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476B1 -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476B1
KR101624476B1 KR1020160009581A KR20160009581A KR101624476B1 KR 101624476 B1 KR101624476 B1 KR 101624476B1 KR 1020160009581 A KR1020160009581 A KR 1020160009581A KR 20160009581 A KR20160009581 A KR 20160009581A KR 101624476 B1 KR101624476 B1 KR 10162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ating liquid
fixed
teeth
centr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철
Original Assignee
최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철 filed Critical 최동철
Priority to KR102016000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의 손바닥 및 손가락 부분을 코팅할 때 사용되는 코팅액에 미세한 기포가 함유되도록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파쇄하여 코팅액과 교반하고 이로인해 장갑의 코팅면에 미세한 숨구멍이 형성되어 착용 시 손에 땀이 차지 않고 촉감을 향상시킨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Micro bubble coating liquid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코팅장갑에 사용되는 코팅액에 미세기포를 함유시키기 위한 미세기포발생기로서, 그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청소가 용이하면서도 필요시에는 사용자가 그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장갑은 면을 직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면장갑은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어 맨손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보다 안전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완성된 면장갑의 손바닥부분, 손가락부분, 전면을 코팅처리한 코팅장갑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코팅장갑은 코팅층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 마찰력이 증대되고,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을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코팅장갑은 코팅면을 얇게 입히기 때문에 쉽게 갈라지며 쿠션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코팅에 의해 손에서 발생하는 땀이 배출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시 세균이 번식하여 피부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상기 문제점들로 인해 코팅액에 미세기포를 함유시켜 코팅장갑의 코팅면에 미세한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손에서 발생하는 땀을 배출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코팅액에 미세기포를 함유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등록특허공보 10-1077266에 기술된 코팅장갑용 코팅액의 폼 생성장치가 있다.
상기 코팅장갑용 코팅액의 폼 생성장치는 코팅액 및 공기의 공급로가 형성되는 지지단(10)과, 상기 지지단(10)의 상측에 적층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단(20)과, 상기 각 회전단(20)의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단(30) 및, 상기 최상측에 적층된 회전단(20)의 상측에 결합되어 마감하는 덮개(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단(20)과 고정단(30) 내부로 코팅액과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회전단(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사형의 날개잇 및 이의 회전력을 바탕으로 코팅액과 공기가 서로 분쇄되며 교반되고, 이로 인해 코팅액에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단지 회전단(20)의 상면에만 날개잇이 형성되어 주기적으로 공급되는 코팅액과 공기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코팅액과 공기를 효과적으로 교반하기 위한 코팅액 공급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2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로 코팅장갑에 사용되는 코팅액에 미세기포를 함유시키기 위한 미세기포발생기로서, 그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청소가 용이하면서도 필요시에는 사용자가 그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는 코팅액에 미세기포를 혼합시키는 미세기포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기포발생부는,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 및 코팅액이 각각 공급되는 공기주입구 및 코팅액주입구가 형성된 실링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도넛형태로서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다수개의 톱니가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톱니부를 포함하는 제1기포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앙샤프트; 상기 중앙샤프트에 결합된 도넛 형태로서 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톱니가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회전톱니부를 포함하는 제2기포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며 미세기포가 형성된 코팅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포발생부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도넛형태로서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다수개의 래칫(ratchet)형태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고정톱니부의 사이 마다 각각 한개씩 번갈아 위치하는 고정유격링을 포함하며, 각각의 고정톱니부 및 고정유격링은 상기 하우징과 각기 하나씩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며, 상기 제2기포발생부는 상기 중앙샤프트에 결합된 도넛 형태로서 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다수개의 래칫(ratchet)형태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회전톱니부의 사이 마다 각각 한개씩 번갈아 위치하는 회전유격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톱니부 및 회전유격링은 상기 중앙샤프트와 각기 하나씩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톱니부는 상기 고정유격링에 대응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회전유격링은 고정톱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1기포발생부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내부가 개방된 2개의 제1결합고정구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중앙샤프트가 삽입되는 제2기포발생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2기포발생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중앙샤프트와 나사결합되는 제2고정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 내측에 위치하며 중앙샤프트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 및 상기 연결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프로펠러의 외측에 씌워지며 원통형태의 미세한 그물망으로 형성된 원통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공급장치는, 미세기포발생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코팅액탱크; 및 미세기포발생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안정화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되는 다수개의 고정톱니부와 각각의 고정톱니부 사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톱니부에 의해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는 코팅액과 공기를 효과적으로 교반하여 매우 작은 입자의 미세기포를 코팅액에 