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033A - 부스덕트 접속부 - Google Patents

부스덕트 접속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033A
KR20150099033A KR1020140020498A KR20140020498A KR20150099033A KR 20150099033 A KR20150099033 A KR 20150099033A KR 1020140020498 A KR1020140020498 A KR 1020140020498A KR 20140020498 A KR20140020498 A KR 20140020498A KR 20150099033 A KR20150099033 A KR 20150099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enclosu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659B1 (ko
Inventor
박재훈
이민우
권오덕
김태은
이영락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6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1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ing elements having PN jun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부스덕트 접속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는 부스덕트 접속부는 설치된 부스덕트의 실시간 온도 감시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접속부 내 온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사고 예방 및 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덕트 접속부{busduct joint}
본 발명은 부스덕트 접속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된 부스덕트의 실시간 온도 감시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고,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며, 문제 지점의 온도측정을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부스덕트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예전에는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케이블의 대체품으로 부스덕트(bus duct)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부스덕트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원래, 전력 배선 방식에 있어서는 전선케이블에 의한 배선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고층 건물이나 대단위 공장 등의 배선 방식에서는 점차적으로 부스바(bus bar)를 구비하는 부스덕트(bus duct)에 의한 배선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와 케이블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지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케이블은 도체를 보호하거나 절연하기 위하여 비닐 또는 고무를 사용하지만 부스덕트는 대용량의 전류를 도체를 통해 전달하므로, 절연체로서 직접 보호하기 어려워서 절연체를 부스바에 피복함과 동시에 부스바를 금속 덕트 안에 내장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부스덕트는 증설과 이설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스바의 전력배선 상에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 그 처리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장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예전에 비해서 지금의 건축물의 전기공급 시스템은 점점 크고 다양한 용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안전하고 에너지 손실이 적은 부스덕트의 사용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부스덕트는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골프장, 터널, 반도체 및 LCD공장, 화학, 정유, 제철, 초고층빌딩, 초고압 변전소, LNG인수기지, 신공항, 항만 등의 다양한 분야의 시설물에 적용되고 있다.
부스덕트 내부에 구비된 부스바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소정 크기의 덕트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러한 부스바를 포함하는 부스덕트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유닛(unit)으로 제조된 후 설치하고자 하는 시설 및 배전 설계에 맞추어 연결 시공된다.
이때 단위 유닛으로 제조된 부스덕트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접속부가 구비된다. 즉, 각각의 부스덕트는 접속부에 의해 도체는 도체끼리 연결되고 외부 접지는 접지끼리 서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접속부는 도체판과 절연판이 번갈아 배치되고, 도체판들 사이에는 부스덕트의 부스바가 삽입된 후 체결볼트로 도체판과 절연판을 조여서 삽입된 부스바가 이탈하지 않도록 단단하게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 후 부스덕트의 외함과 접속부 외함을 결합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부스덕트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단위 유닛을 연결하여 시공되는 부스덕트의 특징상 접속부에 대한 관리, 점검이 중요하며 특히 접속부에서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야 한다.
