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624B1 -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624B1
KR101627624B1 KR1020150107471A KR20150107471A KR101627624B1 KR 101627624 B1 KR101627624 B1 KR 101627624B1 KR 1020150107471 A KR1020150107471 A KR 1020150107471A KR 20150107471 A KR20150107471 A KR 20150107471A KR 101627624 B1 KR101627624 B1 KR 10162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achate
unit
food waste
wa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도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주)토네이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네이도테크 filed Critical (주)토네이도테크
Priority to KR102015010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F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분쇄 및 탈수 작업을 반복적으로 순환처리하여 무게 및 부피가 감량된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자원화하고 분리수로 인한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을 제공하도록, 상부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구비하고 내부가 교반구역 및 저류구역으로 구획되는 본체드럼과, 상기 본체드럼의 교반구역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분해하는 교반기와, 상기 본체드럼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구역을 향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살수기와, 상기 본체드럼을 교반구역과 저류구역으로 나누도록 위치하되 상기 교반구역에서 상기 교반기를 통해 분해된 침출수를 상기 저류구역에 공급하기 위한 다공이 형성되는 타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쇄처리부와; 상기 분쇄처리부에서 침출수를 공급받아 저류시키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침출수가 공급되되 침출수를 고형물과 물로 분리하고 침출수에서 분리된 고형물을 배출시키도록 하단에 고형배출구를 구비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의 하부에 연통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탈수수단에서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분리수가 유입되되 분리수에 포함된 미세고형물을 침전시키며 상단에 분리수배출구를 구비하여 분리수 중 상등수만을 배출시키는 집수침전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수처리부와; 상기 분쇄처리부 및 상기 탈수처리부의 집수조를 상호 연결하여 침출수의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루는 침출수이송관과, 상기 분쇄처리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침출수이송관을 통해 침출수를 이송시키는 공급펌프로 구성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탈수처리부의 집수침전조 및 상기 분쇄처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분쇄처리부에 미세고형물의 재처리를 위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집수침전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미세고형물을 이송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순환수단;을 포함하는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rculation Typ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분쇄 및 탈수 작업을 반복적으로 순환처리하여 무게 및 부피가 감량된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자원화하고 분리수로 인한 수질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학교 등과 같은 주생활영역에서는 식생활에 따른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는 물과 함께 씻겨져 주방용 수거통에 우선적으로 수거된 후 자연배수에 의해 어느 정도의 탈수를 거쳐 폐기처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인력으로 부피나 염분, 수분 등을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현재까지도 음식물쓰레기에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로 수거될 뿐만 아니라 종류가 다른 여러 가지 음식물이 함께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방치시 부패와 함께 유해한 물질이 생성됨은 물론 유해한 냄새까지 발생되어 환경오염문제의 대표적인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른 하나의 해결책으로 각 가정이나 음식점, 학교 등에서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탈수한 상태로 처리하기 위하여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넣어 손이나 도구를 이용해 수분을 배수시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 후 폐기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그 부피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그 처리과정이 매우 번거로워 실질적인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의 수분과 부피를 기계적으로 압착하여 탈수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37274호(2008.04.30.)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와, 하단에 타공판이 형성된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를 거쳐서 분해된 폐수를 집수하는 집수조와, 이 집수조에 모인 폐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가지는 음식물 잔반 처리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의 중간 부분에서 회전하는 교반축과,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하도록 상기 교반축상에서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교반축의 외주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에 연결된 상기 교반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엉키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교반축에 삽입된 상기 회전판에 각각 대칭으로 부착된 복수의 보조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잔반 처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처리장치는 단순히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며 폐수는 별도로 배수처리하지만 교반처리에만 치중되기 때문에 탈수효율이 현저히 떨어져 고형물 내 수분함량이 많고, 이후 재생처리에 어려움이 있어 자원화가 곤란하며 품질저하를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처리하는 과정에서 고형물과 함께 생성된 미세고형물이 분리수와 함께 혼재한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작업현장의 악취를 발생시키고 수질오염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7274호(2008.04.