1 코어(122) 및 제2 가열도체(114)가 권취되는 제2 코어(124)를 포함한다.
제1 코어(122) 및 제2 코어(124)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제1 및 제2 가열도체(112, 114)가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된 양단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1 가열도체(112) 및 제2 가열도체(114)는 각각 제1 코어(122) 및 제2 코어(124)의 양단 돌출부 사이에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어(122) 및 제2 코어(124)는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급전 코어를 포함한다. 즉, 제1 코어(122) 및 제2 코어(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급전 코어가 정렬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급전 코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코일부(130)는 제1 코일부(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전성 판재(170)는 제1 코일부(110)와 제2 코일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원장치(160)는 상기 제2 코일부(130)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코일부(130)는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며, 제2 전원장치(160)로부터 교류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방향이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인 경우로 예시하였으며, 이에 제2 방향이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인 경우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는 동일 평면상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3 가열도체(132) 및 제4 가열도체(136)를 포함한다. 이때, 제3 가열도체(132) 및 제4 가열도체(136) 중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는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에 제3 가열도체(132) 및 제4 가열도체(136) 중 다른 하나의 가열도체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결도체(134)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3 가열도체(132) 및 제4 가열도체(136) 중 제3 가열도체(132)의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3 가열도체(132)는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며,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된다. 즉, 제3 가열도체(132)의 경우 도전성 판재(170)를 중심으로 제1 가열도체(112) 및 제2 가열도체(114)의 절곡된 일단이 위치하는 지점과 반대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3 가열도체(132)는 제3 가열도체(132)의 절곡된 일단에 제4 가열도체(136)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결도체(1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도체(134)는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제3 가열도체(132)와 제4 가열도체(136)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가열도체(136)는 제3 가열도체(132)와 동일 평면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된다. 이때, 제4 가열도체(136)의 타단은 제3 가열도체(132)의 타단과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제2 코일부(130)는 제3 가열도체(132) 및 제4 가열도체(134) 중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 예컨대, 제3 가열도체(132)의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절곡된 제3 가열도체(132)의 일단에 제4 가열도체(136)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결도체(134)를 구비함으로써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도 자속이 전달되도록 동작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도전성 판재(170)의 상면 및 하면뿐만 아니라 측면 또한 균등하게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부(130)는 상기에 명시된 구조에 따라 유도가열 코일을 구성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부(11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1 전원장치(150) 및 제2 코일부(13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2 전원장치(160)를 동일한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각 코일부와 각 전원장치 간의 연결 배선을 기존 대비 간결하게 설계할 수 있어 도전성 판재(170) 내 유도전류가 보다 안정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1 전원장치(150) 및 제2 전원장치(160)를 동일한 지점에 위치시킴에 따라 각 전원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2 코일부(130)를 제작 시 제2 연결도체(134)와 도전성 판재(170) 사이의 간격을 상황에 따라 달리 조절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밀도, 유도전류 통전거리 즉, 측면에서의 발열 분포 면적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2 코일부(130)를 제작 시 제2 연결도체(134)의 고정 위치 및 제2 연결도체(134)의 폭을 상황에 따라 달리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밀도 영역 즉, 발열 분포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도체(134)의 폭은 제3 가열도체(132)의 일단의 절곡된 길이보다 작도록 구현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이 세밀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도체(134)의 고정 위치는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구현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이 세밀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도체(134)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가지는 제2 연결도체(134)를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의 발열 분포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가열도체(132)의 절곡된 일단은 각각 제2 연결도체(134)의 탈부착을 위한 제3 연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도체(134)는 제3 연결부에 상응하는 제4 연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코어부(140)는 제3 가열도체(132)가 권취되는 제3 코어(142) 및 제4 가열도체(136)가 권취되는 제4 코어(144)를 포함한다. 제3 코어(142) 및 제4 코어(144)는 앞서 명시된 제1 코어(122) 및 제2 코어(12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코일부(110) 및 제2 코일부(130)는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이에, 도전성 판재(170)는 제1 및 제2 코일부(110, 130) 사이로 삽입될 수 있으며,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된 후에 제1 전원장치(150) 및 제2 전원장치(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제1 코일부(110) 및 제2 코일부(130)에 전원이 공급된다.
