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762B1 -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762B1
KR101622762B1 KR1020140183370A KR20140183370A KR101622762B1 KR 101622762 B1 KR101622762 B1 KR 101622762B1 KR 1020140183370 A KR1020140183370 A KR 1020140183370A KR 20140183370 A KR20140183370 A KR 20140183370A KR 101622762 B1 KR101622762 B1 KR 101622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ibrillator
wireless
self
informatio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주)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8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61Detecting 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03Radio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제세동기의 동작 가능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표시하고, 점검 결과를 관리 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은, 무선충전 수신모듈과, 배터리에 상기 무선충전 수신모듈에 수신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와, 제세동기 관리장치를 포함한다. 제세동기 관리장치는, 상기 자동 제세동기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서 자가 진단 정보를 수신받고, 심전도 분석 프로그램을 송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와, 무선 데이타 네트웍을 통하여 관리 서버에 자가 진단 정보 및 환자의 심전도 정보를 전송하고, 심전도 분석 프로그램을 수신받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무선충전 송신모듈과,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충전 송신모듈과, 블루투스 통신부와,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세동기 관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자가 진단 정보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 송신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은, 자가 진단 정보에 따라서 제어되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여, 항상 무선 충전에 의해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AUTOMATED EXTERMAL DEFIBRILLATOR SYSTEM}
본 발명은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제세동기의 동작 가능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점검 결과를 표시하고, 점검 결과를 관리 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 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심장 세동에 의해서 급성 심정지 상태가 발생환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주어서 심장박동을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장치이다.
언제 어디에서 심정지 환자가 발생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자동 제세동기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 예를 들면 공항이나 지하철 역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에서 자동 제세동기가 제데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소중한 인명을 구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므로 자동 제세동기가 동작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동 제세동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이 가능한지 점검하기 위한 자가 진단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 제세동기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선행 특허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1057200호(발명의 명칭,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및 제1017379호(발명의 명칭,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구조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는, 자동 제세동기의 자가 진단 결과를 관리센터나 응급구조센터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제978074호( 발명의 명칭,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구조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는 제세동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또한, 특허 공개 제10-2014-0073690호(발명의 명칭, 자동제세동기 관리방법)에는 복수의 제세동기가 자가진단 결과를 동시에 송신할 경우, 중앙 서버의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 중계기를 거치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제1057200호, 발명의 명칭,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특허 제1017379호, 발명의 명칭,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구조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특허 제978074호, 발명의 명칭, 원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구조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특허 공개 제10-2014-0073690호, 발명의 명칭, 자동제세동기 관리방법
장시간 미사용 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자동 제세동기가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담보하기 위하여는, 자가 진단 결과를 일정한 주기로 모니터링 하고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특히, 종래의 자동 제세동기는 자가진단 기능을 수행하면서 저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는, 대용량의 배터리가 요구된다. 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자동 제세동기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대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된 경우, 자가 진단 등에 의한 전원의 소모로 동작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배터리의 소모를 보충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제동 제세동기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한편, 자동 제세동기에는 환자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신호을 분석하여, 제세동 처치가 필요한 심전도 리듬인지 여부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분석 알고리즘)은 질환 유형별 심전도 데이타를 토대로 개발 되며 검증되고 있다. 그러나,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환자의 심전도 데이타를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분석 알고리즘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심전도 데이타를 얻을 수 있는 제세동기가 요청되고 있다.