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물과 함께 교반하여 분쇄처리한 후 고형물과 물을 서로 분리토록 탈수처리하되 분리수의 집수 및 침전과정을 거쳐 배출토록 구성하므로 재활용을 위한 고형물의 수분함량을 대폭 줄여 재생 자원화를 도모하고, 고형물로부터 탈수된 분리수 내 미세고형물을 재차 순환처리함과 동시에 분리수 중 상등수만을 배출시켜 작업현장 내 악취발생을 차단하면서 자연의 수질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부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구비하고 내부가 교반구역 및 저류구역으로 구획되는 본체드럼과, 상기 본체드럼의 교반구역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분해하는 교반기와, 상기 본체드럼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구역을 향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살수기와, 상기 본체드럼을 교반구역과 저류구역으로 나누도록 위치하되 상기 교반구역에서 상기 교반기를 통해 분해된 침출수를 상기 저류구역에 공급하기 위한 다공이 형성되는 타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쇄처리부와; 상기 분쇄처리부에서 침출수를 공급받아 저류시키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침출수가 공급되되 침출수를 고형물과 물로 분리하고 침출수에서 분리된 고형물을 배출시키도록 하단에 고형배출구를 구비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의 하부에 연통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탈수수단에서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분리수가 유입되되 분리수에 포함된 미세고형물을 침전시키며 상단에 분리수배출구를 구비하여 분리수 중 상등수만을 배출시키는 집수침전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수처리부와; 상기 분쇄처리부 및 상기 탈수처리부의 집수조를 상호 연결하여 침출수의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루는 침출수이송관과, 상기 분쇄처리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침출수이송관을 통해 침출수를 이송시키는 공급펌프로 구성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탈수처리부의 집수침전조 및 상기 분쇄처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분쇄처리부에 미세고형물의 재처리를 위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집수침전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미세고형물을 이송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순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기는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드럼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교반블레이드와, 상기 본체드럼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의 한쪽 끝단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탈수처리부에는 상기 집수조와 상기 탈수수단을 서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연결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로에는 상기 집수조로부터 상기 탈수수단을 향한 침출수의 공급 유무를 제어할 수 있게 구비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집수조 내의 침출수를 상기 탈수수단에 이송시키는 구동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집수침전조에는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집수구역과 침전구역을 구획하고 미세고형물이 침전구역을 향해 진입될 수 있게 복수 개의 여과공을 구비하는 여과판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수처리부의 집수침전조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수단을 통해 상기 집수침전조로부터 배출되는 미세고형물의 함량을 감지하는 고형물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순환수단의 바이패스관 상에 설치되되 상기 집수침전조의 분리수배출구 상에 연통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도배출관과, 상기 바이패스관 및 상기 유도배출관을 향한 경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되 상기 고형물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는 방향제어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분쇄하여 이송시킨 후 재차 탈수처리하되 분리수에서 미세고형물을 침전시켜 분리수만을 배출토록 구성하므로, 수분함량이 저감된 고형물로부터 재생효율 및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별도의 추가 처리작업이 불필요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나아가 분리수에서 침전분리된 미세고형물을 재차 분쇄처리토록 순환하면서 분리수의 상등수만을 배출시키므로 작업현장 내 악취발생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청결하게 개선하고 수질오염을 방지하여 자연을 보존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고형물과 물로 분리하기 위한 침출수의 공급시기 및 유입량을 제어하므로 탈수를 위한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우수한 작업성을 도모하고 침출수의 과공급에 따른 작업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집수침전조를 집수구역과 침전구역으로 구획하며 미세고형물만이 통과가능하게 구성하므로, 미세고형물의 역류를 방지하여 배출수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상부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구비하고 내부가 교반구역 및 저류구역으로 구획되는 본체드럼과, 상기 본체드럼의 교반구역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분해하는 교반기와, 상기 본체드럼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구역을 향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살수기와, 상기 본체드럼을 교반구역과 저류구역으로 나누도록 위치하되 상기 교반구역에서 상기 교반기를 통해 분해된 침출수를 상기 저류구역에 공급하기 위한 다공이 형성되는 타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쇄처리부와; 상기 분쇄처리부에서 침출수를 공급받아 저류시키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침출수가 공급되되 침출수를 고형물과 물로 분리하고 침출수에서 분리된 고형물을 배출시키도록 하단에 고형배출구를 구비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의 하부에 연통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탈수수단에서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분리수가 유입되되 분리수에 포함된 미세고형물을 침전시키며 상단에 분리수배출구를 구비하여 분리수 중 상등수만을 배출시키는 집수침전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수처리부와; 상기 분쇄처리부 및 상기 탈수처리부의 집수조를 상호 연결하여 침출수의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루는 침출수이송관과, 상기 분쇄처리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침출수이송관을 통해 침출수를 이송시키는 공급펌프로 구성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탈수처리부의 집수침전조 및 상기 분쇄처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분쇄처리부에 미세고형물의 재처리를 위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집수침전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미세고형물을 이송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순환수단;을 포함하는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쇄처리부(10)와, 탈수처리부(20)와, 이송수단(30)과, 순환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분쇄처리부(10) 및 탈수처리부(20)는 외부에 일체형의 외부케이스를 구비하여 장비를 보호가능하게 구성하고, 하부에는 복수 개의 이송바퀴가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자치의 이동이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처리부(10)는 외부로부터 최초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물과 함께 교반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줄이도록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분쇄처리부(10)는 작업가능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본체드럼(11)과,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3)와, 음식물쓰레기에 물을 제공하기 위한 살수기(15)와, 상기 본체드럼(11) 내에 설치되는 타공판(17)으로 구성한다.
