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999B1 -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999B1
KR101622999B1 KR1020140055463A KR20140055463A KR101622999B1 KR 101622999 B1 KR101622999 B1 KR 101622999B1 KR 1020140055463 A KR1020140055463 A KR 1020140055463A KR 20140055463 A KR20140055463 A KR 20140055463A KR 101622999 B1 KR101622999 B1 KR 10162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emperature
terminal block
connection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306A (ko
Inventor
신무현
Original Assignee
신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무현 filed Critical 신무현
Priority to KR102014005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99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1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combined with sampling devices for measuring temperatures of samples of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접속단자와 접속하는 접속판을 구비한 터미널 블록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로서, 상기 전선과 상기 접속단자 간 연결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및 상기 중공과 이웃한 곳에서 상기 중공을 따라 연장하는 삽입로를 포함하는 튜브; 및 상기 삽입로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로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튜브와 분리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DEVICE FOR SENSING TEMPERATURE OF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의 접속판과 인입 전선 간 접속 부위의 온도, 그리고 상기 접속판과 부하 측 전선 간 접속 부위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단자함이나 각종 기계장치의 제어 보드 등에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터미널 블록은 전선의 접속, 분기 또는 중계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터미널 블록은 인입 전선 및 부하 측 전선과 접속하는 접속판들과, 이 접속판들을 지지하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있다.
접속판과 인입 전선 간 또는 부하측 전선 간 접속은 주로 볼트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볼트의 조임 상태가 불량하면 줄열이 발생하여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한국산업규격은 볼트의 조임토크를 규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터미널 블록은 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는 전기적 스트레스나 기계적 스트레스로 인해 볼트의 조임이 이완되기 때문이다. 볼트의 조임이 이완되면 접속판과 인입 전선 간 접속부위 또는 접속판과 부하측 전선 간 접속부위에 아크가 발생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하면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84191호는 터미널 블록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써미스터가 접속판들을 지지하는 절연체의 외면에 부착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상기 접속판과 전선들 간 접속부위에 온도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절연체에서는 온도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위 기술에 따르면 터미널 블록에서 화재의 근원이 되는 부위, 즉 접속판과 전선 간 접속부위의 온도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없다.
또한 터미널 블록에서는 복수의 접속판들과 복수의 전선들 간 접속이 이루어지고 이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위들 모두가 화재의 근원이 될 수 있는데, 위 기술에 따르면 접속판들을 지지하는 절연체의 외표면에 써미스터가 부착되기 때문에 복수의 접속판들과 복수의 전선들 간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위들의 온도가 일일이 감지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6774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346775호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346774호의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에서는 전선의 단부를 덮는 튜브에 온도 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346775호의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에서는 접속판과 전선을 서로 결합시키는 볼트를 덮는 커버에 온도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8419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4677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4677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46774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346775호의 터미널 온도 감지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접속판들과 복수의 전선들 간 접속부위들의 온도가 일일이 그리고 정확히 감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한국등록특허들의 터미널 온도 감지 장치에서는 온도 센서가 튜브나 커버에 내장되어야 하므로 그 제조가 쉽지 않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는 튜브나 커버의 사출성형시 상기 튜브나 커버에 내장되는데, 이러한 경우 온도 센서가 튜브나 커버의 사출성형온도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되므로 온도 센서의 선택에 제한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온도 센서의 선택에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쉽게 제조될 수 있고, 그러면서도 복수의 접속판들과 복수의 전선들 간 접속부위들의 온도를 일일이 그리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접속단자와 접속하는 접속판을 구비한 터미널 블록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로서, 상기 전선과 상기 접속단자 간 연결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및 상기 중공과 이웃한 곳에서 상기 중공을 따라 연장하는 삽입로를 포함하는 튜브; 및 상기 삽입로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로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튜브와 분리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의 후단에는 상기 삽입로의 입구 주변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날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로의 입구와 반대되는 곳에 위치하는 삽입로 앞면은 막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접속판들과 복수의 전선들 간 접속부위들의 온도가 일일이 그리고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으면서도, 온도 센서가 튜브의 사출성형온도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가 없고, 상기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온도 센서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까다로운 작업이 불필요하며, 온도 센서만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센서가 튜브에 견고히 장착되므로 온도 센서가 상기 튜브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삽입로의 앞면이 막혀 있기 때문에, 온도 센서의 손상이 방지되고, 온도 센서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 먼지가 삽입로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온도 감시의 대상인 터미널 블록(10)은 전선들(20)의 접속, 분기 또는 중계를 위한 것으로서, 인입 전선과 부하 측 전선을 연결하는 접속판(12)을 갖는다. 상기 전선들(20)은 접속단자(22)의 일자 형태 후단(22b)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접속판(12)은 접속단자(22)의 고리 형태 선단(22a)과 접속한다. 접속판(12)과 접속단자(22)의 선단(22a) 간 접속은 와셔(16)를 구비한 볼트(1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터미널 블록(10)의 온도를 감시하기 위한 본 발명(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10)와, 온도 센서(120)와, 제어 블록(130)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110)는 절연성 재질의 수축튜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블록(10)에 연결된 모든 전선(20)에 장착된다. 상기 튜브(110)는 중공(112)을 갖는데, 이 중공(112)은 튜브(110)가 전선(20)에 장착되었을 때 전선(20)과 접속단자(22) 간 연결부위를 수용한다. 상기 튜브(110)는 뒷면을 개구(114a)로 하는 삽입로(114)도 갖는다. 상기 삽입로(114)는 중공(112)과 이웃하여 위치하고, 중공(112)을 따라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삽입로(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12)을 감싸는 측벽의 일부에 의해 상기 중공(112)과 구분되어 있다.
