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607B1 -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607B1
KR101629607B1 KR1020150076528A KR20150076528A KR101629607B1 KR 101629607 B1 KR101629607 B1 KR 101629607B1 KR 1020150076528 A KR1020150076528 A KR 1020150076528A KR 20150076528 A KR20150076528 A KR 20150076528A KR 101629607 B1 KR101629607 B1 KR 10162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information
group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형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04L67/18

Abstract

특정 상황의 발생 시 등록된 사용자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소집 요청, 메시지 전달 등의 호출이 가능하고, 보안성이 향상되며, 해당 사용자의 상태 및 정보에 따라서 정확한 호출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호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배급되어 등록된 단말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되, 등록된 단말의 소유자를 분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분류 정보를 기준으로 등록된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도록 그룹핑하여 관리하는 단말 정보 관리부; 등록된 단말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호출 인터페이스를 통한 호출 요청 정보를 수신 시,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한 단말들을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호출 대상 선택부; 및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 선택된 호출 방식으로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호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Server for providing group calling servic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하는 그룹에 관한 호출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서버에 등록된 단말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특정 상황에서 해당 그룹에 대한 자동 및 계층적인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회사 및 병원 등, 다수의 사람이 특정 상황에 있어서 긴급하게 소집되어야 하는 경우나, 특성 상황에 있어서 해당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전화, 서신 또는 직접 만나는 방식을 통해 약속 및 목적을 전달하고, 회의 및 토론을 하여 의사 결정을 하거나 의사 전달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빠른 의사 결정 및 전달이 필요한 경우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병원 등에서 응급환자 및 빠른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다양한 과에 속한 의료진들이 모여 의사결정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의사결정은 매우 신속하게 결정되어야 하며, 여러 분야의 의견이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일일이 전화등의 방식으로 컨택을 하여 의사 결정을 하기란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상용화되고 있는 SNS 및 단체 채팅 서비스 또는 서버 내의 별도의 사내 채팅 프로그램 등을 통해 의사 결정을 위한 호출 및 의사 전달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해당 기관에 특화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를 미리 지정해야 하는 등 신속한 호출에는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매우 응급한 상황에 있어서 해당 기관의 특성에 따른 빠른 호출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특히, 호출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를 연결할 수 없어 대체 인력을 찾거나 해당 사용자에게 간접적인 호출을 할 수도 없기 때문에, 신속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이나 빠른 호출이 필요한 상황에 있어서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특정 상황의 발생 시 등록된 사용자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소집 요청, 메시지 전달 등의 호출이 가능하고, 보안성이 향상되며, 해당 사용자의 상태 및 정보에 따라서 정확한 호출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호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배급되어 등록된 단말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되, 상기 등록된 단말의 소유자를 분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분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등록된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도록 그룹핑하여 관리하는 단말 정보 관리부; 상기 등록된 단말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호출 인터페이스를 통한 호출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상기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한 단말들을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호출 대상 선택부; 및 상기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 선택된 호출 방식으로 상기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호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의 소유자에 대한 분류 정보를 기준으로 단말을 그룹에 속하도록 분류한 뒤, 특정 호출 요청 정보가 수신될 때 해당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호출 대상 단말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호출 방식으로 단말에 호출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긴급한 상황에 있어서 직급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최대한 빠르게 자동으로 특정 상황에 필요한 인원을 호출할 수 있으며, 호출 대상 단말의 소유자 역시 해당 호출을 바로 인지할 수 있어, 빠른 의사 결정 및 호출이 필요한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호출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소유자의 직급 및 현재 위치에 따라서 호출 방식의 다양화, 호출 대상 변경 및 호출 내용 변경을 통한 효율적인 호출이 가능해져,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 및 의사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어, 대형병원 등의 긴급 상황의 발생 빈도가 높은 기관의 호출 방식으로 매우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되는 분류 정보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제공되는 호출 인터페이스의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호출 대상 단말이 선택되는 예.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호출 방식, 호출 대상 및 호출 내용 등이 결정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란, 관리자가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된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경우 하나의 서버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수가 많은 경우, 그 기능에 따라서 운영을 위한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기본적으로 단말 정보 관리부(11), 호출 대상 선택부(12) 및 호출 제어부(13)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말 위치 감지부(14)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정보 관리부(11)는, 호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배급되어 등록된 단말(1 내지 6)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여 호출 정보를 전송 가능하도록 관리하되, 등록된 단말(1 내지 6)의 소유자를 분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분류 정보를 기준으로 등록된 단말(1 내지 6)이 적어도 하나의 그룹(G1 내지 G3)에 포함되도록 그룹핑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에게 배급되어 등록된 단말이란, 사용자가 기 소유한 단말로서 스마트폰, 휴대폰, 스마트 단말 및 PC 등의 모든 호출 정보 수신이 가능한 통신 기능이 포함된 단말을 의미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기관(H) 내부에 설치된 호출용 전화 단말 등이 해당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분류 정보란, 단말의 소유자를 분류하여 특정 그룹(G1 내지 G3)에 해당 단말을 포함하도록 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등록된 단말의 소유자의 성별, 나이, 생년월일, 직책 및 소유자에게 설정된 전문 분야 정보를 포함한다.
