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315B1 -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315B1
KR102041315B1 KR1020190049017A KR20190049017A KR102041315B1 KR 102041315 B1 KR102041315 B1 KR 102041315B1 KR 1020190049017 A KR1020190049017 A KR 1020190049017A KR 20190049017 A KR20190049017 A KR 20190049017A KR 102041315 B1 KR102041315 B1 KR 10204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sert
temperature sensor
fitting body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용
Original Assignee
(주)부흥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흥이앤씨 filed Critical (주)부흥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4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가단자와 접촉단자 간에 외부영향이 작용되어도 느슨하게 풀리지 않도록 해당 인가단자의 홈부에 삽입체를 삽입하되 이 삽입체를 온도센서가 고정하여 열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외부전압을 각 세대에 인가하는 단자함에 설치된 다수의 전기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기단자 외면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체와, 상기 끼움체(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삽입되되 접촉단자와 고정된 인가단자에 삽입되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 내부로 삽입 설치되되 그 외면은 상기 끼움체에 고정되어 상기 인가단자에 삽입된 상기 삽입체를 고정시켜 상기 인가단자와 상기 접촉단자가 외부영향에 의해 느슨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며, 상기 인가단자와 상기 접촉단자 간의 온도를 감지하여 열화현상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 및 각각의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저장된 기준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이 감지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도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The Fixing Apparatus Of Contact Case For Wiring Indoors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기술 분야 중 전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가단자와 접촉단자 간에 외부영향이 작용되어도 느슨하게 풀리지 않도록 해당 인가단자의 홈부에 삽입체를 삽입하되 이 삽입체를 온도센서가 고정하여 열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새대가 생활하는 공동주택이나 복층 구조를 갖는 건물 등에는 외부전력을 인가받아 공동주택의 각 세대가 건물의 층수 마다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배전반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배전반은 다수의 케이블이 단자함과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단자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케이블 끝단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접촉단자가 단자함(10)에 구비된 볼트 형식의 홈부(21)를 갖는 인가단자(20)가 접촉단자(30)와 체결되어 전압을 각 세대에 공급하도록 배선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선연결은 오랜시간 동안의 노후는 물론, 외부 진동 예를 들어 지진과 같은 큰 진동이나 생활진동(자동차나 건물 내부를 왕래하는 진동 등) 등에 의해 그 결하부위가 느슨하게 풀리면서 전압에 의한 온도 상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그 열에 의해 전선자체가 발화하는 열화현상(Deterioration of Electrical Insulation Surfaces)으로 인해 공동주택의 화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539734호(공고일:2015.08.07.)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에 의해 구동신호를 수신받아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이상 색이 감지된 배전을 근접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추적 카메라와, 상기 서버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를 통해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이 제공되는 환경에서는 관리자가 배전선로에 직접 파견되어 점검하지 않고 단말기를 통해 이상유무가 발생된 배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야간이나, 주변 환경이 악천후에도 작업이 용이하여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그 구성을 만족하기 위해 고가의 장비(열화상카메라, 추적카메라 등)를 사용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상용화하기에 경제적인 요건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은 물론, 열화현상을 차단하는 방안이 아닌, 열화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미리 확인하는 방식으로 해당 열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문제점이 함께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539734호(공고일:2015.08.07.) 국내공개특허 제2004-19440호(공개일:2004.03.06.)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내부에 구비된 단자함의 인가단자와 접촉단자가 서로 결합한 이후에 진동 등과 같은 외부영향이 가해져도 그 체결부위가 느슨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현상의 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외부전압을 각 세대에 인가하는 단자함에 설치된 다수의 전기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기단자 외면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체와, 상기 끼움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삽입되되 접촉단자와 고정된 인가단자에 삽입되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 내부로 삽입 설치되되 그 외면은 상기 끼움체에 고정되어 상기 인가단자에 삽입된 상기 삽입체를 고정시켜 상기 인가단자와 상기 접촉단자가 외부영향에 의해 느슨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며, 상기 인가단자와 상기 접촉단자 간의 온도를 감지하여 열화현상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 및 각각의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저장된 기준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이 