상기 온도 센서(120)는 감지한 온도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소자로서, 양극 전선(122) 및 음극 전선(12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온도 센서(120)는 개구(114a)를 통해 삽입로(114)에 삽입됨으로써 튜브(110)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로(114)로부터 인출됨으로써 튜브(110)와 분리된다. 튜브(110)와 온도 센서(120) 간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온도 센서(120)의 양극 전선(122) 및 음극 전선(124)은 개구(114a)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 놓인다.
위와 같은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100)에서는 사출성형으로 튜브(110)가 제조된 후 상기 튜브(110)와 온도 센서(1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온도 센서(120)와 튜브(110) 간 결합이 튜브(110)의 사출성형과정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튜브(110)의 사출성형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첫째, 온도 센서(120)가 튜브(110)의 사출성형온도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가 없게 되고, 둘째, 상기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온도 센서(120)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까다로운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100)에서는 온도 센서(120)가 튜브(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온도 센서(120)만의 교체가 가능하다.
한편, 튜브(110)에 장착된 온도 센서(120)는 삽입로(114)로부터 우발적으로 인출되어서는 안 되고 장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튜브(110)의 후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 날개(116a, 116b)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 날개들(116a, 116b)은 삽입로 입구(114a)의 주변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여 있고,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중공(112)을 감싸는 측벽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돌출 날개들(116a, 116b)과 이들 사이를 경유하는 양극 전선(122) 및 음극 전선(124)을 타이(tie)(미도시)로 묶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돌출 날개들(116a, 116b)이 상하로 떨어져 마주보나, 돌출 날개들(116a, 116b)은 좌우로 떨어져 마주보아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돌출 날개(116a, 116b)가 2개로 마련되나, 돌출 날개는 1개로 마련되거나, 3개 이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삽입로(114)의 뒷면이 개구(114a)로 마련된 것과 달리, 삽입로(114)의 앞면(114b)은 개방되어 있거나 막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삽입로(114)의 앞면(114b)이 개방되어 있으면, 첫째, 온도 센서(120)가 손상될 여지가 있고, 둘째, 삽입로(114)로 유입된 먼지에 의해 온도 센서(120)가 오작동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삽입로(114)의 앞면(114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막혀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 블록(130)은 터미널 블록(1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제어 기판(미도시)을 내장하고 있으며, 복수의 엘이디(132)를 외면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 기판은 여러 전자 소자들을 실장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으로서, 온도 센서들(120)의 양극 전선(122) 및 음극 전선(124),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엘이디(13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 기판은 온도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온도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고, 입력받은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클 경우에는 엘이디(132)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 블록(130)은 통신 기능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 블록(130)은 온도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온도와 해당 온도 센서(120)의 식별기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중앙 제어 컴퓨터(미도시)로 전송한다.
이하, 상기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접속판(12)에 결합된 접속단자(22)와 전선(20) 간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튜브들(110)이 전선들(20)에 각각 장착되면, 삽입로(114)에 삽입된 온도 센서(120)들은 튜브들(110)의 온도를 계속 감지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블록(130)은 온도 센서들(120)로부터 출력된 온도들 각각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계속 비교하다가 소정의 온도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를 넘어서면 해당 엘이디(132)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점등하고 있는 엘이디(132)의 번호를 확인한 후 해당 번호의 전선을 검사한다.
