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863B1 -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863B1
KR102427863B1 KR1020210125990A KR20210125990A KR102427863B1 KR 102427863 B1 KR102427863 B1 KR 102427863B1 KR 1020210125990 A KR1020210125990 A KR 1020210125990A KR 20210125990 A KR20210125990 A KR 20210125990A KR 102427863 B1 KR102427863 B1 KR 10242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case
door
information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기
차세림
오병주
Original Assignee
(주)그로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로넷 filed Critical (주)그로넷
Priority to KR102021012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정상동작여부와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가 구비되는 자동심장충격기가 내부에 수용되고, 도어부가 형성되는 보관케이스, 보관케이스에 설치되어 상태표시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 정보를 전달받아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정보를 수집 및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표시부를 촬영하여 상태정보를 판단하여 서버에 저장 및 확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 시 주변에 경고를 할 수 있고, 개방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 배터리가 구비되어,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소진 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정보와 보관케이스 내부의 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에도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시 전문가와 연결되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도어부의 개방을 유지하여 현장을 촬영 및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f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본 발명은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주기적으로 점검이 필요한 자동심장충격기를 보다 간편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급성심정지 환자의 초기 응급처치를 위한 것으로, 빠른 시간 내에 조치할수록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이 높아진다. 때문에, 적절한 위치에 구비되어 빠른 시간내에 사용되는 것이 중요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응급의료에 관한법률(법 제 13조, 법 제 47조의2 및 동법 시행령 제 26조의 4)에 따라 공공기관 및 다중이용시설에 심폐소생을 위한 응급장비 설치의무를 두어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 장소를 의무화 하여 급성심정지 환자 발생시 사용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무제도에 따라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되고 있지만, 응급 시 자동심장충격기의 관리 소홀로 고장, 배터리 전원 부족, 전극 패드의 수명 경과 등으로 인해 자동심장충격기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급성심정지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므로, 자동심장충격기를 주기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관리운영 지침, (이하 'AED 관리운영지침')]을 두어 매월 1회 설치기관에 따라 의무/권장으로 관리/확인하도록 하고 있으나, AED 제품의 외부에 표시된 배터리 용량 및 동작이상 여부를 직접 방문해서 확인하고 있기 때문에, 매번 이를 확인하기 위해 소모되는 인력과 시간, 그에 따른 비용 소모를 고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관리 및 확인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자동심장충격기가 보관함 안에 들어있기 때문에, 상태 정보 표시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현재의 비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특허문헌1 (제10-2267025호) 및 특허문헌2 (제10-1291415호)와 같은 선행 기술이 발명되었다. 특허문헌1 (제10-2267025호)은 비대면 자동심장충격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발명이고, 특허문헌2(제10-1291415호)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관리시스템이다. 특허문헌1은 RGB센서를 이용하기에 LCD등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배터리 용량이나 AED상태를 흑백으로 표시하는 제품에는 적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특허문헌2는 AED가 보관되는 보관함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AED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관리 방법의 발명이기에 AED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7025호 (2021.06.14.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1415호 (2013.07.24.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 표시 화면을 분석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목적은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 표시 화면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은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은 자동심장충격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관리자에게 문제 상황을 알릴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상동작여부와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가 구비되는 자동심장충격기가 내부에 수용되고, 도어부가 형성되는 보관케이스; 상기 보관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상태표시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정보를 수집 및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형상의 상태표시부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상기 촬영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태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태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관케이스는 상기 도어부의 개폐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도어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관케이스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센서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면, 빛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관케이스는 무선충전 배터리와 이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관케이스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관케이스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는 야간 촬영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는 도어부에 위치되어 상기 보관케이스 내부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를 정면 촬영하되, 상기 보관케이스에 구비되는 이탈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이탈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가 개방 시 상기 보관케이스의 정면 방향의 지면을 촬영되도록 촬영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촬영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가 개방 시 보관케이스와 근접하는 위치에 전자석이 위치되고,
상기 도어부는 개방 후 상기 이탈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의 이탈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보관케이스로부터 상기 도어부가 180도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을 통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표시부를 촬영하여 상태정보를 판단하여 서버에 저장 및 확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 시 주변에 경고를 할 수 있고, 개방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 배터리가 구비되어, 자동심장충격기의 배터리 소진 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정보와 보관케이스 내부의 환경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에도 자동심장충격기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개방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시 전문가와 연결되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도어부의 개방을 유지하여 현장을 촬영 및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의 이탈감지 센서가 내장되어 이탈감지 센서가 자동심장충격기의 이탈을 감지했을 때 동작하는 구성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에 구비된 상태표시부의 여러가지 표시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가 서버 및 관리자와 연결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가 열려 있는 보관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가 도어부 개방 및 자동심장충격기 이탈 시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이 도어부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모습을 보관케이스 상단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 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을 위한 거치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은 보관케이스(100), 도어부(140), 촬영부(120), 제어부(11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통신부(130)는 서버(2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보관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자동심장충격기(10)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송신 및 수신한다.