직책이란, 해당 기관(H)에서 소유자의 직급 레벨 등을 분류할 수 있는 모든 일반적인 직급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전문 분야 정보는, 예를 들어 병원에서는 의료진이 속한 과의 정보, 의료진이 속한 소속 위원회 등의 정보로서, 단말 소유자의 전문 직종을 분류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되는 분류 정보의 예이다.
도 2의 데이터는 데이터테이블 또는 데이터구조 형태로 단말 정보 관리부(11) 또는 이에 연결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는 데이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T1 내지 Tn)의 소유자의 이름, 직책, 성별 및 소속 위원회 등의 다양한 분류 정보를 기준으로, T1 단말의 경우 그룹 G1, G3에, T2 단말의 경우 그룹 G1, G2에, Tn 단말의 경우 그룹 Gn에 각각 속하도록 분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단말은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호출 대상 선택부(12)는, 등록된 단말(1 내지 6)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호출 인터페이스를 통한 호출 요청 정보를 수신 시,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한 단말들을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호출 인터페이스란, 사용자가 소유자로 등록된 단말 또는 서버(10)에 연결된 기타 단말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로서 해당 단말을 통해 호출을 요청하기 위하여 호출 요청 입력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제공되는 호출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3의 호출 인터페이스(100)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그룹을 선택하는 그룹 선택하기 메뉴(101)가 추가적으로 출력되어, 호출 요청 정보를 직접 선택한 그룹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호출 인터페이스(100)에 출력된 내용을 통하여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호출 인터페이스(100)에는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호출 내용을 선택 시, 선택 가능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문자 정보(102)들 중, 해당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문자 정보(103)를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관한 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다.
즉, 특정 문구 또는 키워드 정보를 사용자가 호출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선택하게 되면, 해당 문구 및 키워드 정보가 자동으로 조합되어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호출 대상 선택부(12)는 이를 수신하여 호출 요청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호출 대상 선택부(12)는 호출 대상이 되는 단말에 대한 그룹을 선택 시, 호출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을 선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호출 대상 선택부(12)에는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포함된 단위 문자 정보들과 선택 대상이 되는 그룹 사이의 매칭 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즉 호출 대상 선택부(12)는 상기와 같이 기 저장된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포함된 단위 문자 정보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단말을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호출 대상 단말이 선택되는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C)에는 예를 들어 “응급 환자”, “어깨 골절”, “수술 필요”의 단위 문자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의 단위 문자 정보들에는 각각 선택 대상 그룹들 중, “마취과 그룹”. “정형외과 수술 그룹”, “수술실 그룹” 및 “자재과 그룹”이 그룹 단위(G)로 매칭되어 있다. 즉,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C)와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G)이 선택되는 것이다.
그룹(G)이 선택되면, 해당 그룹에 포함된 단말(T1 내지 T13)이 호출 대상 단말(T)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호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호출 요청 정보(C)를 기반으로 호출 대상 단말(T)이 선택되어, 호출 요청 즉시 자동으로 해당 상황에 호출이 필요한 대상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호출 제어부(13)는,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서 선택된 호출 방식으로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선택된 호출 방식이란, 단말에 해당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호출 요청 정보에 따라서 단말에 통화 요청 등을 전송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즉, 호출 방식은 단말의 소유자에게 어떤 방식으로 호출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호출 제어부(13)는 호출을 호출 대상 단말의 소유자가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호출 대상 단말로부터 호출에 대한 수신 확인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후출 대상 단말에 동일한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호출에 대한 담당자를 명확하게 하여 추후의 해당 상황에 대한 관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호출 제어부(13)는 호출 요청 정보를 전송한 단말의 소유자를 호출에 대한 담당자로 지정할 수 있다. 또는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해당 내용에 의해 선택된 호출 대상 단말 중 가장 높은 직급에 있는 단말의 소유자를 담당자로 지정할 수 있다.