감지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도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체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되 상기 삽입체가 관통 삽입되게 다수가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과 근접하게 상기 끼움체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온도센서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무링, 상기 끼움체 양측에 상기 전기단자 외면과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삽입체는 상기 끼움체와 접촉하여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체의 삽입거리를 제한하는 플랜지, 상기 삽입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온도센서가 삽입되는 수납홈, 상기 삽입체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인가단자에 형성된 홈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홈부와 형상 맞춤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인가단자와 접촉단자가 전기적으로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끼움체에 관통 삽입된 삽입체의 돌출부가 해당 인가단자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체 내부로 온도센서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끼움체에 형성된 고무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가단자가 진동 등에 따른 외부영향에도 접촉단자와 느슨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현상의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열화현상으로 인가단자와 접촉단자 간에 화재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에 대한 끼움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에 대한 삽입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에 대한 온도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에 대한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대한 결합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대한 A부분 확대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이하, 간략하게 '보호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서 의미하는 전기단자(10), 인가단자(20) 및 접촉단자(30)는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단자함에 설치된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크게 끼움체(100), 삽입체(200), 온도센서(300) 및 온도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끼움체(100)는 후술하는 삽입체(200)와 온도센서(300)가 설치되되 전기단자(10) 외면에 결합하여 상기 삽입체(200)가 인가단자(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관통공(110), 고무링(120) 및 끼움홈(130)을 포함한다.
예컨대 끼움체(10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전도성이 없는 합성수지재나 고무재질 등을 활용하여 성형하도록 한다.
관통공(110)은 끼움체(100)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천공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삽입체(20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관통공(110)의 지름은 삽입체(200)에 형성된 플랜지(210)의 외경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삽입체(200)가 상기 관통공(110)에 관통 삽입시에 상기 플랜지(210)가 끼움체(100)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삽입체(200)의 삽입길이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고무링(120)은 관통공(110)과 근접하게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끼움체(100) 외면 즉, 온도센서(300)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300)가 끼움체(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고무링(120)은 필요에 따라 스펀지의 재질을 활용하여 온도센서(300)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320)가 복수회에 걸쳐 삽입 또는 해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무링(120)이 링 형상을 갖는 삽입체(200)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30)가 홈부에 삽입시에 용이하게 온도센서(300)의 삽입돌기(320)가 상기 고무링(120)에 삽입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작용관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끼움홈(130)은 끼움체(100)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단자(10) 외면과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의 형상을 갖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의 끼움홈(130)의 전기단자(10)와 상기 끼움체(100)가 서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나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체(200)는 상술한 끼움체(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삽입되어 접촉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가단자(20)에 삽입되어 후술하는 온도센서(300)에 의해 상기 인가단자(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납홈(220) 및 돌출부(230)를 포함한다.
예컨대 삽입체(200)는 전체적으로 기둥 형상을 갖도록 하되 그 외면에는 상술한 플랜지(21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체(200)가 각각의 관통공(110)에 삽입시 상기 플랜지(210)를 통해 그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수납홈(220)은 기둥형상을 갖는 삽입체(200) 일측 즉, 온도센서(300)와 마주보는 측의 외면에서 그 내부로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300)가 그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수납홈(220)과 삽입체(200) 간의 두께는 상기 수납홈(220)에 삽입된 온도센서(300)가 전기단자(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를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행여 열화현상이 발생시에 그 열에 의한 온도를 상기 온도센서(300)가 신속하게 감지하여 온도제어부(400)에 그 감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230)는 삽입체(200)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그 형상은 인가단자(20)에 형성되되 작업자가 상기 인가단자(20)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드라이버 