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190B1 -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190B1
KR101622190B1 KR1020150109331A KR20150109331A KR101622190B1 KR 101622190 B1 KR101622190 B1 KR 101622190B1 KR 1020150109331 A KR1020150109331 A KR 1020150109331A KR 20150109331 A KR20150109331 A KR 20150109331A KR 101622190 B1 KR101622190 B1 KR 10162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nel
main body
hole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욱
Original Assignee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본체(110); 표면에 돌무늬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색채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표면층(120); 상기 표면층(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110), 표면층(120)에 공통으로 결합한 연결보강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무늬 패널(100)을 제시함으로써, 옹벽의 장기간에 걸친 사용 중 색채 콘크리트가 패널 본체 콘크리트로부터 떨어짐에 따른 사고 및 보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SLATE PANNEL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의 벽체 전면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하여, 그 전면에 축조되는 패널에 대하여 색채를 입히거나 돌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패널의 전면에 돌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패널 본체 콘크리트의 전면에 색채 콘크리트를 덧씌우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는데, 옹벽의 장기간에 걸친 사용 중 색채 콘크리트가 본체 콘크리트부터 떨어지는 경우, 사고의 위험이 크고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제대로 강구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옹벽의 장기간에 걸친 사용 중 색채 콘크리트가 패널 본체 콘크리트로부터 떨어짐에 따른 사고 및 보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본체(110); 표면에 돌무늬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색채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표면층(120); 상기 표면층(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110), 표면층(120)에 공통으로 결합한 연결보강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무늬 패널(100)을 제시한다.
상기 표면층(120)을 형성하는 상기 색채 콘크리트는 백시멘트, 안료를 포함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보강재(130)는, 상기 콘크리트 또는 상기 색채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전후단에 걸쳐 관통공이 형성된 통형 몸체(131); 상기 통형 몸체(131)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전단 단면확대부(132) 및 후단 단면확대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 단면확대부(133)는 상기 본체(110)에 매설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단 단면확대부(132)는 상기 표면층(120)에 매설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보강재(130)의 통형 몸체(131), 전단 단면확대부(132) 및 후단 단면확대부(133)는 중앙에서 전방 및 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단면이 증대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소일네일(20)의 두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심부에는 설치공(11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는 전면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40)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심부에 관통공(141a)이 형성된 상측 경사부(141); 상기 상측 경사부(14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하측 연직부(142); 상기 상측 경사부(141) 및 하측 연직부(142)의 양측에 전방을 향해 내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측방 경사부(14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돌무늬 패널(100)의 제조방법으로서, 상면에 돌무늬가 형성된 바닥판(31)을 구비한 거푸집(3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120)이 형성되도록, 상기 거푸집(30)에 색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연결보강재(130)의 전단이 상기 표면층(120)에 위치함과 아울러 후단이 상기 본체(110)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보강재(130)를 설치하되, 상기 연결보강재(130)의 내부의 관통공의 일부 영역 또는 전부 영역에 상기 색채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12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본체(110)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보강재(130)의 내부의 관통공의 잔여 영역이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충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무늬 패널(100)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돌무늬 패널(100)을 이용한 소일네일링 공법으로서, 사면의 전방에 패널기초(10)를 설치하는 기초 설치단계; 사면에 천공 홀(1)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천공 홀(1)에 소일네일(20)을 근입하고 그라우트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천공단계 및 고정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상기 소일네일(20)이 사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패널기초(10)의 상부에 복수의 상기 돌무늬 패널(100)을 적층하여 설치하되, 상기 소일네일(20)의 두부가 상기 돌무늬 패널(100)의 설치공(111)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돌무늬 패널(100)과 사면 사이를 채움토사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네일링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돌무늬 패널(100)을 이용한 옹벽으로서, 배후토사(5)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돌무늬 패널(100); 심부에 설치공(30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무늬 패널(100)의 전면에 설치된 정착판(300); 상기 관통공(141a) 및 설치공(301)을 통해 설치되어 배후토사(5)에 매설된 긴장재(310); 상기 긴장재(310)의 전단에 결합한 정착구(320); 상기 긴장재(310)의 후단에 결합한 내하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옹벽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을 절토하여 절토면(1)을 형성하는 절토단계; 상기 절토면(1)에 천공 홀(2)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천공 홀(2)에 상기 긴장재(310) 및 내하체(330)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천공 홀(2) 내부를 그라우팅(G)하는 단계; 상기 절토면(1)의 하단에 레벨링 콘크리트(3)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3) 위에 상기 돌무늬 패널(100)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돌무늬 패널(100)의 관통공(141a)을 통해 상기 긴장재(310)의 전단이 노출되도록 가정착하는 단계; 상기 돌무늬 패널(100)의 배면 하부에 부직포를 설치하고 뒷채움 콘크리트(4)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정착판(300)을 설치하고, 상기 긴장재(310)를 긴장하여 상기 정착구(320) 및 정착판(300)에 정착하는 단계; 상기 뒷채움 콘크리트(4)의 상부에 배후토사(5)를 뒷채움하고 다짐하는 다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다짐단계 이후,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3)의 하부지반에 대하여, 상기 절토단계 내지 다짐단계를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옹벽의 장기간에 걸친 사용 중 색채 콘크리트가 패널 본체 콘크리트로부터 떨어짐에 따른 사고 및 보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공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돌무늬 패널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돌무늬 패널의 제1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돌무늬 패널의 제1 실시예의 배면도.