부스덕트의 부스바는 일반적으로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부스바에 전류가 흐를 때 줄 열(Joule's heat)이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하게되며, 발생된 열이 대류에 의해 접속부에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접속부의 접속불량이나 부스바의 신축에 의한 변형에 의해 저항 증가로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온도 변화를 감시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전에 점검하는 것이 부스덕트의 관리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일반적인 온도센서의 경우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유지 관리에도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설치된 부스덕트의 실시간 온도 감시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고,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며, 문제 지점의 온도측정을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부스덕트 접속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치된 부스덕트의 실시간 온도 감시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접속부 내 온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사고 예방 및 점검을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웃하는 부스덕트의 부스바가 삽입되어 접속하는 부스덕트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외측을 감싸는 접속부 외함 및, 상기 접속부 외함 일측에 결합하며,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가 상기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접속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접속부 외함 일측에 형성되는 중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접속부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 외함 내부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접속부 외함 중공부에 삽입 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접속부 외함과 접촉하는 둘레에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양면테이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통신케이블이 삽입되어 접속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부는 접속부 외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가 접속부 외함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는 부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간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스바와 접촉하는 통전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통전플레이트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적층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볼트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전플레이트는 부스덕트 접속 시 시공 기준점을 잡아주는 제1 스톱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부시 외주면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부재는 상기 부스바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톱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스바를 감싸는 외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지플레이트가 상기 외부플레이트와 절연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치된 부스덕트의 실시간 온도 감시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 내 온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사고 예방 및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절연플레이트와 통전플레이트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 시스템의 비율 차동식 온도감시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 시스템의 정온식 온도감시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 시스템의 차동식 온도감시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절연플레이트와 통전플레이트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100)는 상기 접속부(100) 외측을 감싸는 접속부 외함(105) 및, 상기 접속부 외함(105) 일측에 결합하며,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192)가 상기 접속부(10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접속부(100)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속부(100)는 이웃하는 부스덕트(10)의 부스바(2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접속부 조립체(100a) 외측을 접속부 외함(105)이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부 외함(105)은 제1 외함(101)과 제2 외함(103)이 각각 상, 하측에서 결합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접속부 조립체(100a)를 둘러싸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190)는 상기 접속부 외함(105) 내측에 매립되거나 외측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부 외함(105) 일측에 중공부(103a)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0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센서(190)는 상기 접속부 외함(105) 외측으로부터 결합하되 접속부 외함(105)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90)는 디지털 온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금속이나 반도체의 저항값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종 금속 간의 접합점을 가열하면 기전력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디지털 온도센서는 여기서 발생하는 저항이나 기전력을 측정하여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디지털 온도센서는 측정된 온도 값을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므로, 출력된 데이터의 처리가 편리하고, 노이즈(noise)의 영향에 따른 성능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 적고, 비교적 넓은 범위의 온도측정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센서(190)는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센싱부(192)를 구성하는 P-N 접합부의 전류전압 특성이 변화되고, 증폭 회로를 내장하여 미소 신호인 센서 데이터를 증폭하며, 신호 증폭 시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92)는 상기 접속부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 외함(105) 내부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부(192)는 상기 접속부(10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접속부(100)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센싱부(192)는 비접촉식으로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192)는 상기 접속부 조립체(100a)에 접촉하도록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 조립체(100a)와 맞닿은 상태에서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190)는 상기 접속부 외함(105)의 중공부(103a)에 삽입 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194)는 일측에 두 개가 형성되고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 개가 형성되어 모두 네 개가 형성되는 예가 제시된다.
