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325B1 -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325B1
KR101290325B1 KR1020120004482A KR20120004482A KR101290325B1 KR 101290325 B1 KR101290325 B1 KR 101290325B1 KR 1020120004482 A KR1020120004482 A KR 1020120004482A KR 20120004482 A KR20120004482 A KR 20120004482A KR 101290325 B1 KR101290325 B1 KR 10129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travel
mobile terminal
search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703A (ko
Inventor
박성배
박세영
이상조
김권양
노태길
손정우
윤희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3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 중 상기 여행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 여행지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수집 가능한 자신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만으로 자동으로 생성되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자신이 방문한 여행지와 관련된 적절한 여행지 컨텐츠를 추천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ERSONALIZED CONTENTS OF A TRAVER DESTINATION BASED ON USER POSITION LOG OF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관심사에 부합되는 여행지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개개인의 다양한 관심 정보에 부합할 수 있는 개인화된 서비스(personalized service)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화된 서비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그러한 관심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귀찮아 하거나, 자신의 관심사를 올바르게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와 관련된 웹 컨텐츠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소형화된 스마트폰의 자판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검색란에 여행지 검색어를 입력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 여행지 등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관심 여행지가 변화될 경우에는 사용자 개인의 관심 여행지와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수정하지 않는 한, 변화된 사용자의 관심사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가 관심을 덜 가지게 된 다른 분야의 컨텐츠가 불필요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행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의 경우 자신이 관심 있어 할 새로운 여행지를 추천받고 싶어하지만, 여행지를 추천하는 기존의 서비스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여, 사용자가 덜 관심을 가지는 여행지의 정보가 무분별하게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여행지 관련 컨텐츠를 찾아내는데 많은 시간을 들이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의 검색어나, 그 밖의 자신의 관심 여행지 분야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Log)로부터 자동으로 생성되는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와 관련된 최적화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과 유사한 토픽의 여행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할 여행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 중 상기 여행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기록하는 수단;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와 관련된 여행지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기록하는 수단; 복수 개의 여행지를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들을 저장하는 여행지 검색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여행지 검색어들 중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위치 로그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위치 정보와 위치 로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여행지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여행지 컨텐츠를 검색하는 여행지 추천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여행지 컨텐츠를 검색하는 여행지 추천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를 나타내는 검색어나, 그 밖의 자신의 관심 여행지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로부터 자동으로 생성되는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와 관련된 최적화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에 내재된 토픽과 유사한 토픽의 여행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사용자의 관심 여행지 분야에 보다 더 부합되는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지 않는 여행지 컨텐츠를 필터링하는데 소모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를 실행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검색어 추출부(121)가 추출한 검색어를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토픽 추출부(55)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105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1102에서 문서의 표제어 벡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3)에 표시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모듈'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모듈' 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모듈'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블록', '~모듈' 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블록', '~모듈' 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들을 나타내는 검색어, 또는 그 밖의 사용자의 관심 여행지의 분야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의 입력 없이도, 해당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Log)에 기반하여 해당 여행지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여행한 특정 여행지에 관한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해당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과 유사한 토픽의 여행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관심 여행지 분야에 보다 더 부합되는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10)와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대표적인 예에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notebook) 컴퓨터 등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하거나,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한다.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여행지 컨텐츠를 검색한다.