보관케이스(100)는 자동심장충격기(10)를 내부에 거치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보관케이스(100)는 자동심장충격기(10)를 내부 공간에 거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있는 입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육면체, 사면체 원통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자동심장충격기(10)를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 일반적인 자동심장충격기(10)의 형태를 고려하여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서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보관케이스(100)는 자동심장충격기(10)를 내부 공간에 거치할 수 있다면 직육면체 이외의 다양한 입체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보관케이스(100)는 금속, 합성수지, 유리 등의 투명한재질, 반투명한 재질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보관케이스(100)는 모든 부분이 한 가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일면 또는 일부분이 나머지부분과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내부에 자동심장충격기(1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보관케이스(100)의 일면 또는 일부를 투명한 재질로 하거나 전부를 투명한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관케이스(100)를 설치했을 때 사용자가 바라보는 일면을 투명한 재질로 하여 내부에 자동심장충격기(10)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보관케이스(100)가 구성되면 내부에 자동심장충격기(10)를 보관할 수 있고, 보관케이스(100)의 내부에 자동심장충격기(1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보관케이스(100)의 외부에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을 위한 거치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보관케이스(100)에는 도어부(1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어부(140)는 보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구성이다. 도어부(140)는 보관케이스(100)의 어느 한 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나, 전면 방향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보관케이스(100)의 전면 전체가 개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어부(140)는 보관케이스(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자동심장충격기(10)를 보관케이스(100) 내부에 거치 하거나, 자동심장충격기(10)를 사용하기 위해 보관케이스(100) 내부에서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어부(140)는 미닫이, 여닫이, 접이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자동심장충격기(10)의 긴급성을 고려하여 여닫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어부(140)는 보관케이스(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개방 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을 위한 거치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자동심장충격기(10)에는 상태표시부(11)가 구비되며, 보관케이스(100)에는 촬영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태표시부(11)는 보관케이스(100) 내부에 거치된 자동심장충격기(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정상동작여부와 배터리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구성이다.