상기 걸림부(194)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부(103a) 삽입 시, 중공부(103a) 테두리에 눌려 내측으로 변형하다가 온도센서(190)가 정위치에 삽입되면 다시 제 위치로 돌아와 접속부 외함(105)에 걸려 상기 온도센서(19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190)를 교체할 때에는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걸림부(194)를 파손시킴으로써 제거하고, 새 온도센서(190)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100)에 적용되는 온도센서(190)는 설치가 간편하고 관리 점검이 용이하며, 고장이나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190)는 상기 접속부 외함(105)과 접촉하는 둘레에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양면테이프(19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면테이프(196)의 접착력을 통해 상기 온도센서(190)는 더욱 안정적으로 접속부 외함(105)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90) 상부에는 통신케이블(70)이 삽입되어 접속하는 연결부(19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98)는 양측으로부터 각각 통신케이블(70) 단자가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전기접속을 이루고 필요한 전력과 전기적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부(103a)는 접속부 외함(105)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190)가 접속부 외함(105)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시공기준으로 접속부 외함(105) 하부에 중공부(103a)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함(101)과 제2 외함(103) 중에 하부에서 체결되는 제2 외함(103) 측에 중공부(10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부(103a)를 시공기준으로 접속부 외함(105) 하부에 형성하고, 온도센서(190)를 하부에 결합함으로써 빗물이나 누수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스며들어 합선이나 온도센서(190)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10)의 기본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외함(12)이 구비된다. 상기 외함(12) 내부에는 케이블에 포함된 도체 심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부스바(20)가 구비되어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하게 된다. 상기 외함(12)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측으로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날개부(14)가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부스바(20)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22)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체(22) 표면은 각각 에폭시 코팅 등의 절연체(24)에 의해 피복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상기 부스바(20)는 통상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1차적으로 절연체(24)를 피복하여 절연하고, 상기 외함(12) 내부에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수용하여 보호된다. 이러한 부스바(20)를 포함하는 외함(12)은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유닛(unit)으로 제조된 후, 부스덕트 접속부(100)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스덕트 접속부(100)에 삽입되는 부스바(20)의 단부는 상기 절연체(24)를 벗겨내어 도체(22)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100)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복수의 절연플레이트(11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110)의 일면 또는 양측면에 통전플레이트(120)가 구비되어 부스바(20)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플레이트(110)는 상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전플레이트(120)는 서로 이웃하는 절연플레이트(110)의 대향되는 면에 각각 구비되어 삽입되는 부스바(20)의 양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스바(20)는 R, S, T, N의 4개 상으로 이루어져 4개가 구비되는데 그에 따라 상기 절연플레이트(110)는 5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4개의 부스바(20)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며, 서로 이웃하는 절연플레이트(110)의 대향되는 면에는 각각 통전플레이트(120)가 구비되어 4개의 부스바(20) 각각의 양측면에서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절연플레이트(110)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통전플레이트(120)가 부스바(20)와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이루고, 상기 절연플레이트(110)가 각각의 쌍을 이루는 통전플레이트(120)들 사이에서 상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부스바(20)의 구성은 부스덕트(10)의 설치대상이나 설치환경, 공급하는 전력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스바(20)는 R, S, T의 3상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지거나 R, S, T 및 2개의 N을 합쳐 5개의 부스바(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플레이트(110)와 통전플레이트(120) 또한 상기 부스바(20)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부스덕트 접속부(1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110)들의 최외각에는 외부플레이트(1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플레이트(180)는 상하 양측에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플레이트(180)와 절연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상기 부스바(20)를 감싸는 외함(1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지플레이트(18)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지플레이트(18)는 서로 연결되는 부스덕트(10)의 외함(12)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며, 부스바(20) 접속 시 함께 접속됨으로써 접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플레이트(180), 절연플레이트(110) 및 통전플레이트(120) 중앙에는 각각 관통공(112, 122, 18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2, 122, 182)을 통해 체결볼트(140)가 삽입되어 외부플레이트(180), 절연플레이트(110) 및 통전플레이트(120)를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볼트(140)는 상기 관통공(112, 122, 182)으로 삽입된 후 반대편에 너트(170)가 결합되어 조여지며 상기 외부플레이트(180), 절연플레이트(110) 및 통전플레이트(120)를 내측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절연플레이트(110) 사이사이에 삽입된 부스바(20) 또한 압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통전플레이트(120)와 밀착된 상태로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상기 체결볼트(140)가 삽입되는 측과 타측의 너트(170)가 조여지는 부분에는 와셔(150)가 구비되어 체결력을 높이며, 추가로 상기 너트(170) 외주측으로 풀림방지구(160)가 구비되어 너트(170)가 체결볼트(140)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볼트(140)가 상기 관통공(112, 122, 182)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체결볼트(1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절연부시(130)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시(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양측으로부터 각각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12, 122, 182)으로 삽입된 체결볼트(140)를 둘러쌈으로써 부스바(20)가 신장하더라도 체결볼트(140)와 맞닿지 않도록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플레이트(110) 사이사이에는 상기 절연부시(130) 외주면을 감싸도록 링부재(132)가 추가로 구비되어 절연부시(130)를 보호하고, 체결볼트(140)를 추가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부스덕트 접속부(100)의 연결이 마무리 되면 접속부 외함(105)을 덮어씌운다.
