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069B1 -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069B1
KR101630069B1 KR1020140134830A KR20140134830A KR101630069B1 KR 101630069 B1 KR101630069 B1 KR 101630069B1 KR 1020140134830 A KR1020140134830 A KR 1020140134830A KR 20140134830 A KR20140134830 A KR 20140134830A KR 101630069 B1 KR101630069 B1 KR 10163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eyword
background image
terminal
main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211A (ko
Inventor
조세나
김용태
한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3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0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3Query formulation using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중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 정보 및 해당 정보와 관련된 배경 이미지 정보를 능동적으로 추출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자신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추출된 주요 키워드를 상기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b) 상기 표시된 주요 키워드 정보의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Terminal, Server, Method,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Keyword Information and Background Image based on Communication Context}
본 발명은 통화 중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통화자에게 필요한 주요 키워드 정보 및 해당 정보에 관련된 배경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이란 음성을 컴퓨터가 분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키보드 등 별도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음성으로 빠르고 쉽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는 기술 중 하나다.
스마트폰에서 음성 인식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응용되어 사용되고 왔다. 아이폰은 음성 명령 기능을 제공하여 앱 실행 등 간단한 명령을 음성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했고, 구글은 음성으로 웹 검색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다른 언어로 말해주는 번역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의 음정이 바른지 검사해주는 애플리케이션들도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예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시리'의 등장은 음성인식 기술의 새로운 도약을 제시했다. 시리(Siri: Speech Interpretation and Recognition Interface)는 애플에서 제공하는 음성인식 서비스로 2011년 아이폰4S에 처음 등장했다. 원래는 군사용으로 개발된 CALO 프로젝트의 일부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개발된 것으로 아이폰 3GS에 애플리케이션으로 처음 제공되어 많은 인기를 누리다가 2010년 4월 애플에서 시리를 독점 인수하여 현재의 애플의 시리가 탄생하게 되었다. 시리의 특징은 단순히 음성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모든 작업을 한 번의 음성 명령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학습인식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목소리를 학습하여 인식률을 높이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대화 처리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센터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질의에 대한 답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시리가 유독 인기를 끌었던 이유는 사람과 대화하듯이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이었다. 기존의 음성인식 서비스들이 지정된 형태의 문장으로 말해야만 성공적으로 인식되었던 것에 비하면 가히 놀랄만한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삼성전자의 S보이스, LG전자의 Q보이스, 펜텍의 스마트보이스 등 음성인식 서비스들이 등장하며,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전술한 기존의 음성인식 서비스들은 음성 명령에 따른 단말 제어(예를 들어, 음성 명령에 따른 통화연결, 알람, 일정 관리, 메일/문자 발송 등), 음성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궁금할 만한 사항에 대한 검색 지원(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연결 등)과 같은 기능에 특화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명령에 의한 수동적 동작에 기반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8793호 (2008.07.2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화 중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 정보 및 해당 정보와 관련된 배경 이미지 정보를 능동적으로 추출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은, 자신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추출된 주요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정보 표시부; 및 상기 표시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정보 표시부는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정보 표시부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주요 키워드에 대한 글자 크기, 글씨체,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보 표시부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서버는, 가입자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주요 키워드에 따라 해당 태그(Tag) 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태그부; 상기 주요 키워드와 태그 정보가 포함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제1 정보 제공부; 및 상기 가입자의 단말에 표시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제2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 또는 상기 태그부에서 생성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한 추천컨텐츠메시지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정보 제공부는 상기 주요 키워드 정보에 상기 추천컨텐츠메시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정보 제공부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보 제공부는 특정 배경 이미지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자신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추출된 주요 키워드를 상기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b) 상기 표시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a)는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a)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주요 키워드에 대한 글자 크기, 글씨체,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b)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은,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가입자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추출된 주요 키워드에 따라 태그(Tag) 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단계; (c) 상기 주요 키워드와 태그 정보가 포함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 및 (d) 