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829B1 -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829B1
KR101622829B1 KR1020140065191A KR20140065191A KR101622829B1 KR 101622829 B1 KR101622829 B1 KR 101622829B1 KR 1020140065191 A KR1020140065191 A KR 1020140065191A KR 20140065191 A KR20140065191 A KR 20140065191A KR 101622829 B1 KR101622829 B1 KR 101622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cable
coupled
fix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505A (ko
Inventor
고부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82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와, 본체부에 장착되고 드럼이 설치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링크 결합되어 각도가 조절되고 케이블링이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에 연결되고, 드럼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의 길이가 가변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연결되어 대상물을 파지하고 케이블링에 권취된 전선케이블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집게부와, 이동부에 장착되고 전선케이블에 연결되어 전선케이블의 파손을 억제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하여, 집게부 상하시 발생하는 와이어와 전선케이블의 이동속도 차에 의한 전선케이블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와 전선케이블의 이동속도 차이로 인해 전선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항만 하역용 또는 고층 건축용으로 사용되는데, 와이어의 권취 여부에 따라 후크의 높이가 조절되고, 후크에 걸린 집게에 전선케이블이 연결되어 집게가 이동대상물을 파지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82086호(2008.08.21 공개, 발명의 명칭 : 부가기능을 갖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이동방법 및 그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와 전선케이블의 이동속도 차이로 인해 후크의 높이가 변화되는 동안 전선케이블에 장력이 발생하여 전선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드럼이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링크 결합되어 각도가 조절되고, 케이블링이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의 구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가변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대상물을 파지하고, 상기 케이블링에 권취된 전선케이블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집게부; 및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선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전선케이블의 파손을 억제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텐션조절부가 장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시브부; 및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부와 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가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케이블에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부는: 상기 고정부에 안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삽입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하부케이스를 상기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및 상기 연결고리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케이블을 감싸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집게부의 상하 이동시, 집게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텐션조절부의 자체 길이가 가변되면서 전선케이블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고정와이어가 하부케이스와 고정부를 수회 감아 이들을 결합시켜 줌으로써, 하부케이스와 고정부간의 결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텐션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집게부 하강을 위해 와이어가 풀릴 때 가변부가 전선케이블을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집게부가 상승을 위해 와이어가 감길 때 가변부가 전선케이블을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은 본체부(10)와, 고정부(20)와, 조작부(30)와, 이동부(40)와, 집게부(50)와, 텐션조절부(6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지면에 안착되고, 지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본체부(10)의 장착되어 본체부(1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20)에는 드럼(70)이 장착되어 와이어(71)를 권취한다.
조작부(30)는 고정부(20)에 링크 결합되어 각도가 조절된다. 일 예로, 조작부(30)는 복수개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조작부(30)의 단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작부(30)에는 케이블링(80)이 장착되어 전선케이블(81)을 권취한다.
이동부(40)는 드럼(70)에 권취된 와이어(71)에 연결된다. 와이어(71)는 조작부(30)의 단부를 통과하여 이동부(40)에 연결되고, 드럼(70)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71)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이동부(4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집게부(50)는 이동부(40)에 연결되어 대상물을 파지한다. 케이블링(80)에 권취된 전선케이블(81)은 집게부(50)에 연결되어 집게부(50)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드럼(70)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71)의 이동속도는 케이블링(80)에 감기거나 풀리는 전선케이블(81)의 이동속도보다 빠르다. 이러한 속도차로 인해, 이동부(40) 및 이동부(40)에 연결된 집게부(50)의 높이가 조절될 때마다 전선케이블(81)이 이들의 이동속도보다 늦어 전선케이블(81)이 파손될 수 있다.
텐션조절부(60)는 이동부(40)에 장착되고, 전선케이블(81)에 연결되어 전선케이블(81)의 파손을 억제한다. 즉, 텐션조절부(60)는 전선케이블(81)을 지지하고 길이가 가변되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와이어(71)와 전선케이블(81)의 이동속도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전선케이블(81)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40)는 커버부(41)와, 시브부(42)와, 후크부(43)를 포함한다.
커버부(41)에는 텐션조절부(60)가 장착된다. 일 예로, 커버부(41)의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하고, 텐션조절부(60)는 커버부(4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시브부(42)는 커버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와이어(71)는 시브부(42)에 감긴다. 일 예로, 시브부(42)는 커버부(4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판(421)과, 회전판(421)을 연결하는 회전축(42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회전판(421)의 외주면은 오목한 형상을 하고, 와이어(71)는 회전판(421)의 외주면에 각각 감길 수 있다.