제1 전원장치(150)는 제1 코일부(110)로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때, 제1 가열도체(112)의 타단은 제1 전원장치(150)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 가열도체(114)의 타단은 제1 전원장치(150)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2 전원장치(160)는 제2 코일부(130)로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때, 제2 전원장치(160)의 일단은 제2 연결도체(134)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2 전원장치(160)의 타단은 제4 가열도체(136)의 일단과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각 코일부(110, 130)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장치(150, 160)를 독립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각 코일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동일 또는 차등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전성 판재(170) 내 유연한 발열 분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1 전원장치(150) 및 제2 전원장치(160)를 이용하여 각 코일부에 동일한 전류 방향을 갖는 전류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도전성 판재(170)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1 전원장치(150) 및 제2 전원장치(160)를 이용하여 각 코일부에 서로 다른 전류 방향을 갖는 전류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도전성 판재(170)의 특정 부분 예컨대, 도전성 판재(17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엣지 부분이 집중적으로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1 코일부(110) 및 제2 코일부(1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기 위해 사전에 제1 코일부(110)의 권취 방향과 제2 코일부(130)의 권취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권취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1 전원장치(150) 및 제2 전원장치(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류 방향을 전환하는 전류 방향 제어부(미도시, 기계식-전자식)를 추가로 구비하고, 구비된 전류 방향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1 코일부(110) 및 제2 코일부(1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내 제1 코일부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내 제1 코일부(110)의 형상 중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을 가열하기 위해 절곡된 일단 부분을 중점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a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내 제1 코일부(110)는 일단이 각각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이 구비된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1 가열도체(112) 및 제2 가열도체(114)를 구비하고, 제1 가열도체(112)의 절곡된 일단 및 제2 가열도체(114)의 절곡된 일단이 제1 연결도체(116)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1 가열도체(112)의 절곡된 일단과 제2 가열도체(114)의 절곡된 일단을 제1 연결도체(116)를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제1 가열도체(112), 제1 연결도체(116) 및 제2 가열도체(114)를 흐르는 전류에 따라 하나의 전류 루프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도 자속이 전달되어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도전성 판재(170)의 상면 및 하면 뿐만 아니라 측면 또한 균등하게 가열시키거나 추가 가열할 수 있다. 고온에 도달한 도전성 판재(170)를 재 가열할 때에는 측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추가가열이 필요하므로 측면 발열량을 가감하는 조건은 매우 유용하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내 제2 코일부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내 제2 코일부(130)의 형상 중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을 가열하기 위해 절곡된 일단 부분을 중점적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2b에서는 제2 코일부(130)와 제2 전원장치(160)를 연결하는 연결도체를 미도시하였으나, 이는 제2 코일부의 형상을 보다 명확하게 명시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질적으로는 제2 코일부(130)와 제2 전원장치(160) 사이에는 연결코일이 구비된다.
도 2b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내 제2 코일부(130)는 동일 평면상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3 가열도체(132) 및 제4 가열도체(136)를 포함한다. 이때, 제3 가열도체(132)는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절곡된 일단에 제4 가열도체(136)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결도체(134)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제3 가열도체(132)의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고, 절곡된 제3 가열도체(132)의 일단에 제4 가열도체(136)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결도체(134)를 구비함으로써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도 자속이 전달되어 유도전류가 발생하도록 동작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는 도전성 판재(170)의 상면 및 하면 뿐만 아니라 측면 또한 균등하게 가열시키거나 추가 가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유도 가열 장치는 제2 코일부와 제2 전원장치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유도 가열 장치와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한다.
도 3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300)는 제1 코일부(310), 제1 코어부(320), 제2 코일부(330), 제2 코어부(340), 제1 전원장치(350) 및 제2 전원장치(360)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 전류 방향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부(310)는 제1 가열도체(312), 제2 가열도체(314) 및 제1 연결도체(316)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코일부(310)의 제1 가열도체(312), 제2 가열도체(314) 및 제1 연결도체(316)는 도 1에 명시된 제1 코일부(110)의 제1 가열도체(112), 제2 가열도체(114) 및 제1 연결도체(116)와 동일한 형태로 구현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제1 코일부(3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코어부(320)는 제1 가열도체(312)가 권취되는 제1 코어(322) 및 제2 가열도체(314)가 권취되는 제2 코어(324)를 포함한다. 제1 코어부(320)는 도 1에 명시된 제1 코어부(120)와 동일한 형태로 구현되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코일부(330)는 제1 코일부(3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전성 판재(170)는 제1 코일부(310)와 제2 코일부(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원장치(160)는 제2 코일부(330)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코일부(330)는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며, 제2 전원장치(360)로부터 교류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2 코일부(330)는 도전성 판재(17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1 코일부(310)와 점대칭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타측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며, 이를 통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을 가열시킬 수 있다.
