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114B1 - Apparatus for monitoring backward area of two-wheel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nitoring backward area of two-whee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114B1
KR101624114B1 KR1020140178695A KR20140178695A KR101624114B1 KR 101624114 B1 KR101624114 B1 KR 101624114B1 KR 1020140178695 A KR1020140178695 A KR 1020140178695A KR 20140178695 A KR20140178695 A KR 20140178695A KR 101624114 B1 KR101624114 B1 KR 10162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vibration
motorcycle
back side
whee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송무
김해현
이승재
임수환
최희재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이송무
김해현
이승재
임수환
최희재
김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송무, 김해현, 이승재, 임수환, 최희재, 김병기 filed Critical 이송무
Priority to KR102014017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1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1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back side of a two-wheeled vehicle to report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an object existing on the back side of a two-wheeled vehicle or even a vehicle warning sound generated around the two-wheeled vehicle in a tactile manner. The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back side of a two-wheeled vehicle comprises: a back side object detection device which includes multiple distance measurement sensors distributed and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frame of a two-wheeled vehicle including front and rear wheels, and receives and analyzes sensing values of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s to calculate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back side object positioned on the back side of the two-wheeled vehicle; and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devices which are distribu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a driver of a two-wheeled vehicle, and are embodied in a wearable type, wherein vibration or no vibration and vibration intensity are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back side object.

Description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BACKWARD AREA OF TWO-WHEEL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본 발명은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를 통해 이륜차 후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위치 및 거리를 촉각 방식으로 사용자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motorcycle rear monitoring device that enables a user to guide a position and a distance of an object existing behind a two-wheeled vehicle through a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device in a tactile manner.

자전거와 같은 이륜차는 교통수단, 레저 수단, 및 운동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전거는 자동차와 달리 백미러나 사이드 미러와 같이 쉽게 뒤를 볼 수 있는 기능이 없어 후방 혹은 후측방에서 일어나는 일을 인지하기가 어렵다.[0002] Motorcycles such as bicycles are widely used as transportation means, leisure means, and exercise means. Unlike automobiles, bicycles do not have the ability to look back easily like rearview mirrors or side mirrors,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what happens behind or behind the car.

정상인의 경우 청각을 이용하여 경고음, 예를 들어 자동차의 경음기 소리 혹은 주변의 누군가가 외치는 소리를 듣고 상황을 인지하여 사고를 피할 수 있으나, 청각장애인은 후방에서 나는 경고음도 들을 수가 없으므로 정상인에 비해 사고의 위험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 자전거 교통사고에서 가장 흔한 꺾어진 골목길에서 갑자기 튀어나오는 자동차와의 추돌사고의 경우에도 정상인의 경우는 대부분 자동차 소리를 통해 기척을 느끼고 대처할 수 있으나 청각 장애인의 경우는 이러한 대처가 불가능해 시야가 많이 제한되는 골목길에서 사고를 당할 위험이 정상인에 비하여 높다.In normal people, it is possible to avoid accidents by listening to a warning sound, for example, a sound of the vehicle's horn or a person crying by someone nearby. However, since a hearing-impaired person can not hear a warning sound from the rear, Of the population. In the case of a collision with a car that suddenly pops out from the most common folded alleyway in a bicycle traffic accident, most of the normal people can feel the reaction through the sound of a car, but in the case of a hearing-impaired person, The risk of an accident in the alleyway is higher than in normal people.

이에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48875호에서는 손등 또는 손바닥, 신체의 일부에 부착수단을 통해 후방 주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미러와 표시부를 구비하는 착용형 자전거용 안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48875호에 따르면, 이륜차 운전자가 고개를 숙여 착용형 자전거용 안전장치를 바라보아야 했으므로, 이륜차 운전자의 전방 주시 집중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48875 discloses a safety device for a wearable bicycle having a mirror and a display unit which enable a user to watch the back of the user's hand or a palm or a part of the body through attachment means. However,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48875, a driver of a motorcycle has to look down at a safety device for wearing bicycle by bending his / her head.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를 통해 이륜차 후방 상태를 촉각 방식으로 사용자 안내함으로써, 이륜차 운전자가 청각 장애를 가지고 있더라도 후방 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하고 이와 동시에 전방주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ward state of the motorcycle is guided by the tactile manner through the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device, so that even when the motorcycle driver has the hearing impairment, And to provide a motorcycle rear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continuing the monitoring state.

