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200B1 -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200B1
KR101057200B1 KR1020110009397A KR20110009397A KR101057200B1 KR 101057200 B1 KR101057200 B1 KR 101057200B1 KR 1020110009397 A KR1020110009397 A KR 1020110009397A KR 20110009397 A KR20110009397 A KR 20110009397A KR 101057200 B1 KR101057200 B1 KR 101057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ic shock
cardiac
unit
cardiac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무진
박정회
Original Assignee
(주)나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눔테크 filed Critical (주)나눔테크
Priority to KR102011000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시설에서 심장마비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원격으로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공공시설에 다수 설치되는 심장 전기충격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심장 전기충격기가 항상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와 심장마비환자에 대해 사용한 사용상태 정보의 수신 주체를 차별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주체마다 정보의 효율적인 수신에 따른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심장 전기충격기의 통신부에서 발송되는 정보 중에서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관리센터의 정보 수신기와;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의 통신부에서 발송되는 정보 중에서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구조센터의 정보 수신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A remotely managing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of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or the public building}
본 발명은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시설에서 심장마비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원격으로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공공시설에 다수 설치되는 심장 전기충격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심장 전기충격기가 항상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와 심장마비환자에 대해 사용한 사용상태 정보의 수신 주체를 차별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주체마다 정보의 효율적인 수신에 따른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장마비라 함은, 심장근육을 수축시키는 심근세포의 불규칙한 활동에 의한 심장의 부정맥을 의미하는 심장세동 혹은 심장이 정지하는 심정지에 의해 인체 여러 곳에 혈액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산소부족에 의해 사망에 이르는 병이다.
상기 심장마비는 급성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과 같은 관상동맥질환, 확장성 심근병증 또는 비후성 심근병증과 같은 심근질환, 대동맥 박리증과 같은 대동맥질환, 대동맥 판막 협착증과 같은 판막질환 등 심장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질환들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관상동맥질환과 심근병증이 가장 흔하며, 관상동맥 질환자 사망의 약 50%가 돌연 심장사고,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약 20%에서 돌연 심장사가 발생하며, 상기 관상동맥질환과 심근병증이 전체 돌연 심장사 환자의 약 95%를 차지한다.
또한 구조적인 이상이 관찰되지는 않지만 선천적인 이온 통로의 돌연변이로 치명적인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는 QT연장 증후군(심전도에서 QT간격이 연장되는 질환으로 심실세동이 생기기 쉬움), 브루가다(Brugada) 증후군(아시아계 젊은 연령층 남성에서 자주 보고되는 질환) 등도 돌연 심장사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심장마비에 걸리게 되면, 일차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생존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심폐소생술을 통하여 생존한 환자는 장기적으로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가 필요한데,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은 삽입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를 시술 받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삽입형 제세동기(ICD)는 체내에 삽입된 전극선으로 심장에 전기충격을 주어 정상 박동으로 되돌리는 기계로서, 전극선은 쇄골하정맥을 통해 심장에 위치시켜놓고 전기충격 발생장치는 앞가슴의 피하에 이식하는 것으로, 평소 환자의 심장 박동을 감시하다가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부정맥을 감지하면 전기충격 등으로 이를 멎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더라도 환자가 생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짧은 시간 내에 심장세동을 제거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약물이나 기타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강한 전류를 심장의 흉벽을 통해 심근에 빠르게 인가시켜 심근수축을 유도하여 심장세동을 제거하는 전기 충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 충격법을 환자에게 시술하기 위해서는 심장 전기충격기가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는 병원이나 응급구조센터 등에 설치되어 있어 공공시설에서 심장마비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응급구조요원이 도착하기 전에는 일반인들은 환자에 대해 심폐소생술 외에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없었으나, 2008년 5월 22일자로 자동제세동기의 공공시설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일반인들도 상기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를 이용하여 갑작스런 심장마비환자에 대한 응급구조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는 취급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시 스피커를 통해 안내되는 사용설명까지 녹음되어 있어 일반인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를 '제세동기' 라는 명칭으로 2009.06.22.자에 출원하여 2010.03.12.