한편, 상기 통전플레이트(120) 상에는 부스바(20) 신축 시 부스바(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요철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140)와 너트(170)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통전플레이트(120) 사이에 삽입된 부스바(20)는 큰 압력을 받는 상태로 조여져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열변형에 의한 신축이나 건물 자체의 축소하중을 받게 되면 부스바(20)가 통전플레이트(120) 사이에서 받는 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마찰력 때문에 움직이지 못하고, 그에 따라 변형하여 좌굴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24) 이러한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부스바(20)의 신축에 따른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부(124)는 상기 부스바(20)의 신축에 따라 탄성 변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요철부(124)는 상기 부스바(20)와 접촉하는 통전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바(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요부와 철부가 일정 길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스바(20)가 신장되는 경우 상기 요철부(124)는 부스바(2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부스바(20)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부스바(20)가 축소하여 제자리로 돌아가는 경우에도 역시 상기 요철부(124)가 반대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부스바(20)의 이동을 돕게 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124)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정지마찰계수가 낮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부스바(20)가 큰 저항을 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도 상기 통전플레이트(120)와 부스바(20)는 상기 요철부(124)를 통해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므로 통전 성능에는 변화가 없으며, 이는 실험결과로도 확인된 바이다.
이와 같이 상기 요철부(124)는 상기 부스바(20) 및 그와 접촉하는 통전플레이트(120)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부스바(20)의 신축에 따른 이동을 보장함으로써 부스바(20)가 마찰력에 의해 진행하지 못하여 변형 및 좌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20)가 파손되거나 변형하여 통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전플레이트(120)에는 부스덕트(10) 접속 시 시공 기준점을 잡아주는 제1 스톱퍼(1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톱퍼(126)는 상기 부스바(20) 접속 시, 부스바(20)의 단부가 상기 제1 스톱퍼(126)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부스바(20)를 진입시키면 자동으로 부스바(20)의 초기 진입량 즉, 초기 위치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부스바(20)를 균일한 위치에 정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톱퍼(126)는 부스바(20)가 열팽창에 의해 신장하여 부스바(20)의 단부가 밀게 되면 구조적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부스바(20)의 신장을 자연스럽게 허용하기 때문에 부스바(20)의 이동을 흡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절연부시(130) 외주면을 감싸는 링부재(132)는 상기 부스바(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톱퍼(136)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부재(132)는 상기 절연플레이트(110)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시(130) 외주면을 감싸서 체결볼트(140)를 2차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스톱퍼(136)는 이러한 링부재(132)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는데 상기 링부재(132)와 일체로서 사출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링부재(132)와 함께 전체적으로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톱퍼(136)는 부스바(20)가 삽입되는 양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양방향으로 각각 3개가 구비되어 있지만,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톱퍼(136)는 상기 제1 스톱퍼(126)와 함께 병용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톱퍼(126)는 제외하고 제2 스톱퍼(136)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스톱퍼(136)는 제1 스톱퍼(126)처럼 부스바(20)의 시공 기준점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부스바(20)가 열팽창에 의해 신장하여 부스바(20)의 단부가 밀게 되면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부스바(20)의 신장을 자연스럽게 허용하여 부스바(20)의 이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 시스템의 비율 차동식 온도감시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 시스템의 정온식 온도감시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 시스템의 차동식 온도감시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1000)은 부스덕트(10)를 연결하는 다수의 접속부(100)에 각각 설치되며,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192)가 상기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접속부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센서(190) 및,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190)로부터 수집된 각 접속부의 온도정보를 전송받으며, 온도정보의 모니터링과 기 설정된 범위 밖의 온도정보에 대한 알람을 수행하는 모니터링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술한 구조와 같이 각 접속부(100)에 온도센서(190)를 설치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수집한 온도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20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1000)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상기 온도센서(19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10)와,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190)로부터 온도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장치(220)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220)로부터 온도정보를 전송받아 조회가 가능하고, 정상범위의 설정 및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온도센서(190)는 통신케이블(70)에 의해 연결되는데, 여기서 상기 통신케이블(70)은 485 통신용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485 통신용 케이블은 1 내지 수km 범위에서 통신이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중계 서버 설치 없이 넓은 범위에 설치된 부스덕트(10)의 