또한 이륜차 주변에서 발생하는 각종 차량 경고음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torcycle rear monitoring device that can guide a user of various vehicle warning sound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a motorcycl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 후륜을 구비한 이륜차의 프레임 후방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의 센싱값을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이륜차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를 산출하는 후방 물체 감지 장치; 및 이륜차 운전자의 신체 양쪽에 분산되어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진동 여부 및 진동 강도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를 포함하는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ance measurement sensors distributed in a rear portion of a frame of a motorcycle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And calculates a position and a distance of a backward object located behind the two-wheeled vehicle; And a first and a second wearing-typ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 which ar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worn dispersedly on both sides of a body of a motorcycle driver and that are different in vibration intensity and vibration intensity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rear object, Lt; / RTI >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장치는 상기 이륜차의 프레임 후방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 상기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 각각의 진동 여부, 진동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센싱 신호 처리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ar object detect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dispersedly disposed behind the frame of the two-wheeler, and measuring a distance to the rear object;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ens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to calculate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rear objec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wearer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are vibrating A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vibr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es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장치는 상기 이륜차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및 상기 마이크로 폰을 통해 감지된 소리를 분석하여, 차량 경고음을 추출하는 경고음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ar object sensing device includes a microphone for sensing a sound around the motorcycle; And a warning sound extracting unit for analyzing the sound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extracting a vehicle warning sound.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량 경고음이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 경고음 발생을 통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추가 생성 및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additionally generating and outputting a third control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vehicle warning sound when the vehicle warning sound has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 각각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진동 소자를 이용한 진동을 발생하되, 신호 종류 및 신호 세기에 따라 진동 패턴을 달리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earer-type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ar object sensing device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vibr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vibration using the vibration element in response to one of the first to third control signals,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varies a vibration pattern according to a signal type and a signal intensity .

본 발명에서는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이륜차 후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이륜차 운전자의 신체 양쪽의 촉각을 다양한 방식으로 자극함으로써, 청각 장애인도 후방 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각 자극 방식이 아니라 촉각자극 방식으로 사용자 안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이륜차 운전자가 전방 주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후방 상태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device, which stimulates the tactile sense of both sides of the bicycle driver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wo-wheeled motor vehicle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easily recognize the rear state do. Also, the user guidanc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tactile stimulation method instead of the visual stimulation method, so that the motorcycl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rear state while maintaining the forward gazing state.

뿐 만 아니라 이륜차 주변에서 발생하는 차량 경고음도 촉각 방식으로 사용자 안내함으로써, 청각 장애인도 이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Not only that, but also the warning beeps that occur in the vicinity of the motorcycle are guided by the tactile system, so that the hearing-impaired can easily recognize it.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torcycle rea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motorcycle rear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torcycle rea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nly.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torcycle rea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는 전, 후륜을 구비한 이륜차의 프레임 후방(특히, 안장 후방)에 배치된 후방 물체 감지 장치(100)와 이륜차 운전자의 신체 양쪽(예를 들어, 양쪽 손, 양쪽 손목, 양쪽 귀, 양쪽 다리 등)에 분산되어 착용되는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 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torcycle rear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object detecting device 100 disposed at the back of a frame (in particular, a saddle rear) of a motorcycle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210 and 220 worn dispersedly on both sides (e.g., both hands, both wrists, both ears, both legs, etc.).

본 발명의 후방 물체 감지 장치(100)는 이륜차의 프레임 후방(특히, 안장 후방)의 좌측과 우측에 걸쳐 분산 배치된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111~113), 신호 처리부(120), 무선 통신부(130), 전원 공급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ar object det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111 to 113 distribu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of the motorcycle (in particular, the rear of the saddle), a signal processing unit 120, 130, a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like.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111~113) 각각은 3각 측량 방식(적외선 이용식, 자연광 이용식), 초음파 방식을 이용하여 거리 측정 센서와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111 to 113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and the rear object by using a triangulation method (infrared using, natural light using) or an ultrasonic method.