제2 코일부(330)는 제3 가열도체(332), 제4 가열도체(334) 및 제2 연결도체(336)를 포함한다.
제3 가열도체(332)는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며,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의 측면에 대향하게 구비된다. 즉, 제3 가열도체(332)의 경우 도전성 판재(170)를 중심으로 제1 가열도체(312) 및 제2 가열도체(314)의 절곡된 일단이 위치하는 지점과 반대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된다.
제4 가열도체(334)는 제3 가열도체(332)와 동일 평면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제3 가열도체(33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가열도체(332)의 절곡된 일단 및 제4 가열도체(334)의 절곡된 일단은 제2 연결도체(336)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연결도체(336)는 제3 가열도체(332) 및 제4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은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며,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될 수있다.
제2 코일부(330)는 일단이 각각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이 구비된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3 가열도체(332) 및 제4 가열도체(334)를 구비하고, 제2 연결도체(336)를 이용하여 제3 가열도체(332)의 절곡된 일단 및 제4 가열도체(334)의 절곡된 일단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도 자속이 전달되도록 동작한다. 이에,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도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300)는 도전성 판재(170)의 상면 및 하면 뿐만 아니라 측면 또한 균등하게 가열시키거나 추가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300)는 제1 코일부(310) 및 제2 코일부(330)를 제작 시 각 연결도체(316, 336)와 도전성 판재(170) 사이의 간격을 상황에 따라 달리 조절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밀도, 유도전류 통전거리 즉, 측면에서의 발열 분포 면적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300)는 제1 코일부(310) 및 제2 코일부(330)를 제작 시 각 연결도체(316, 336)의 고정 위치 및 각 연결도체(316, 336)의 폭을 상황에 따라 달리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밀도 영역 즉, 발열 분포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각 연결도체(316, 336)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300)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가지는 연결도체(316, 336)를 선택하여 각각 제1 코일부(310) 및 제2 코일부(330)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의 발열 분포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탈부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각 연결도체(316, 336)의 구현 형태는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코어부(340)는 제3 가열도체(332)가 권취되는 제3 코어(342) 및 제4 가열도체(334)가 권취되는 제4 코어(344)를 포함한다.
제1 전원장치(350)는 제1 코일부(310)로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한편, 제1 가열도체(312)의 타단은 제1 전원장치(350)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2 가열도체(314)의 타단은 제1 전원장치(350)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2 전원장치(360)는 제2 코일부(330)로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한편, 제3 가열도체(332)의 타단은 제2 전원장치(360)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4 가열도체(334)의 타단은 제2 전원장치(360)의 타단과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300)의 제1 전원장치(350) 및 제2 전원장치(36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의 제1 전원장치(150) 및 제2 전원장치(16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300)는 제1 전원장치(350) 및 제2 전원장치(3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류 방향을 전환하는 전류 방향 제어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고, 구비된 전류 방향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1 코일부(310) 및 제2 코일부(3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400)는 제1 코일부(410), 제1 코어부(420), 제2 코일부(430), 제2 코어부(440), 제1 전원장치(450) 및 제2 전원장치(460)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 전류 방향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부(410)는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하며, 제1 전원장치(450)로부터 교류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제1 교류자계를 생성한다. 한편, 제1 방향은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이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에 대해 특정 방향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 4에서는 제1 방향이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인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부(410)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1 가열도체(412) 및 제2 가열도체(416)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가열도체(412) 및 제2 가열도체(416) 중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는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며,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에 제1 가열도체(412) 및 제2 가열도체(416) 중 다른 하나의 가열도체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도체(414)를 포함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제1 가열도체(412) 및 제2 가열도체(416) 중 제1 가열도체(412)의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1 가열도체(412) 및 제2 가열도체(416)는 타단은 도전성 판재(170)의 위치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며, 제1 가열도체(412)의 절곡된 타단 및 제2 가열도체(416)의 절곡된 타단은 제2 연결도체(418)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도체(418)는 도전성 판재(170)의 폭방향으로 제1 가열도체(412) 및 제2 가열도체(416)를 연결하며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코일부(410)는 제1 가열도체(412) 및 제2 가열도체(416) 중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 예컨대, 제1 가열도체(412)의 일단이 도전성 판재(170)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절곡된 제1 가열도체(412)의 일단에 제2 가열도체(416)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도체(414)를 구비함으로써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도 자속이 전달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제1 코일부(410)는 제1 가열도체(412) 및 제2 가열도체(416)의 타단이 각각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이 구비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하고, 제2 연결도체(418)를 이용하여 제1 가열도체(412)의 절곡된 타단 및 제2 가열도체(416)의 절곡된 타단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도 자속이 전달되도록 동작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400)는 도전성 판재(170)의 양측면에서도 유도전류가 발생하도록 하며, 이에, 도전성 판재(170)의 상면 및 하면 뿐만 아니라 측면 또한 균등하게 가열시키거나 추가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400)는 제1 코일부(410)를 제작 시 각 연결도체(414, 418)와 도전성 판재(170) 사이의 간격을 상황에 따라 달리 조절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밀도, 유도전류 통전거리 즉, 측면에서의 발열 분포 면적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400)는 제1 코일부(410) 를 제작 시 각 연결도체(414, 418)의 고정 위치 및 각 연결도체(414, 418)의 폭을 상황에 따라 달리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밀도 영역 즉, 발열 분포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각 연결도체(414, 418)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400)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가지는 연결도체(414, 418)를 선택하여 제1 