기존의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한 여행지와 관련된 개인 프로파일에 따라 해당 프로파일에 관련된 여행지 컨텐츠를 추천하거나,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직접 여행지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의 두 가지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 전자의 경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미리 사용자의 관심 여행지 분야를 입력받아야 한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여행지 검색어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로 전송되고, 여행지 추천 서버에서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여행지 검색어를 추출하여 해당 여행지 검색어에 부합하는 여행지 컨텐츠를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이 과거에 여행한 여행지를 잘 기억하지 못하거나, 과거에 여행한 여행지의 정확한 장소명을 잊어버릴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를 기억한다 하더라도, 이동 단말기의 검색란에 해당 여행지의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을 번거로워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존재한다. 특히, 최근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자판의 크기에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 여행지 검색어를 정확하게 입력하는데 어려움도 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검색란에 특정 여행지들의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이동 단말기에 기록된 위치 로그로부터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들과 관련된 적절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의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생성된 여행지 검색어를 활용하여 보다 사용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여행지의 추천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에 대해 제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는 위치 로그 기록 수단(11),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 및 디스플레이부(13)로 구성된다. 위치 로그 기록 수단(11)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Log)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111)과, 로그 파일(1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위치 로그(Log)는 이동 단말기(1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들의 이력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GPS 모듈(111)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성들로부터의 거리와 시간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삼각 방법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GPS 모듈(111)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로그 파일(112)에 기록한다. 로그 파일(112)에는 시간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의 이력, 즉 위치 로그가 기록된다. 로그 파일(112)에 기록된 위치 로그는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가 GPS 모듈(111)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제공되거나,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가 로그 파일(112)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가 GPS 모듈(111)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여행지 추천 서버(20)에 마련된 로그 파일에 시간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의 이력이 기록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는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여행지 추천 서버(20)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해당한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서버에서 다운로드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를 설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여행지 추천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여행지 추천 리스트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외에,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이동 단말기(10)에 더 포함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는 여행지 추천 서버(2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이동 단말기(10)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전화기인 경우, 이동 단말기(10)는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의 폰 모듈(phon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21), 여행지 검색어 데이터베이스(이하, '여행지 검색어 DB'로 칭함)(22), 검색 엔진(23) 및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이하, '컨텐츠 DB'로 칭함)(24)로 구성된다.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21)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들을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여행지 검색어 DB(22)는 다양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들을 나타내는 검색어를 저장한다. 특정 여행지에 대한 여행지 검색어는 해당 여행지의 국문 명칭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국문 명칭은 물론, 해당 여행지에 대해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명칭이나, 영문 명칭 등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치 로그 중 여행지에 해당하는 특정 위치 정보에 대한 여행지 검색어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21)는 여행지 검색어 DB(22)에 저장된 여행지 검색어들 중,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를 추출함으로써,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검색 엔진(23)은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21)에 의해 추출된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 DB(24)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와 관련된 여행지 컨텐츠를 검색하며, 검색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로 구성된 웹 페이지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 또는 위치 기록 수단(11)으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시간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의 이력이 기록된 위치 로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이동 단말기(10)의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기(10)는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전송한다. 이 때,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는 GSP 모듈(111) 또는 로그 파일(112)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가 GPS 모듈(111)이나 로그 파일(112)로부터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로 전송된 다음,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그러면,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21)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이용하여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예를 들어, 하루나 일주일, 또는 한 달 등의 일정 시간 간격마다 여행지 검색어 DB(22)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가 제공하는 설정변경 화면을 통해 여행지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간 간격을 변경할 수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설정은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되며, 여행지 서버(20)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설정에 따라, 여행지 검색어 DB(22)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여행지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위치 정보와 위치 로그 중 위치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미리 설정한 통신 주기마다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위치 정보를 여행지 추천 서버(20)에 마련된 로그 파일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시간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의 이력을 나타내는 위치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21)는 여행지 추천 서버(20)에서 생성한 위치 로그 중 여행지 검색어 DB(22)에 여행지로 등록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를 여행지 검색어 DB(22)로부터 추출함으로써,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여행지 추천 서버(20)가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위치 로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위치 로그 중 여행지 검색어 DB(22)에 여행지로 등록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여행지 검색어 DB(22)에 저장된 여행지 검색어들 중 추출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를 추출함으로써,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거나 여행지 추천 서버(20)에서 생성한 위치 로그에 포함된 위치 정보의 이력으로부터, 여행지에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시간 이상 일정 영역 내에서 유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일정 영역 내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의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를 생성하고, 해당 여행지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특정 여행지 근처를 지나쳐 가거나, 특정 여행지의 화장실에 잠깐 들르는 등의 경우에는 해당 여행지와 관련된 토픽을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서 배제하고, 일정 영역 내에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문 경우에만 해당 여행지에 내재된 사용자의 관심사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동 단말기(10)는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 그 자체를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하는 대신,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을 요청하는 신호(이하,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로 칭함)로서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사용자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과 유사점을 갖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와는 달리,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에 여행지 검색어가 포함되는 대신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가 포함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는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두 가지 모드의 여행지 추천 옵션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존의 여행지 추천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직접 이동 단말기(10)의 검색란에 여행지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기존과 달리, 사용자가 직접 여행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들을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여행지 추천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을 실행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는 검색란(131)과 검색 실행 버튼(132) 및 자동 검색 버튼(133)이 표시된다. 이 때,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검색란(131)을 터치하면, 전자의 모드가 실행되어 검색어의 입력을 위한 자판이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란(131)에 여행지 검색어를 입력한 후 검색 실행 버튼(132)을 터치하면,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는 사용자가 입력한 여행지 검색어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자동 검색 버튼(133)을 터치하면, 후자의 모드가 실행되어 사용자가 여행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생성된 여행지들의 검색어에 의해 여행지 추천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로부터 여행지를 추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81에서,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는 위치 기록 수단(11)으로부터 제공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러한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는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의 검색어가 포함되지 않은 신호이다.