자로 등록받은 바 있으며,(등록번호 : 제10-0948671호) 상기 '제세동기'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위 등록번호의 공보에 기재되어 있어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는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알 수 없는 심장마비환자에 대한 응급구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공시설의 일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응급환자가 발생하는 순간에는 작동이 되지 아니하면 무용지물이 되므로, 그 대기상태에 대한 점검이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중앙관리센터의 장비 담당자가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수도 있으나, 법안의 시행 이후 급속도로 증가하는 심장 전기충격기 설치장소를 일일이 찾아내어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에 대해 일일이 점검하는 것은 사실상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에 대해 개별적인 점검이 힘들다고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심장 전기충격기를 설치된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심장마비로 인한 응급환자가 생겼을 때, 심장 전기충격기의 오작동 혹은 미작동의 발생으로 인하여 살릴 수도 있는 환자를 살리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여러 공공시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심장 전기충격기를 일일이 찾아서 직접 점검하지 아니하더라도 심장 전기충격기의 자가진단과 그에 대한 정보의 전송을 통해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를 용이하게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가 언제든지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의 자가진단에 따른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는 중앙관리센터로, 심장마비환자에 대한 사용에 따라 습득되는 정보는 응급구조센터 혹은 병원으로 차별적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장비에 대한 관리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환자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습득하여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 및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과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형식으로 스마트폰에 설치가능한 심장 전기충격기 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심장 전기충격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공시설에 설치되는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인체의 임피던스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와, 심전도를 검출하는 심전도 검출부와, 검출된 임피던스 신호와 심전도 신호를 처리하고 전기충격여부 및 전기충격량을 판정하면서 연결된 구성들의 작동여부를 제어 및 점검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부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에 의해 제어되어 고압의 전기충격을 가하는 고전압 발생부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인체에 방전하기 위한 고전압 스위칭부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에 연결된 구성들의 대기상태 정보 및 사용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심장 전기충격기와;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의 통신부에서 발송되는 정보를 수신받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를 집중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관리센터의 정보 수신기와;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의 통신부에서 발송되는 정보를 수신받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정보에 따라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구조센터의 정보 수신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는 심장 전기충격기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와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에 연결된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전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는 심장 전기충격기의 정보는 그 내용 혹은 수신 주체에 따라 주파수를 달리하여 전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기는 주파수 설정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스마트폰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에는 웹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심장 전기충격기 원격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심장 전기충격기의 통신부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수신, 심장 전기충격기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기본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전기충격기의 정보전송도
상기와 같은 구성과 효과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은,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통신부(70)에서 발송되는 정보 중에서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여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관리센터(200)의 정보 수신기(210)와;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통신부(70)에서 발송되는 정보 중에서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구조센터(300)의 정보 수신기(3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100)는, 인체의 임피던스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10)와, 심전도를 검출하는 심전도 검출부(20)와, 검출된 임피던스 신호와 심전도 신호를 처리하고 전기충격여부 및 전기충격량을 판정하면서 연결된 구성들의 작동여부를 제어 및 점검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에 의해 제어되어 고압의 전기충격을 가하는 고전압 발생부(40)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40)에서 발생된 전류를 인체에 방전하기 위한 고전압 스위칭부(50)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와 연결된 구성들의 대기상태 정보 및 사용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60)와, 상기 메모리부(6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는 그 일측에 연결된 구성들(임피던스 검출부(10), 심전도 검출부(20), 고전압 발생부(40), 고전압 스위칭부(50))을 제어 및 점검하는 과정에서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와 심장마비환자에게 사용했을 때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득하게 되며, 수득된 정보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의 일측에 연결형성된 메모리부(60)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를 통해 수득되는 정보들은 메모리부(60)에 저장되면서, 상기 정보들을 외부에 전송하여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 혹은 심장마비환자에 대한 사용상태 정보를 알려주게 되는데, 상기 정보들을 외부에 전송할 때에는 메모리부(60)의 일측에 연결형성된 통신부(70)를 이용하여 전송하게 되며, 상기 통신부(70)는 상기 정보들에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외부에 설정된 주파수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와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에 실리는 주파수를 각각 달리 형성함으로써,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와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의 수신주체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차별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심장 전기충격기(100)가 항상 작동가능하도록 관리해야 하는 중앙관리센터(200)의 경우에는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에 대해 보다 꼼꼼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질 것이다.