코일부(410)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의 발열 분포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탈부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각 연결도체(414, 418)의 구현 형태는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코어부(420)는 제1 가열도체(412)가 권취되는 제1 코어(422) 및 제2 가열도체(416)가 권취되는 제2 코어(4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코어(422) 및 제2 코어(424)는 도 1에 명시된 제1 코어(112) 및 제2 코어(12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코일부(430)는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며, 제2 전원장치(460)로부터 교류전원을 제공받는 경우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제2 교류자계를 생성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제1 방향이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인 경우로 예시하였으며, 이에 제2 방향이 도전성 판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인 경우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430)는 동일 평면상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도전성 판재(170)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3 가열도체(432) 및 제4 가열도체(434)를 포함한다. 이때, 제3 가열도체(432)의 일단은 제4 가열도체(434)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 코어부(440)는 제3 가열도체(432)가 권취되는 제3 코어(442) 및 제4 가열도체(434)가 권취되는 제2 코어(444)를 포함한다
제1 전원장치(450)는 제1 코일부(410)로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이때, 제1 전원장치(450)의 일단은 제1 연결도체(414)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 전원장치(450)의 타단은 제2 가열도체(416)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2 전원장치(460)는 제2 코일부(430)로 도전성 판재(170)를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때, 제2 전원장치(460)의 일단은 제3 가열도체(432) 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2 전원장치(460)의 타단은 제4 가열도체(434)의 타탄과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400)의 제1 전원장치(450) 및 제2 전원장치(46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의 제1 전원장치(150) 및 제2 전원장치(16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400)는 제1 전원장치(450) 및 제2 전원장치(4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류 방향을 전환하는 전류 방향 제어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고, 구비된 전류 방향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1 코일부(410) 및 제2 코일부(4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도체의 구현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의 제1 코일부(110)에 포함된 제1 연결도체(116)를 예시하여 연결도체의 구현 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코일부를 제작 시 해당 코일부에 포함되는 연결도체의 고정 위치 및 폭을 상황에 따라 달리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결도체의 고정 위치 및 연결도체의 폭은 도전성 판재(170)의 두께 등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연결도체의 폭은 해당 연결도체가 연결되는 가열도체의 일단의 절곡된 길이 보다 작도록 구현됨으로써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이 세밀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도체의 고정 위치는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구현하여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이 세밀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도체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며,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폭을 가지는 연결도체를 선택하여 적용시킴으로써 도전성 판재(170)의 측면의 발열 분포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도체 및 가열도체는 연결도체의 탈부착을 위한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연결도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교류자계의 감쇄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코어(500)를 추가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코어(500)는 바람직하게는 연결도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110: 제1 코일부 112: 제1 가열도체
114: 제2 가열도체 116: 제1 연결도체
120: 제1 코어부 130: 제2 코일부
132: 제3 가열도체 134: 제2 연결도체
136: 제4 가열도체 140: 제2 코어부
150: 제1 전원장치 160: 제2 전원장치
170: 도전성 판재
300: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400: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

Claims (13)

  1. 일측에 도전성 판재가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도전성 판재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1 코일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코일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전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부는 동일 평면상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도전성 판재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 가열도체와 상기 제1 및 제2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을 상기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도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열도체는 상기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은 상기 도전성 판재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는 유도 가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도체는 상기 도전성 판재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는 유도 가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도체가 권취되는 제1 코어; 및
    상기 제2 가열도체가 권취되는 제2 코어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 및 상기 제2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은 각각 상기 제1 연결도체의 탈부착을 위한 제1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도체는 각각의 제1 연결부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전성 판재가 상기 제1 코일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게 하는 제2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제2 전원장치;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는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3 가열도체 및 제4 가열도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열도체 및 상기 제4 가열도체 중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는 일단이 상기 도전성 판재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전성 판재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에 상기 제3 가열도체 및 상기 제4 가열도체 중 다른 하나의 가열도체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결도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도체는 상기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도전성 판재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는 유도 가열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장치 및 상기 제2 전원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류 방향을 전환하는 전류 방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부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도전성 판재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3 및 제4 가열도체와 상기 제3 및 제4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을 상기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도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도체는 상기 도전성 판재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는 유도 가열 장치.
