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519B1 -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519B1
KR101627519B1 KR1020150062727A KR20150062727A KR101627519B1 KR 101627519 B1 KR101627519 B1 KR 101627519B1 KR 1020150062727 A KR1020150062727 A KR 1020150062727A KR 20150062727 A KR20150062727 A KR 20150062727A KR 101627519 B1 KR101627519 B1 KR 10162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signal
robot
user
remote control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열
김대진
엄성훈
문전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6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519B1/ko
Priority to US14/929,432 priority patent/US2016032543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519B1/ko
Priority to US16/168,846 priority patent/US1096751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2Dual arm manipulator; Coordination of several manipul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9Teleope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comprising intertial navigation means, e.g. azimuth dete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9Robotics, robotics to robotics hand
    • G05B2219/39146Swarm, multiagent, distributed multitask fusion, cooperation multi rob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2Arm motion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ipulato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운용 정보 및 상기 필드 로봇의 작동 모드를 선택 받고, 상기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상기 작동 모드 정보 및 상기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동작 또는 작업 대상 사물의 동작에 대한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작업 명령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필드 로봇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대상 사물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작업 대상 사물을 동작시키기 위한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자율 명령 생성부, 그리고 생성된 상기 자율 동작 신호를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으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ROBOT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의 비정형 또는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를 대신할 수 있는 필드 로봇간 협업을 통해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필드 로봇(Field Robot)은 건설, 토목, 국방, 해저 및 우주 등과 같이 사람의 접근이 어렵거나 위험하며 실시간으로 환경이 변화되는(비정형)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를 대신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한다.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Tele-operating Robot System)은 원격 조종자가 원격 조작 장치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로봇(필드 로봇 포함)을 조종함으로써 로봇이 작업자 대신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작업의 형태에 따라 원격 조종자와 로봇의 구성비가 1:1, 1:N, N:1 및 N:N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현재의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은 원격 조종자로부터 로봇의 동작 명령을 수집하는 원격 조작 장치 하나와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작 명령에 대응되는 작업을 작업자 대신 수행하는 필드 로봇 하나로 구성된 1:1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이 주를 이룬다.
원격 조종자 한 명이 원격지의 로봇 1기를 제어하는 1:1 원격 제어 방식은 원격 조종자가 로봇의 모든 동작 명령을 생성 및 제어하기 때문에 수행할 작업의 복잡도에 따라 작업 수행에 제약이 많고, 원격 조종자의 작업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원격 조종자에게 높은 원격 조작 숙련도를 요구하며, 특히 시간 지연이 발생할 경우 실질적인 로봇 원격 제어가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1:1 원격 제어 방식은 하나의 로봇이 가진 작업 공간 및 취급 하중의 제한 때문에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무거운 작업 대상물을 취급하는 작업(가령 대형 밸브 개폐 또는 대형 파이프 교체 작업)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1:1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으나, 운용 시스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원격 조종자의 수도 증가한다. 이로 인하여 원격 조종자 상호간 통신 및 소통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원격 조종자 수의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한 명의 원격 조종자가 다수의 필드 로봇 간 협업을 지휘함으로써 상기 1:1 원격 제어 방식으로 접근이 어려운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1:N 원격 제어 방식의 필드 로봇 통합 제어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7383호(2013.03.15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의 비정형 또는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를 대신할 수 있는 필드 로봇간 협업을 통해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필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정보 및 상기 필드 로봇의 작동 모드를 선택 받고, 상기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상기 작동 모드 정보 및 상기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동작 또는 작업 대상 사물의 동작에 대한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작업 명령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필드 로봇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대상 사물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작업 대상 사물을 동작시키기 위한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자율 명령 생성부, 그리고 생성된 상기 자율 동작 신호를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으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독점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명령 생성부는, 상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필드 로봇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과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명령 생성부는, 상기 제1 필드 로봇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과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자율 명령 생성부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와 동일한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와 특정 회전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자율 명령 생성부는, 상기 작업 대상 사물이 상기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어 동작되도록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상기 작업 명령 신호,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및 상기 필드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재생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자율 명령 생성부는, 기 저장된 상기 작업 명령 신호 및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 중에서 반복하여 수행할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추출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가 상기 필드 로봇으로부터 위치 정보, 음향 정보, 영상 정보, 접촉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자율 명령 생성부는, 상기 작업 수행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 상기 작업 수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수정된 