상기 가입자의 단말에 표시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a)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 또는 상기 단계 (b)에서 생성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c)는 상기 주요 키워드 정보에 상기 추천컨텐츠메시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d)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d)는 특정 배경 이미지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통화 중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 정보를 능동적으로 추출하고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주요 키워드와 배경 이미지를 해당 통화 내용이 내포하고 있는 감성적 속성에 따라, 예를 들어,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통화자의 성별,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등에 따라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통화자의 감성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키워드 정보 이용 시 감성적 만족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영상 통화 및 채팅 등과 같은 통신 시 능동적으로 동작한다는 점에서 기존 서비스들과의 차이가 있고, 또한 참여자들의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관심사를 자동으로 캐치하는 능동적 동작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발설할 경우 동작했던 기존 음성인식 서비스와는 차별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인식 솔루션과 상황인지 솔루션을 바탕으로, 대화 참여자간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를 기초로 주요 키워드를 도출해주고 사용자는 대화 중 또는 대화 종료 후 해당 키워드를 활용하고 다시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통화 내용 중 추출된 정보를 로그화 하여, 지난 통화 목록의 키워드 조회만으로 당시 통화 내용을 상기시키고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즐거움까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통화/영상통화/채팅 종료 후 별도로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검색하거나, 별도의 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입력하던 절차를 간소화하여 통화 중 또는 종료 후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바(검색, 메모, 예약 과정 등)를 자동으로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0), 단말 A(20A), 단말 B(20B), 및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단말 A(20A), 단말 B(20B), 및 서버(30)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음성 통화, 영상 통화, 채팅-메시징 서비스(SMS, MMS, SNS 등)와 같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단말 A(20A)와 단말 B(20B) 중 하나는 발신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상대방 수신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수신 단말(20A,20B)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한 명은 해당 서비스의 가입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A(20A) 및/또는 단말 B(20B)는 서버(30)로부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단어)를 포함하는 주요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주요 키워드 정보에 포함된 주요 키워드(단어)에 대한 언급 빈도수, 카테고리 등을 기초로 한 우선 순위에 따라 글자 크기, 글자체, 색상 등을 달리하여 주요 키워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표시된 주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그 선택된 주요 키워드에 감성적으로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서버(30)는 단말 A(20A)와 단말 B(20B) 간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단어)를 포함하는 주요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로그화 하여 저장(이하 로그 저장이라 통칭 함)하며, 그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로그 저장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통화중 또는 통화 종료 후 자동으로 해당 단말로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에 제공된 주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단말로부터 선택되면 그 선택된 주요 키워드 에 감성적으로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솔루션, 상황 인지 솔루션, 관심 키워드 추출 로직, 및 통화/채팅 결과 정리 기능 등을 가진 서비스 서버, 및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된 통화/채팅 결과 정리 정보로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를 로그 저장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그 저장이라 함은 해당 통화자, 실시간 통화 내용 중 추출된 통화자의 관심사 정보(주요 키워드 정보), 및 통화 일시 등을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의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수신부(21), 제1 정보 표시부(23), 제2 정보 표시부(25), 및 앱 실행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21)는 사용자(가입자) 자신 또는 통화 상대방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배경 이미지 정보를 해당 통신 중 또는 통신 완료 후 서버(3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키워드 정보 또는 배경 이미지 정보의 수신 시점은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정보 표시부(23)는 가입자인 자신의 단말 A(20A)와 통화 상대방의 단말 B(20B) 간의 통화 내용에서 자신 및 통화 상대방 중 적어도 하나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서버(30)로부터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가 정보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되면, 그 수신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도 6의 C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등을 기초로 해당 주요 키워드(단어)에 대한 글자 크기, 글씨체, 색상 등을 다르게 하여 해당 가입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즉 서버(30)로부터 수신되는 주요 키워드 정보에는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 와 각각의 주요 키워드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로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우선 순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정보는 예를 들어 일정 관련 카테고리, 앱 관련 카테고리 정보, 장소/지역 관련 카테고리 등 주요 키워드를 구분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제1 정보 표시부(23)는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를 해당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를 기초로 해당 주요 키워드(단어)에 대한 글자 크기, 글씨체, 색상 등을 다르게 하여 해당 가입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 하는 것이다. 일 예로, 서버(30)는 가입자 단말 A(20A)에 대해 통화 상대방인 단말 B(20B)의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가 아닐 경우, 가입자 단말 A(20A) 사용자의 음성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가입자 단말 A(20A)에게 제공하며, 이때 가입자 단말 A(20A)의 제1 정보 표시부(23)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주요 키워드를 통화 상대방의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한다.