또한, 심장마비환자의 상태에 대해 신속하게 확보하여 그에 대한 신속한 대비가 이루어져야 하는 응급구조센터(300)는 심장마비환자에게 사용하면서 수득되는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만을 원격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장마비환자에 대해 보다 완벽하고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여 지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서는, 상기 중앙관리센터(200)에는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정보 수신기(210)가 구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며, 상기 중앙관리센터(200)의 정보 수신기(210)는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에 설정되는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관리센터(200)는 심장 전기충격기(100)를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점검하지 아니하여도 실시간으로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득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오류정보가 발생한 심장 전기충격기(100)만을 추려내어 오류의 원인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관리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응급구조센터(300)에는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정보 수신기(310)가 구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며, 상기 응급구조센터(300)의 정보 수신기(310) 또한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에 설정되는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응급구조센터(300)는 심장마비환자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송받아 이를 바탕으로 보다 신속하고 완벽한 응급조치 준비를 할 수 있게 되어 환자를 소생시킬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황에 따라 중앙관리센터(200)에서도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싶다면 별도의 정보수신기를 구비하여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고, 응급구조센터(300)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여러 공공시설에 설치된 다수의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중앙관리센터(200)에서 수신하되, 각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분하여 수신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중앙관리센터(200)의 정보 수신기(210)에 설정되는 주파수를 일정 범위로 설정하고, 그 설정된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각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통신부(70)에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어느 심장 전기충격기(100)에서 어떠한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응급구조센터(300)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중앙관리센터(200) 혹은 응급구조센터(300)에서 구비하고 있는 정보 수신기(210)(310)는 휴대용 통신기기로도 형성가능한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210´)(310′)으로도 형성가능하다.
즉,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통신부(70)를 통해 상이한 주파수로 외부로 전송되는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 정보와 사용상태 정보는 스마트폰에 웹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된 심장 전기충격기 원격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이 가능하며, 이 때,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 원격관리 프로그램 또한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한 정보만 수신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를 항상 체크해야 하는 중앙관리센터(200)의 담당자는 스마트폰(210´)을 통해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언제든지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어 오류발생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응급구조센터(300)의 담당자 또한 스마트폰(310′)을 통해 인근에서 발생한 심장마비환자에 대해 신속한 준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임피던스 검출부 20 : 심전도 검출부
30 : 마이크로컨트롤러부 40 : 고전압 발생부
50 : 고전압 스위칭부 60 : 메모리부
70 : 통신부 100 : 심장 전기충격기
200 : 중앙관리센터 210, 310 : 정보 수신기
210´, 310´ : 스마트폰
300 : 응급구조센터

Claims (5)

  1. 인체의 임피던스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검출부(10)와, 심전도를 검출하는 심전도 검출부(20)와, 검출된 임피던스 신호와 심전도 신호를 처리하고 전기충격여부 및 전기충격량을 판정하면서 연결된 구성들의 작동여부를 제어 및 점검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에 의해 제어되어 고압의 전기충격을 가하는 고전압 발생부(40)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40)에서 발생된 전류를 인체에 방전하기 위한 고전압 스위칭부(50)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에 연결된 구성들이 항상 작동가능하도록 대기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대기상태 정보 및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에 연결된 구성들의 사용을 통해 환자에게서 검출되는 임피던스, 심전도 및 환자에게 가한 고전압 정보를 담은 사용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60)와, 상기 메모리부(6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심장 전기충격기(100)와;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통신부(70)에서 발송되는 정보를 수신받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를 