상기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필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정보 및 상기 필드 로봇의 작동 모드를 선택 받고, 상기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수신된 상기 작동 모드 정보 및 상기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동작 또는 작업 대상 사물의 동작에 대한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필드 로봇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대상 사물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작업 대상 사물을 동작시키기 위한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된 상기 자율 동작 신호를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1:1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의 기술적 한계로 적용이 불가능했던 옥외 작업 분야에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종자의 작업 개입 정도를 최소화하여 원격 조종자의 작업 피로도 상승으로 인한 작업 효율성 및 품질의 저하, 안전 사고 발생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점 모드에서의 로봇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종 모드에서의 로봇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모드에서의 로봇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모드에서의 로봇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의 작동 모드 별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 및 하나 이상의 필드 로봇(301, 302)를 포함하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하여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 및 필드 로봇(301, 302)와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각각의 장치 및 필드 로봇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블루투스(Bluetooth), NFC, 지그비(Zigbee), Wi-Fi,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등의 근거리 통신 또는 3G, 4G, LTE, LTE-A 등의 이동통신망과 같은 원거리 통신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와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원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제 작업 현장에 위치한 필드 로봇(301, 302)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정보, 필드 로봇의 작동 모드 정보를 입력 받아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원격 조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따른 조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작 명령 신호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필드 로봇(301, 302)이 감지한 작업 수행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를 입력 받아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 필드 로봇(301, 302)과 인접한 장소인 실제 작업 현장에 위치하여 하나 이상의 필드 로봇(301, 302)을 관리하고,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와 필드 로봇(301, 302) 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정보, 작동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필드 로봇(301, 302)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며, 선택된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작업 명령 신호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필드 로봇(301, 302)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필드 로봇(301, 302)을 제어한다.
그리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필드 로봇(301, 302)으로부터 작업 수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필드 로봇(301, 302)이 작업 현장에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명령 신호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필드 로봇(301, 302)은 실제 작업 현장에 위치하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작업 명령 신호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에 대응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필드 로봇(301, 302)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음향 정보, 영상 정보, 접촉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 수행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작업 수행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작업 현장의 상황에 맞는 작업 명령 신호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10), 작업 명령 생성부(220), 자율 명령 생성부(230), 통신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먼저,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정보 및 필드 로봇의 작동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필드 로봇의 동작 또는 작업 대상 사물을 제어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입력 받는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10)는 필드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작업 명령 생성부(220)는 수신된 작동 모드 정보 및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작업 명령 신호는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301) 또는 작업 대상 사물의 동작에 관한 신호이다.
작업 명령 생성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독점 모드 또는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301)이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반면,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작업 명령 생성부(220)는 작업 대상 사물을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되도록 동작시키기 위한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는 작업 대상 사물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자율 명령 생성부(230)는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필드 로봇(301)에 대한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는 제2 필드 로봇(3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자율 명령 생성부(230)는 작업 대상 사물을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도록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가 재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자율 명령 생성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반복 수행하도록 선택 받은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추출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240)는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와 하나 이상의 필드 로봇(301, 302)간의 통신을 담당하며, 생성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해당 필드 로봇(301, 302)으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를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301)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저장부(250)는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필드 로봇(301, 302)으로부터 작업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재생 모드가 선택된 경우, 자율 명령 생성부(23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작업 명령 신호,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및 작업 수행 정보 중에서 해당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추출하여 해당 필드 로봇(301, 302)으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점 모드에서의 로봇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의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정보 및 독점 모드를 선택 받고(S310), 선택 받은 필드 로봇의 정보 및 작동 모드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315).