다른 예로, 서버(30)는 가입자 단말 A(20A)에 대해 통화 상대방인 단말 B(20B)의 사용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일 경우, 가입자 단말 A(20A) 사용자의 음성 통화 내용과 상대방 단말 B(20B) 사용자의 음성통화 내용을 동시에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가입자 단말 A(20A)에게 제공하며, 이때 가입자 단말 A(20A)의 제1 정보 표시부(23)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주요 키워드를 통화 상대방의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서버(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가입자 단말 B(20B)에게도 제공할 수 있고, 이때 가입자 단말 B(20B)의 제1 정보 표시부(23)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주요 키워드를 통화 상대방 정보 즉, 단말 A(20A) 사용자의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정보 표시부(23)는 서버(30)로부터 제공된 통화자의 주요 키워드를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통화 상대방 정보는 해당 가입자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목록에 있는 통화 상대방의 정보일 수 있다.
정보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주요 키워드 정보에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컨텐츠메시지는 주요 키워드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추천컨텐츠(동영상, 날씨, 맞집 등)를 사용자가 제공받도록 제안하는 문구이다. 추천컨텐츠메시지는 서버(30)에서 주요 키워드 추출과 동시에 서버에서 기 설정된 방식에 의해 선정하여 주요 키워드 와 함께 주요 키워드 정보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정보 표시부(23)는 수신된 추천컨텐츠메시지를 상기 주요 키워드 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과 별개의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추천컨텐츠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관련된 추천컨텐츠(동영상, 날씨, 맞집 등)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버의 홈페이지를 표시하는 브라우져가 실행되거나 추천컨텐츠(동영상, 날씨, 맞집 등)를 제공받을 수 있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해당 추천컨텐츠메시지에는 문구뿐만 아니라 관련 태그 정보(어플ID, URL, 참조정보 등) 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정보 표시부(25)는 제1 정보 표시부(23)를 통해 표시된 주요 키워드 에 따라 다양한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배경 이미지는 주요 키워드가 표시되는 배경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주요 키워드의 우선 순위에 따라 최우선에 해당하는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고, 이후 표시된 주요 키워드 중 선택된 주요 키워드에 해당하는 배경 이미지가 기존 표시된 배경 이미지에 변경되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배경이미지는 정지 이미지뿐만 아니라 동적 이미지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 표시부(25)는 제1 정보 표시부(23)를 통해 표시된 주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주요 키워드에 붙은(매칭되는)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를 표시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정보 표시부(25)는 주요 키워드에 붙은 태그 정보에 따라 다양한 배경 이미지를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등에 따라 미리 가입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이미지 중에 선택된 배경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서버로 해당 주요 키워드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배경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일실시예로 제2 정보 표시부(25)는 수신받은 주요 키워드 중 우선 순위에 따라 선정된 주요 키워드 또는 표시된 주요 키워드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주요 키워드에 대한 배경 이미지 요청을 서버에게 할 수 있다. 배경 이미지 요청에는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 (카테코리 정보 등)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주요 키워드의 배경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앱 실행부(27)는 도 6의 E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찾아보기, 위치보내기, 일정잡기, 연락하기, 메모하기 등과 같은 다양한 앱 구동 아이콘을 표시된 주요 키워드 와 매칭하여 표시하고, 주요 키워드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다양한 앱 구동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주요 키워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앱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된 복수의 주요 키워드 중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를 참조하여 실행이 가능한 앱 구동 아이콘이 변경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화 상대방 과의 (음성)통화 내용을 녹취하여 통화중 실시간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모듈구성이 단말에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녹취되는 대상은 단말의 사용자 음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로, 도 1의 서버(30)의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추출부(31), 태그부(33), 추천컨텐츠메시지추출부(34), 정보 저장부(35), 제1 정보 제공부(37), 및 제2 정보 제공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추출부(31)는 가입자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주요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해당 통화 내용 중 언급 횟수, 소리 크기, 속도, 또는 발음 정확도 등의 발화상 특징이 기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단어나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단어 등을 기초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에서 녹취된 (음성)통화 내용을 통화중 실시간으로 수신 받을 수 있다.