후크부(43)는 커버부(41)에 결합되고, 집게부(50)와 결합된다. 일 예로, 후크부(43)는 커버부(41)의 저면에 결합되는 후크연결대(431)와, 후크연결대(4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고리 형상을 하는 후크고리(432)와, 후크고리(432)에 결합되고 후크고리(432)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후크도어(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집게부(50)는 후크고리(43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텐션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절부(60)는 고정부(61)와, 가변부(62)와, 커넥터부(63)를 포함한다.
고정부(61)는 이동부(40)에 결합된다. 일 예로, 고정부(61)는 커버부(41)에 결합되는 고정바(611)와, 고정바(611)의 중앙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변부(62)가 안착되는 받침바(6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61)는 시브부(42)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가변부(62)는 고정부(61)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된다. 그리고, 커넥터부(63)는 가변부(62)에 결합되고, 전선케이블(8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선케이블(81)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변부(62)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와이어(71)와 전선케이블(81)의 이동속도차를 보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집게부 하강을 위해 와이어가 풀릴 때 가변부가 전선케이블을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서 집게부가 상승을 위해 와이어가 감길 때 가변부가 전선케이블을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62)는 하부케이스(621), 상부케이스(622), 스프링(623)과, 고정와이어(624)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621)는 고정부(61)에 안착되고,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622)가 하부케이스(621)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부케이스(621)는 중공된 형상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케이스(621)는 받침바(612)에 안착되고, 고정바(611)에 인접될 수 있다.
스프링(623)은 하부케이스(621)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부케이스(622)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코일 형상을 하여 외력에 의해 수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프링(623)의 하단부는 하부케이스(621)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고, 스프링(623)의 상단부는 상부케이스(622)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와이어(624)는 하부케이스(621)를 고정부(61)에 고정시킨다. 일 예로, 고정와이어(624)는 고정바(611)와, 고정바(611)에 인접되는 하부케이스(621)에 감겨, 하부케이스(621)를 고정한다. 이때, 하부케이스(621)의 외측에는 고정와이어(624)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바(61)도 고정와이어(624)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형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63)는 회전체(631)와, 연결고리(632)와, 고정클립(63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631)는 가변부(6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고정클립(633)은 전선케이블(81)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선케이블(81)과 결합된다. 연결고리(632)는 회전체(631)와 고정클립(633)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크레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70)에 감긴 와이어(71)는 한 쌍의 회전판(421)을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드럼(70)이 와이어(71)를 감거나 풀게되면, 회전판(421)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회전판(421)을 포함하는 시브부(42)는 커버부(41)에 장착되고, 커버부(41)에는 집게부(50)와 연결되기 위한 후크부(43)가 형성되므로, 회전판(421)이 상하 이동되면 이와 연결된 후크부(43)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링(80)에 감긴 전선케이블(81)은 집게부(50)에 연결되어 집게부(5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텐션조절부(60)는 커버부(41)에 고정 설치되고, 전선케이블(81)과 연결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드럼(70)이 와이어(71)를 풀어주면, 집게부(50)가 하강한다(도 5 참조). 이때, 와이어(71)와 전선케이블(81) 자체 하중 및 두께 차이로 인해 와이어(71)의 이동속도는 전선케이블(81)의 이동속도보다 더 빠르다. 이로 인해, 와이어(71)와 연결된 시브부(42) 및 시브부(42)에 매달린 집게부(50)가 하방 이동되는 속도가 전선케이블(81)이 풀리는 속도보다 빠르다.
집게부(50)의 하방 이동속도와 전선케이블(81)의 풀리는 속도 차이로 인해 집게부(50)와 연결된 전선케이블(81)에 장력이 발생한다. 한편, 커버부(41)에 장착되어 전선케이블(81)과 결합되는 텐션조절부(60)는 자체 길이가 가변되면서 전선케이블(81)을 지지한다. 이러한 텐션조절부(60)에 의해 전선케이블(81)에 가해지는 장력이 완화되어 전선케이블(81)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드럼(70)이 와이어(71)를 감아주면, 집게부(50)가 상승한다(도 6 참조). 이때, 와이어(71)와 전선케이블(81) 자체 하중 및 두께 차이로 인해 와이어(71)의 이동속도는 전선케이블(81)의 이동속도보다 더 빠르다. 이로 인해, 와이어(71)와 연결된 시브부(42) 및 시브부(42)에 매달린 집게부(50)가 상방 이동되는 속도가 전선케이블(81)이 감기는 속도보다 빠르다.
