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284B1 -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284B1
KR101624284B1 KR1020140101095A KR20140101095A KR101624284B1 KR 101624284 B1 KR101624284 B1 KR 101624284B1 KR 1020140101095 A KR1020140101095 A KR 1020140101095A KR 20140101095 A KR20140101095 A KR 20140101095A KR 101624284 B1 KR101624284 B1 KR 10162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event
gestur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836A (ko
Inventor
김현수
정경화
이신혜
김효정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84B1/ko
Priority to US15/501,355 priority patent/US20170228700A1/en
Priority to PCT/KR2015/008016 priority patent/WO2016021878A1/ko
Publication of KR2016001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에 대응하며 소정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검색하는 검색부와, 시간을 구분하는 타임라인(timeline) 상에, 타임라인의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상황인식 기반의 이동 서비스(Context Awareness based Mobile Service)에 대한 요구와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상황인식 기반 서비스란 사용자의 위치, 그 위치에서의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환경 요건들과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 등을 센서 정보에 대한 해석과 사용자 자신이 제시한 정보를 토대로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환경과 의도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제공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 단말기들은 위치인식을 포함하는 상황인식을 위한 센서들을 장착하고 실제 상황인식을 담당하는 상황인식 엔진을 자체기기 혹은 원격 서버에 두어 필요한 상황정보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상황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서비스는 필요한 경우 개인화 혹은 적응화 과정을 거쳐 실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0116384호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예측하고, 예측한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타임라인 상의 시간에 따라 제공하여 사용자는 관심있는 이벤트 내용 확인을 위한 검색 시간을 소모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예측하고, 예측한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타임라인 상의 시간에 따라 제공하여 사용자 마다 다른 이벤트 내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타임라인으로부터 시간 선택에 대응하는 과거 시간 및/또는 미래 시간에 대응하는 이벤트 내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에 대응하며 소정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시간을 구분하는 타임라인(timeline) 상에, 상기 타임라인의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징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브라우징 히스토리에 포함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상황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제외한 대중들의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대중 관심 이벤트를 검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중 관심 이벤트의 내용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 (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순위가 설정된 상기 이벤트 중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이벤트로서의 메인 이벤트 내용의 출력을 제어하고, 제3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메인 이벤트 내용과 관련된 세부 이벤트 내용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에서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에서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의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시간과 일치하는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수집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시간을 구분하는 타임라인(timeline) 상에, 상기 타임라인의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징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브라우징 히스토리에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제외한 대중들의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대중 관심 이벤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 관심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순위가 설정된 상기 이벤트 중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이벤트로서의 메인 이벤트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 및 제3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메인 이벤트 내용과 관련된 세부 이벤트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에서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에서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의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시간과 일치하는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예측하고, 예측한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타임라인 상의 시간에 따라 제공하여 사용자는 관심있는 이벤트 내용 확인을 위한 검색 시간을 소모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예측하고, 예측한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타임라인 상의 시간에 따라 제공하여 사용자 마다 다른 이벤트 내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타임라인으로부터 시간 선택에 대응하는 과거 시간 및/또는 미래 시간에 대응하는 이벤트 내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수집부(110), 생성부(120), 검색부(130),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110)가 수집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실시간 및/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라 함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정보라 함은, 사용자가 인터넷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문의할 검색어 일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 엔진 상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엔진은 해당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인터넷 검색 엔진(예를 들어 네이버)을 이용하여, 검색어로써 “류현진”을 입력할 수 있으며, 검색결과로 “류현진”과 관련된 인물정보, 뉴스, 웹사이트, 웹페이지, 동영상, 블로그, 이미지, 지식백과, 카페, 전문정보, 책, 지도, 뮤직, 관심 있는 정보를 누구나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오픈 캐스트, 연관 검색어, 매거진 등과 같은 정보들이 출력될 수 있다. 