한편, 상기 제어 블록(130)은 온도 센서(120)들로부터 출력된 온도들 각각을 중앙 제어 컴퓨터로도 전송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원격지에서 온도 센서(120)들의 출력을 확인하다가 이상을 감지하면 터미널 블록(10)이 위치하는 곳으로 방문하여 전선을 검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110 : 튜브
112 : 중공 114 : 삽입로
114a : 삽입로 입구 114b : 삽입로 앞면
116a, 116b : 돌출 날개 120 : 온도 센서
130 : 제어 블록 132 : 엘이디

Claims (3)

  1. 전선의 일단에 연결된 접속단자와 접속하는 접속판을 구비한 터미널 블록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로서,
    상기 전선과 상기 접속단자 간 연결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 및 상기 중공과 이웃한 곳에서 상기 중공을 따라 연장하는 삽입로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및 삽입로를 갖도록 사출성형으로 제조되어 상기 전선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튜브; 및
    상기 삽입로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로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튜브와 분리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후단에는 상기 삽입로의 입구 주변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날개가 마련된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로의 입구와 반대되는 곳에 위치하는 삽입로 앞면은 막혀 있는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1020140055463A 2014-05-09 2014-05-09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10162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63A KR101622999B1 (ko) 2014-05-09 2014-05-09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63A KR101622999B1 (ko) 2014-05-09 2014-05-09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06A KR20150128306A (ko) 2015-11-18
KR101622999B1 true KR101622999B1 (ko) 2016-05-20

Family

ID=5483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463A KR101622999B1 (ko) 2014-05-09 2014-05-09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10B1 (ko) 2017-10-12 2019-04-01 신무현 단자함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43623B1 (ko) 2019-03-25 2020-08-11 신무현 더블 센서식 단자함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1698A1 (de) * 2018-07-13 2020-01-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eckverbinder
KR102041315B1 (ko) * 2019-04-26 2019-11-06 (주)부흥이앤씨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
KR102072333B1 (ko) * 2019-07-09 2020-01-31 방성우 온수매트용 리턴호스 제조방법
EP3825667B1 (en) * 2019-11-22 2023-07-2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Temperature measurement accessory
KR102340740B1 (ko) 2021-07-21 2021-12-17 선원하이텍(주) 터미널 감시에 이용되는 절연튜브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0175A (ja) 2006-07-10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温度センサー固定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1283095B1 (ko) * 2012-06-28 2013-07-05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보일러 튜브의 온도 측정장치
KR101346775B1 (ko) * 2012-04-23 2014-01-02 신무현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0175A (ja) 2006-07-10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温度センサー固定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1346775B1 (ko) * 2012-04-23 2014-01-02 신무현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101283095B1 (ko) * 2012-06-28 2013-07-05 주식회사 아이스기술 보일러 튜브의 온도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10B1 (ko) 2017-10-12 2019-04-01 신무현 단자함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43623B1 (ko) 2019-03-25 2020-08-11 신무현 더블 센서식 단자함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06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999B1 (ko)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101346774B1 (ko)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101346775B1 (ko)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JP4512073B2 (ja) 電子的なカウンタを有する射出成形型
NZ706816A (en) Wire heated tube with temperature control system, tube type detection, and active over temperature protection for humidifier for respiratory apparatus
MY159657A (en) Pile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22151389A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and method for use with gas insulated switchgear
KR101750958B1 (ko)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CN102820739A (zh) 用于ec 电机的定子及具有这种定子的ec 电机
CY1116814T1 (el) Συσκευη συνδεσης συναρμολογησης με διαταξη προστασιας
WO2006018473A3 (en) Arrangement in an electrical machine
JP6629839B2 (ja) 媒体不浸透性ハウジング
JP5762831B2 (ja) 過熱検出器を備えた分電盤
FR2974684B1 (fr) Systeme de protection et de supervision d'un circuit de distribution d'energie electrique a courant continu
US20180119845A1 (en) Sensor connection structure
CN204089083U (zh) 一种可测温的电缆槽式桥架
CN211698045U (zh) 一种电气线路绝缘检测辅助装置
SE0802598L (sv) Säkerhetstimer
CN110147057A (zh) 一种故障报警及其排查系统
JP2012216395A (ja) 端子台およびこれを用いた配電装置
DE602004020875D1 (de) Sensor zur detektierung von übertemperatur
KR101336783B1 (ko) 방폭기기용 케이블 연결장치
EP3167461B1 (en) Damage preventing identification system for conductors and coupling points in electrical systems with data acquisition
KR101454708B1 (ko) 열배관 감시시스템용 방수형 단자대, 단자 및 단자 어셈블리
CN205209426U (zh) 确定部件的错误的负载的装置和机器人、并行运动结构、并行运动结构的或机器人的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