정보 추출부(31)는, 일 예로 발/수신 양측 통화자 중 일방의 가입자 단말 A(20A)에 대해 통화 상대방인 단말 B(20B)의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가 아닐 경우, 가입자 단말 A(20A) 사용자만의 음성 통화 내용을 분석하여 통화자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고, 다른 예로 가입자 단말 A(20A)에 대해 통화 상대방인 단말 B(20B)의 사용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일 경우, 가입자 단말 A(20A) 사용자의 음성 통화 내용과 상대방 가입자 단말 B(20B) 사용자의 음성통화 내용을 동시에 분석하여 통화자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태그부(33)는 정보 추출부(31)를 통해 추출된 주요 키워드의 속성에 따라 해당 태그(Tag) 정보를 붙이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천컨텐츠메시지추출부(34)는 정보 추출부(31)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 또는 태그부(33)에서 생성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별도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일예로 주요 키워드로 드라마 제목이 추출되고, 다른 주요 키워드로 날짜가 추출되는 경우 해당 날짜의 드라마를 시청할 수 있는 동영상(추천컨텐츠)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문구(TEXT)를 일반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문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에서 표시되는 해당 문구를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해당 추천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단말에서 브라우져나 어플이 실행되도록 태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문구 및 태그정보를 추천컨텐츠메시지로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35)는 정보 추출부(31)에서 추출되어 태그부(33)를 통해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에 태그 정보가 붙여진 정보 또는 추천컨텐츠메시지추출부(34)에서 생성된 추천컨텐츠메시지 등을 포함한 주요 키워드 정보를 로그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정보 제공부(37)는 태그 정보가 포함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 추출부(31)에서 실시간 추출되어 태그부(33)에서 태그가 붙여진 정보 및 추천컨텐츠메시지추출부(34)에서 생성된 추천컨텐츠 메시지를 포함하는 주요 키워드 정보나 정보 저장부(35)에 로그 저장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해당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통화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시간 통화 내용으로부터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통화 중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해당 단말에게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하거나, 다른 예로 통화 완료 후 정보 저장부(35)에 로그 저장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2 정보 제공부(39)는 특정 배경 이미지를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배경 이미지를 저장하여 두고, 가입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주요 키워드에 대한 태그 정보에 기초한 배경 이미지가 해당 단말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일예로 서버의 제2 정보 제공부(39)는 카테고리 정보별 복수의 선정된 배경이미지를 구비하여 두고, 가입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주요 키워드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한 배경이미지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카테코리에 해당하는 복수의 배경이미지 중 랜덤하게 선택된 배경이미지를 가입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정보 제공부(39)의 배경이미지 제공은 URL을 해당 단말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은 URL에 해당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배경이미지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에 적용되므로, 해당 단말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정보 수신부(21)는 상대방 단말과의 통신 중 또는 통신 후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버(30)에게 주요 키워드 정보를 요청하여(S401), 서버(30)로부터 해당하는 주요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정보 표시부(23)는 수신된 주요 키워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 또는 추천컨텐츠메시지를 도 6의 C,D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한다(S403).
단계 S403에서 제1 정보 표시부(23)는 주요 키워드 에 붙은 태그 정보에 따라 주요 키워드 에 대한 글자 크기, 글씨체,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우선 순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2 정보 표시부(25)는 단계 S403에서 표시된 주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가 선택되면(S405), 그 선택된 주요 키워드 에 해당하는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7).