촬영부(120)는 보관케이스(100)의 상술한 자동심장충격기(10) 상태표시부(11)를 촬영하기 위해 구비된다. 촬영부(120)는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캠, 스마트폰 등 이미지 또는 영상 촬영이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보관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작은 캠과 같은 촬영 장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촬영부(120)는 보관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투명한 일면을 통해 촬영 시 빛의 반사등에 의해 이미지 또는 영상이 상태표시부(11)가 나타내는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촬영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변 환경의 방해를 받지 않고 촬영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촬영부(120)가 보관케이스(100) 전면부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 촬영부(120)는 전면 방향에 형성된 개폐부에 위치되되, 보관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자동심장충격기(10)를 촬영할 수 있도록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다양한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표시부(11)를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부(120)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120)는 상술한 상태표시부(11)를 정해진 주기 마다 또는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상태표시부(11)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고, 후술할 제어부(110)는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를 판단한 정보 또는 상태표시부(11)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보관케이스(100)에 제어부(110)가 더 구비된다. 제어부(110)는 촬영부(120)에서 촬영된 상태표시부(11)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전달받아 미리 저장된 상태표시부(11)의 정보와 비교하여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정보를 판단한다. 상세하게, 자동심장충격기(10)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심장충격기(10)가 존재하며, 각 기기별 디스플레이의 크기나 표현 방식이 서로 상이하다. (도 3 참조) 이러한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기로부터 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면 해결되지만, 다양한 기종의 자동심장충격기(10)로부터 상태 정보를 전기적으로 전달받기 위해 다양한 부산물이 필요하다. 특히 전기적 연결을 물리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자동심장충격기(10)의 사용 시급성을 고려한다면 부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촬영부(120)로 촬영한 영상 정보를 토대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각 자동심장충격기(10)의 기종 별 상태표시부(11)의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그 다음 촬영부(120)로부터 촬영 정보를 제어부(110)가 전달받고, 제어부(110)는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형상의 상태표시부(11)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태정보를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 물리적 연결없이 손쉽게 자동심장충격기(10)의 다양한 기종에 대응하여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저장장치 통신장치 등의 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에서 판단한 상태정보나 촬영한 상태표시부(11)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후술할 서버(20)에 전송하기 위해 통신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제어부(110)에서 판단한 상태정보, 상태표시부(11)의 이미지 또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서버(20)에 전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와 통신부(130)가 구비되어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정보, 상태표시부(11)의 이미지, 영상을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서버(20)에 접속하여 주기적으로 저장되거나 지속적으로 감시 중인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경우에는 서버(20)에 명령을 입력하여 통해 주기를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별도로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때에도 서버(20)를 통해 제어부(110)에 명령을 전달하여 현재 상태정보를 읽어오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가 서버(20) 및 관리자와 연결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서버(20)가 구비될 수 있다. 서버(20)는 제어부(110)에서 전달받은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서버(20)는 외부에서 관리자가 접속하여 기록된 정보를 읽어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관리자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소정의 명령을 전달하여 검사 주기 변경 등의 필요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 또는 관리자는 전송된 상태정보가 정상이 아닌 경우 미리 지정된 연락처에 이를 발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버(2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서버(20)에 접속하여 저장된 정보를 읽거나 제어부(110)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검사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의 이탈감지 센서(170)가 내장되어 이탈감지 센서(170)가 자동심장충격기(10)의 이탈을 감지했을 때 동작하는 구성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도어부(140)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도어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센서(200)는 도어부(140)의 개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어부(140)가 개방되면 제어부(110)에 도어부(140)의 개방여부를 전달하고 제어부(110)는 이를 서버(20)에 전달하게 된다. 