이때,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필드 로봇(301, 302) 중에서 제1 필드 로봇을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으로 선택 받고, 작동 모드로 독점 모드를 선택 받은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독점 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필드 로봇(301)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로 1:1 원격 제어 방식이다.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S310 단계에서 독점 모드, 추종 모드, 사물 모드 및 재생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작동 모드로 선택 받을 수도 있고, 도 4와 같은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작동 모드를 선택 받을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원격 조종자인 사용자가 자신이 수행할 작업이 어느 작동 모드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각 작동 모드의 대표적인 예시 상황을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작동 모드를 선택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편리하게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가 작업물 나르기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작동 모드로 독점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입력 받는다. 또한,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작업 대상 사물의 부피 또는 중량 정보를 추가로 입력 받아 하나의 필드 로봇으로 가능한 작업일 경우 작동 모드로 독점 모드를 선택하고, 작업 대상 사물의 부피, 중량이 커서 하나의 필드 로봇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추종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파이프 설치와 같이 사용자가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보다 작업 대상 사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더 간편한 작업인 경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해당 작업의 작업 모드로 사물 모드를 선택한다. 또한 밸브 회전과 같이 하나 이상의 필드 로봇이 협업(동작을 서로 따라 하거나 대칭적인 동작을 수행)하여 작동하여야 하는 작업인 경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추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S320), 수신된 조작 명령 신호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325).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원격 조종자인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조작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조이스틱, 터치패드, 트랙볼, 포인팅 스틱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각종 센서를 이용한 모션 인식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수신한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S330),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를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301)으로 전송한다(S335).
독점 모드에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필드 로봇(301)이 수신된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작업 대상 사물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원하는 위치로 필드 로봇(301)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필드 로봇(301)로 전송한다.
그리고 작업 명령 신호를 수신한 필드 로봇(301)은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고, 작업 수행 정보를 감지한다(S340).
예를 들어, S330 단계에서 작업 대상 사물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필드 로봇을 제어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필드 로봇(301)은 작업 대상 사물을 들어올려, 수신된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하도록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필드 로봇(301)은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 수행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필드 로봇(301)은 위치 정보, 접촉 정보 등의 물리적 작업 수행 정보와 음향 정보, 영상 정보 등의 환경적 작업 수행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필드 로봇(301)은 감지된 작업 수행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며(S345),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송한다(S347).
필드 로봇(301)이 S340 단계에서 감지한 작업 수행 정보는 S347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달되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조작 명령을 수신한다(S350).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조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조작 명령을 수신하는 S32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는 S340 단계에서 필드 로봇(301)이 감지한 작업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작업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필드 로봇(301)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명령 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필드 로봇(301)이 감지한 위치 정보를 통하여 필드 로봇(301)을 더 이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조작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고, 필드 로봇(301)이 촬영한 영상 정보를 통하여 필드 로봇(301) 앞에 위치한 장애물을 인지하고, 조작 명령을 수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부터 수정된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S355),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도록 작업 명령 신호를 수정한다(S360).
그리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수정된 작업 명령 신호를 필드 로봇(301)로 전송하여(S365), 해당 필드 로봇(301)이 수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가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정된 조작 명령을 수신하여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필드 로봇(301)으로부터 수신한 작업 수행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업 명령 신호를 수정하고, 수정된 작업 명령 신호를 필드 로봇(3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필드 로봇(301)을 원격 조종하는 경우, 필드 로봇(301)은 S340 단계에서 압축을 수행하는 필드 로봇(301)의 팔 말단부에 장착된 접촉 정보 수집용 센서를 이용하여 접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수행 정보를 수신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필드 로봇(301)과 외부의 작업 환경 및 접촉 상황을 가상의 질량-댐퍼-스프링 시스템으로 모델링 한 후, 질량, 댐퍼 및 스프링 관련 인자들을 조절하여 필드 로봇이 작업 대상 사물을 압축할 때 압축되는 길이, 속도, 가속도에 관련된 필드 로봇(30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하는 작업을 수행 중인 필드 로봇(301)의 앞에 벽이 위치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필드 로봇(301)이 벽 너머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보정하여 작업 명령 신호를 자동으로 수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종 모드에서의 로봇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는 제1 필드 로봇의 정보, 슬레이브 역할을 수행하는 제2 필드 로봇의 정보 및 추종 모드를 선택 받고(S510), 선택 받은 필드 로봇의 정보 및 작동 모드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520).