수집부(110)는 주기적으로 검색 엔진 상에 입력된 검색어 텍스트의 출현 횟수를 카운트하고, 검색어 텍스트의 출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해당 검색어 텍스트를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정보라 함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입력한 웹페이지 IP 주소 텍스트 및/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주기적으로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 IP 주소 텍스트 및/또는 URL 주소 텍스트의 출현 횟수를 카운트하고,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 IP 주소 텍스트 및/또는 URL 주소 텍스트의 출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해당 웹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 IP 주소 텍스트 및/또는 URL 주소 텍스트를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정보라 함은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문자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본문에 포함된 주제어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문자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 다른 사용자와 정보를 송수신 하는 경우, 해당 정보에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어 텍스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집부(110)는 본문 내에 출현하는 주제어 텍스트의 출현 횟수를 카운트하고, 주제어 텍스트 출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해당 주제어 텍스트를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음성인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로부터 주제어 음성을 추출하여, 주제어 음성의 출현 횟수를 카운트하고, 주제어 음성 출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해당 주제어 음성을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브라우징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우징 히스토리라 함은,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뉴스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를 실행할 수 있고, 관심있는 하나 이상의 주제들에 관한 뉴스 스토리들을 볼 수 있다. 브라우징 히스토리는 사용자가 본 각각의 뉴스 스토리에 대한 URL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특정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카운트하고, 특정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해당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인식된 특정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표시된 정보들 중 출현 횟수가 기설정 횟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주제어 텍스트 또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임의의 날짜에 스케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 정보라 함은, 날짜, 시간, 장소, 스케줄 제목, 만나는 사람 및/또는 처리해야 할 일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 정보 설정이 완료되면,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출력되는 달력 상에 해당 스케줄의 요약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거나, 스케줄을 실행해야 할 날짜 및 시간 전에 스케줄이 있음을 알람으로 제공하거나, 해당 시간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 정보는 그 출현 횟수와 관계없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집부(110)는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라 함은,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정보라 함은,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하는 관심정보 설정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며 이벤트 내용으로 수신하고자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테고리, 유형, 키워드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관심정보 설정 화면 상에서 공연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공연이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로 설정 완료된 후, 사용자 단말기로 공연이나 콘서트와 관련된 이벤트 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관심정보 설정 화면 상에서 여행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공연이 카테고리 또는 키워드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 단말기로 여행과 관련된 이벤트 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정보는 그 출현 횟수와 관계없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집부(110)는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정보를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황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성별, 나이, 광고 또는 애플리케이션 선호도, 일상적인 통근 경로, 방문, 통화 패턴(예컨대, 개인적/비즈니스 통화, 시간, 기간 등), 집/회사 주소, 웹 접속 기록, 검색 로그, 직업, 수입 월수입, 소비 패턴 등이 포함할 수 있으며, 시간, 위치, 이동 방향, 최근 위치, 움직임, 최근 통화 기록, 단문 메시지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상황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센싱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GPS, 타이머, 움직임 검출 디바이스, 자이로 센서 등으로 수집이 가능하며, 수집부(110)는 이러한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집부(110)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과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또는/및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되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싱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및/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생성부(120)는 수집부(110)가 수집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라 함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분석을 통하여 생성한 사용자가 관심 있어할 수 있는 잠재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는 실시간 및/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생성부(1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한 텍스트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20)는 류현진, WBC, 홈런과 같은 검색어 텍스트의 출현 개수 및 출현 빈도를 분석 및 분류를 통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야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생성부(120)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문자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본문에 포함된 콘서트, 가수, 예술의 전당과 같은 주제어 텍스트의 출현 개수 및 출현 빈도를 분석 및 분류를 통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공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생성부(120)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실행되는 인터넷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월드컵, 축구선수와 관련된 주제어들이 빈번하게 출현하는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에 자주 방문하는 경우(브라우징 히스토리에 해당함), 해당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축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2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한 스케줄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20)는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 종로 스타벅스 중국어 스터디의 스케줄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종로의 날씨, 사용자의 현 위치에서 종로 스타벅스까지의 이동 경로, 커피, 스타벅스, 스타벅스 쿠폰, 중국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20)는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해당 정보 및 해당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의 예측 관심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상황정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사용자의 이전 행동을 분석하여, 사용자에 맞는 트리거링 규칙(triggering rule)과 리셋 규칙(resetting rule)을 정의하고, 사용자의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링 규칙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 중에서 특정 상황에 처하게 되는 조건에 대한 것이고, 리셋 규칙은 사용자의 행동 패턴 중에서 특정 상황이 시작되는 조건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성인 남성 사용자가 지난밤 늦게 엔터테인먼트 지역에 위치한 경우, 다음날 아침에 해장국을 원할 것이라는 트리거링 규칙에 따라, 생성부(120)는 엔터테인먼트 지역에 위치한 다음날 아침에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해장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매주 5회씩 영어회화 공부를 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지난 주에 영어회화 공부를 5회 수행하여 사용자의 행동이 리셋된 후, 이번 주 들어 영어회화 공부를 아직 시작하지 않은 경우에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영어회화를 생성할 수 있다.