온도감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신케이블(70)은 부스덕트(10)의 부스바(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폐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케이블(70)은 상기 부스덕트 외함(12)에 형성된 거치홈(16, 도 1 참조)에 고정되어 부스덕트(10)를 따라 포설되며, 접속부(100)에 설치된 온도센서(190)의 연결부(198)에 접속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210)는 상기 온도센서(190)가 작동할 수 있도록 동작전원을 공급하는데, 예를 들어 DC 24V나 DC 36V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220)에는 각 온도센서(190)에서 측정된 온도정보가 통신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 모이게 되며, 이와 같이 수집된 온도정보는 다시 단말기(23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30)는 PC나 터치패드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230)를 통해 온도정보의 조회와 정상범위의 설정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비정상적인 온도상승의 경우 알람을 통해 경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을 구축한 후 부스덕트 접속부(100)의 온도감시를 수행하는데, 비정상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알람이 수행되어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수리나 교체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감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 이상의 온도센서(190)에서 수집된 온도정보를 통해 평균값을 구하고 임의의 접속부(100)에서 측정된 온도와 상기 평균값과의 차이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 알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비율 차동식 방식이라 칭하는데, 측정점과 타측정점 간의 온도 변화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평균값을 구하기 위해 수집하는 온도정보의 개소나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수치 범위 등은 부스덕트(10)의 설치 환경이나 기존에 수집된 온도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점을 기준으로 전후 4개소에 대한 온도정보를 수집한 후 그 평균값을 구하고 그보다 측정점의 온도가 15℃ 이상 높은 경우 알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임의의 접속부(10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큰 경우 알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정온식으로서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더 온도가 상승하지 여부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준온도가 60℃인 경우, 50℃에서 사전 알람을 수행하고, 60℃보다 올라가는 경우 본 알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임의의 접속부(100)에서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온도 변화값이 기 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 알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차동식으로서, 일정 시간 내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지 여부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시간을 1분으로 하고, 그 시간 동안 온도변화가 7℃ 이상 변화하는 경우 알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1과 같이 40초 동안 13℃ 이상 변화하는 경우 알람을 수행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온도감시 방법들은 본 시스템에 각각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둘 이상 또는 셋 모두 중복하여 적용함으로써 온도감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스덕트 접속부는 설치된 부스덕트의 실시간 온도 감시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접속부 내 온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사고 예방 및 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의 고장이나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부스덕트 18: 접지플레이트
20: 부스바 100: 부스덕트 접속부
110: 절연플레이트 120: 통전플레이트
124: 요철부 126: 제1 스톱퍼
130: 절연부시 132: 링부재
136: 제2 스톱퍼 140: 체결볼트
150: 와셔 160: 풀림방지구
170: 너트 180: 외부플레이트
190: 온도센서 192: 센싱부
194: 걸림부 196: 양면테이프
198: 연결부 200: 모니터링부
210: 전원공급장치 220: 데이터 수집장치
230: 단말기 1000;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

Claims (11)

  1. 서로 이웃하는 부스덕트의 부스바가 삽입되어 접속하는 부스덕트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외측을 감싸는 접속부 외함; 및
    상기 접속부 외함 일측에 결합하며,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가 상기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접속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접속부 외함 일측에 형성되는 중공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접속부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 외함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접속부 외함 중공부에 삽입 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접속부 외함과 접촉하는 둘레에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통신케이블이 삽입되어 접속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접속부 외함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가 접속부 외함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부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간 절연하는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스바와 접촉하는 통전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절연플레이트와 통전플레이트의 최외측에 구비되는 외부플레이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적층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볼트와,
    상기 절연플레이트, 통전플레이트 및 외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볼트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시를 더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플레이트는 부스덕트 접속 시 시공 기준점을 잡아주는 제1 스톱퍼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시 외주면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부재는 상기 부스바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톱퍼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를 감싸는 외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접지플레이트가 상기 외부플레이트와 절연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덕트 접속부.