도 4는 연결보강재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5 내지 7은 돌무늬 패널의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8 내지 10은 소일네일링 공법의 공정도.
도 11은 돌무늬 패널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12는 돌무늬 패널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3은 옹벽의 단면도.
도 14는 정착구의 단면도.
도 15 내지 26는 옹벽의 시공방법의 공정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돌무늬 패널(100)은 기본적으로,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본체(110); 표면에 돌무늬가 형성되도록, 본체(110)의 전면에 색채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표면층(120); 표면층(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본체(110), 표면층(120)에 공통으로 결합한 연결보강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돌무늬 패널(1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면에 돌무늬가 형성된 바닥판(31)을 구비한 거푸집(30)을 준비하고, 표면층(120)이 형성되도록, 거푸집(30)에 색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도 5).
연결보강재(130)의 전단이 표면층(120)에 위치함과 아울러 후단이 본체(110)에 위치하도록 연결보강재(130)를 설치하되, 연결보강재(130)의 내부의 관통공의 일부 영역 또는 전부 영역에 색채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한다(도 6).
표면층(12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본체(110)를 형성함과 아울러, 연결보강재(130)의 내부의 관통공의 잔여 영역이 콘크리트에 의해 충전되도록 한다(도 7).
연결보강재(130)는, 콘크리트 또는 색채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전후단에 걸쳐 관통공이 형성된 통형 몸체(131); 통형 몸체(131)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전단 단면확대부(132) 및 후단 단면확대부(133);를 포함하고, 후단 단면확대부(133)는 본체(110)에 매설되도록 설치되고, 전단 단면확대부(132)는 표면층(120)에 매설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보강재(130)는 통형 몸체(131)의 양단이 본체, 표면층에 결합하여 보강할 뿐만 아니라, 그 통형 몸체(131)의 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일체화되는 구조를 취하여 마찰지지력이 극대화하므로, 더욱 안정적인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연결보강재(130)의 통형 몸체(131), 전단 단면확대부(132) 및 후단 단면확대부(133)가 중앙에서 전방 및 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단면이 증대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양단의 확대부에 불구하고 응력집중에 의한 유해응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돌무늬 패널(100)은 다양한 구조의 옹벽에서 표면재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하 그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첫째, 위 돌무늬 패널(100)이 소일네일 옹벽에 적용되는 경우의 실시예로서, 소일네일링 공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소일네일(20)의 두부가 각종 체결부재(21,22,23)에 의해 설치되기 위하여, 본체(110)의 심부에는 설치공(111)이 형성된다(도 8).
사면의 전방에 패널기초(10)를 설치하고, 사면에 천공 홀(1)을 형성한 후, 천공 홀(1)에 소일네일(20)을 근입하고 그라우트에 의해 고정한다(도 9).
이러한 천공단계 및 고정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소일네일(20)이 사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패널기초(10)의 상부에 복수의 돌무늬 패널(100)을 적층하여 설치하되, 소일네일(20)의 두부가 돌무늬 패널(100)의 설치공(111)에 고정되도록 한다(도 10).
둘째, 위 돌무늬 패널(100)이 어스앵커 옹벽에 적용되는 경우의 실시예로서, 그 옹벽의 구조 및 공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무늬 패널(100)의 본체(110)는 전면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40)를 더 구비한 구성을 취한다(도 11).