집게부(50)의 상방 이동속도와 전선케이블(81)의 감기는 속도 차이로 인해 집게부(50)와 연결된 전선케이블(81)이 아래로 처질 수 있다. 한편, 커버부(41)에 장착되어 전선케이블(81)과 결합되는 텐션조절부(60)는 자체 길이가 가변되면서 전선케이블(81)을 지지한다. 이러한 텐션조절부(60)에 의해 전선케이블(81)의 처짐을 완화하여 전선케이블(81)과 설비와의 접촉에 의한 전선케이블(81)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은 집게부(50)의 상하 이동시, 집게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케이블(8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은 텐션조절부(60)의 자체 길이가 가변되면서 전선케이블(81)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은 고정와이어(624)가 하부케이스(621)와 고정부(61)를 수회 감아 이들을 결합시켜 줌으로써, 하부케이스(621)와 고정부(61)간의 결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20 : 고정부
30 : 조작부 40 : 이동부
41 : 커버부 42 : 시브부
43 : 후크부 50 : 집게부
60 : 텐션조절부 61 : 고정부
62 : 가변부 63 : 커넥터부
70 : 드럼 71 : 와이어
80 : 케이블링 81 : 전선케이블
611 : 고정바 612 : 받침바
621 : 하부케이스 622 : 상부케이스
623 : 스프링 624 : 고정와이어
631 : 회전체 632 : 연결고리
633 : 고정클립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드럼이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링크 결합되어 각도가 조절되고, 케이블링이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의 구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가변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대상물을 파지하고, 상기 케이블링에 권취된 전선케이블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집게부; 및
    상기 이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선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전선케이블의 파손을 억제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텐션조절부가 장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시브부; 및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부와 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하여 상기 텐션조절부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브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은 오목한 형상을 하여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가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케이블에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고정부에 안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삽입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하부케이스를 상기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가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및
    상기 연결고리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케이블을 감싸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1020140065191A 2014-05-29 2014-05-29 크레인 KR101622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191A KR101622829B1 (ko) 2014-05-29 2014-05-29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191A KR101622829B1 (ko) 2014-05-29 2014-05-29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505A KR20150138505A (ko) 2015-12-10
KR101622829B1 true KR101622829B1 (ko) 2016-05-20

Family

ID=5497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191A KR101622829B1 (ko) 2014-05-29 2014-05-29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8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27B1 (ko) * 2011-02-24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인입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27B1 (ko) * 2011-02-24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인입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505A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2248B2 (ja) 重量昇降装置及び方法
KR101285921B1 (ko) 풍차의 날개 선단부 보호 백 및 로터의 조립 방법
KR102550110B1 (ko)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사용되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대(對)전신주 고정구 및 행잉/서스펜션 툴
KR20200099566A (ko)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
KR101593000B1 (ko)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KR20160138225A (ko) 길고 무거운 물체를 핸들링하기 위한 도구
KR101743358B1 (ko) 파일 인양기구
JP5752184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KR101622829B1 (ko) 크레인
US20170298641A1 (en) Netting Structure
JP6294059B2 (ja) ウインチの遠隔操作構造
JP2011240998A (ja) 吊り具及びこれを用いた吊り荷の吊り上げ搬送方法
CN216016277U (zh) 一种线路展放中防线路弹跳的装置
JP2013175312A (ja) 塗料付着防止碍子カバーおよびその装着方法
KR102148450B1 (ko) 추락방지용 개인용 죔줄 체결끈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의 추락방지방법
JP2011244586A (ja) 把持金具及び把持金具を用いた耐張装置交換工具並びに耐張装置交換方法
JP5331539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JP6481438B2 (ja) 防護用部材支持装置および防護用部材の設置方法
KR100987530B1 (ko) 현수 애자 장치 긴선 작업 전선 인상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긴선 작업 공정
JP6166940B2 (ja) クレーン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および吊り上げ補助装置
JP2013165651A (ja) 鳥害防止具
CN105262005A (zh) 用于电杆架空地线及opgw光缆的辅助支撑装置
JP6203104B2 (ja) 荷揚げ装置
JP5283534B2 (ja) 防護管袋保持具、及び防護管袋保持方法
CN107805982A (zh) 一种改进型轨道板起吊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