서버(20)에서는 상술한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과 같이 도어부(140) 개방여부의 정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어센서(200)에 연결된 경고부(210)(21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경고부(210)(210)는 도어부(140)가 개방여부를 감지하여 주변에 긴급 상황을 전파하기 위한 구성이다. 자동심장충격기(10)가 사용되기 위해 도어부(140)를 개방하는 경우 긴급상황이기 때문에, 경고부(210)(210)를 통해 주변에 상황을 전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고부(210)(210)는 빛, 소리, 진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통해 경고를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빛과 소리를 내는 경고부(210)(2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경고부(210)(210)는 빛과 소리가 잘 전파될 수 있도록 보관케이스(100)의 외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문이 개방되면, 도어센서(200)는 제어부(110)에 도어부(140)의 개방 정보를 전달하고, 제어부(110)는 경고부(210)(210)가 빛과 소리를 내어 주변에 경고하도록 제어하며, 서버(20)에 문의 개방정보를 전송하여 기록할 수 있고, 관리자에게 문이 개방되면 알림을 전달하기로 되어 있다면 지정된 관리자에게 문의 개방 알림을 전달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를 참고하면,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은 무선충전 배터리 및 무선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 배터리 및 발신부는 보관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된 전원이 필요한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이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하게, 자동심장충격기(10)는 내부 배터리가 구비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됨으로써 충전되나, 비상사태 또는 장기간 이용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무선충전 배터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무선충전 배터리는 보관케이스(100) 내부에 자동심장충격기(10)와 별도 위치에 구비되며, 자동심장충격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10)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무선충전 배터리는 보관케이스(100) 내부에서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수단이 구비된다. 자동심장충격기(10) 사용의 긴급성을 고려하여 무선충전 배터리는 무선 충전되는 것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보관케이스(100)는 무선충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는 무선충전 스테이션으로서 무선충전 스테이션 상면에 무선충전 배터리를 위치시킴으로써 무선충전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때 무선충전기와 무선충전 배터리는 충전 시 발생되는 자기가 자동심장충격기(10)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자동심장충격기(10)와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무선충전기와 무선충전 배터리가 보관되는 공간은 자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전자파 차폐 레이어로 마감될 수 있다.
또한, 보관케이스(100) 내부의 환경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환경센서(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는 보관케이스(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며, 습도센서는 보관케이스(10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두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심장충격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수치를 측정하는 다른 센서도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로부터 측정된 보관케이스(100)의 환경정보는 제어부(110)로 전달되고, 제어부(110)는 서버(20)로 송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60)에 측정된 수치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온도 및 습도 센서를 구비하면 보관케이스(100) 내부의 온 습도를 측정하여 자동심장충격기(10)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보관케이스(100)는 외부에 디스플레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제어부(110)로부터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정보 또는 환경정보인 온도, 습도 정보 등을 보관케이스(100) 외부에 디스플레이 하기위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보관케이스(100)의 외부 또는 내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내부면에 구비되면 외부에서 사용자가 볼 수 없어서, 보관케이스(100)를 투명한 재질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면에 설치하여 별도의 조치 없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정보는 자동심장충격장치의 외부에 표시되기 때문에, 거치대 외부면에 구비된 확인부를 통해 자세히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더욱 손쉽게 볼 수 있도록 상태정보를 보관케이스(100)의 외부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0)가 구비되어 보관케이스(100) 내부의 온습도 등의 환경정보와 자동심장충격기(10) 상태정보를 볼 수 있게 되면 자동심장충격기(10) 점검 시 외부에서 육안으로 손쉽게 환경정보 및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20)는 야간에도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야간 감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야간 감지 기능은 촬영부(120)가 야간에 촬영하여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표시부(11)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상세하게, 야간 감지 기능은 촬영부(120)의 적외선 촬영기능, 상태표시부(11)의 발광기능, 촬영 시 조명으로 상태표시부(11)를 비추는 조명을 구비하는 방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야간 감지기능이 구비되면 어두워서 촬영을 통해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를 알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촬영하여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례로,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은 긴급 상황 시 관리자의 상황 파악 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140)가 열려 있는 보관케이스(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120)가 도어부(140) 개방 및 자동심장충격기(10) 이탈 시 각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촬영부(120)는 도어부(140)에 위치되고, 보관케이스(100) 내부의 자동심장충격기(10)의 정면을 촬영하도록 구비된다. 