함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회전톱니부는 각각의 고정유격링에 대응하도록 위치하며, 각각의 회전유격링은 각각의 고정톱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전하므로 하우징 내부공간에 빈틈없이 코팅액과 공기를 교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1기포발생부와 제2기포발생부가 톱니부와 유격링이 교대로 결합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그 설치되는 갯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미세기포의 발생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그 내부의 청소 및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가 사용되는 코팅장갑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의 제1기포발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의 제2기포발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제1기포발생부 및 제2기포발생부의 사용예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제1기포발생부 및 제2기포발생부의 사용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장갑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을 코팅장갑 제조장치(6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1000)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미세기포발생부(100)이며, 상기 미세기포발생부(100)의 일단에는 에어탱크(300)와 코팅액탱크(400)가 연결되어 미세기포발생부(100) 내부로 공기와 코팅액을 공급한다. 여기서 에어탱크(300)는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고 에어탱크(300)가 없이 대기 중에서 바로 공기를 흡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미세기포발생부(100)의 일단에는 회전모터(200)가 장착되어 중앙샤프트(150)를 회전시키는데, 미세기포발생부(100)의 중앙샤프트(150)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중앙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존재하는데, 미세기포발생기(100)로 주입되는 공기는 바로 미세기포발생기(100)로 주입될 수도 있으나, 베어링에 주입하고 베어링을 통해서 미세기포발생부(100)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베어링의 온도도 낮출 수 있고, 또한 주입되는 공기를 예열시켜서 미세기포 발생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공기와 코팅액이 교반되어 미세기포가 함유되면 코팅액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액 공급장치(100)의 타단에 연결된 안정화조(50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정화조(500)의 하면에는 파이프가 연결되어 코팅장갑 제조장치(600)에 코팅액을 공급할 수 있는데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안정화조(500)로 유입된 코팅액에 함유된 미세기포 중 비교적 작은 기포는 아래로 가라앉고 이보다 큰 기포는 코팅액의 위로 떠오르게 되므로 매우 미세한 기포가 함유된 양질의 코팅액이 코팅장갑 제조장치(60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1000)는 코팅장갑 제조공정 중에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을 코팅장갑 제조장치(6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미세기포발생기(100)는 하우징(110), 실링부(120), 제1기포발생부(140), 중앙샤프트(150), 제2기포발생부(160), 및 연결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공기와 코팅액이 교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코팅액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우징(110)의 일단에는 실링부(120)가 결합되며, 하우징(110)의 타단에는 연결부(180)가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기포발생부(14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형태로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기포발생부(140)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일반적인 돌출형 고정키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포발생부(140)를 고정하도록 하우징(110) 내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내부가 개방된 도너츠 형상의 2개의 제1결합고정구(111)가 형성된다. 여기서 2개의 제1결합고정구(111) 중에서 회전모터(200) 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고정구(111)는 고정된 형태이고, 연결부(180) 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고정구(111)는 나사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이다. 이는 회전모터 측에 형성된 제1결합고정구(111) 위에 고정톱니부와 고정유격부를 필요한 갯수만큼 결합시킨 후에 연결부 측에 형성된 제1결합고정구(111)를 나사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결합고정구(111)에 의해 상기 제1기포발생부(140)가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되어 무단으로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실링부(12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하우징(110)의 내부로 공기 및 코팅액이 각각 공급되도록 공기주입구(121) 및 코팅액주입구(1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120)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모터(200)와 상기 중앙샤프트(150)가 연결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샤프트(150)는 실링부(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모터(200)와 결합된다.
상기 실링부(12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일단은 밀폐되어 내부로 유입된 공기 및 코팅액이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121)는 상기 에어탱크(300)와 연결되고, 상기 코팅액주입구(122)는 코팅액탱크(400)와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내부로 공기 및 코팅액을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기포발생부(140)가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제1기포발생부(140)는 다수개의 고정톱니부(141) 및 상기 고정톱니부(141)의 사이 마다 각각 한개씩 번갈아 위치하는 고정유격링(142)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고정톱니부(141)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도넛형태로 형성되되 하우징(110)의 중심을 향하여 다수개의 톱니가 돌출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유격링(142)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도넛형태로서 하우징(110)의 중심을 향하여 다수개의 래칫(ratchet)형태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고정톱니부(141)의 사이 마다 각각 한개씩 번갈아 위치한다.
고정톱니부(141)의 톱니 형태 뿐 아니라, 고정유격링(142)의 말단의 래칫 형태는 미세기포의 생성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고정톱니부(141) 및 고정유격링(142)은 상기 하우징(110)과 각기 하나씩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갯수만큼 고정톱니부(141) 및 고정유격링(142)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미세기포의 발생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미세기포가 많이 생성되어야 하면 최대한 많은 갯수를 결합시키고, 미세기포의 발생을 적게 해도 되는 경우에는 적은 갯수의 고정톱니부(141) 및 고정유격링(142)을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톱니부(141) 또는 고정유격링(142)의 일부분이 파손 또는 마모로 인해 교체가 요구될 때 각기 한개씩 분리하여 새 부품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내부 청소시에는 전체를 분리하고 청소가 가능하므로 청소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하우징(110)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앙샤프트(150)가 위치한다.