단계 82에서,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검색어들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만약,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가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제공되는 경우,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미리 정해진 통신 주기마다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전송받고,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로부터 추출한 위치 정보의 이력을 로그 파일에 기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여행지 추천 서버(20)의 로그 파일에 기록된 위치 로그를 이용하여 여행지 검색어를 여행지 검색어 DB(22)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가 포함된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가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되면,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21)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21)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 중 여행지 검색어 DB(22)에 여행지로 등록된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 정보들에 대응하는 여행지의 검색어들을 여행지 검색어 DB(22)에서 추출함으로써,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 83에서, 검색 엔진(23)은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21)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여행지 검색어들을 이용하여 컨텐츠 DB(24)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여행지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러한 컨텐츠의 예에는 인터넷과 같은 웹을 통해 검색 가능한 기사, 동영상, 블로그, 모바일 컨텐츠 등의 컨텐츠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84에서,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검색 엔진(23)에서 검색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웹 페이지 형식으로 작성하여 무선통신망(3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러면, 단계 85에서, 여행지 추천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단계 81 중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 밖의 일부의 단계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의 대표적인 예에는 RAM, ROM, EPROM, EEPROM, HDD, CD-ROM, 이동식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자신이 과거에 여행한 여행지들의 검색어를 이동 단말기(10)에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의 검색어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들과 관련된 컨텐츠, 예를 들면, 해수욕장의 개장시기나 해당 여행지 근처의 펜션, 또는 여행지 주변 음식점 등의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에 해당하는 구성들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121)와 여행지 검색어 DB(122)가 여행지 추천 서버(20)에 구비되는 대신, 이동 단말기(10)의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에 구비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91에서,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에 포함된 위치 정보들의 이력으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의 검색어들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여행지 검색어 DB(122)에는 다양한 여행지 위치 정보들에 대응하는 여행지 검색어들이 저장되어 있다.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121)는 위치 기록 수단(11)의 로그 파일(112)로부터 제공받은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에 포함된 위치 정보들 중 여행지 검색어 DB(122)에 여행지로 등록된 위치 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들에 대응하는 여행지들의 검색어를 여행지 검색어 DB(122)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121)에 의해 추출된 여행지 검색어들은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121)에 의해 추출된 여행지 검색어가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121)는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에 포함된 위치 정보들 중 여행지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121)는 여행지 검색어 DB(122)에 저장된 여행지 검색어들 중 추출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해운대', '경포대'라는 여행지 검색어를 추출하고, 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의 검색란(131)에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검색 명령 버튼(132)을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해운대 경포대'를 검색어로 하는 여행지 추천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92에서,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는 여행지 검색어 DB(122)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한 여행지 검색어들을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여행지 추천 서버(20)로 전송한다. 단계 93에서,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수신한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 DB(24)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과 관련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검색한다. 단계 94에서, 여행지 추천 서버(20)는 검색 엔진(23)에서 검색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웹 페이지 형식으로 작성하여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단계 95에서, 여행지 추천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표시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의 위치 로그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의 검색어가 자동으로 생성되므로,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는 자신이 과거에 여행한 여행지들을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여행지와 관련된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이 과거에 여행한 여행지들을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들을 이동 단말기(10)의 검색란(131)에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자동 검색 버튼(133)을 입력하는 등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12)에서 자동으로 생성한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을 추출하면, 해당 여행지들을 방문한 사용자에게 보다 최적화된 여행지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은 특정 여행지 검색어를 기반으로 하여, 물리적인 위치를 중심으로 여행지의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비록 물리적으로는 특정 여행지와 떨어져 있지만 해당 여행지와 유사한 토픽의 다른 여행지를 추천받기를 원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을 추출하고, 추출한 토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할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여행지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이하, '여행지 컨텍스트 DB'로 칭함)(58)로부터 여행지를 추천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40)는 GPS 모듈(411)과 로그 파일(412)로 구성된 위치 기록 수단(41),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42) 및 디스플레이부(43)를 포함한다.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42)는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과거에 여행한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에 관련된 여행지 컨텐츠의 추천 리스트를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다.