상기 본체드럼(11)에는 상부에 개폐가능한 구조를 갖는 투입구(12)를 구비하여 내부에 분쇄처리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본체드럼(11)의 하단에는 분쇄처리된 음식물쓰레기의 침출수를 배출가능하게 침출수배출구(19)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본체드럼(11)의 하부는 상기 침출수배출구(19)를 향해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분해된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한 침출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드럼(11)의 내부는 교반구역(11a) 및 저류구역(11b)으로 상하 구획하여 형성한다. 즉 상기 본체드럼(11) 내 상측은 상기 투입구(12)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을 물과 함께 교반할 수 있는 공간인 교반구역(11a)을 이루고, 상기 본체드럼(11) 내 하측은 상기 교반구역(11a)에서 상기 교반기(13)로부터 분쇄되어 음식물쓰레기가 혼재하는 침출수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인 저류구역(11b)을 구비한다.
상기 교반기(13)는 상기 본체드럼(11)의 교반구역(11a)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교반기(13)는 상기 본체드럼(11) 내에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분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드럼(11)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3a)과, 상기 회전축(13a) 상에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 개의 교반블레이드(13b)와, 상기 회전축(13a)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13c)으로 구성한다.
상기 교반블레이드(13b)는 음식물쓰레기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면서 교반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단면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구동수단(13c)은 상기 본체드럼(11)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회전축(13a)의 한쪽 끝단에 대응하여 연결결합한다.
상기 구동수단(13c)에는 상기 회전축(13a)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회전동력을 높일 수 있게 감속기(13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수기(15)는 상기 본체드럼(11)의 내측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교반구역(11a)을 향해 고압의 물을 하향분사하도록 구비한다.
상기에서 살수기(15)에 의한 물의 공급량은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유입량과 비례하여 자동제어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공판(17)은 상기 본체드럼(11) 내 교반구역(11a)과 저류구역(11b)을 나누는 경계를 이루도록 위치한다.
상기 타공판(17)에는 상기 교반구역(11a)에서 상기 교반기(13)를 통해 분해된 침출수를 상기 저류구역(11b)에 공급하기 위한 다공(18)이 형성된다.
상기 탈수처리부(20)는 분쇄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한 침출수로부터 고형물과 물로 상호 분리시키기 위한 탈수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탈수처리부(20)는 상기 분쇄처리부(10)에서 침출수를 공급받아 저류시키는 집수조(21)와, 상기 집수조(21)로부터 침출수가 공급되어 탈수처리하는 탈수수단(23)과, 상기 탈수수단(23)으로부터 분리수가 유입되어 집수 및 침전처리하는 집수침전조(25)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수처리부(20)에는 상기 집수조(21)와 상기 탈수수단(23)을 서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연결로(22)를 형성한다.
상기 집수조(21)와 상기 탈수수단(23)은 서로 상하로 배치 즉 상기 탈수수단(23)을 상기 집수조(21)의 하부에 배치한 후 상기 연결로(22)를 통해 연통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침출수가 상기 집수조(21)로부터 자연낙하하여 상기 탈수수단(23)을 향해 공급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로(22)에는 상기 집수조(21)로부터 상기 탈수수단(23)을 향한 침출수의 공급 유무를 제어할 수 있게 구비하는 개폐밸브(22a)와, 상기 집수조(21) 내의 침출수를 상기 탈수수단(23)에 이송시키는 구동펌프(22b)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밸브(22a)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형물과 물로 분리하기 위한 침출수의 공급시기 및 유입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면, 탈수를 위한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우수한 작업성을 도모하고 침출수의 과공급에 따른 작업오류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탈수수단(23)은 상기 집수조(21)로부터 공급된 침출수를 고형물과 물로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탈수수단(23)에서는 침출수를 고형물과 물로 분리한 후 고형물을 배출시키도록 하단에 고형배출구(24)를 구비하고, 고형물과 분리된 물은 집수침전조(25)로 이동시킨다.