상기 중앙샤프트(150)의 일단은 상기 회전모터(200)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타단은 상기 연결부(180)의 중앙에 결합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샤프트(150)에는 제2기포발생부(160)가 결합되며 상기 제2기포발생부(160)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제2결합고정구(151)가 중앙샤프트(150)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중앙샤프트(150)는 상기 제2기포발생부(160)가 결합된 상태로 회전모터(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2기포발생부(160)를 회전시키므로 하우징(11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와 코팅액을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결합고정구(151)는 제1결합고정구(111)와 마찬가지로, 중앙샤프트(150)의 양측에 각각 2개 설치된다. 여기서 2개의 제2결합고정구(151) 중에서 회전모터(200) 측에 형성되는 제2결합고정구(151)는 고정된 형태이고, 연결부(180) 측에 형성되는 제2결합고정구(151)는 나사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이다. 이는 회전모터 측에 형성된 제2결합고정구(151) 위에 회전톱니부와 회전유격부를 필요한 갯수만큼 결합시킨 후에 연결부 측에 형성된 제2결합고정구(151)를 나사 결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2결합고정구(151)에 의해 상기 제2기포발생부(160)가 중앙샤프트(150)에 고정되어 무단으로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앙샤프트(150)의 표면에 상기 중앙샤프트(150)가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고정구(151)와 나사결합하므로 상기 중앙샤프트(15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결합고정구(151)는 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중앙샤프트(150)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2기포발생부(160)는 회전톱니부(161) 및 회전유격링(162)을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9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회전톱니부(161)는 고정유격링(14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전하며, 회전유격링(162)은 고정톱니부(14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톱니부(161)는 하우징(110)의 외측을 향해 톱니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유격링(162)은 하우징(110)의 외측을 향해 다수개의 래칫(ratchet)형태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회전톱니부(161)의 사이 마다 각각 한개씩 번갈아 위치한다.
또한 상기 회전톱니부(161) 및 회전유격링(162)은 상기된 고정톱니부 및 고정유격링과 마찬가지로, 상기 중앙샤프트(150)와 각기 하나씩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여 상기 제2기포발생부(160)의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이 가능하다.
이로써 상기 회전유격링(162) 또는 회전톱니부(161)의 파손 또는 마모로 인해 교체가 요구될 때 각기 한개씩 분리하여 새 부품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부품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기포발생부(160)의 회전으로 인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코팅액이 교반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제1기포발생부(140)는 다수개의 고정톱니부(141) 및 각각의 고정톱니부(141) 사이 마다 위치하는 다수개의 고정유격링(142)으로 포함하고,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포발생부(160)는 중앙샤프트(150)와 결합된 상태이며 제2기포발생부(160)의 회전톱니부(161)는 상기 고정유격링(142)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회전유격링(162)은 상기 고정톱니부(141)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중앙샤프트(150)와 연결된 회전모터(20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톱니부(161) 및 회전유격링(162)이 회전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회전톱니부(161)는 고정유격링(14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전하는 것이므로 바꿔말하자면 고정유격링(142)의 전후로 위치하는 각각의 고정톱니부(141) 사이에서 회전하는 것이다.