검색부(130)는 생성부(120)가 생성한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라 함은,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포함하거나,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정보로써, 예를 들어, 뉴스 정보, 웹사이트 정보, 웹페이지 정보, 블로그 정보, 이미지 정보, 카페 정보, 지도 정보, 콘텐츠 정보(동영상, 음악, 문서, 매거진, 책 등), 오픈 캐스트 정보, 쇼핑 정보, 광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상기 내용으로 국한하지 않고,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포함하거나,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와 관련하여 인터넷 상에서 검색 가능한 모든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는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시간정보라 함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간정보 이거나, 이벤트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류현진”과 관련된 예측 관심정보에 대하여 검색부(130)는 류현진의 등판일정(시간정보)이 포함된 웹사이트 정보, 웹페이지 정보, 블로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 종로 스타벅스 중국어 스터디의 스케줄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종로의 날씨, 사용자의 현 위치에서 종로 스타벅스까지의 이동 경로, 커피, 스타벅스, 스타벅스 쿠폰, 중국어에 대한 예측 관심정보에 대하여 검색부(130)는 오후 2시의 날씨 예측 정보, 지도 정보, 오후 2시에 사용 가능한 스타벅스 쿠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좋아하는 가수에 대한 예측 관심정보에 대하여 검색부(130)는 상기 가수가 새로운 앨범을 발표하는 시간을 포함하는 웹사이트 정보 또는 웹페이지 정보 및 새로운 앨범에 수록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음원정보를 포함하는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130)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에 대하여, 순위를 설정하고, 임의의 순위내의 이벤트만을 유효한 이벤트로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는 수없이 존재하므로 이를 모두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검색부(130)는 복수의 이벤트에 대하여 순위를 설정하고, 임의의 순위내의 이벤트만을 유효한 이벤트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검색 엔진들은 인터넷 키워드 검색 결과로써의 웹사이트들 또는 웹페이지들에 대한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웹사이트들 또는 웹페이지 상의 주제어 빈도 및 주제어 위치를 이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검색부(130)는 이벤트 상의 주제어 빈도 및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이벤트의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 종로 스타벅스 중국어 스터디의 스케줄 정보에 대하여 검출된 이벤트들, 예를 들어 오후 2시의 날씨 예측 정보, 지도 정보, 오후 2시에 사용 가능한 스타벅스 쿠폰 정보 등으로부터 제1 순위로 날씨 예측정보, 제2 순위로 지도정보, 제3 순위 스타벅스 쿠폰정보와 같은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130)는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제외한 대중들의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대중 관심 이벤트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대중 관심 이벤트라 함은, 사용자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대중들이 관심을 가지고 검색할 만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날씨, 운세, 실시간 교통정보, 사건/사고 정보, 영화 정보, 증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에 시간을 구분하는 타임라인(timeline)과 함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특히 시간을 구분하는 타임라인 상에, 타임라인의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타임라인은 시간을 구분하는 하나 이상의 시간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하는 직선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현될 수 있으며, 타임라인은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이벤트의 내용과 오버랩 되지 않도록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의 타임라인에 표시된 임의의 시간지시자 하부에 상기 시간 지시자와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시간이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140)는 타임라인 상의 오후 2시를 표시하는 시간 지시자 하부에, 오후 2시의 날씨 예측 이벤트의 내용, 지도 이벤트의 내용, 오후 2시에 사용 가능한 스타벅스 쿠폰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이벤트 들 중 메인 이벤트 내용들이 차례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라 함은, 사용자가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짓(예를 들어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 전자펜,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조작하는 동작, 또는 글래스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의 착용 시에, 웨어러블 기기를 조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탭이라 함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빠르게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 닿는 시점인 터치-인 시점과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인 터치-아웃 시간 간의 시간 차이가 매우 짧은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터치&홀드라 함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임계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터치-인 시점과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 입력이 탭인지 터치&홀드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드래그라 함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후술할 패닝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패닝이라 함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패닝은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브젝트가 페이지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 자체가 화면 내에서 이동하거나, 오브젝트의 그룹이 페이지 내에서 이동한다.