같은 도구가 삽입되는 홈부(2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돌출부(2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홈부(21)의 형상에 따라 '+'자는 물론, '-'자 및 다각(도면상에서는 육각)의 형상을 갖도록 갖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돌출부(230)는 삽입체(2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홈부(21)의 형상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300)는 열화현상의 전조 증상인 인가단자(20)와 접촉단자(30) 간에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통해 전기단자(10)의 유지보수 여부를 관리서버(5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310) 및 삽입돌기(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센서(300)는 그 내부에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두 금속체의 변형에 의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바이메탈(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300)는 그 전기적인 변화를 온도제어부(400)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제어부(400)는 상기 온도센서(300)에서 연장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몸체(310)는 온도센서(300) 일측에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돌기(320)가 돌출 형성되어 온도센서(300)가 수납홈(220)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삽입돌기(320)가 끼움체(100)에 형성된 고무링(120)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체(200)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홈부(21)의 고정에 의해 인가단자(20) 역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수납홈(220)에 삽입된 온도센서(3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홈부(21)에 소정의 간격(D) 만큼 삽입되어 인가단자(20)와 접촉단자(30) 간에 발열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열을 상기 온도센서(300)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는 전기단자(10)에 다수 구비된 인가단자(20)와 접촉단자(30)를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인가단자(20)와 서로 대향되게 복수의 관통공(110)이 천공형성된 끼움체(100)가 상기 전기단자(10) 외면과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홈(130)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삽입체(200)에 돌출형성된 돌출부(230)가 인가단자(20)의 홈부(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체(200)를 관통공(110)에 관통 삽입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온도센서(300)를 삽입체(200)의 수납홈(220) 내부로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온도센서(300)의 구성 중 몸체(310)에 형성된 삽입돌기(320)를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무링(120)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삽입체(200)가 같이 고정되어 인가단자(2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각의 인가단자(20)에 형성된 홈부(21)는 작업자가 상기 인가단자(20)의 고정을 위해 도구를 이용하여 조인 이후에 상기 홈부(21)의 각도가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틀어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온도센서(300)의 삽입돌기(320)가 고무링(120)이 아닌, 삽입체(200)와 마주보게 되어 상기 삽입돌기(320)가 상기 고무링(120)에 용이하게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고무링(120)의 형상을 링 형상으로 형성하여 서로 다른 홈부(21)의 각도가 형성되어도 삽입돌기(320)가 용이하게 상기 고무링(120)에 삽입되어 삽입체(200)의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인가단자(20)와 접촉단자(30)가 전기적으로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끼움체(100)의 관통 삽입된 삽입체(200)의 돌출부(230)가 해당 인가단자(20)에 형성된 홈부(21)에 삽입되되 상기 삽입체(200) 내부로 온도센서(300)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온도센서(300)가 상기 끼움체(100)에 형성된 고무링(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가단자(20)가 진동 등에 따른 외부영향에도 접촉단자(30)와 느슨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현상의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끼움체
110: 관통공 120: 고무링
130: 끼움홈
200: 삽입체
210: 플랜지 220: 수납홈
230: 돌출부
300: 온도센서
310: 몸체 320: 삽입돌기
400: 온도제어부 500: 관리서버
10: 전기단자 20: 인가단자
21: 홈부 30: 접촉단자

Claims (1)

  1.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외부전압을 각 세대에 인가하는 단자함에 설치된 다수의 전기단자에 있어서,
    상기 전기단자(10) 외면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체(100);
    상기 끼움체(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삽입되되 접촉단자(30)와 고정된 인가단자(20)에 삽입되는 삽입체(200);
    상기 삽입체(200) 내부로 삽입 설치되되 그 외면은 상기 끼움체(100)에 고정되어 상기 인가단자(20)에 삽입된 상기 삽입체(200)를 고정시켜 상기 인가단자(20)와 상기 접촉단자(30)가 외부영향에 의해 느슨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열화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며, 상기 인가단자(20)와 상기 접촉단자(30) 간의 온도를 감지하여 열화현상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300); 및