호출 정보는 보안성이 필요시될 수 있다. 특히 병원 등에서는 환자의 정보가 호출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호출 제어부(13)는 완료된 호출에 대해서는, 송수신된 호출 히스토리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호출 완료 즉시, 1일, 1주일 등)마다 삭제하여 보안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보안 및 호출 내용을 각 단말의 소유자마다 정확하게 전달하여 호출 상황에 대한 소유자가 해야 할 임무를 정확하게 특정하기 위하여, 호출 제어부(13)는 호출 대상 단말의 분류 정보에 따라서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서로 다르게 수정하여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6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단말 위치 감지부(14)는 외부의 위치 정보 감지 장치(20)로부터 등록된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위치 감지부(14)는 등록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각각 호출 대상 선택부(12) 및 호출 제어부(13)에 전달하여 해당 구성이 이하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단말들이 특정한 위치에 있는 경우, 단말은 호출이 불가능한 상태이거나 호출 방식을 다르게 하거나, 호출 내용이 수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응급 환자 발생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출 시,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된 단말들 중 어느 한 단말의 소유자가 수술실에 위치하여 수술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의 소유자를 호출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단말을 호출 대상 단말에서 제외하거나, 호출 방식을 다르게 하거나, 호출 내용을 수정하여 수술실에 위치한 소유자에게 효율적으로 호출을 하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호출 대상 선택부(12)는 예를 들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단말 위치 감지부(14)로부터 수신 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들 중 일부의 단말만을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요청 정보에 따라서 특정 그룹에 선택된 상태에서 해당 그룹에 포함된 단말들 중 어느 한 단말이 특정 위치에 존재하여 호출을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해당 단말을 호출 대상 단말로부터 제외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출이 불가능한 단말을 호출 대상 단말로부터 제외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호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호출 대상 단말로부터 제외된 단말에 반드시 호출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호출 대상 선택부(12)는,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단말이 호출의 수신이 불가능한 위치에 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단말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호출을 수신 가능한 단말을 별도로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예를 가정하면, 수술실에 있는 의료진(집도의)의 경우 호출의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이지만, 해당 의료진의 호출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 의료진의 단말과 가장 가까운 단말로서 수술실에 비치된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한 전화 단말을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하여 호출을 수행하여, 수술실에 있는 간호사 등의 다른 의료진이 해당 전화 단말을 통해 호출 내용을 수신하여 집도의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호출 제어부(13)는, 상기와 같이 호출 대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단말 위치 감지부(14)로부터 수신 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호출 방식으로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어 모든 호출 대상 단말에 전화 방식의 호출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나, 어느 한 단말의 소유자가 상기의 예와 같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 문자 호출 방식으로 호출 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호출 방식뿐 아니라,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정하여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대상 단말이 보안이 필요한 위치 또는 해당 기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등에서는, 호출 내용을 보안에 따라서 수정하거나, 기관 내부로 위치하도록 하는 내용 등이 추가되는 등의 기준에 따라서 내용을 수정하여 호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호출 대상, 호출 방식 및 호출 내용의 변경에 대한 구체적인 예가 도 5 및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호출 방식, 호출 대상 및 호출 내용 등이 결정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개략적인 전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C1의 호출 요청 정보를 수신 시, G1, G2 그룹이 선택되며, 이때 호출 대상 단말로서 1차적으로 T1, T2, T3 단말이 선택된 상태이다.
이때 T1 단말은 위치 정보 L1에 의하여 호출이 불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T1 단말 대신 그 아래 직급이거나 가장 가까운 단말 등에 해당하는 대체 단말 T4가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되며, T4는 위치 정보 L2에 따라서 호출 수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선택될 것이다. 이때 위치 정보에 따라서 C1의 내용은 C2로 수정될 수 있다.
한편 T2의 경우 위치 정보 L2에 따라서 C3의 내용으로 수정되어 호출될 것이며, T3은 위치 정보 L3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나 T3의 분류 정보에 따라서 C1의 내용이 수정되어 C4로 호출이 수행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담당자 T5로 지정된 호출 요청 정보(110)가 수신된다. 호출 요청 정보(110)의 내용은 상기의 예와 같이 “어깨 골절, 응급 환자, 수술 필요”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특정 단말(111, T1)의 경우 수술실(S1)에 위치하여 호출이 불가능한 상태로 가정된다. 이 경우, 수술실 전화(ST1)이 호출 대상 단말로 새롭게 선택되어 호출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다른 단말(112, T2, T3)의 경우, 해당 단말(T2, T3)의 소유자의 분류 정보에 따라서 호출 요청 정보(110)의 내용이 각각 “어깨 골절, 긴급 수술, 수술실 Set Up 요청” 및 “어깨 골절, 긴급 수술, 자재 요청” 등으로 수정되어 전달될 수 있다.