또한 메인 이벤트 내용이라 함은,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순위가 설정된 이벤트들 중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이벤트 내용이라 함은, 제어부(140)에 의해 순위가 설정된 이벤트들로부터 검색된 주제어 및 주제어와 관련되어 생성하거나 검색한 배경화면을 합성한 이벤트 타이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이라 함은, 타임라인 상의 현재 시간 지시자를 기준으로 미래의 시간 지시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이라 함은, 타임라인 상의 현재 시간 지시자를 기준으로 과거의 시간 지시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3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메인 이벤트 내용과 관련된 세부 이벤트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이벤트 내용이라 함은,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순위가 설정된 이벤트들 중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제외한 나머지 순위의 이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부 이벤트 내용이라 함은, 제어부(140)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타이틀 정보 하부에 출력되는 순위가 설정된 이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이벤트 내용은 메인 이벤트 내용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이라 함은, 메인 이벤트 내용을 시작으로 세부 이벤트 내용이 출력될 수 있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서, 수직 하향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4 방향이라 함은, 세부 이벤트 내용을 시작으로 메인 이벤트 내용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서, 수직 상향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타임라인의 시간 표시자 하부에는 세부 이벤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메인 이벤트와, 하나 이상의 세부 이벤트 정보가 존재하는 메인 이벤트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메인 이벤트들이 출력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복수개의 메인 이벤트들에 대해서는 순위를 설정하여 순위 순으로 메인 이벤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타임라인의 시간 지시자는 오후 4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오후 4시를 표시하는 시간 지시자 하부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설정되고 오후 4시에 신곡을 발표하는 가수의 음원을 들을 수 있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간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타임라인의 시간 지시자는 오전 11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오전 11시를 표시하는 시간 지시자 하부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설정되고 오전 11시에 등판한다고 보도하는 야구선수 류현진과 관련된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 및/또는 제2 방향의 제스처에 의하더라도,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는 대중 관심 이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타임라인 상에서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타임라인 상에서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이 이벤트의 내용을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인이 이벤트 내용 상에서의 사용자 제스처라면, 해당 내용은 이벤트 내용을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인이 타임라인 상에서의 사용자 제스처인 차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40)는 타임라인 상의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예를 들어 탭 또는 더블 탭 등)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시간 지시자와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라인 상의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는, 현재 시간이 표시된 타임라인 상에서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 또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한 후의 타임라인 상에서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 등을 포함하여 타임라인 상에서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모든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수집부(110)가 수집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생성부(120)가 생성한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 검색부(130)가 검색한 이벤트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상기 정보들은 실시간 및/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1에서 저장부(150)가 정보 제공 시스템(1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저장부(15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서 존재할 수 있고,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이하 설명되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 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은, 유선 회로망을 통해 전기 신호가 소통되는 것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망을 통한 전기 신호의 소통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NW)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구별되고 사용자 단말기(T1, T2, T3, …, Tn)와 분리된 채 네트워크(NW)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본 실시 예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기 내에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T1)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T1)에 오프라인을 통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도 1의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일부(100A)는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일부(100B)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수집부(110), 생성부(120), 검색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일부(100A)는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일부(100A)가 사용자 단말기(T1)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도 3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부재들 중 저장부(150)를 포함하는 다른 일부(100B)는 사용자 단말기(T1) 외부에 형성되어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저장부(150)가 일부(100B)로서 사용자 단말기(T1)와 네트워크(NW)로 연결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네트워크(NW)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T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정보 제공 서버(100S)로 구현되고, 사용자 단말기(T1)가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100S)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서버(100S)는 데이터베이스(200D)와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200D)에 저장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00S)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기(T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00S)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200D)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200D)의 내용은 도 1의 저장부(150)의 내용과 동일하다.