    각각의 상기 온도센서(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온도센서(3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저장된 기준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이 감지정보를 관리서버(500)에 전송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도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체(100)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되 상기 삽입체(200)가 관통 삽입되게 다수가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관통공(110), 상기 관통공(110)과 근접하게 상기 끼움체(100)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온도센서(30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무링(120), 상기 끼움체(100) 양측에 상기 전기단자(10) 외면과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홈(130)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관통공(110)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삽입체(200)는 상기 끼움체(100)와 접촉하여 상기 관통공(110)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체(200)의 삽입거리를 제한하는 플랜지(210), 상기 삽입체(20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온도센서(300)가 삽입되는 수납홈(220), 상기 삽입체(200)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인가단자(20)에 형성된 홈부(21)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홈부(21)와 형상 맞춤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홈(220)에 삽입된 상기 온도센서(300)는 상기 홈부(21)에 소정의 간격(D) 만큼 삽입되어 인가단자(20)와 접촉단자(30) 간에 발열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열을 상기 온도센서(300)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
KR1020190049017A 2019-04-26 2019-04-26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 KR10204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17A KR102041315B1 (ko) 2019-04-26 2019-04-26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17A KR102041315B1 (ko) 2019-04-26 2019-04-26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315B1 true KR102041315B1 (ko) 2019-11-06

Family

ID=6854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017A KR102041315B1 (ko) 2019-04-26 2019-04-26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5667A1 (en) * 2019-11-22 2021-05-2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Temperature measurement accessor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215A (ja) * 1995-03-06 1996-09-17 Maruyoshi:Kk ボルト・ナット用又は端子台用危険温度標示キャップ
KR20040019440A (ko) 2002-08-26 2004-03-06 한국원자력연구소 변위손상을 이용하는 반도체형 중성자 탐지소자의열화현상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19080A (ko) * 2012-04-23 2013-10-31 신무현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101539734B1 (ko) 2015-02-24 2015-08-07 정재훈 배전선로 장애 자동추적 시스템
KR20150128306A (ko) * 2014-05-09 2015-11-18 신무현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20170112093A (ko) * 2016-03-30 2017-10-12 다온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에 편입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 콘센트 및 전기 콘센트 시스템
KR200486747Y1 (ko) * 2017-10-10 2018-06-26 김환남 온도감지센서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215A (ja) * 1995-03-06 1996-09-17 Maruyoshi:Kk ボルト・ナット用又は端子台用危険温度標示キャップ
KR20040019440A (ko) 2002-08-26 2004-03-06 한국원자력연구소 변위손상을 이용하는 반도체형 중성자 탐지소자의열화현상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19080A (ko) * 2012-04-23 2013-10-31 신무현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20150128306A (ko) * 2014-05-09 2015-11-18 신무현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101539734B1 (ko) 2015-02-24 2015-08-07 정재훈 배전선로 장애 자동추적 시스템
KR20170112093A (ko) * 2016-03-30 2017-10-12 다온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에 편입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 콘센트 및 전기 콘센트 시스템
KR200486747Y1 (ko) * 2017-10-10 2018-06-26 김환남 온도감지센서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5667A1 (en) * 2019-11-22 2021-05-26 Tyco Electronics France SAS Temperature measurement access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709B1 (ko) 가공 배전선로의 통합 관리 시스템
US9354158B1 (en) Duct averaging sensor having a connector
KR10204131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고정이 가능한 보호장치
KR101612747B1 (ko)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US7063537B2 (en) Rotat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securing such assemblies
US8100019B2 (en) Cartridge fluid transducer
JP2005164366A (ja) 漏液検出器
JP5684395B2 (ja) シリンダ長さセンサ実装/保持アセンブリ
KR101062991B1 (ko) 너트 풀림 감지장치
KR102065843B1 (ko) 천장면에 설치되는 소방용 전기기구의 고정구
KR102600977B1 (ko) 열화상 카메라 모듈과 압전 하베스터 모듈을 이용한 전기기기의 고장 및 열화 진단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9033A (ko) 부스덕트 접속부
KR200433613Y1 (ko) 누수 감지용 센서 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누수 감지 시스템
KR20150145789A (ko) 전기시험 또는 신호 검출용 연결단자함과 케이블의 접속장치
KR102399938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원 케이블 관리시스템 운용방법
KR102292127B1 (ko) 케이블 공사 방법 및 케이블 공사를 위한 시스템
KR20150113752A (ko) 중계기를 이용한 p형 화재수신기 통합관제 시스템
KR20090050215A (ko) 볼센서 하우징
KR101883967B1 (ko) 데이터 측정 장치
KR102233162B1 (ko) 지중배전선의 고장구간 감시용 알림장치
KR200228680Y1 (ko) 씨씨티브이용 카메라
KR101966401B1 (ko) 통합 센서 및 원격 솔루션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20210054392A (ko) 재난 상태 감지용 센서 장치
KR102221708B1 (ko) 배전선로의 위치 추적 시스템
CN219368784U (zh) 一种传感器防误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