촬영부(120)가 도어부(140)에 위치했을 때 도어부(140)는 개방됨으로써 보관케이스(100) 전면을 촬영한다. 이때, 촬영부(120)는 영상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고하면, 촬영부(120)는 전면 방향을 촬영하되, 도어부(140) 개방 시 정면 방향의 지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부(120)는 도어부(140) 개방 시 촬영부(120)의 정면 방향의 지면을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각도 조절을 제어부(110)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20)는 도어 개방 시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긴급상황이 아닐 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심장충격기(10)가 보관케이스(100)로부터 이탈했을 때에만 촬영부(1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관케이스(100)는 자동심장충격기(10)의 이탈을 감지하는 이탈감지 센서(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탈감지 센서(170)는 보관케이스(100)에서 자동심장충격기(10)가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며, 레이저 또는 무게 등 다양한 방식의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이탈 여부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도어 센서로부터 도어가 개방된 것을 감지한 다음, 이탈감지 센서(170)로부터 자동심장충격기(10)가 이탈한 것을 감지한다. 이탈감지 센서(170)로부터 자동심장충격기(10)가 이탈한 경우 제어부(110)는 촬영부(120)의 각도를 제어한다. 촬영부(120)의 각도는 보관케이스(100)의 설치 높이와 환경을 고려하여 달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제어로 촬영되는 촬영 정보 또는 촬영 영상은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20)로 송신되어 저장되거나, 미리 지정된 외부 관리자 또는 전문가에 송신될 수 있다. 촬영 정보 또는 촬영 영상을 전달받은 외부 관리자 또는 전문가는 수신 받은 영상자료를 기초로 자동심장충격기(10) 사용자에게 안내 또는 조언 등을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긴급 상황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보관케이스(100)는 스피커부(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부(180)는 제어부(110) 또는 통신부(130)와 연결되어 서버(20)에 미리 저장된 안내음성 또는 미리 지정된 관리자 또는 전문가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촬영부(120)는 보관케이스(100) 정면 방향 지면에서 긴급 치료중인 환자 또는 사용자의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 촬영부(120)가 위치되는 도어부(140)는 전면방향의 개방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어부(140)는 보관케이스(100)로부터 개방 시 보관케이스(100)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채 개방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150)이 도어부(14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는 모습을 보관케이스(100) 상단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구체적으로, 도어부(140)는 보관케이스(100)와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되고, 180도 각도로 개방 시 도어부(140)의 외면과 보관케이스(100)의 외면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부(140)의 외면 또는 보관케이스(100)의 외면에 전자석(15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자석(150)은 제어부(110)와 연결되고, 이탈감지 센서(170)로부터 자동심장충격기(10)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석(15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자력을 발생시킨다. 즉, 도어부(140)가 개방된 다음, 이탈감지 센서(170)로부터 자동심장충격기(10)가 이탈된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석(150)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력을 부여하고, 자력에 의해 보관케이스(100)의 외면과 도어부(140)의 외면은 서로 자력에 의해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개방 각도 또는 개방 유지 각도는 180도 각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자력에 의해 보관케이스(100)와 도어부(140)가 서로 개방각을 유지한 채 고정될 수 있도록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거나 일부가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자동심장충격기 11 : 상태표시부
20 : 서버
100 : 보관케이스 110 : 제어부
120 : 촬영부 130: 통신부
140 : 도어부 150 : 전자석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이탈감지 센서 180 : 스피커부
200 : 도어센서 210 : 경고부
220 : 환경센서
300 : 무선충전 배터리 310 : 무선충전기

Claims (11)

  1. 정상동작여부와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11)가 구비되는 자동심장충격기(10)가 내부에 수용되고, 도어부(140)가 형성되는 보관케이스(100);
    상기 보관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상기 상태표시부(11)를 촬영하는 촬영부(120); 및
    상기 촬영부(120)로부터 촬영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정보를 수집 및 판단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서로 다른 형상의 상태표시부(11)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상기 촬영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태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상태정보를 외부 서버(20)로 송신하는 통신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케이스(100)는 상기 도어부(140)의 개폐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도어센서(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케이스(100)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어센서(200)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면, 빛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경고부(210)(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케이스(100)는 