또한, 자동제세동기는 국제적인 기본 소생술(BLS) 가이드라인에 따라 동작되도록 설계/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이 개정될 경우 여러 장소에 배치된 자동 제세동기를 새로운 가이드 라인에 따라서 동작되도록 동시에 프로그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사용방법을 알려줄 경우, 모든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언어를 자동 제세동기에 저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의 음성을 유사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가 요청되고 있다. 즉,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프로그램 변경사항을 수시로 갱신할 수 있는 자동 제세동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제세동기의 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자동 제세동기 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은, 무선충전 수신모듈과, 배터리에 상기 무선충전 수신모듈에 수신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와, 제세동기 관리장치를 포함한다. 제세동기 관리장치는, 상기 자동 제세동기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서 자가 진단 정보를 수신받고, 심전도 분석 프로그램을 송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와, 무선 데이타 네트웍을 통하여 관리 서버에 자가 진단 정보 및 환자의 심전도 정보를 전송하고, 심전도 분석 프로그램을 수신받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무선충전 송신모듈과,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충전 송신모듈과, 블루투스 통신부와,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세동기 관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자가 진단 정보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 송신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세동기 관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자동 제세동기와 불루투스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을 하거나 상기 자동 제세동기가 무선충전 송신모듈로부터 분리된 경우, 무선충전 송신 모듈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은, 자가 진단 정보에 따라서 제어되는 무선 충전 모듈을 구비하여, 항상 무선 충전에 의해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가 진단시 소모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하므로, 배터리의 용량을 응급시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규모로 정할 수 있어서, 배터리 용량을 필요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제세동기 관리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서 자동 제세동기로부터 자가진단 정보와 심전도(ECG) 정보를 제공받아, 무선송수신 모듈을 통하여 관리센터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세동기 관리장치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환자를 응급 처리 할 경우에도, 환자의 심전도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여 많은 환자의 심전도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 장치는 무선으로 인터넷과 같은 데이타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고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서 자동 제세동기와 연결되어, 개정된 가이드 라인에 따른 프로그램이나 여러 종류 언어의 음성 안내 정보를 자동 제세동기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변경 사항의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의 개략도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세동기 시스템은 자동 제세동기(100)와 제세동기 관리장치(200)로 구성된다.
자동 제세동기(100)는 제어부(110), 디스플레이(170, 스피커(160) 및 제세동 펄스 생성부(150)를 포함한다. 제세동 펄스 생성부(150)에는 전극패드들(151)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극 패드들(150)은 환자의 ECG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생성부로 전달하고, 펄스 생성부는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환자의 ECG 신호를 분석하고, 위험한 심장 리듬이 분석된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스피커(16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환자의 심장에 생성된 위험한 리듬을 치유하도기 위한 쇼크를 제세동 펄스 생성부(150)에서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리(140)에 음성 형태로 저장된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법 파일(141)을 스피커(160)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ECG 분석 프로그램(142)을 수행하여 위험한 심장 리듬이 발생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제세동 치료를 위하여 필요한 쇼크의 생성 여부를 결정한다.
자동 제세동기(100)는 배터리(121)를 구비한다. 배터리(121)는 무선충전 수신모듈(12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자동 제세동기(100)는 불루투스 통신모듈(130)을 구비한다. 제세동기 관리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부(230)와 무선통신부(24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통신부(230)는 자동 제세동기(100)의 블루투스 통신부(130)와 PEER-TO-PEER 방식으로 연결되어 자동 제세동기(100)로부터 자가 진단 정보를 수신받아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무선 통신부(240)를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관리서버로 자가 진단 정보를 전송한다. 인터넷에 연결된 관리서버는 ECG 분석 프로그램이 갱신된 경우, 제세동기 관리장치(200)로 갱신된 ECG 분석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제세동기 관리장치(200)는 무선통신부(240)를 통하여 전송받은 갱신된 ECG 분석 프로그램을 불루투스 통신부(230)를 통하여 자동 제세동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른 새로운 프로그램을 빠른 시간에 여러 장소에 배치된 자동 제세동기로 전송하여 갱신할 수 있다.