이때,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를 작동 모드로 선택 받은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추종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마스터 필드 로봇과 마스터 필드 로봇의 동작을 추종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필드 로봇이 서로 협업하여 작동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S530), 수신된 조작 명령 신호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540).
다음으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수신한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S550),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를 제1 필드 로봇(301)로 전송한다(S560).
S510 단계 내지 S560 단계는 도 3의 S310 단계 내지 S335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S570), 생성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한다(S580).
여기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는 작업 명령 신호와 동일하거나, 작업 명령 신호와 특정 회전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2 필드 로봇(302)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작업 명령 신호를 수신한 제1 필드 로봇(301)과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신한 제2 필드 로봇(302)은 각각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수행 정보를 감지한다(S590, S593).
또한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은 감지된 작업 수행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595). 이때,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은 감지된 작업 수행 정보를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도 전송할 수 있으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부터 수신한 작업 수행 정보를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및 작업 수행 정보를 저장한다(S600).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저장한 작업 명령 신호,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및 작업 수행 정보는 후술할 재생 모드에서 추출되어 자율 동작 명령 신호로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도 필드 로봇(301, 3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은 도 3의 S347 단계 내지 S365 단계를 수행하여 필드 로봇(301, 302)이 감지한 작업 수행 정보에 대응되도록 작업 명령 신호를 수정하여 필드 로봇(301,302)을 조종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 모드에서의 로봇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정보 및 사물 모드를 선택 받고(S610), 선택 받은 필드 로봇의 정보 및 작동 모드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620).
그리고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S630), 수신된 조작 명령 신호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640).
다음으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작업 대상 사물에 대한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S650). 여기서 작업 명령 신호는 파이프의 회전 등과 같이 비 대칭적으로 수행되는 작업 대상 사물의 목표 동작을 의미하는 신호이다.
S610 단계 내지 S650 단계는 도 3의 S310 단계 내지 S33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S660), 생성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한다(S670). 이때, 자율 동작 명령 신호는 작업 대상 사물이 목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신한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은 자율 동작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한다(S680, S683).
또한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은 감지된 작업 수행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685). 이때,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은 감지된 작업 수행 정보를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도 전송할 수 있으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가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부터 수신한 작업 수행 정보를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작업 수행 정보를 수신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및 작업 수행 정보를 저장한다(S690). 이때 저장된 작업 명령 신호,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및 작업 수행 정보는 사용자가 재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로 활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은 도 3의 S347 단계 내지 S365 단계를 더 수행하여 필드 로봇(301, 302)이 감지한 작업 수행 정보에 대응되도록 작업 명령 신호를 수정하여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을 조종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생 모드에서의 로봇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재생 모드는 가령 밸브 개폐와 같은 단순 반복 적인 동작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작업 피로도 상승 방지를 위해 제안된 원격 제어 방법이다.
먼저,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정보 및 재생 모드를 선택 받고(S710), 선택 받은 필드 로봇의 정보 및 재생 모드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720).
이때, 작동 모드 정보는 재생 모드며, 작동 모드 정보에는 반복을 희망하는 작업 명령의 정보 및 반복 횟수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다.
S710 단계 및 S720 단계는 도 3의 S310 단계 및 S315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반복 수행할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추출한다(S730).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기 저장된 작업 명령 신호 중에서 사용자가 반복을 희망하는 작업 명령의 정보에 대응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추출하여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추종 모드로 밸브를 개폐 시키는 작업을 수행한 경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해당 작업의 작업 명령 신호와 생성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저장한다. 상기 밸브를 로봇 간 협업을 통해 360도 이상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경우 로봇 간 간섭 문제로 인해 각각의 로봇을 밸브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각 로봇의 최초 위치(가령 원형 밸브일 경우 로봇과 밸브 휠이 접촉되는 위치)에서 특정 각도만큼 반복 회전시키는 동작이 필요하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작업 명령의 정보를 선택 받고, 반복 횟수를 입력 받는다.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부터 재생 모드 정보를 수신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기 저장된 작업 명령 신호 중에서 밸브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작업에 대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추출하여 생성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S710 단계에서 선택 받은 필드 로봇인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한다(S740).