여행지 추천 서버(50)의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51)는 이동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나, 위치 로그, 또는 위치 정보나 위치 로그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이동 단말기(40)의 위치 로그 중 여행지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들을 추출한다. 여행지 검색어 DB(52)에는 다양한 위치 정보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여행지 검색어들이 저장되어 있다.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51)는 여행지 검색어 DB(52)에 저장된 여행지 검색어들 중,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과거에 여행한 여행지들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들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단순히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과거에 방문한 여행지들의 물리적인 위치나 명칭만으로는 해당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여행지들의 토픽을 찾아내기 어렵다. 사용자가 과거에 방문한 여행지들의 토픽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해당 여행지들에 내재한 토픽을 추출하기 위한 관심 여행지 컨텍스트(context)를 필요로 한다. 관심 여행지 컨텍스트를 얻기 위해, 검색 엔진(53)은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51)에서 생성한 여행지 검색어들을 이용하여 컨텐츠 DB(54)로부터 사용자가 여행한 관심 여행지와 관련된 관심 여행지 문서들을 검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101 내지 103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81 내지 83과 대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검색 엔진(53)에 의해 검색된 관심 여행지 문서들은 이동 단말기(50)의 사용자가 방문한 여행지들과 관련된 토픽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 여행지 문서의 검색에는 특별한 제약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관심 여행지 문서들은 일반적인 웹에 개시된 여행지 문서들을 검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때, 관심 여행지 문서는 검색 엔진에서 제공하는 스니펫을 활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스니펫은 문서 요약 기술을 이용하여 각 문서에서 핵심 내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매우 간결한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서의 주제를 더 명확하게 표현해줌과 동시에 문서에서 의미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문장들은 자동으로 걸러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여행지 컨텍스트를 명확하게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SNS 서비스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특정 여행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손쉽게 공유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자료를 관심 여행지 문서로 수집하여 해당 관심 여행지 문서에 내재된 토픽을 찾아내는데 활용할 수 있다. 검색 엔진(53)에서 검색한 관심 여행지 문서는,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할 여행지에 관한 보다 최적화된 여행지 정보를 여행지 컨텍스트 데이터베이스(이하, '여행지 컨텍스트 DB'로 칭함)(58)로부터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토픽 추출부(55)로 입력된다. 여행지 컨텍스트 DB(58)는 컨텐츠 DB(54)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여행지 컨텍스트 DB(58)는 다양한 여행지들의 검색어를 활용하여 컨텐츠 DB(54)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여행지들의 문서를 저장함으로써 구축될 수 있다.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104에서, 토픽 추출부(55)는 관심 여행지 문서들로부터 관심 여행지의 토픽을 도출하고, 여행지 컨텍스트 DB(58)의 여행지 문서들 각각으로부터 여행지 문서의 토픽들을 도출한다. 이 때, 각 문서(컨텍스트)에 내재한 토픽들을 벡터 성분으로 나타냄으로써 토픽 벡터를 도출할 수 있다. 특정 여행지들을 여행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의 관심사는 대체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여행한 해당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여행한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을 도출하여 사용자의 관심사를 파악함으로써,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여행지 추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관심 여행지 문서들의 토픽과의 유사성에 기반하여, 여행지 컨텍스트 DB(58) 중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여행지 문서들을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토픽 추출부(55)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토픽 추출부(55)는 단어 추출부(551),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 및 토픽 벡터 도출부(553)로 구성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105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의 각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각 문서에 내재한 토픽을 벡터 성분으로 나타내는 토픽 벡터를 도출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101에서, 단어 추출부(551)는 검색 엔진(53)에 의해 검색된 관심 여행지 문서들과, 여행지 컨텍스트 DB(58)에 저장된 여행지 문서들의 각 문서에 대해,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들 중 해당 문서에 내재된 토픽과 관련된 복수 개의 단어들을 추출한다. 단어의 추출은 형태소의 분석 기법을 통해 문서를 구성하는 각 문장을 어절 단위로 끊고, 어절 내에 있는 단어들 중 문장을 가장 잘 표현하는 품사 중의 하나인 명사를 추출하고, 불필요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불용어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문서에서 단어를 추출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1102에서,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단어 추출부(551)에 의해 추출된 각 문서의 단어들로부터 표제어 벡터를 도출한다. 이 때,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들의 단어 빈도수(term frequency) 및 문서 빈도수(document frequency)를 반영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여행지 문서들과 상기 여행지 문서들의 각 문서에 내재된 토픽을 추출하기 위한 표제어 벡터들을 도출한다.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예를 들면, 해당 문서에 포함된 각 단어의 tf-idf 값으로부터 각 단어의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tf(term frequency)-idf(inverse document frequency)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어 빈도수와 문서 빈도수에 기초하여 특정 문서 내의 단어가 해당 문서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해운대', '경포대'라는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관심 여행지 문서들은 '여행'이나 '해수욕장' 등의 단어에 대한 tf 값이 높을 것이고, 특정 문서에서 자주 반복되는 단어들은 해당 문서의 토픽에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클 것이다. 다만, 관심 여행지 문서들 중 특정 문서 외의 다른 문서들에도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들은 idf 값이 작을 것이고, 이는 여행지 컨텍스트에 내재한 토픽이 아닐 가능성이 클 것이다.