이로써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코팅액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제2기포발생부(160)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는 제1기포발생부(14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코팅액에 미세한 기포가 함유되도록 교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80)는 상기 하우징(110)의 타단에 결합되며 안정화조(500)와 연결되고 배출구(170), 프로펠러(181), 및 원통망(182)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170)는 공기와 교반되어 미세기포를 함유하게 된 코팅액을 안정화조(5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안정화조(500)와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프로펠러(181)는 연결부(180) 내측에 위치하며 중앙샤프트(150)와 결합되어 회전한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181)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통망(182)은 상기 연결부(180)의 내측에 위치하고 미세한 그물망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하우징(110) 내부에서 교반되어 배출구(170)로 유입되는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은 프로펠러(181)의 회전으로 인해 미세한 그물망으로 형성된 원통망(182)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원통망(182)을 통과하면서 비교적 크기가 큰 기포는 더 작게 쪼게져 배출구(170)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코팅장갑용 거치대 회전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코팅액 공급장치
110...하우징
111...제1결합고정구
120...실링부
121...공기주입구
122...코팅액주입구
140...제1기포발생부
141...고정톱니부
142...고정유격링
150...중앙샤프트
151...제2결합고정구
160...제2기포발생부
161...회전톱니부
162...회전유격링
170...배출구
180...연결부
181...프로펠러
182...원통망

Claims (5)

  1. 코팅장갑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코팅액을 코팅장갑 제조장치로 공급하는 코팅액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공급장치는 코팅액에 미세기포를 혼합시키는 미세기포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기포발생부는,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 및 코팅액이 각각 공급되는 공기주입구 및 코팅액주입구가 형성된 실링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도넛형태로서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다수개의 톱니가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톱니부를 포함하는 제1기포발생부;
    상기 하우징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앙샤프트;
    상기 중앙샤프트에 결합된 도넛 형태로서 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톱니가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회전톱니부를 포함하는 제2기포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며 미세기포가 형성된 코팅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포발생부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도넛형태로서 하우징의 중심을 향하여 다수개의 래칫(ratchet)형태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고정톱니부의 사이 마다 각각 한개씩 번갈아 위치하는 고정유격링을 포함하며, 각각의 고정톱니부 및 고정유격링은 상기 하우징과 각기 하나씩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며,
    상기 제2기포발생부는
    상기 중앙샤프트에 결합된 도넛 형태로서 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다수개의 래칫(ratchet)형태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회전톱니부의 사이 마다 각각 한개씩 번갈아 위치하는 회전유격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톱니부 및 회전유격링은 상기 중앙샤프트와 각기 하나씩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 내측에 위치하며 중앙샤프트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프로펠러; 및
    상기 연결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프로펠러의 외측에 씌워지며 원통형태의 미세한 그물망으로 형성된 원통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연결부측에는
    제1기포발생부의 일측을 고정하도록 내부가 개방된 제1결합고정구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중앙샤프트가 삽입되는 제2기포발생부의 연결부측에는
    상기 제2기포발생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중앙샤프트와 나사결합되는 제2고정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 공급장치는,
    미세기포발생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코팅액탱크; 및
    미세기포발생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안정화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KR1020160009581A 2016-01-26 2016-01-26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KR10162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81A KR101624476B1 (ko) 2016-01-26 2016-01-26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81A KR101624476B1 (ko) 2016-01-26 2016-01-26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476B1 true KR101624476B1 (ko) 2016-05-25

Family

ID=5611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581A KR101624476B1 (ko) 2016-01-26 2016-01-26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51B1 (ko) * 2018-09-20 2020-04-01 주식회사 터치그린 수지 조성물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849A (ja) 2004-06-18 2006-01-05 Pcm Pompes 動的インライン混合装置
KR101219940B1 (ko) 2012-07-27 2013-01-09 강재열 코팅장갑용 코팅액 교반장치
KR101219915B1 (ko) * 2012-07-27 2013-01-09 강재열 코팅장갑용 코팅액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0849A (ja) 2004-06-18 2006-01-05 Pcm Pompes 動的インライン混合装置
KR101219940B1 (ko) 2012-07-27 2013-01-09 강재열 코팅장갑용 코팅액 교반장치
KR101219915B1 (ko) * 2012-07-27 2013-01-09 강재열 코팅장갑용 코팅액 교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51B1 (ko) * 2018-09-20 2020-04-01 주식회사 터치그린 수지 조성물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US11007494B2 (en) 2018-09-20 2021-05-18 Touch Green Co., Ltd.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apparatus and polyurea resin composition prepare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750B1 (ko) Led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진동 샤워기
US20150132041A1 (en) Cosmetic device
JP2016120166A (ja) 美容装置、その本体、および、そのヘッド
KR101624476B1 (ko) 미세기포가 함유된 코팅액 공급장치
KR102068353B1 (ko) 교반 장치
CN203167982U (zh) 一种荸荠清洗机
JP3502661B2 (ja) 連続加水混合装置
KR102532893B1 (ko) 유니트 체어를 결합한 피부 미용 통합 장치
KR101294265B1 (ko) 커피 원두 분쇄 수단 및 드립핑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머신
KR20110138659A (ko) 버블 절수 샤워기
JP6176692B1 (ja) シャワー装置、及び多機能シャワー装置
WO2017204205A1 (ja) 微細気泡混合液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1099104B1 (ko) 구근 탈피기
JP2012020233A (ja) 高濃度の気体溶存水の効率的製造装置
JP2005312910A (ja) 空気と水から成るマッサージ様の流れを生成するための衛生槽用機器
KR101309268B1 (ko) 피더
CN218604794U (zh) 一种面条机搅拌杯
JP4674982B2 (ja) 原料供給装置
JP2015223325A (ja) 義歯用研磨装置
KR101306251B1 (ko) 피더
CN217568696U (zh) 一种环保型手感整理剂生产用反应釜
JP4009674B2 (ja) 食品成形装置
CN209612727U (zh) 一种用于晶体内嵌墙体式低噪搅拌机
JP5428874B2 (ja) 薄板部材洗浄装置
JP3886671B2 (ja) 流動体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