마지막으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신한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은 자율 동작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한다(S750, S760).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은 작업을 수행하면서 작업 수행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감지한 작업 수행 정보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 및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770).
또한, 필드 로봇(301, 302)가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작업 수행 정보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가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작업 수행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S730 단계에서 추출된 자율 동작 명령 신호와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로부터 수신한 작업 수행 정보를 저장한다(S780).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은 S770 단계 및 S780 단계를 수행하여 필드 로봇(301, 302)이 감지한 작업 수행 정보에 대응되도록 작업 명령 신호를 수정하여 필드 로봇(301,302)을 조종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은 독점 모드, 추종 모드, 사물 모드 및 재생 모드로 구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독점 모드를 선택한 경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의 작업 명령 생성부(220)는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301)이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필드 로봇(301)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필드 로봇(301)을 원격 조종한다.
그리고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의 작업 명령 생성부(220)는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제1 필드 로봇(301)에 대한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자율 명령 생성부(230)는 제2 필드 로봇(3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작업 명령 신호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각각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하여 원격 조종한다.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작업 명령 생성부(220)는 수신된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작업 명령 신호는 작업 대상 사물의 목표 동작에 관한 신호이다. 그리고 자율 명령 생성부(230)는 작업 대상 사물을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도록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각각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한다.
추종 모드 및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생성한 작업 명령 신호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로부터 재생 모드가 선택된 경우 자율 명령 생성부(230)는 저장부9250)에 기 저장된 작업 명령 신호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 중에서 반복하여 수행할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추출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필드 로봇으로 전송한다.
이때,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데이터 편집부 및 반복 재생 횟수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편집부는 추출된 추출한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편집 또는 수정할 수 있고, 반복 재생 횟수 결정부는 사용자가 재생 모드를 선택할 때 입력한 반복 횟수를 이용하여 해당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반복할 횟수를 지정할 수 있다.
각각의 작동 모드와 무관하게,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와의 통신을 담당하고, 통신부(240)는 필드 로봇(301, 302)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필드 로봇(301, 302)이 작업 수행 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통신부(240)는 작업 수행 정보를 수신하고, 인터페이스부(210)는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원격 제어 시스템의 작동 모드 별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Xd는 필드 로봇의 목표 운동 정보를 나타내는 조작 명령 신호를 의미하고, Xr은 필드 로봇의 실제 운동 정보인 작업 수행 정보를 의미하며, Xc는 작업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수정된 필드 로봇의 작업 명령 신호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의미하고, Xt는 작업 대상 사물의 목표 동작을 나타내는 조작 명령 신호를 의미하며, F는 필드 로봇과 주위 작업 환경과의 접촉력 정보를 의미한다.
독점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제1 필드 로봇(필드 로봇 #1, 301)을 조종하기 위한 조작 명령 신호인 Xd1을 생성하여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Xd1을 수신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작업 명령 신호인 Xc1을 생성하여 제1 필드 로봇(301)으로 전송함으로써 제1 필드 로봇(301)을 제어한다.
그리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필드 로봇(301)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인 Xr1, F1을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위치 기반 임피던스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작업 명령 신호를 수정하여 Xc1을 생성하고, 생성된 Xc1을 제1 필드 로봇(301)으로 전송한다.
또한 독점 모드로 선택된 경우 원격 조종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이 다른 필드 로봇으로 전환되는 경우의 신호 흐름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의 스위칭 동작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제1 필드 로봇(301)을 조종하기 위한 조작 명령 신호인 Xd1을 생성하여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Xd1을 수신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작업 명령 신호인 Xc1 및 자율 동작 명령 신호인 Xc2를 생성하여 각각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하여,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은 각각 작업 수행 정보인 Xr1, F1과 Xr2, F2을 생성하여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수신한 Xr1, F1, Xr2, F2을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송하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수신한 Xr1, F1, Xr2, F2을 기반으로 위치 기반 임피던스 제어 방식을 통하여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작업 명령 신호를 수정하여 Xc1 및 Xc2를 생성하여 각각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한다.