상기에서 탈수수단(23)은 슬러지 탈수를 위한 일반적인 탈수기(예를 들면, 다중원통형 탈수기, 가압탈수기, 원심농축탈수기, 벨트프레스탈수기 등)의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탈수수단(23)에는 침출수를 탈수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응집제나 소석회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침전조(25)는 상기 탈수수단(23)의 하부에 연통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탈수수단(23)에서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분리수가 유입된다.
상기 집수침전조(25)에서는 상기 탈수수단(23)으로부터 공급된 분리수를 집수하는 동시에 하부에는 분리수에 포함된 미세고형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구역을 구비한다.
상기 집수침전조(25)의 상단에는 집수된 분리수 중 상등수만을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수배출구(26)를 구비한다. 즉 상기 분리수배출구(26)는 상기 집수침전조(25)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집수침전조(25) 내 유입된 분리수 중 상등수만이 오버플로우되면서 배출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집수침전조(25)에는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집수구역과 침전구역을 구획하는 여과판(27)을 구성한다. 즉 상기 집수침전조(25)의 내부는 상기 여과판(27)을 경계로 분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상측의 집수구역 및 미세고형물이 침전가능한 하측의 침전구역을 형성한다.
상기 여과판(27)에는 미세고형물이 침전구역을 향해 진입될 수 있게 복수 개의 여과공(28)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집수침전조(25)를 집수구역과 침전구역으로 구획하며 미세고형물만이 통과가능하게 구성하게 되면, 미세고형물의 역류를 방지하여 배출수의 청결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분쇄처리부(10) 및 상기 탈수처리부(2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분쇄처리부(10)의 침출수를 상기 탈수처리부(20)에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분쇄처리부(10) 및 상기 탈수처리부(20)의 집수조(21)를 상호 연결하여 침출수의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루는 침출수이송관(31)과, 상기 분쇄처리부(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침출수이송관(31)을 통해 침출수를 이송시키는 공급펌프(33)로 구성한다.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분쇄처리부(10) 중 본체드럼(11)의 저류구역에 위치한 침출수를 상기 공급펌프(33)에서 펌핑하여 상기 침출수이송관(31)을 따라 상기 탈수처리부(20)의 집수조(21)로 이동시킨다.
상기 순환수단(40)은 상기 탈수처리부(20) 및 상기 분쇄처리부(10)를 상호연결하되 상기 탈수처리부(20)의 집수침전조(25) 내 미세고형물을 상기 분쇄처리부(10)의 교반구역(11a)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순환수단(40)은 상기 탈수처리부(20)의 집수침전조(25) 및 상기 분쇄처리부(10)를 상호 연결하는 바이패스관(41)과, 상기 바이패스관(41)을 따라 미세고형물을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순환펌프(43)로 구성한다.
상기 바이패스관(41)은 상기 탈수처리부(20)의 집수침전조(25) 내 침전된 미세고형물을 다시 재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분쇄처리부(10)의 교반구역(11a)으로 연결된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순환펌프(43)는 상기 집수침전조(25)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관(41)을 통해 미세고형물을 이송시키도록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분쇄처리부(10) 및 탈수처리부(2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교반기(13)와 살수기(15), 탈수수단(23) 등이 일괄적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이송수단(30) 및 순환수단(40)이 구동하는 상태에서 분쇄처리부(10)의 본체드럼(11)에 일정량의 음식물쓰레기가 투입한다. 이때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살수기(15)로부터 분사되는 물과 함께 상기 본체드럼(11)의 교반구역(11a)에서 상기 교반기(13)로부터 충분히 교반 분쇄되고, 교반구역(11a)에서 분쇄처리되어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서로 혼재하는 침출수는 타공판(17)을 거쳐 상기 본체드럼(11)의 저류구역(11b)에 쌓인다. 이후 상기 본체드럼(11)의 저류구역(11b) 내에 위치한 침출수는 상기 이송수단(30)으로부터 상기 탈수처리부(20)의 집수조(21)로 이송되고, 상기 집수조(21) 내의 침출수는 상기 탈수수단(23)으로 이동되어 침출수에서 고형물과 물을 상호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탈수수단(23)에서 분리된 고형물을 고형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탈수수단(23)에서 분리된 물 즉 분리수는 집수침전조(25) 내에 유입된다. 이어 상기 집수침전조(25)에서는 분리수를 집수하되 분리수에 포함된 미세고형물을 침전시키고, 분리수는 분리수배출구(26)를 통해 상등수만을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집수침전조(25) 내 침전된 미세고형물은 상기 순환수단(40)의 순환펌프(43)가 구동하여 상기 바이패스관(41)을 통해 상기 분쇄처리부(10)의 교반구역(11a)으로 이송시키므로 재차 작업공정을 거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분쇄하여 이송시킨 후 재차 탈수처리하되 분리수에서 미세고형물을 침전시켜 분리수만을 배출토록 구성하므로, 수분함량이 저감된 고형물로부터 재생효율 및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별도의 추가 처리작업이 불필요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나아가 분리수에서 침전분리된 미세고형물을 재차 분쇄처리토록 순환하면서 분리수의 상등수만을 배출시키므로 작업현장 내 악취발생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청결하게 