상기의 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상황에서 유연하게 필요한 모든 인원에 대한 호출이 각 인원의 현재 상태, 분류 정보 등에 따라서 적합한 내용 및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어, 긴급 상황 등에 있어서 정확하고 신속한 호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모든 기능 및 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광고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 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호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배급되어 등록된 단말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되, 상기 등록된 단말의 소유자를 분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분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등록된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도록 그룹핑하여 관리하는 단말 정보 관리부;
    상기 등록된 단말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호출 인터페이스를 통한 호출 요청 정보를 수신 시, 상기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한 단말들을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호출 대상 선택부; 및
    상기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 선택된 호출 방식으로 상기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호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호출 대상 선택부는,
    상기 호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 가능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문자 정보들 중, 단말로부터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문자 정보를 상기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관한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 관리부는,
    상기 분류 정보로서, 상기 등록된 단말의 소유자의 성별, 나이, 생년월일, 직책 및 상기 소유자에게 설정된 전문 분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된 단말을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대상 선택부는,
    기 저장된 상기 호출 요청 정보의 내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문자 정보들과 선택 대상이 되는 그룹 사이의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외부의 위치 정보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말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대상 선택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 위치 감지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 중 일부의 단말만을 상기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 위치 감지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호출 방식으로 상기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 위치 감지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수정하여 상기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대상 선택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 위치 감지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이 상기 호출의 수신이 불가능한 위치에 속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단말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호출을 수신 가능한 단말을 상기 호출 대상 단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제어부는,
    상기 호출 대상 단말의 분류 정보에 따라서 상기 호출 요청 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서로 다르게 수정하여 상기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제어부는,
    상기 호출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호출에 대한 수신 확인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상기 호출 대상 단말에 호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제어부는,
    상기 호출 요청 정보를 전송한 단말의 소유자를 상기 호출에 대한 담당자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제어부는,
    완료된 호출에 대하여 송수신된 호출 히스토리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50076528A 2015-05-29 2015-05-29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62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528A KR101629607B1 (ko) 2015-05-29 2015-05-29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528A KR101629607B1 (ko) 2015-05-29 2015-05-29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607B1 true KR101629607B1 (ko) 2016-06-10

Family

ID=5619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528A KR101629607B1 (ko) 2015-05-29 2015-05-29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6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23A (ko) * 1998-09-14 2000-04-15 윤종용 페이저의 메시지 수신을 경보하는 무선 전화 단말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20040033720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긴급 메시지 알림 방법
KR20050050983A (ko) * 2003-11-26 200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32095B1 (ko) * 2004-07-09 2006-10-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주변 상황에 따른 호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23A (ko) * 1998-09-14 2000-04-15 윤종용 페이저의 메시지 수신을 경보하는 무선 전화 단말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20040033720A (ko) * 2002-10-15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긴급 메시지 알림 방법
KR20050050983A (ko) * 2003-11-26 200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32095B1 (ko) * 2004-07-09 2006-10-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주변 상황에 따른 호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15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message prioritization
JP5166569B2 (ja) 業務連携支援システムおよび業務連携支援方法
US89545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egating a message
CN104160654A (zh) 使用来自设备的信息识别会议出席者
US20090228321A1 (en) Accessing an Enterprise Calendar and Scheduling Group Meetings Using a Mobile Device
CN102484620A (zh) 用于监视异步调解通信系统中的消息状态的方法和设备
CN105991408B (zh)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及处理服务器
CN105284168A (zh) 蓝牙警示通知服务
JP2012048708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157157A1 (en) Sharing Contact Information
US97296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iority indicia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messages
WO2015073468A1 (en) Real life presence and dynamic meeting scheduling
US11709721B2 (en) Issue tracking system having temporary notification suppression corresponding to group activity
US20100174575A1 (en) Meeting management system with failover and failback capabilities for meeting moderators
US201201707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messages
GB2507041A (en) Property management system
US10319056B1 (en) Biased task assignments based on geotracking of discharge vehicles
KR101464448B1 (ko)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단체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73422A1 (en) Message delivery via preferred communications applications
KR20130067088A (ko) 복합 상황 정보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629607B1 (ko) 그룹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695325B1 (ko) 효율적인 모임 진행을 위한 일정 공유 및 알림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425355B1 (en) Data stream processing for dynamic resource scheduling
US10573412B2 (en) Patient-center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225224B1 (en) Web and voice message notification system and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