도 11은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표제어 벡터는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들과 백과사전에서 미리 분류된 표제어들의 정의를 구성하는 문서에 포함된 단어들이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가에 근거하여 각 문서의 구성에 특정 표제어가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표제어의 대표적인 일 예로는 영화, 음악, 미술, 만화, 스포츠, 여행, 공연, 오페라, 정치, 경제 등을 들 수 있다. 관심 여행지 문서들과 여행지 문서들의 각 문서 T는 단어 추출부(551)에 의해 추출된 단어들의 집합 {wi}으로 나타낼 수 있다.
관심 여행지 문서들의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 wi의 tf-idf 값 vi는 해당 문서의 단어 wi의 빈도수와, 관심 여행지 문서들 중 해당 문서를 제외한 다른 문서들의 단어 wi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여행지 컨텍스트 DB(58)의 여행지 문서들의 각 문서에 포함된 단어 wi의 각 표제어 ej에 대한 연관성을 kij로 나타내면, kij는 해당 문서의 단어 wi와 미리 분류된 표제어 ej에 대한 백과사전의 정의를 구성하는 문서와, 해당 표제어를 제외한 표제어에 대한 백과사전의 정의를 구성하는 다른 문서들에 해당 단어 wi가 포함된 빈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각 단어 wi에 대해 vi×kij 값을 성분으로 하는 N차원의 표제어 벡터 EWi를 도출하고, 각 단어에 대한 표제어 벡터들 EW1, EW2,.., EWi의 합으로부터, 각 문서에 대한 표제어 벡터 ET를 도출한다. 이 때, N은 미리 분류된 표제어의 전체 개수이다. 즉, 표제어 벡터 도출부(552)는 각 표제어에 대응하는 성분이 ∑wi ∈T(vi×kij)의 가중치 값을 갖는 벡터를 문서의 표제어 벡터 ET로 도출한다. 이러한 문서의 표제어 벡터의 각 성분은 해당 문서가 각 표제어와 얼마나 연관을 보이는지를 나타낸다.
단계 1103에서, 토픽 벡터 도출부(553)는 관심 여행지가 여러 곳일 경우, 각 관심 여행지에 대한 문서들의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들의 합으로부터 특정 관심 여행지의 토픽 벡터 EP1 내지 EPX를 도출한다. 인덱스 X는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51)에서 추출한 여행지 검색어의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토픽 벡터 도출부(553)는 각 여행지에 대한 관심 여행지의 토픽 벡터 EP1 내지 EPX의 합을 최종적인 사용자의 관심 여행지의 토픽 벡터 EP로 도출한다. 그리고, 토픽 벡터 도출부(553)는 여행지 컨텍스트 DB(58)의 각 여행지 문서에 대하여 도출한 표제어 벡터를 해당 여행지 문서의 토픽 벡터 EA로 도출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106에서, 유사도 비교모듈(57)은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토픽 추출부(55)에서 도출한 관심 여행지의 토픽 벡터 EP와 여행지 문서의 토픽 벡터들 EA 사이의 유사도들을 산출한다.