집중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관리센터(200)의 정보 수신기(210)와;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통신부(70)에서 발송되는 정보를 수신받되,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정보에 따라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구조센터(300)의 정보 수신기(3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부(30)는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와 사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60)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60)에 연결된 통신부(70)를 통해 외부에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7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는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정보는 그 내용 혹은 수신 주체에 따라 주파수를 달리하여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기(210)(310)는 주파수 설정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스마트폰(210´)(3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210´)(310′)에는 웹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심장 전기충격기 원격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심장 전기충격기(100)의 통신부(7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100)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KR1020110009397A 2011-01-31 2011-01-31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KR10105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97A KR101057200B1 (ko) 2011-01-31 2011-01-31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97A KR101057200B1 (ko) 2011-01-31 2011-01-31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200B1 true KR101057200B1 (ko) 2011-08-16

Family

ID=4493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397A KR101057200B1 (ko) 2011-01-31 2011-01-31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2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11B1 (ko) * 2012-12-06 2015-03-11 (주)나눔테크 자동제세동기 관리방법
KR101507209B1 (ko) * 2012-12-06 2015-04-01 (주)나눔테크 통신중계기를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자가진단결과 전송방법
WO2018074737A1 (ko) * 2016-10-19 2018-04-26 루씨엠(주)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및 자동심장충격기의 원격 통합 관리 플랫폼
KR20180093743A (ko) 2017-02-14 2018-08-22 이원재 심폐소생교육자와 심 정지 환자를 연계해 주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11B1 (ko) * 2012-12-06 2015-03-11 (주)나눔테크 자동제세동기 관리방법
KR101507209B1 (ko) * 2012-12-06 2015-04-01 (주)나눔테크 통신중계기를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자가진단결과 전송방법
WO2018074737A1 (ko) * 2016-10-19 2018-04-26 루씨엠(주) 자동심장충격기 보관함, 및 자동심장충격기의 원격 통합 관리 플랫폼
KR20180093743A (ko) 2017-02-14 2018-08-22 이원재 심폐소생교육자와 심 정지 환자를 연계해 주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0375B2 (ja) 自動体外式除細動器および使用の方法
US9486635B2 (en) Medical device including setup option reporting
CN1304071C (zh) 在距除纤颤电击最短的间隔时间内进行心肺复苏术的交互方法
CN109069827A (zh) 在另一医疗设备的植入期间心血管外植入式心脏复律除颤器(icd)的操作
US20040124979A1 (en) Communication between emergency medical device and safety agency
EP2638490B1 (en) Manually initiating wireless transmission of resuscitation event data to medical device
US11911606B2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various communicative solutions
US8890702B2 (en) Defibrillator delivering audible prompts to earpiece
CN107567304B (zh) 用于检测高能量心脏电刺激之后的固有去极化的方法和装置
US20160296177A1 (en) Cardiac arrest alert system and method
US20160206894A1 (en) Defibrillator device
CN102307619A (zh) 可植入装置中的交叉通道噪声检测器
US10238881B2 (en) Prevention of inadvertent battery depletion in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KR101057200B1 (ko)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의 원격관리 및 정보전송시스템
KR101206581B1 (ko)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용 환자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심장제세동기
US20070250131A1 (en) Implantable battery-operated electrostimulation device
US9630017B1 (en) Safety feature to disable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when used on a person having a wireless implantable medical device (IMD)
CN107029355B (zh) 具有隔离患者参数元件的可穿戴式心律转复除颤器(wcd)系统
WO2018126330A3 (fr) Lifepatch - dispositif de réanimation cardio-métabolique automatisé
JP2016158914A (ja) 突然死回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