신호 처리부(120)는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111~113) 각각의 센싱값을 수신 및 분석하여, 이륜차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륜차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 각각의 진동 여부, 진동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한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and analyzes the sensing valu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111 to 113 and calculates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rearward object located behind the two-wheeled vehicle. And generates and outputs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vibration and vibration intensit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a rear object located behind the two-wheeled vehicle.

더하여, 본 발명의 신호 처리부(120)는 거리 측정 센서(111~113)가 안장 후미에 설치되는 경우, 이륜차의 후륜 바퀴를 후방 물체로 검출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가 있음을 고려하여, 후방 물체의 거리가 후륜 바퀴 거리 이내이면 이를 쓰레기값 처리한다. 즉, 후륜 바퀴와의 거리를 기반으로 후방 물체 측정 결과를 필터링함으로써, 후륜 바퀴에 의한 오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s 111 to 113 are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saddle stall,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an error in detecting the rear wheels of the two- Is within the rear wheel distance, the garbage value is processed. That is, by filtering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rear object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rear wheel, the occurrence of the error caused by the rear wheel is blocked in advance.

무선 통신부(130)는 지그비,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 220)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es 210 and 220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Zigbee, Bluetooth, and Wi-Fi.

전원 공급부(140)는 충전용 배터리 또는 건전지를 구비하고, 충전용 배터리 또는 건전지에 저장된 전압을 이용하여 후방 물체 감지 장치(100)의 동작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도록 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40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or a battery and generates and supplies operation power of the rear object sensing apparatus 100 using the voltage stor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or the battery.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 220) 각각은 장갑, 아대, 이어폰, 패치 등과 같이 운전자의 양쪽 손, 양쪽 손목, 양쪽 귀, 양쪽 다리 등에 착용 및 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며, 무선 통신부(211,221), 제어부(212,222), 진동 소자(213,223), 전원 공급부(214,224), 버튼부(215,225), 및 표시부(216,2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210 and 220 is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worn and attached to both hands, both wrists, both ears, and both legs of the driver, such as gloves, And may include communication units 211 and 221, control units 212 and 222, vibration devices 213 and 223, power supply units 214 and 224, button units 215 and 225, and display units 216 and 226.

무선 통신부(211,221)는 후방 물체 감지 장치(100)내 무선 통신부(140)와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후방 물체 감지 장치(10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211 and 221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rear object sensing apparatus 100 using the sam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s tha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in the rear object sensing apparatus 100 and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제어부(212,222)는 신호 처리부(130)가 제공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소자(213,223)를 이용한 진동을 발생하되, 신호 종류 및 신호 세기에 따라 진동 패턴을 달리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s 212 and 222 generate vibrations using the vibration elements 213 and 223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and vary vibr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signal type and signal intensity.

예를 들어, 후방 물체가 후방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좌측에 착용된 제1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가, 후방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우측에 착용된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20)가, 후방 물체가 후방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 220)가 동시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 발생 위치만으로 후방 물체가 현재 어디에 위치하는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방 물체와 이륜차와의 거리에 따라 진동 강도를 달리해줌으로써, 진동 강도를 통해 후방 물체와의 거리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rear object is located on the rear left side, the first wearable tactile prompting device 210 worn on the left side of the user is positioned on the rear right side,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210 and 220 simultaneously oscillate when the rear body 220 is positioned at the rear center of the rear body, As shown in FIG. In addition, by varying the intensity of vibr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object and the two-wheeled vehicle, the distance from the rear object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through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전원 공급부(214,224)는 충전용 배터리 또는 건전지를 구비하고, 충전용 배터리 또는 건전지에 저장된 전압을 이용하여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 220의 동작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도록 한다. The power supply units 214 and 224 are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or a battery, and generate and supply operating power of the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es 210 and 220 using voltages stored in a rechargeable battery or a battery.

버튼부(215,225)는 전원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를 통해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button units 215 and 225 include a power button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otorcycle rear monitoring device operates.

표시부(216,226)는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상태, 전원 공급부(214,224)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The display units 216 and 226 visually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motorcycle rear monitor device,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s 214 and 224, and the like.