사용자 단말기(T1)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100S)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1)는 정보 제공 서버(100S)에 접속하여 검색어 입력 없이도 제공되는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100S)는 사용자 단말기(T1)를 구비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검색하고, 시간을 구분하는 타임라인과 함께 이벤트 내용의 출력을 제어하며, 타임라인 상의 임의의 시간과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이 타임라인(610) 상의 시간 지시자에 따라 상기 시간 지시자와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제공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오늘 날짜 2014년 7월 19일을 기준으로 오전 11시에는 사용자의 예측정보에 대응하고 11시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로써 “류현진”과 관련된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현재 시간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로써 이벤트 타이틀 정보, 날씨 정보, 지도 정보, 스타벅스 정보, 스타벅스 쿠폰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오늘 날짜 2014년 7월 19일을 기준으로 오후 4시에는 사용자의 예측정보에 대응하고 오후 4시에 신곡을 발표하는 가수의 음원을 들을 수 있는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정보 제공 화면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610)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이벤트 들 중 메인 이벤트 내용이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되도록 하고, 타임라인(610)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메인 이벤트 내용과 관련된 세부 이벤트 내용이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상에서 타임라인(610)을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1 방향의 시간 지시자와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의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타임라인(610)의 시간 지시자는 오후 4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오후 4시를 표시하는 시간 지시자 하부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설정되고 오후 4시에 신곡을 발표하는 가수의 음원을 들을 수 있는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상에서 타임라인(610)을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2 방향의 시간 지시자와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의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타임라인(610)의 시간 지시자는 오전 11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오전 11시를 표시하는 시간 지시자 하부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설정되고 오전 11시에 등판한다고 보도하는 야구선수 류현진과 관련된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의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610)을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3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세부 이벤트들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의 (a)는 예를 들어 현재 시간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사용자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메인 이벤트 내용 즉, 이벤트 타이틀 정보로부터 세부 이벤트 내용을 보기 위해 제3 방향으로 1차 제스처를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b)는 메인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세부 이벤트 내용을 보기 위해 제3 방향으로 1차 제스처 수행 결과에 따른 제1 세부 이벤트 내용으로서 날씨 정보를 보여주고 있고, 제2 세부 이벤트 내용을 보기 위해 제3 방향으로 2차 제스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도 8의 (c)는 제3 방향으로 2차 제스처 동작 수행 결과에 따른 제2 세부 이벤트 내용으로서 지도 정보를 보여주고 있고, 제3 세부 이벤트 내용을 보기 위해 제3 방향으로 3차 제스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d)는 제3 방향으로 3차 제스처 동작 수행 결과에 따른 제3 세부 이벤트 내용으로서 스타벅스 관련 정보를 보여주고 있고, 제4 세부 이벤트 내용을 보기 위해 제3 방향으로 4차 제스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e)는 제3 방향으로 4차 제스처 동작 수행 결과에 따른 제4 세부 이벤트 내용으로서 스타벅스 쿠폰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세부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메인 이벤트 내용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경우 제4 방향의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610) 상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이벤트 들 중 메인 이벤트 내용이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 제스처 수신에 의해 이벤트의 내용을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라면, 도 9는 제스처 수신에 의해 이벤트의 내용이 아닌 타임라인(610) 자체를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이점이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상에서 타임라인(610) 상의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1 방향의 시간 지시자와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의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610) 상의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타임라인(610)의 시간 지시자는 오후 4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오후 4시를 표시하는 시간 지시자 하부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설정되고 오후 4시에 신곡을 발표하는 가수의 음원을 들을 수 있는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T1) 상에서 타임라인(610) 상의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2 방향의 시간 지시자와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의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타임라인(610) 상의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타임라인(610)의 시간 지시자는 오전 11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오전 11시를 표시하는 시간 지시자 하부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설정되고 오전 11시에 등판한다고 보도하는 야구선수 류현진과 관련된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의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610) 상의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시간 지시자와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 2014년 7월 19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610) 상의 오후 4시를 나타내는 시간 지시자를 선택하는 제스처의 수신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로 설정되고 오후 4시에 신곡을 발표하는 가수의 음원을 들을 수 있는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 포함하는 메인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S10). 