위 돌출부(140)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심부에 관통공(141a)이 형성된 상측 경사부(141); 상측 경사부(14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하측 연직부(142); 상측 경사부(141) 및 하측 연직부(142)의 양측에 전방을 향해 내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측방 경사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 돌무늬 패널(100)을 이용한 옹벽은, 배후토사(5)의 전방에 설치된 돌무늬 패널(100); 심부에 설치공(301)이 형성됨과 아울러, 돌무늬 패널(100)의 전면에 설치된 정착판(300); 관통공(141a) 및 설치공(301)을 통해 설치되어 배후토사(5)에 매설된 긴장재(310); 긴장재(310)의 전단에 결합한 정착구(320); 긴장재(310)의 후단에 결합한 내하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2 내지 14).
웨지(303)는 긴장재(310)의 전단을 물고 정착구(320)에 삽입설치되고, 정착구(320)는 정착판(30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므로, 긴장재(310)의 긴장력이 정착판(300)을 통해 돌무늬 패널(100) 전체에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긴장재(3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착구(320)의 주위에 보호캡(302)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그리스 등의 충전재를 충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도 15 내지 26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옹벽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반을 절토하여 절토면(1)을 형성하고(도 15), 상기 절토면(1)에 천공 홀(2)을 형성한다(도 16).
천공 홀(2)에 상기 긴장재(310) 및 내하체(330)를 삽입하고(도 17), 천공 홀(2) 내부를 그라우팅(G)한다(도 18).
절토면(1)의 하단에 레벨링 콘크리트(3)를 타설하고(도 19),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3) 위에 돌무늬 패널(100)을 거치한다(도 20).
돌무늬 패널(100)의 관통공(114)을 통해 긴장재(310)의 전단이 노출되도록 가정착하고(도 21), 돌무늬 패널(100)의 배면 하부에 부직포를 설치한 후 뒷채움 콘크리트(4)를 타설한다(도 22).
돌무늬 패널(100) 전면에 정착판(300)을 설치하고, 긴장재(310)를 긴장하여 웨지(303)를 이용하여 정착구(320) 및 정착판(300)에 정착한다(도 23).
뒷채움 콘크리트(4)의 상부에 배후토사(5)를 뒷채움하고 다짐한다(도 24).
이후, 레벨링 콘크리트(3)의 하부지반에 대하여, 상기 절토단계 내지 다짐단계를 반복하여 계단형 옹벽 구조를 완성한다(도 25,26).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0 : 소일네일 100 : 돌무늬 패널
110 : 본체 111 : 설치공
120 : 표면층 130 : 연결보강재
131 : 통형 몸체 132 : 전단 단면확대부
133 : 후단 단면확대부 140 : 돌출부
141 : 상측 경사부 141a : 관통공
142 : 하측 연직부 143 : 측방 경사부
300 : 정착판 310 : 긴장재
320 : 정착구 330 : 내하체

Claims (11)

  1.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본체(110);
    표면에 돌무늬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색채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표면층(120);
    상기 표면층(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110), 표면층(120)에 공통으로 결합한 연결보강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보강재(130)는,
    상기 콘크리트 또는 상기 색채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전후단에 걸쳐 관통공이 형성된 통형 몸체(131);
    상기 통형 몸체(131)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 전단 단면확대부(132) 및 후단 단면확대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 단면확대부(133)는 상기 본체(110)에 매설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단 단면확대부(132)는 상기 표면층(120)에 매설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보강재(130)의 통형 몸체(131), 전단 단면확대부(132) 및 후단 단면확대부(133)는 중앙에서 전방 및 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단면이 증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무늬 패널(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120)을 형성하는 상기 색채 콘크리트는 백시멘트, 안료를 포함하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무늬 패널(100).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소일네일(20)의 두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심부에는 설치공(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무늬 패널(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전면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40)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심부에 관통공(141a)이 형성된 상측 경사부(141);
    상기 상측 경사부(141)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하측 연직부(142);
    상기 상측 경사부(141) 및 하측 연직부(142)의 양측에 전방을 향해 내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측방 경사부(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무늬 패널(100).
  7. 제1항의 돌무늬 패널(100)의 제조방법으로서,
    상면에 돌무늬가 형성된 바닥판(31)을 구비한 거푸집(3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120)이 형성되도록, 상기 거푸집(30)에 색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연결보강재(130)의 전단이 상기 표면층(120)에 위치함과 아울러 후단이 상기 본체(110)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보강재(130)를 설치하되, 상기 연결보강재(130)의 내부의 관통공의 일부 영역 또는 전부 영역에 상기 색채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표면층(12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본체(110)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보강재(130)의 내부의 관통공의 잔여 영역이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충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무늬 패널(100)의 제조방법.