개선하고 수질오염을 방지하여 자연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탈수처리부(20)의 집수침전조(25)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수단(40)을 통해 상기 집수침전조(25)로부터 배출되는 미세고형물의 함량을 감지하는 고형물감지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형물감지부(50)는 상기 순환수단(40)의 순환펌프(43)에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집수침전조(25)에서 배출되는 미세고형물의 함량이 기준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순환수단(40)의 순환펌프(43)에 대한 구동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여 미세고형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집수침전조(25)에서 배출되는 미세고형물의 함량이 기준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순환수단(40)의 순환펌프(43)에 대해 구동정지토록 제어하여 미세고형물을 순환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순환수단(40)에는 상기 바이패스관(41) 상에 설치되되 상기 집수침전조(25)의 분리수배출구(26) 상에 연통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도배출관(55)과, 상기 바이패스관(41) 및 상기 유도배출관(55)을 향한 경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향제어밸브(5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향제어밸브(57)는 3방 밸브로서, 상기 고형물감지부(5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집수침전조(25)로부터 배출되는 미세고형물의 함량이 상기 고형물감지부(50)에서 설정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방향제어밸브(57)가 상기 바이패스관(41)의 경로를 개방하여 상기 순환수단(40)의 바이패스관(41)을 따라 미세고형물이 이동순환되고, 상기 집수침전조(25)로부터 배출되는 미세고형물의 함량이 상기 고형물감지부(50)에서 설정기준치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방향제어밸브(57)가 상기 바이패스관(41)의 경로를 폐쇄하면서 상기 유도배출관(55)의 경로를 개방하여 상기 유도배출관(55)을 따라 분리수가 이동 배출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57)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미세고형물의 불필요한 순환구동을 차단한 채 분리수의 효율적인 배출을 도모하여 작업의 효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분쇄처리부 11 : 본체드럼 12 : 투입구
13 : 교반기 13a : 회전축 13b : 교반블레이드
13c : 구동수단 15 : 살수기 17 : 타공판
20 : 탈수처리부 21 : 집수조 22 : 연결로
22a : 개폐밸브 22b : 구동펌프 23 : 탈수수단
24 : 고형배출구 25 : 집수침전조 26 : 분리수배출구
27 : 여과판 30 : 이송수단 31 : 침출수이송관
33 : 공급펌프 40 : 순환수단 41 : 바이패스관
43 : 순환펌프 50 : 고형물감지부 55 : 유도배출관
57 : 방향제어밸브

Claims (6)

  1. 상부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구비하고 내부가 교반구역 및 저류구역으로 구획되는 본체드럼과, 상기 본체드럼의 교반구역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여 분해하는 교반기와, 상기 본체드럼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구역을 향해 고압의 물을 분사하되 상기 투입구를 통한 음식물쓰레기의 유입량에 비례하여 물 공급량을 자동제어가능하게 형성되는 살수기와, 상기 본체드럼을 교반구역과 저류구역으로 나누도록 위치하되 상기 교반구역에서 상기 교반기를 통해 분해된 침출수를 상기 저류구역에 공급하기 위한 다공이 형성되는 타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쇄처리부와;
    상기 분쇄처리부에서 침출수를 공급받아 저류시키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침출수가 공급되되 침출수를 고형물과 물로 분리하고 침출수에서 분리된 고형물을 배출시키도록 하단에 고형배출구를 구비하는 탈수수단과, 상기 탈수수단의 하부에 연통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탈수수단에서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분리수가 유입되되 분리수에 포함된 미세고형물을 침전시키며 상단에 분리수배출구를 구비하여 분리수 중 상등수만을 배출시키는 집수침전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수처리부와;
    상기 분쇄처리부 및 상기 탈수처리부의 집수조를 상호 연결하여 침출수의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루는 침출수이송관과, 상기 분쇄처리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침출수이송관을 통해 침출수를 이송시키는 공급펌프로 구성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탈수처리부의 집수침전조 및 상기 분쇄처리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분쇄처리부에 미세고형물의 재처리를 위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집수침전조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미세고형물을 이송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되는 순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처리부에는 상기 집수조와 상기 탈수수단을 서로 연통하게 연결하는 연결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로에는 상기 집수조로부터 상기 탈수수단을 향한 침출수의 공급 유무를 제어할 수 있게 구비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집수조 내의 침출수를 상기 탈수수단에 이송시키는 구동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처리부에는 상기 집수침전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수단을 통해 상기 집수침전조로부터 배출되는 미세고형물의 함량을 감지하는 고형물감지부와, 상기 순환수단의 바이패스관 상에 설치되되 상기 집수침전조의 분리수배출구 