또한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작업 대상 사물의 목표 동작을 의미하는 조작 명령 신호인 Xt를 생성하여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원격 로봇 제어 장치(200)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인 Xc1 및 Xc2를 생성하여 각각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가 감지한 작업 수행 정보인 Xr1, F1과 Xr2, F2는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를 거쳐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송되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수신한 Xr1, F1, Xr2, F2을 기반으로 위치 기반 임피던스 제어 방식을 통하여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정하여 수정된 Xc1 및 Xc2를 생성하여 각각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재생 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는 반복할 작업 명령의 정보 및 반복 횟수가 포함된 Xt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고,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Xt신호에 대응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인 Xc1 및 Xc2를 추출하여 각각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으로부터 작업 수행 정보인 Xr1, F1과 Xr2, F2를 수신하여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100)가 위치 기반 임피던스 제어 방식으로 생성한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를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하면, 로봇 원격 제어 장치(200)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인 Xc1 및 Xc2를 수정하여 각각 제1 필드 로봇(301) 및 제2 필드 로봇(302)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1:1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의 기술적 한계로 적용이 불가능했던 옥외 작업 분야에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종자의 작업 개입 정도를 최소화하여 원격 조종자의 작업 피로도 상승으로 인한 작업 효율성 및 품질의 저하, 안전 사고 발생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 200 : 로봇 원격 제어 장치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작업 명령 생성부
230 : 자율 명령 생성부 240 : 통신부
250 : 저장부 301, 302 : 필드 로봇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필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운용 정보 및 상기 필드 로봇의 작동 모드를 선택 받고, 상기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상기 작동 모드 정보 및 상기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동작 또는 작업 대상 사물의 동작에 대한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작업 명령 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필드 로봇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대상 사물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작업 대상 사물을 동작시키기 위한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자율 명령 생성부,
    생성된 상기 자율 동작 신호를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으로 전달하는 통신부, 그리고
    생성된 상기 작업 명령 신호,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및 상기 필드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필드 로봇의 작동 모드의 예시 상황을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작동 모드를 선택받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명령 생성부는 상기 제1 필드 로봇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과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자율 명령 생성부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와 동일한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와 특정 회전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재생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자율 명령 생성부는 기 저장된 상기 작업 명령 신호 및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 중에서 반복하여 수행할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추출하여 생성하는 로봇 원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조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로봇 원격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독점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명령 생성부는,
    상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필드 로봇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과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로봇 원격 제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자율 명령 생성부는,
    상기 작업 대상 사물이 상기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어 동작되도록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로봇 원격 제어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필드 로봇으로부터 위치 정보, 음향 정보, 영상 정보, 접촉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자율 명령 생성부는,
    상기 작업 수행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 상기 작업 수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수정된 상기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정하는 로봇 원격 제어 장치.
  8. 하나 이상의 필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운용 정보 및 상기 필드 로봇의 작동 모드를 선택 받고, 상기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수신된 상기 작동 모드 정보 및 상기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필드 로봇의 동작 또는 작업 대상 사물의 동작에 대한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1 필드 로봇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대상 사물에 대한 상기 작업 명령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작업 대상 사물을 동작시키기 위한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자율 동작 신호를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으로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된 상기 작업 명령 신호,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및 상기 필드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수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필드 로봇의 작동 모드의 예시 상황을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작동 모드를 선택받으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종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필드 로봇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과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와 동일한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와 특정 회전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재생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상기 작업 명령 신호 및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 중에서 반복하여 수행할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추출하여 생성하는 로봇 원격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조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로봇 원격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독점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조종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필드 로봇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과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로봇 원격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물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대상 사물이 상기 작업 명령 신호에 대응되어 동작되도록 상기 제1 필드 로봇 및 상기 제2 필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로봇 원격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로봇으로부터 위치 정보, 음향 정보, 영상 정보, 접촉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업 수행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수행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 상기 작업 수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원격 조작 장치로부터 수정된 상기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정된 조작 명령 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자율 동작 명령 신호를 수정하는 로봇 원격 제어 방법.