무선충전 배터리와 이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케이스(100)는 상기 제어부(110)와 연결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케이스(100)는 상기 자동심장충격기(10)의 상태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20)는 야간 촬영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20)는 도어부(140)에 위치되어 상기 보관케이스(100) 내부의 상기 자동심장충격기(10)를 정면 촬영하되, 상기 보관케이스(100)에 구비되는 이탈감지 센서(170)로부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10)의 이탈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140)가 개방 시 상기 보관케이스(100)의 정면 방향의 지면을 촬영되도록 촬영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촬영 정보를 상기 서버(20)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20)로부터 수신 받은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140)가 개방 시 보관케이스(100)와 근접하는 위치에 전자석(150)이 위치되고,
    상기 도어부(140)는 개방 후 상기 이탈감지 센서(170)로부터 상기 자동심장충격기(10)의 이탈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보관케이스(100)로부터 상기 도어부(140)가 180도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자석(15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을 통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10)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25990A 2021-09-23 2021-09-23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2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990A KR102427863B1 (ko) 2021-09-23 2021-09-23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990A KR102427863B1 (ko) 2021-09-23 2021-09-23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863B1 true KR102427863B1 (ko) 2022-08-02

Family

ID=8284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990A KR102427863B1 (ko) 2021-09-23 2021-09-23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8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682B1 (ko) * 2009-05-28 2009-12-23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관리가 용이한 공공장소 배치용 자동심실제세동기 보관함
KR20130082868A (ko) * 2011-12-21 2013-07-22 (주)트론트 제세동기 원격 관리장치
KR101291415B1 (ko) 2012-11-28 2013-07-30 (주)나눔테크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관리시스템
KR101622762B1 (ko) * 2014-12-18 2016-05-19 (주)씨유메디칼시스템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KR102267025B1 (ko) 2020-12-07 2021-06-18 주식회사 태라 비대면 자동심장충격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682B1 (ko) * 2009-05-28 2009-12-23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관리가 용이한 공공장소 배치용 자동심실제세동기 보관함
KR20130082868A (ko) * 2011-12-21 2013-07-22 (주)트론트 제세동기 원격 관리장치
KR101291415B1 (ko) 2012-11-28 2013-07-30 (주)나눔테크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관리시스템
KR101622762B1 (ko) * 2014-12-18 2016-05-19 (주)씨유메디칼시스템 자동 제세동기 시스템
KR102267025B1 (ko) 2020-12-07 2021-06-18 주식회사 태라 비대면 자동심장충격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295B1 (ko) 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공장소 배치용 자동심실제세동기 보관함
US20110258930A1 (en) Shipping Container Seal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0933682B1 (ko) 관리가 용이한 공공장소 배치용 자동심실제세동기 보관함
GB2564733B (en) Anti-Ligature Alarm
WO2015189700A1 (en) System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medication delivery devices
KR102427863B1 (ko)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 시스템
CN104620290A (zh) 安全装置及其方法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WO20220560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emergency systems and exit signs
US9063243B2 (en) Object detection device
JP2012205850A (ja) 電子カセッテの輸送情報取得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209373742U (zh) 一种汽车防偷油装置
KR20150144826A (ko) 충전전로용 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US20180259377A1 (en) Environmental sensor
EP3115979A1 (en)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with burglarproof function, and method
TWI566212B (zh) 公共急救設備
NL2023254B1 (nl) Inrichting en werkwijze om onveilige handelingen of onveilige situaties tijdens de constructie of reparatie van bouwwerken te detecteren
ES2955720T3 (es) Dispositivo y método de monitorización de sector de antena de RF
CN214955119U (zh) 一种带有多重身份识别功能的智能通行管控装置
JP6319613B1 (ja) データ収集解析システム、データ収集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60592B1 (ko) 통합 센서 패키지
CN212110339U (zh) 一种体温筛查记录仪及安检门
ITTO20130977A1 (it) Sistema di telecontrollo per un apparecchio elettromedicale, in particolare un defibrillatore automatico esterno
KR20190095570A (ko) IoT 기반 AED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4665B1 (ko) 냉동고 온도데이터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