더하여,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 220) 각각이 제어부(212,222)를 구비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하나의 제어부가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 220) 모두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 당연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earing-type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210 and 220 includes the control units 212 and 222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f necessary,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both th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es 210 and 220 as well.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111~113)를 세 개의 그룹으로 분류된 후, 제1 그룹 센서(111)는 후방 좌측 방향으로, 제2 그룹 센서(112)는 후방 중앙 방향으로, 제3 그룹 센서(113)는 후방 우측 방향으로 배치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3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motorcycle rear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111 to 113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the first group sensor 111 is arranged in the rear left direction and the second group sensor 112 is arranged in the rear left direction. Rear center direction, and the third group sensor 113 is arranged in the rear right direction.

만약, 물체 A가 이륜차 후방으로 점차 접근하여 센싱 가능 거리 이내로 진입하게 되면,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111~113)는 물체 A를 감지, 물체 A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시작한다. If the object A gradually approaches the rear of the two-wheeled vehicle and enters the sensing range,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111 to 113 detect the object A and start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object A.

그리고 신호 처리부(120)는 삼각 측량 기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111~113)의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물체 A의 위치 및 거리를 측정한 후,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220)의 진동 여부 및 진동 강도를 결정하여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220)에 통보하도록 한다. T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analyze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111 to 113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to measure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object A, and then,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The wear and tear strength of the wearable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210 and 220 is determined and the first and second wearer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210 and 220 are informed.

이에 물체 A가 이륜차 후방 좌측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가 물체 A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세기(즉, 물체 A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진동 세기가 증가함)로 진동하게 되고, 물체 A가 이륜차 후방 우측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20)가 물체 A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세기(즉, 물체 A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진동 세기가 증가함)로 진동하게 되고, 물체 A가 이륜차 후방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220)가 물체 A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세기(즉, 물체 A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진동 세기가 증가함)로 동시 진동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object A is located in the rear left area of the motorcycle, the intensity of the first wearable tactile prompting device 210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ject A (i.e., the vibration intensity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A approaches) When the object A is located in the rear right region of the motorcycle, the intensity of the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device 220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ject A (i.e., the closer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A is, When the object A is located in the rear central region of the two-wheeled vehicle,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210 and 220 have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to the object A (that is, And the vibration intensity increases as the vibration frequency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의 신호 처리부(120)는 삼각 측량 기법 대신에 거리 측정값을 비교 동작을 통해 물체 A의 위치를 유추할 수도 있다. Als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object A through a comparison operation of distance measurement values instead of the triangulation method.

참고로, 후방 물체가 후방 좌측에 있을 때에는 제1, 제2, 제3 그룹 센서 순으로 측정 거리가 길어지고, 후방 우측에 있을 때에는 제3, 제2, 제1 그룹 센서 순으로 측정 거리가 길어지고, 후방 물체가 이륜차 후방 중앙에 있을 때에는 제2 그룹 센서의 측정 거리가 가장 짧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신호 처리부(120)는 제1, 제2, 제3 그룹 센서 순으로 측정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후방 물체가 이륜차 후방 좌측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후 제1 그룹 센서를 통해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제3 그룹, 제2 그룹, 제1 그룹 센서 순으로 측정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후방 물체가 이륜차 후방 우측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후 제3 그룹 센서를 통해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제2 그룹 센서의 측정 거리가 가장 짧은 경우에는 후방 물체가 이륜차 후방 중앙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후 제2 그룹 센서를 통해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도록 한다. When the rear object is located on the rear left side, the measurement distan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up sensors, and when the rear object is on the rear right side, the measurement distan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third, second, When the rear object is located at the rear center of the motorcycle, the measurement distance of the second group sensor becomes the shortest. If the measurement distan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up sensors,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rear object is located on the rear left side of the two-wheeled vehicle, And when the measurement distan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third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first group sensor,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r object is located on the rear right side of the two-wheeled vehicle, and then the distance If the second group sensor has the shortest measurement dist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r object is located at the rear center of the motorcycle, and t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object and the rear object is calculated through the second group sensor.