여기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한 텍스트 정보, 사용자의 브라우징 히스토리를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가 수집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한다(S20).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한 텍스트 정보, 사용자의 브라우징 히스토리를 정보,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 사용자가 설정한 임의의 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상황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 생성이 완료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검색한다(S30).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에 대하여, 순위를 설정하고, 임의의 순위내의 이벤트만을 유효한 이벤트로 검색할 수 있고, 유효한 이벤트에 대하여 순위를 설정하고, 임의의 순위내의 이벤트만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제외한 대중들의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대중 관심 이벤트를 검색할 수 있다.
이벤트 검색이 완료되면,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시간을 구분하는 타임라인과 함께 이벤트 내용의 출력을 제어하며, 시간을 구분하는 타임라인 상에, 타임라인의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로 출력한다(S40).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메인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로 출력할 수 있고,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3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메인 이벤트 내용과 관련된 세부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로 출력할 수 있고, 타임라인을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으로부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 상의 제1 방향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로 출력할 수 있고, 타임라인 상의 제2 방향 제스처 수신에 의해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임라인 상의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시간과 일치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내용을 사용자 단말기(T1)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정보 제공 시스템
110: 수집부
120: 생성부
130: 검색부
140: 제어부
150: 저장부

Claims (23)

  1.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 검색 결과로부터 순위를 설정하고 소정 순위 내의 이벤트들을 유효한 이벤트들로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유효한 이벤트들 중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메인 이벤트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제외한 이벤트들을 세부 이벤트로 설정하며, 시간을 구분하는 하나 이상의 시간 지시자를 포함하는 타임라인(timeline) 상의 상기 시간 지시자 각각의 하부에 상기 메인 이벤트 및 상기 세부 이벤트를 정렬하여 표시하고, 미래 또는 과거의 상기 시간 지시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메인 이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인 이벤트가 출력중인 상황에서 하향 방향으로써의 제3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메인 이벤트를 시작으로 상기 세부 이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부 이벤트가 출력중인 상황에서 상향 방향으로써의 제4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세부 이벤트를 시작으로 상기 메인 이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징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브라우징 히스토리에 포함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상황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제외한 대중들의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대중 관심 이벤트를 검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중 관심 이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이벤트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이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이벤트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이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의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시간과 일치하는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정보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벤트 검색 결과로부터 순위를 설정하고 소정 순위 내의 이벤트들을 유효한 이벤트들로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유효한 이벤트들 중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메인 이벤트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제외한 이벤트들을 세부 이벤트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시간을 구분하는 하나 이상의 시간 지시자를 포함하는 타임라인(timeline) 상의 상기 시간 지시자 각각의 하부에 상기 메인 이벤트 및 상기 세부 이벤트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미래 또는 과거의 상기 시간 지시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메인 이벤트가 출력중인 상황에서 하향 방향으로써의 제3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메인 이벤트를 시작으로 상기 세부 이벤트를 출력하고, 상기 세부 이벤트가 출력중인 상황에서 상향 방향으로써의 제4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세부 이벤트를 시작으로 상기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브라우징 히스토리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브라우징 히스토리에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예측 관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정보를 제외한 대중들의 관심정보에 대응하는 대중 관심 이벤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 관심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9. 