KR1020150062727A 2015-05-04 2015-05-04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727A KR101627519B1 (ko) 2015-05-04 2015-05-04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4/929,432 US20160325434A1 (en) 2015-05-04 2015-11-02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168,846 US10967515B2 (en) 2015-05-04 2018-10-24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727A KR101627519B1 (ko) 2015-05-04 2015-05-04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519B1 true KR101627519B1 (ko) 2016-06-08

Family

ID=5619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727A KR101627519B1 (ko) 2015-05-04 2015-05-04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60325434A1 (ko)
KR (1) KR101627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1450A (zh) * 2017-06-30 2019-12-2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多个动作单元集成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自主学习机器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3590B2 (en) * 2015-08-31 2021-08-17 Avaya Inc. Selection of robot operation mode from determined compliance with a security criteria
JP2018126810A (ja) * 2017-02-06 2018-08-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対話方法
JP6811635B2 (ja) * 2017-02-10 2021-01-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861604B2 (ja) * 2017-10-02 2021-04-21 株式会社オカムラ 管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6971955B2 (ja) * 2018-12-05 202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ボット遠隔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7107B1 (en) * 2003-04-29 2006-11-14 Roy-G-Biv Corporation Mo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6853867B1 (en) * 1998-12-30 2005-02-08 Schneider Automation Inc. Interface to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US6885898B1 (en) * 2001-05-18 2005-04-26 Roy-G-Biv Corporation Event driven motion systems
US7028204B2 (en) * 2000-09-06 2006-04-11 Schneider Autom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thernet prioritized device clock synchronization
US6624388B1 (en) * 2001-01-25 2003-09-23 The Lincoln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providing distributed welding architecture
US7114157B2 (en) * 2001-11-27 2006-09-26 Kuka Roboter Gmbh System controlling exclusive access by control programs to system resources
US9009084B2 (en) * 2002-10-21 2015-04-1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ology providing automation security analysis and network intrusion protection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WO2004106009A1 (ja) * 2003-06-02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物品操作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物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10314025B4 (de) * 2003-03-28 2010-04-01 Kuka Robot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Mehrzahl von Handhabungsgeräten
EP1633534B1 (en) * 2003-04-28 2018-09-12 Nikon Metrology NV Cmm arm with exoskeleton
SE0301531L (sv) * 2003-05-22 2004-11-23 Abb Ab A Control method for a robot
DE602004019781D1 (de) * 2003-06-20 2009-04-16 Fanuc Robotics America Inc Mehrfach-roboterarm-verfolgung und spiegel-jog
US20070264106A1 (en) * 2003-11-10 2007-11-15 Van Der Meulen Peter Robotic component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602004027960D1 (de) * 2004-09-30 2010-08-12 Abb As Türöffnungsanordnung zur verwendung mit einem industrieroboter
WO2006138382A2 (en) * 2005-06-14 2006-12-28 Micrablate, Llc Microwave tissue resection tool
GB0513899D0 (en) * 2005-07-06 2005-08-10 Airbus Uk Ltd Program-controlled process
DE102005058867B4 (de) * 2005-12-09 2018-09-27 Cine-Tv Broadcast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auf einem Schwenk- und Neigekopf angeordneten Kamera entlang einer vorgegebenen Bewegungsbahn
US7539557B2 (en) * 2005-12-30 2009-05-26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bile robot
ATE410272T1 (de) * 2006-02-17 2008-10-15 Abb Research Ltd Industrierobotersystem
US7533798B2 (en) * 2006-02-23 2009-05-1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for risk assessment
EP3045273B1 (en) * 2006-03-03 2018-12-12 Universal Robots A/S Joint for a robot
US20100243344A1 (en) * 2006-09-25 2010-09-30 Board Of Trustees Of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Electromechanically counterbalanced humanoid robotic system
WO2009089914A1 (en) * 2008-01-18 2009-07-23 Abb Technology Ab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n industrial robot