KR1020140020498A 2014-02-21 2014-02-21 부스덕트 접속부 KR102124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498A KR102124659B1 (ko) 2014-02-21 2014-02-21 부스덕트 접속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498A KR102124659B1 (ko) 2014-02-21 2014-02-21 부스덕트 접속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033A true KR20150099033A (ko) 2015-08-31
KR102124659B1 KR102124659B1 (ko) 2020-06-18

Family

ID=5406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498A KR102124659B1 (ko) 2014-02-21 2014-02-21 부스덕트 접속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6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3183A (zh) * 2016-08-24 2016-12-21 镇江市长江机电设备厂有限公司 一种高压母线槽转接端子
CN106253178A (zh) * 2016-08-24 2016-12-21 镇江市长江机电设备厂有限公司 一种安全性能好的高压母线槽
KR20180080815A (ko) * 2017-01-05 2018-07-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접속부
CN112414577A (zh) * 2020-11-18 2021-02-26 江苏华彤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母线槽温升监控系统
CN113097952A (zh) * 2021-04-29 2021-07-09 珠海光乐电力母线槽有限公司 铜铝合金智慧母线干线系统
CN115579817A (zh) * 2022-10-27 2023-01-06 镇江市亚东高压电器厂 一种温感保护型母线槽结构及其保护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77B1 (ko) * 2007-11-29 2009-08-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100921673B1 (ko) * 2008-12-26 2009-10-15 주식회사 부시파워 부스 덕트시스템의 온도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77B1 (ko) * 2007-11-29 2009-08-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100921673B1 (ko) * 2008-12-26 2009-10-15 주식회사 부시파워 부스 덕트시스템의 온도 검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3183A (zh) * 2016-08-24 2016-12-21 镇江市长江机电设备厂有限公司 一种高压母线槽转接端子
CN106253178A (zh) * 2016-08-24 2016-12-21 镇江市长江机电设备厂有限公司 一种安全性能好的高压母线槽
KR20180080815A (ko) * 2017-01-05 2018-07-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접속부
CN112414577A (zh) * 2020-11-18 2021-02-26 江苏华彤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母线槽温升监控系统
CN113097952A (zh) * 2021-04-29 2021-07-09 珠海光乐电力母线槽有限公司 铜铝合金智慧母线干线系统
CN113097952B (zh) * 2021-04-29 2022-06-14 珠海光乐电力母线槽有限公司 铜铝合金智慧母线干线系统
CN115579817A (zh) * 2022-10-27 2023-01-06 镇江市亚东高压电器厂 一种温感保护型母线槽结构及其保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659B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9033A (ko) 부스덕트 접속부
KR102356233B1 (ko) 부스덕트 접속부 및 이를 포함하는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
KR101529818B1 (ko) 배전반 상태 감시를 위한 진단 시스템
KR100754280B1 (ko) 전력 케이블 접속부 열화 검출 시스템 및 열화 검출 방법
KR100932187B1 (ko) 고압 전기시설물의 접속부 열화 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불량감시장치 및 방법
CN102422500B (zh) 汇流排线槽系统、温度监控系统及其在风力设备中的应用
US20110140686A1 (en) Thermal extension structures for monitoring bus bar terminations
KR102238913B1 (ko)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의 온도센서 인식방법
KR20150099036A (ko) 부스덕트 다점온도감시시스템 및 그 온도감시방법
KR20110091007A (ko) 전기시스템에서의 화재보호 장치
CN104335019B (zh) 光纤温度传感器
KR100916146B1 (ko)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
CN103346512B (zh) 一种智能型母线槽
JP5189426B2 (ja) 放電装置および温度監視装置
KR102236338B1 (ko) 전동차 전기공급용 직류 고압 부스덕트 온도 감시 시스템
CN105988061B (zh) 一种高压单芯电缆保护层故障定位的方法
KR102079873B1 (ko) 센서형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단자대 과열 진단방법
CN105703315A (zh) 全封闭式开关设备电缆终端头、组装方法及测温系统
CN110967382A (zh) 一种保温层下金属腐蚀与涂层完整性监测系统
CN218919424U (zh) 一种电缆对接头测温安装结构
KR102027826B1 (ko) 특고압 배전선로의 장애구간 자동추적장치
KR102617922B1 (ko) 부스웨이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US20220404211A1 (en) Monitors for pressurized systems
KR20180080815A (ko) 부스덕트 접속부
CN212458705U (zh) 一种电缆接头温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