또한,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111~113)를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는 데, 이러한 경우에는 후방 물체와의 측정 거리가 짧은 그룹 센서 쪽에 후방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그룹 센서와 제2 그룹 센서의 측정 거리가 유사한 경우에는 후방 물체가 이륜차 후방 중앙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후, 제1 및 제2 그룹 센서의 측정 거리 평균치를 후방 물체와의 거리로 산출하도록 한다.
Also,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111 to 113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ear object on the group sensor side having a short distance from the rear object. If the first group sensor and the second group sensor have similar measurement distances,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r object is positioned at the rear center of the two-wheeled vehicle, and then the average of the measured dist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group sensors is calculated as the distance to the rear object .

뿐 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는 청각 장애인의 경우 이륜차 주변에서 발생하는 차량 경고음을 들을 수 없음을 고려하여, 도6와 같은 구성을 통해 차량 경고음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통보하기 위한 촉각자극 동작도 추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motorcycle rea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actile stimulation operation for notifying a driver of a hearing-impaired person when a vehicle alarm sound is generate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additional operations.

도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torcycle rea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후방 물체 감지 장치(100)는 도1의 구성 요소이외에 이륜차 주변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151), 마이크로 폰(152)는 차량 경고음 정보를 구비하고, 차량 경고음 정보을 기반으로 마이크로 폰(151)이 감지한 소리에 포함된 차량 경고음을 추출하는 경고음 추출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rear object detec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151 for detecting various sound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motorcycle, a microphone 152, And a warning sound extracting unit 152 for extracting a vehicle warning sound included in the sound detected by the microphone 151 based on the vehicle warning sound information.

그리고 신호 처리부(120)는 경고음 추출부(152)을 통해 추출된 차량 경고음을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이륜차 운전자에 차량 경고음 발생을 통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추가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한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0 further generates and outputs a third control signal for notifying the driver of the motor vehicle when the vehicle alarm sound extracted through the alarm sound extracting unit 152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그러면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210, 220) 각각은 후방 물체 감지 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경고음 발생을 통보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하도록 한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earer-type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210 and 220 causes vibration to be generated to notify the vehicle beep occurrence in response to the third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rear object sensing apparatus 100.

다만, 제3 제어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제1 및 제2 제어 신호에 따른 진동과 구별되는 진동 패턴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재 발생된 진동이 차량 경고음 발생에 따른 것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However,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third control signal may have a vibration pattern distinguishable from the vib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vibration generated at present is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vehicle warning sound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전, 후륜을 구비한 이륜차의 프레임 후방에 분산 배치된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의 센싱값을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이륜차의 후방에 위치한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를 산출하는 후방 물체 감지 장치; 및
이륜차 운전자의 양쪽 손 또는 손목 각각에 분산되어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진동 여부 및 진동 강도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장치는
상기 이륜차의 프레임 후방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후방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
상기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후방 물체의 위치 및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 각각의 진동 여부, 진동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고, 상기 후방 물체의 거리가 상기 후륜 바퀴 거리 이내이면 이를 쓰레기값 처리하는 센싱 신호 처리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는 후방 좌측을 향하는 제1 그룹 센서와, 후방 중앙을 향하는 제2 그룹 센서와, 후방 우측을 향하는 제3 그룹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물체의 위치는 세 개의 그룹 센서 중 상기 후방 물체와의 거리가 가장 짧게 측정되는 그룹 센서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결정된 후방 물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방향의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가 진동하며,
상기 결정된 후방 물체의 위치가 후방의 중앙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는 동시에 진동하는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And a plurality of distance measurement sensors distributed on the rear side of the frame of the two-wheeled vehicle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ement sensors to determine the positions and distances of rear objects located behind the two- A rear object detecting device for calculating the rear object; And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es being implemented in such a form that they can be dispersedly worn on both hands or wrists of the motorcycle driver and varying in vibration intensity and vibration intensity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rearward object,
The rear object detection device
A plurality of distance measurement sensors dispersedly arranged behind the frame of the two-wheeler and measuring a distance to the rear object;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ens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to calculate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he rear objec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wearer tactile stimulating apparatuses are vibrating A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vibration and processing the trash value when the distance of the rear object is within the rear wheel distance;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es in a short-
Wherein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includes a first group sensor facing the rear left side, a second group sensor facing the rear center, and a third group sensor facing the rear right side,
The position of the rear objec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roup sensor which is measured with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rear object among the three group sensors,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es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rearward object are vibrat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es are simultaneously vibrated whe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rearward object is the rear cente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장치는
상기 이륜차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및
상기 마이크로 폰을 통해 감지된 소리를 분석하여, 차량 경고음을 추출하는 경고음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object detecting device
A microphone for sensing a sound around the motorcycle; And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sound extracting unit for analyzing the sound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extracting a vehicle warning sou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차량 경고음이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 경고음 발생을 통보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추가 생성 및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of additionally generating and outputting a third control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vehicle warning sound when the vehicle warning sou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착용형 촉각자극 장치 각각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후방 물체 감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진동 소자를 이용한 진동을 발생하되, 신호 종류 및 신호 세기에 따라 진동 패턴을 달리하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earable tactile stimulation apparat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ar-object sensing apparatus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nd a vibration generator having at least one vibration element and generating vibration using the vibration element in response to one of the first to third control signals,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or varies the vibration pattern according to a signal type and a signal intensity Motorcycle rear monitoring device.
KR1020140178695A 2014-12-11 2014-12-11 Apparatus for monitoring backward area of two-wheel vehicle KR101624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95A KR101624114B1 (en) 2014-12-11 2014-12-11 Apparatus for monitoring backward area of two-whee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95A KR101624114B1 (en) 2014-12-11 2014-12-11 Apparatus for monitoring backward area of two-wheel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114B1 true KR101624114B1 (en) 2016-06-07