삭제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포함하는 이벤트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 수신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timeline) 상의 임의의 시간을 선택하는 제스처 수신에 대응하여, 선택된 시간과 일치하는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23. 제 12항 내지 제 18항 및 제 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01095A 2014-08-06 2014-08-06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2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95A KR101624284B1 (ko) 2014-08-06 2014-08-06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5/501,355 US20170228700A1 (en) 2014-08-06 2015-07-30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PCT/KR2015/008016 WO2016021878A1 (ko) 2014-08-06 2015-07-30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95A KR101624284B1 (ko) 2014-08-06 2014-08-06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836A KR20160017836A (ko) 2016-02-17
KR101624284B1 true KR101624284B1 (ko) 2016-06-08

Family

ID=5526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095A KR101624284B1 (ko) 2014-08-06 2014-08-06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228700A1 (ko)
KR (1) KR101624284B1 (ko)
WO (1) WO2016021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657B1 (ko) * 2015-08-18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2078627B1 (ko) * 2017-11-14 2020-02-19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입력 컨텐츠와 연관된 실시간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1119426A (ja) * 2018-04-24 2021-08-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77620A1 (en) * 2018-10-19 2020-04-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Timeline user interface
US11222061B2 (en) * 2019-03-28 2022-01-11 Facebook, Inc. Generating digital media clusters corresponding to predicted distribution classes from a repository of digital media based on network distribution histor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15B1 (ko) * 2005-09-09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이벤트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7647353B2 (en) * 2006-11-14 2010-01-12 Google Inc. Event searching
KR100923505B1 (ko) * 2007-04-30 2009-11-02 주식회사 이스트엠엔에스 사용자 관심도를 반영한 정보검색 랭킹 시스템 및 그 방법
CA2601154C (en) * 2007-07-07 2016-09-13 Mathieu Audet Method and system for distinguising elements of information along a plurality of axes on a basis of a commonality
KR20100116384A (ko) 2009-04-22 2010-11-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32431B1 (ko) * 2010-04-14 2012-03-30 엔에이치엔(주)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30006693A1 (en) * 2011-06-29 2013-01-03 Haynes Iii James M Planning a Meeting or Event
US20130179837A1 (en) * 2011-10-17 2013-07-11 Marcus Eriksso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US8554873B1 (en) * 2012-10-05 2013-10-08 Google Inc. Custom event and attraction sugges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28700A1 (en) 2017-08-10
KR20160017836A (ko) 2016-02-17
WO2016021878A1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3132B2 (ja) ユーザ選択されたコンテンツに対するアクション提案
KR101624284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57395A1 (en) On-device sensor data inferences
AU2010259036B2 (en) Providing search results to a computing device
US9141702B2 (en)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a device
JP2007264764A (ja) コンテンツ選別方法
JP5859611B2 (ja) 意味的地域に基づいて検索語を推薦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6004763A1 (zh) 业务推荐方法和具有智能助手的装置
US20100017109A1 (en) Adding destinations to navigation device
KR101290325B1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EP27284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in
JP2007148476A (ja) 情報検索支援システム、情報検索支援方法、検索支援モジュール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検索支援プログラム
KR20140056635A (ko)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2058987A (ja) ユーザにアプリケーションを推薦する配信サーバ及び配信方法
KR101682163B1 (ko) 광고 웹 페이지 내 연락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연락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40037495A (ko) 위치 기반의 주변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6021B1 (ko) 어플리케이션 내부검색방법 및 시스템
JP2015114527A (ja) ユーザのデータ入力に応じて情報提供を行うための端末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方法
KR101677556B1 (ko) 생태 관광 정보 제공 방법
KR20130083707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화된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KR101487540B1 (ko)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498323B2 (ja) 周辺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周辺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08763264B (zh) 基于车辆的智能搜索系统及其搜索方法
KR101654186B1 (ko) 어플리케이션 내부검색방법 및 시스템
KR101955524B1 (ko) 지능형 정보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