WO2011018117A1 (en) * 2009-08-14 2011-02-17 Abb Technology Ab An industrial robot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robot program
US9026248B1 (en) * 2011-05-06 2015-05-05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robotic management
KR101297607B1 (ko) 2011-09-07 2013-08-30 레드원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움직이는 타겟의 추적 및 포획을 위하여 복수의 로봇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310482B2 (en) * 2012-02-10 2016-04-12 Ascent Ventures, Llc Methods for locating and sensing the position, orientation, and contour of a work object in a robotic system
US9795004B2 (en) * 2014-04-14 2017-10-17 Abl Ip Holding Llc Learning capable lighting equipment
US9701023B2 (en) * 2012-12-03 2017-07-11 Abb Schweiz Ag Teleoperation of machines having at least one actuated mechanism and one machine controller comprising a program code including instructions for transferring control of the machine from said controller to a remote control station
US9102055B1 (en) * 2013-03-15 2015-08-11 Industrial Perception, Inc. Detection and reconstruction of an environment to facilitate robotic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WO2014193708A1 (en) * 2013-05-25 2014-12-0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Large-scale, time-sensitive secure distribute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EP2916189B1 (en) * 2014-03-06 2019-05-08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Quality assured manufacturing
US9298863B2 (en) * 2014-07-31 2016-03-29 Siemens Industry Softwar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energy and reducing cycle time by using optimal robotic joint configurations
US9855658B2 (en) * 2015-03-19 2018-01-02 Rahul Babu Drone assisted adaptive robot control
US10073444B2 (en) * 2015-09-20 2018-09-11 Macau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etri net-based optimal one-wafer cyclic scheduling of treelike hybrid multi-cluster tools
US20170083000A1 (en) * 2015-09-20 2017-03-23 Macau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etri Net-based Scheduling of Time Constrained Single-arm Cluster Tools with Wafer Revisit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operative Control of a Single-user Multi-robot Teleoperated system for maintenance in offshore plants, 201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1450A (zh) * 2017-06-30 2019-12-2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多个动作单元集成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自主学习机器人装置
CN110621450B (zh) * 2017-06-30 2022-07-2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多个动作单元集成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自主学习机器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5434A1 (en) 2016-11-10
US20190054623A1 (en) 2019-02-21
US10967515B2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519B1 (ko)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342298B2 (ja) 作業機の遠隔操作装置及び遠隔操作方法
JP7068059B2 (ja) 遠隔操作方法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US20120185098A1 (en) Telematic interface with directional translation
JP2017041262A (ja) 移動ロボット用の制御機器、移動ロボット用のシステム及び移動ロボットを制御する方法
CN103148057B (zh) 一种对多关节液压机械臂进行控制的方法、设备和系统
CN103955231A (zh) 多关节机械臂智能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7039389B2 (ja)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制御方法
KR20180138161A (ko) 실시간, 장거리, 원격 용접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3359642B (zh) 一种塔机作业监控系统、方法和塔机
JP2019000910A5 (ko)
KR101536415B1 (ko) 이동로봇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5125457A (ja) 作業用移動ロボット
KR20220099657A (ko) 증강현실 기반의 수중로봇 원격제어 시스템
KR20220058674A (ko) 무선 전력 전송기술을 이용한 로봇 팔 관절 및 그 시스템
US20240033928A1 (en) Coordinate mapping for motion control
KR101181258B1 (ko)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다수의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ennel-Maushart et al. Multi-arm payload manipulation via mixed reality
JP2005161498A (ja) ロボット遠隔操作制御装置
KR20160142922A (ko) 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한 로봇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48484A (ja) 複数ロボットの協調動作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20210019174A (ko) 작업용 암을 구비하는 재난구조로봇
KR20140119568A (ko) 로봇 교시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21045816A (ja) 冗長自由度ロボットアームの操作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025986A (ja) ロボットの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