Family

ID=5619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695A KR101624114B1 (en) 2014-12-11 2014-12-11 Apparatus for monitoring backward area of two-whee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1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92B1 (en) * 2017-11-03 2019-03-05 대한민국 Wearable apparatus for displaying direction for user safe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656B1 (en) * 1994-04-21 1999-03-20 김광호 Detecting device for direction
KR20120114558A (en) * 2011-04-07 2012-10-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Obstacle detection device and bicycle and helmet using the same
KR20140028922A (en) * 2012-08-31 2014-03-10 (주)퓨쳐 라이팅 Detectioning rear system of bicycle having ultrasonics distant sensor for detectioning re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656B1 (en) * 1994-04-21 1999-03-20 김광호 Detecting device for direction
KR20120114558A (en) * 2011-04-07 2012-10-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Obstacle detection device and bicycle and helmet using the same
KR20140028922A (en) * 2012-08-31 2014-03-10 (주)퓨쳐 라이팅 Detectioning rear system of bicycle having ultrasonics distant sensor for detectioning r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92B1 (en) * 2017-11-03 2019-03-05 대한민국 Wearable apparatus for displaying direction for user safe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7994A1 (en) Wearable integration with helmet
KR100948233B1 (en) Rear detection system for bicycle
KR102201540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safety in electrically powered kick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57709B2 (en) Bicycle helmet with an adaptive light notification system that varies brightness
US8253589B2 (en) Vehicle to entity communication
US8412390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KR101412032B1 (en) Detectioning rear system of bicycle having ultrasonics distant sensor for detectioning rear
KR101300797B1 (en) Obstacle detection device and bicycle and helmet using the same
JP2007183824A (en) Driving-support device
WO2016196483A1 (en) Personal traffic hazard warning system
KR101519748B1 (en) A carelessness detmination method of the driver and an apparatus for this
KR20190006624A (en) An Accident Alarm System Using Helmets and Smartphones for Two-Wheeled Vehicles
KR101911632B1 (en) Smart bi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JP2007004285A (en) Portable alarm device
KR101064145B1 (en) Accident detecting device for two-wheeled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624114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backward area of two-wheel vehicle
KR102336275B1 (en) Near-field rear sensing helmet device
CN105539642B (en) traffic safety detection method and device
KR20150087737A (en) Vehicular Danger Detecting System
KR20140047939A (en) System for sensing lane change safety and method thereof
JP2011106978A (en) Apparatus for pedestrian safety measures
KR201700136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rear of bicycle
KR101984557B1 (en) Headset and collision warning method thereof
CN207565580U (en) fatigue driving monitoring device
KR20170126244A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Driver's State of Accidien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