Figure 112012003597641-pat00001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심 여행지의 토픽은 곧 그 여행지를 여행한 사람의 관심 분야를 대표한다. 특정 사용자의 관심 분야 EH는 그 사람이 여행한 여행지들의 토픽 벡터 EP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여행지 문서의 토픽 벡터 Ai로 표현된 여행지 문서에 관심을 가질 정도는 결국 관심 여행지의 토픽 벡터 EP와 여행지 문서의 토픽 벡터 EAi의 수학식 1과 같은 유사도에 기초하여 유추할 수 있으며, 높은 유사도 값을 가지는 여행지 문서로부터 내림 차순으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가장 관심을 가질만한 여행지 추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수학식 1은 여행지 문서의 토픽 벡터와 관심 여행지의 토픽 벡터의 유사도를 벡터의 내적을 통해 산출하는 하나의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수학식 1 외의 벡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행지 추천 리스트 작성부(59)는 유사도 비교모듈(57)의 유사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40)의 위치 로그에 기록된 여행지들과 관련된 여행지 문서의 리스트를 유사도가 높은 상위의 여행지 문서 순으로 작성하고, 이를 무선통신망(30)을 통해 이동 단말기(40)로 전송한다. 단계 107에서, 여행지 추천 서버(50)로부터 전송된 여행지 문서의 추천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3)를 통해 표시된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여행지 추천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부(43)에 표시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검색란(431)에 여행지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자신이 방문한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에 관련된 여행지 추천 리스트(434)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과거에 '해운대', '경포대'를 여행하였을 때, '해운대'와 '경포대'의 여행지들에 내재된 '해수욕장', '여행' 등의 토픽과 유사한 토픽을 가지는 '광안리', '속초해수욕장' 등의 여행지 추천 리스트가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에는 여행지들의 토픽과 유사한 토픽을 갖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여행지 추천 리스트가 우선 순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3)의 검색 결과란에 여행지 추천 리스트(434)가 표시되며,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검색 결과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여행지를 터치함에 따라, 해당 여행지의 정보가 링크된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가 더보기 버튼(433)을 터치하면, 다음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여행지 추천 리스트(434)로 갱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 여행지를 파악하기 위한 명시적인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단지 자동적으로 수집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40)의 위치 로그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생성되는 검색어를 통해, 자신의 관심사에 알맞은 여행지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자신이 여행한 여행지들에 내재된 토픽에 기반하여, 유사한 토픽 순으로 다른 새로운 여행지의 추천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지 않을 만한 여행지 컨텐츠들은 필터링되므로,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추천된 여행지 컨텐츠 중 자신이 필요로 하는 여행지 정보를 찾기 위해 소모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여러 개로 분산된 구성 요소들은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40: 이동 단말기 11,41: 위치 기록 수단
111, 411: GPS 모듈 112,412: 로그파일
12, 42: 여행지 추천 애플리케이션부 121: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
122: 여행지 검색어 DB 13, 43: 디스플레이부
20, 50: 여행지 추천 서버 21, 51: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
22, 52: 여행지 검색어 DB 23, 53: 검색 엔진
24, 54: 컨텐츠 DB 30: 무선 통신망
55: 토픽 추출부 551: 단어 추출부
552: 표제어 벡터 도출부 553: 토픽 벡터 도출부
57: 유사도 비교모듈 58: 여행지 컨텍스트 DB
59: 여행지 추천 리스트 작성부

Claims (21)

  1.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 중 상기 여행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여행지 문서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여행지 문서와,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여행지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미리 분류된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관심 여행지의 토픽 및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상기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관심 여행지의 토픽 및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토픽들의 유사도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유사도들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와 관련된 여행지 문서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여행지를 나타내는 여행지 검색어들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위치 로그에 포함된 위치 정보들 중 여행지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추출된 상기 위치 정보의 이력에 기초하여, 추출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여행지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여행지 추천 서버가 상기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 개의 여행지 검색어 중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검색란에 자동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여행지의 토픽 및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여행지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단어들의 단어 빈도수(term frequency)와, 문서 빈도수(document frequency)를 반영한 가중치 및 추출된 상기 단어들과 상기 복수 개의 표제어를 정의하는 백과 사전 내에 포함된 단어들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및
    각 관심 여행지 문서의 표제어 벡터의 합으로부터 관심 여행지의 토픽 벡터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관심 여행지의 토픽을 추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들을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토픽 벡터들로 도출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정보와 위치 로그 중의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위치 정보와 위치 로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를 여행지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여행지 컨텐츠를 검색하는 여행지 추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여행지 추천 서버는,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검색된 여행지 컨텐츠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여행지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여행지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미리 분류된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관심 여행지의 토픽 및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의 상기 표제어들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토픽 추출부;