마지막으로, 앱 실행부(27)는 표시된 주요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앱 구동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브라우져 또는 앱을 실행한다. (S41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3의 서버(30)에 적용되므로, 해당 서버(3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말 A(20A)와 단말 B(20B)간의 통화가 시작되면(S501), 통화 내용으로부터 주요 키워드를 실시간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 각각에 해당하는 태그 정보를 추출한다. (S503). 또한 추출된 주요 키워드를 기초로 추천컨텐츠메시지를 생성하여 주요 키워드 정보에 포함한다.
이어,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로부터 주요 키워드 정보가 요청되면(S505), 단계 S503에서 실시간 추출되어 태그 정보가 붙여진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를 포함하는 주요 키워드 정보를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단말에게 제공한다(S507).
이어,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로부터 선택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배경 이미지 요청을 수신받으면 (S509), 그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한다(S511).
본 실시예에서 태그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S511에서는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를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503에서 실시간 추출된 주요 키워드 정보는 로그 저장되고(S521), 해당 통화 완료 후 단말 A(20A) 또는 단말 B(20B)로부터 주요 키워드 정보를 로그 조회하면(S523), 해당하는 주요 키워드 정보를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단말에게 제공한다(S52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현된 서버(30)의 모든 구성(31,33,35,37,39)은 도 2의 사용자 단말(20A 또는 20B)내에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버(30) 없이 서버(30)의 기능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20A 또는 20B)의 단독 구성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을 모두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의 표시가 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A 영역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타이틀이 '마인드톡(Mindtalk)'가 같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도 6의 B 영역은 통화 상대방의 정보가 표시되는 통화상대방표시영역으로, 상대방의 이름, 통화 시작 시간, 통화 발생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C 영역은 통화 내용으로터 추출된 주요 키워드 및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는 주요키워드표시영역으로, 추출된 주요 키워드에 대해서 태그 정보에 따라 표시 속성(글씨 크기, 생상, 서체)을 달리하여 표시되는데, 예를 들어, 태그 정보에 포함된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또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등을 조합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거나 또는 태그 정보로 우선순위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정보를 참조하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글씨 크기, 색상, 서체 등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경 이미지는 표시된 주요 키워드 중 선택된 주요 키워드에 따라 배경 이미지를 달라히여 표시하되, 태그 정보에 포함된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또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등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D 영역은 표시된 주요 키워드와 관련된 컨텐츠를 랜덤하게 추천하는 내용이 표시되는 추천컨텐츠메시지표시영역으로, 추출된 주요 키워드 기준으로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표시된 추천컨텐츠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관련된 추천컨텐츠(동영상, 날씨, 맞집 등)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버의 홈페이지를 표시하는 브라우져가 실행되거나 추천컨텐츠(동영상, 날씨, 맞집 등)를 제공받을 수 있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의 E 영역은 C 영역에 표시된 주요 키워드 정보에 맞는 앱 구동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앱표시영역이다. 표시된 복수의 주요 키워드 중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를 참조하여 실행이 가능한 앱 구동 아이콘이 변경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통신망
20A, 20B: 사용자 단말
21: 정보 수신부
23: 제1 정보 표시부
25: 제2 정보 표시부
27: 앱 실행부
30: 서버
31: 정보 추출부
33: 태그부
35: 정보 저장부
37: 제1 정보 제공부
39: 제2 정보 제공부

Claims (24)

  1. 자신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추출된 주요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정보 표시부; 및
    상기 표시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표시부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주요 키워드에 대한 글자 크기, 글씨체,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표시부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표시부는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6. 가입자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주요 키워드에 따라 해당 태그(Tag) 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태그부;
    상기 주요 키워드와 태그 정보가 포함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제1 정보 제공부; 및
    상기 가입자의 단말에 표시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제2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제공부는 특정 배경 이미지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제공부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서버.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 또는 상기 태그부에서 생성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한 추천컨텐츠메시지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제공부는 상기 주요 키워드 정보에 상기 추천컨텐츠메시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서버.