제세동기 관리장치(200)는 무선충전 송신모듈(220)을 포함한다. 제세동기 관리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전송 받은 자가 진단 정보로부터 배터리(121)의 상태를 파악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이 규정치 이하인 경우, 무선충전 송신모듈(220)을 작동시킨다. 무선충전 송신모듈(2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 제세동기(100)의 무선충전 수신모듈(120)은 배터리(121)를 충전시킨다. 따라서, 자동 제세동기(100)는 자가 진단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에 소모되는 전력을 필요한 경우에 언제든지 충전할 수 있으므로, 항상 사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응급 사용 시 충전을 위한 전선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동 제세동기(100)를 신속하게 보관장소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세동기 관리장치(200)는 자동 제세동기 보관함에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세동기 관리장치(200)를 자동 제세동기 보관함으로 구성한 경우, 제세동기 관리장치(200)에 유선으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자동 제세동기(100)가 보관함에서 분리된 경우, 제세동기 관리장치(200)는 자동 제세동기(100)의 분리를 감지하고, 무선충전 송신모듈(22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자기파의 발생에 의해서 블루투스 통신이 불안정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리장치(100)와 자동 제세동기(100) 사이에 불루투스 통신이 이루어 지는 경우에도 무선충전 송신모듈(220)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100 자동 제세동기
120 무선충전 수신모듈
130 불루투스 통신부
200 제세동기 관리장치
220 무선충전 송신모듈
230 불루투스 통신부

Claims (2)

  1. 무선충전 수신모듈과, 배터리에 상기 무선충전 수신모듈에 수신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와,
    상기 자동 제세동기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서 자가 진단 정보를 수신받고, 심전도 분석 프로그램을 송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와, 무선 데이타 네트웍을 통하여 관리 서버에 자가 진단 정보 및 환자의 심전도 정보를 전송하고 심전도 분석 프로그램을 수신받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무선충전 송신모듈과, 상기 자가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충전 송신모듈과 블루투스 통신부와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세동기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세동기 관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자가 진단 정보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에 따라서 상기 무선충전 송신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세동기 관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자동 제세동기와 불루투스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을 하거나 상기 자동 제세동기가 무선충전 송신모듈로부터 분리된 경우, 무선충전 송신 모듈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KR1020140183370A 2014-12-18 2014-12-18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KR10162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370A KR101622762B1 (ko) 2014-12-18 2014-12-18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370A KR101622762B1 (ko) 2014-12-18 2014-12-18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762B1 true KR101622762B1 (ko) 2016-05-19

Family

ID=5610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370A KR101622762B1 (ko) 2014-12-18 2014-12-18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863B1 (ko) * 2021-09-23 2022-08-02 (주)그로넷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47396A (ko) 2021-04-27 2022-11-03 (주)나눔테크 저전력 자가진단이 가능한 자동심장충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2961A1 (en) 2009-12-18 2011-06-23 Sherwood Gregory J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electrode including an overcurrent protector
KR101044736B1 (ko) 2010-10-22 2011-06-28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2961A1 (en) 2009-12-18 2011-06-23 Sherwood Gregory J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electrode including an overcurrent protector
KR101044736B1 (ko) 2010-10-22 2011-06-28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원격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세동기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96A (ko) 2021-04-27 2022-11-03 (주)나눔테크 저전력 자가진단이 가능한 자동심장충격기
KR102427863B1 (ko) * 2021-09-23 2022-08-02 (주)그로넷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80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AED docking
JP7350375B2 (ja) 自動体外式除細動器および使用の方法
US20230333954A1 (en) Patient assurance system and method
WO2009034506A1 (en) Remote status indicator for a defibrillator
JP6440125B2 (ja) 生命維持の提供
EP2934671B1 (en) Defibrillation apparatus for wireless data exchange with a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US20180342319A1 (en) Single use aed
US116484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in a medical device
JP2018515832A5 (ja) 医療機器の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
US20150134018A1 (en) External cardiac defibrillator system for household use
KR101622762B1 (ko)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KR101057200B1 (ko)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CN109843375B (zh) 用于自动体外除颤器(aed)的一次性检测器
CN114009066A (zh) 除颤器和管理服务器
KR101206581B1 (ko)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용 환자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심장제세동기
KR101631010B1 (ko)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
KR20150000709A (ko) 원격 관리형 자동제세동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915661A (zh) 一种对用户进行救援的方法与设备
CN116616785A (zh) 心脏治疗系统及心电监测数据采集方法
JP2020137727A (ja) メッセージを増幅する周辺装置と協調してメッセージを伝達するメインuiを有する着用型除細動器(wcd)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