  13. 도전성 판재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판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제1 코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코일부는,
    동일 평면상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도전성 판재의 폭 방향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1 가열도체 및 제2 가열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도체 및 상기 제2 가열도체 중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는 일단이 상기 도전성 판재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전성 판재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의 절곡된 일단에 상기 제1 가열도체 및 상기 제2 가열도체 중 다른 하나의 가열도체의 일단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결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의 타단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가열도체의 타단은 상기 도전성 판재가 구비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전성 판재의 측면과 대향하게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열도체의 절곡된 타단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가열도체의 절곡된 타단은 제2 연결도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150047553A 2015-04-03 2015-04-03 유도 가열 장치 KR10163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553A KR101631024B1 (ko) 2015-04-03 2015-04-03 유도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553A KR101631024B1 (ko) 2015-04-03 2015-04-03 유도 가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024B1 true KR101631024B1 (ko) 2016-06-16

Family

ID=5635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553A KR101631024B1 (ko) 2015-04-03 2015-04-03 유도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291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포스코 유도 가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811A (ko) * 1986-05-23 1987-12-26 이노구마 도끼히사 유도 가열 장치
JPH0711434Y2 (ja) * 1991-08-09 1995-03-15 富士電子工業株式会社 高周波誘導加熱コイルへのコアの取付構造
JPH11154592A (ja) * 1997-09-11 1999-06-08 Inductotherm Corp 複数の直列電源を備えた、連続ストリップ材を加熱するための誘導加熱装置
KR20070112173A (ko) * 2005-02-18 2007-11-22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금속판용 유도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811A (ko) * 1986-05-23 1987-12-26 이노구마 도끼히사 유도 가열 장치
JPH0711434Y2 (ja) * 1991-08-09 1995-03-15 富士電子工業株式会社 高周波誘導加熱コイルへのコアの取付構造
JPH11154592A (ja) * 1997-09-11 1999-06-08 Inductotherm Corp 複数の直列電源を備えた、連続ストリップ材を加熱するための誘導加熱装置
KR20070112173A (ko) * 2005-02-18 2007-11-22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금속판용 유도 가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291A (ko) * 2016-12-15 2018-06-25 주식회사 포스코 유도 가열 장치 및 방법
KR101908798B1 (ko) * 2016-12-15 2018-10-16 주식회사 포스코 유도 가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6689B (en)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a metal plate
CA3012808C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induction heating method
JP2009527891A (ja) 横方向磁束誘導子
KR20110036748A (ko) 전기 도전성 슬래브의 전기 유도 에지 가열
KR101631024B1 (ko) 유도 가열 장치
KR20110126374A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에서 사용되는 가열 롤러의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
JP4332551B2 (ja) 複雑な形状の加工品の誘電加熱処理
JP6347044B2 (ja) 誘導加熱装置
CN112997264A (zh) 空气断路器的变流器
US20190291353A1 (en) Heating device and heating method
KR20230031312A (ko) 평평한 제품을 가열하기 위한 횡플럭스 유도 가열 장치
JP5269943B2 (ja) 誘導加熱装置
KR101442120B1 (ko)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도체판을 가열하는 유도가열 장치 및 그 방법
JPH0821465B2 (ja) 誘導加熱装置
KR102031865B1 (ko) 이차전지 파우치 전극리드 밀봉장치
JP6081851B2 (ja) 通電加熱装置
JP6077356B2 (ja) 通電加熱装置
KR101600558B1 (ko) 자기장 차폐를 위한 유도 가열 장치
JP5131232B2 (ja) トランスバース方式の誘導加熱装置
JP2004228068A (ja) 電磁誘導加熱装置
JP2021002451A (ja) 誘導加熱装置
JP2016110950A (ja) 加熱方法及び加熱装置
JP2023023341A (ja) エネルギー供給装置
BR112018014751B1 (pt) Dispositivo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e método de aquecimento por indução
KR101304581B1 (ko)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