  12.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자신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추출된 주요 키워드를 상기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b) 상기 표시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주요 키워드에 대한 글자 크기, 글씨체,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주요 키워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
  17.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가입자 및 통화 상대방 간의 통화 내용 중 적어도 일측의 통화 내용을 기초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추출된 주요 키워드에 따라 태그(Tag) 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단계;
    (c) 상기 주요 키워드와 태그 정보가 포함된 주요 키워드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통화 상대방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 및
    (d) 상기 가입자의 단말에 표시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Tag) 정보를 기초로 특정 배경 이미지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d)는 특정 배경 이미지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카테고리 정보, 통화자의 성별 정보, 통화 내용의 존댓말 여부 정보, 해당일의 계절 및 날씨 정보, 및 해당 주요 키워드의 언급 빈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다른 배경 이미지를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
  20. 삭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 또는 상기 단계 (b)에서 생성된 주요 키워드의 태그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추천컨텐츠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주요 키워드 정보에 상기 추천컨텐츠메시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입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
  23. 제12항, 제13항, 제15항 내지 제19항, 제21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4. 제12항, 제13항, 제15항 내지 제19항, 제21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134830A 2014-10-07 2014-10-07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30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30A KR101630069B1 (ko) 2014-10-07 2014-10-07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30A KR101630069B1 (ko) 2014-10-07 2014-10-07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211A KR20160042211A (ko) 2016-04-19
KR101630069B1 true KR101630069B1 (ko) 2016-06-14

Family

ID=5591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830A KR101630069B1 (ko) 2014-10-07 2014-10-07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103A (ko) * 2017-08-22 2019-03-05 네이버 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323B1 (ko) * 2021-03-22 2022-10-11 강은영 Ai 기반의 개인맞춤형 사용자환경을 제공하는 화상회의방법
KR102636480B1 (ko) * 2023-11-28 2024-02-13 윤주희 인공지능 영상생성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8541A (ja) * 2005-10-14 2007-04-26 Nec Corp メタデータ付き通話音声データ提供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サーバー及び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793A (ko) 2008-05-13 2008-07-24 (주)에어패스 모바일 지식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KR101297142B1 (ko) * 2011-03-29 2013-08-21 김도형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시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413627B1 (ko) * 2011-11-30 2014-07-11 주식회사 제노웰 통화 내역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통화 내역 관리 시스템
KR20130118580A (ko) * 2012-04-20 2013-10-30 김용진 음성 통화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8541A (ja) * 2005-10-14 2007-04-26 Nec Corp メタデータ付き通話音声データ提供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サーバー及び携帯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103A (ko) * 2017-08-22 2019-03-05 네이버 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68669B1 (ko) * 2017-08-22 2019-04-12 네이버 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211A (ko)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6095B2 (en) Emotion detection in voicemail
US9106757B2 (en)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a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mmunication contents
CN105630876B (zh) 跨应用的信息获取方法和装置
EP2572298B1 (en) Automatic routing using search results
KR101455924B1 (ko) 통화 기반 관심사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3599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using inputted character in a user device
US90586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ement
JP2018504727A (ja) 参考文書の推薦方法及び装置
EP3996373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bullet com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649393B1 (ko)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US20170109339A1 (en) Application program activation method, user terminal, and server
US8705707B1 (en) Labeling communcation device call logs
CN107958078A (zh) 信息生成方法和装置
US11907316B2 (en) Processor-implemented method, compu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invoking a search
TW201437832A (zh) 訊息推薦方法及其裝置與訊息資源推薦系統
CN112929253B (zh) 一种虚拟形象交互方法和装置
CN107257359A (zh) 基于用户动作向计算设备提供可操作内容
CN113569037A (zh)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以及可读存储介质
CN106656748A (zh) 一种信息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1630069B1 (ko) 통화 내용 기반 주요 키워드 정보 및 배경 이미지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437812B1 (ko) 통신 내용 기반 능동적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8804448A (zh) 生成待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470753B1 (ko) 통신 내용 기반 자동 스케줄링을 위한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5740453B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CN117094690A (zh)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