상에 연통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유도배출관과, 상기 바이패스관 및 상기 유도배출관을 향한 경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되 상기 고형물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하는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본체드럼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교반블레이드와, 상기 본체드럼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의 한쪽 끝단에 연결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침전조에는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집수구역과 침전구역을 구획하고 미세고형물이 침전구역을 향해 진입될 수 있게 복수 개의 여과공을 구비하는 여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50107471A 2015-07-29 2015-07-29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471A KR101627624B1 (ko) 2015-07-29 2015-07-29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471A KR101627624B1 (ko) 2015-07-29 2015-07-29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624B1 true KR101627624B1 (ko) 2016-06-07

Family

ID=5619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471A KR101627624B1 (ko) 2015-07-29 2015-07-29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6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5A (ja) * 1994-06-20 1996-0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ゴミ処理装置
KR20080037274A (ko) 2006-10-25 2008-04-3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음식물 잔반 처리장치
KR101078818B1 (ko) * 2011-03-30 2011-11-02 (주)실파인 웨이퍼 제조공정 시 발생하는 폐슬러리 내의 분산재 재생방법과 이의 재생장치
KR20120083562A (ko) * 2011-01-18 2012-07-26 강창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13520301A (ja) * 2010-02-25 2013-06-06 ヴェオリア ウォータ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テクノロジーズ サポート 簡略化したスラッジ再循環装置を備えたバラスト凝集及び沈殿による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工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5A (ja) * 1994-06-20 1996-0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ゴミ処理装置
KR20080037274A (ko) 2006-10-25 2008-04-3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음식물 잔반 처리장치
JP2013520301A (ja) * 2010-02-25 2013-06-06 ヴェオリア ウォータ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テクノロジーズ サポート 簡略化したスラッジ再循環装置を備えたバラスト凝集及び沈殿による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工程
KR20120083562A (ko) * 2011-01-18 2012-07-26 강창수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078818B1 (ko) * 2011-03-30 2011-11-02 (주)실파인 웨이퍼 제조공정 시 발생하는 폐슬러리 내의 분산재 재생방법과 이의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099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1915030B1 (ko) 복합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
KR101815065B1 (ko) 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순환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4843955A (zh) 一种油气田钻井泥浆废弃物随钻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276405B1 (ko) 탈수성능이 향상된 진공 드럼 농축기
KR102035483B1 (ko) 음식폐기물 다단분리방법과 그 장치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752346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JP3566547B2 (ja) 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メタン発酵処理の前処理装置
CN104487365B (zh) 供纸装置、纤维分解系统以及污泥脱水系统
KR101915035B1 (ko) 드럼식 중금속 용출조를 포함하는 복합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KR100825994B1 (ko) 축산 폐수 및 분뇨 처리시스템
KR101028570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696689B1 (ko) 복합 회전형 건습식 혐기소화조 시스템
JP3710938B2 (ja) 有機性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771502B1 (ko) 고액분리장치
KR101755009B1 (ko)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KR101627624B1 (ko) 순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4644081U (zh) 一种油气田钻井泥浆废弃物随钻处理系统
KR20010047617A (ko) 슬러지 처리장치
CN208898726U (zh) 一种高效型土块污泥固液分离装置
KR101867309B1 (ko)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20014993A (ja) メタン発酵装置およびメタン発酵方法
JPH11277041A (ja) 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メタン発酵処理の前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