    추출된 상기 관심 여행지의 토픽과,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토픽들의 유사도들을 산출하는 유사도 비교모듈; 및
    산출된 상기 유사도들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와 관련된 여행지 문서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여행지 추천 리스트 작성부를 포함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추천 서버는,
    복수 개의 여행지 검색어를 저장하는 여행지 검색어 데이터베이스;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검색어 중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추출하는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이용하여 여행지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지 검색어 추출부는 상기 여행지 추천 요청 신호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검색어 중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위치 로그에 대응하는 여행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 검색어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토픽 추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여행지 문서와,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각 문서로부터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추출된 상기 단어들의 단어 빈도수(term frequency)와, 문서 빈도수(document frequency)를 반영한 가중치 및 추출된 상기 단어들과 상기 표제어들을 정의하는 백과 사전 내에 포함된 단어들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상기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를 도출하는 표제어 벡터 도출부; 및
    각 관심 여행지 문서의 표제어 벡터의 합으로부터 관심 여행지의 토픽 벡터를 도출함으로써 상기 관심 여행지의 토픽을 추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각 문서의 표제어 벡터들을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토픽 벡터들로 도출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 문서의 토픽들을 추출하는 토픽 벡터 도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KR1020120004482A 2012-01-13 2012-01-13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KR10129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82A KR101290325B1 (ko) 2012-01-13 2012-01-13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82A KR101290325B1 (ko) 2012-01-13 2012-01-13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703A KR20130083703A (ko) 2013-07-23
KR101290325B1 true KR101290325B1 (ko) 2013-07-26

Family

ID=4899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482A KR101290325B1 (ko) 2012-01-13 2012-01-13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108B1 (ko) * 2014-09-05 2016-06-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특성 및 여행지 특성에 기반한 여행지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713291B1 (ko) * 2014-11-06 2017-03-10 (주)에이엔티홀딩스 여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35044B1 (ko) * 2015-12-08 202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 서버 및 이벤트 제안방법
WO2017126841A1 (ko) * 2016-01-18 2017-07-27 (주)도일시스템즈 내 · 외부 완충지대를 갖춘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기반 지정지역 자동안내시스템
KR101688029B1 (ko) * 2016-01-18 2016-12-22 (주)도일시스템즈 지오펜싱기술 기반 안내 시스템
CN109903191B (zh) * 2019-01-04 2023-09-1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机器学习的旅行推荐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2144550B1 (ko) * 2019-07-30 2020-08-13 주식회사 네이처링크 사용자 위치 기반의 여행 기록 지원 시스템
KR102365941B1 (ko) * 2020-01-28 2022-02-23 신동원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802A (ko) * 2010-02-23 2011-08-31 (주)비비엔미디어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802A (ko) * 2010-02-23 2011-08-31 (주)비비엔미디어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703A (ko)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325B1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US202303060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tity extraction and disambiguation
US8352455B2 (en) Processing a content item with regard to an event and a location
US7953687B2 (en) Knowledge discovery system with user interactive analysis view for analyzing and generating relationships
TWI461939B (zh) 補充文章內容之方法、設備、電腦可讀取紀錄媒體、電腦程式產品、以及電腦系統
JP5603337B2 (ja) バーティカル提案により検索要求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5406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n intent space and estimating intent based on an intent space
US8880559B2 (en) Location activity search engine computer system
US20110246496A1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based on user's intention
CN105069103B (zh) App搜索引擎利用用户评论的方法及系统
US201700979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knowledge representation
US201200302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need fulfillment
US201601885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ws event organization
Geiß et al. Neckar: A named entity classifier for wikidata
US201601625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20135891A (ja) 検索提案を提供する方法、装置、機器及び媒体
Crestani et al. Mobile information retrieval
WO2020248378A1 (zh) 业务查询方法、装置及存储介质、计算机设备
US20160299951A1 (en) Processing a search query and retrieving targeted records from a networked database system
KR100902674B1 (ko) 문서 탐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3365915A (zh) 基于搜索引擎和数据库查询系统的搜索结果排名方法
KR101319024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화된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컨텐츠 검색 시스템
US11314793B2 (en) Query processing
US11494450B2 (en)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s
JP7438272B2 (ja) 検索インテント単位のブロックを生成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