  8. 제5항의 돌무늬 패널(100)을 이용한 소일네일링 공법으로서,
    사면의 전방에 패널기초(10)를 설치하는 기초 설치단계;
    사면에 천공 홀(1)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천공 홀(1)에 소일네일(20)을 근입하고 그라우트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천공단계 및 고정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상기 소일네일(20)이 사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패널기초(10)의 상부에 복수의 상기 돌무늬 패널(100)을 적층하여 설치하되, 상기 소일네일(20)의 두부가 상기 돌무늬 패널(100)의 설치공(111)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돌무늬 패널(100)과 사면 사이를 채움토사에 의해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일네일링 공법.
  9. 제6항의 돌무늬 패널(100)을 이용한 옹벽으로서,
    배후토사(5)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돌무늬 패널(100);
    심부에 설치공(30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무늬 패널(100)의 전면에 설치된 정착판(300);
    상기 관통공(141a) 및 설치공(301)을 통해 설치되어 배후토사(5)에 매설된 긴장재(310);
    상기 긴장재(310)의 전단에 결합한 정착구(320);
    상기 긴장재(310)의 후단에 결합한 내하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10. 제9항의 옹벽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을 절토하여 절토면(1)을 형성하는 절토단계;
    상기 절토면(1)에 천공 홀(2)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상기 천공 홀(2)에 상기 긴장재(310) 및 내하체(330)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천공 홀(2) 내부를 그라우팅(G)하는 단계;
    상기 절토면(1)의 하단에 레벨링 콘크리트(3)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3) 위에 상기 돌무늬 패널(100)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돌무늬 패널(100)의 관통공(141a)을 통해 상기 긴장재(310)의 전단이 노출되도록 가정착하는 단계;
    상기 돌무늬 패널(100)의 배면 하부에 부직포를 설치하고 뒷채움 콘크리트(4)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정착판(300)을 설치하고, 상기 긴장재(310)를 긴장하여 상기 정착구(320) 및 정착판(300)에 정착하는 단계;
    상기 뒷채움 콘크리트(4)의 상부에 배후토사(5)를 뒷채움하고 다짐하는 다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단계 이후,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3)의 하부지반에 대하여, 상기 절토단계 내지 다짐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시공방법.
KR1020150109331A 2015-08-03 2015-08-03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KR101622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31A KR101622190B1 (ko) 2015-08-03 2015-08-03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31A KR101622190B1 (ko) 2015-08-03 2015-08-03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190B1 true KR101622190B1 (ko) 2016-05-18

Family

ID=5611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331A KR101622190B1 (ko) 2015-08-03 2015-08-03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1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45A (ko) 2017-10-24 2019-05-03 공학봉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KR102066731B1 (ko) 2018-10-31 2020-01-15 타스산업개발(주) 옹벽 설치 방법
KR102396106B1 (ko) 2021-04-16 2022-05-09 김석환 선택적 앵글 조절이 가능한 옹벽구조 시스템
KR102561586B1 (ko) * 2022-06-09 2023-07-31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개량형 사면 보강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520B1 (ko) * 2012-02-16 2012-06-01 조문선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KR101266082B1 (ko) * 2013-02-19 2013-05-27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520B1 (ko) * 2012-02-16 2012-06-01 조문선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KR101266082B1 (ko) * 2013-02-19 2013-05-27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45A (ko) 2017-10-24 2019-05-03 공학봉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KR102066731B1 (ko) 2018-10-31 2020-01-15 타스산업개발(주) 옹벽 설치 방법
KR102396106B1 (ko) 2021-04-16 2022-05-09 김석환 선택적 앵글 조절이 가능한 옹벽구조 시스템
KR102561586B1 (ko) * 2022-06-09 2023-07-31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개량형 사면 보강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677B1 (ko) 프리캐스트 경사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 시공방법
KR101622190B1 (ko) 돌무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50025301A (ko) 절개사면의 옹벽설치방법
KR101682510B1 (ko) Pc패널과 영구앵커를 이용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옹벽 시공방법
KR101494132B1 (ko) 엄지말뚝 상단 지지방식 자립식 흙막이 시설물
JP4599423B2 (ja)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528738B1 (ko) 보강토 옹벽의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시공방법
JP2015121061A (ja) 間詰め部材及びこの間詰め部材を用いた斜面安定化用の受圧板の設置方法
KR100773920B1 (ko) 정착부 확공 및 고강도 강봉을 이용한 프리-텐션 쏘일네일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안정보강 공법
JP2017096063A (ja) 山留掘削工法及び躯体構築方法
KR20130023852A (ko) 패널식 자연석 옹벽 및 그 패널식 자연석 옹벽 시공방법
KR101007566B1 (ko) 네일링 및 앵커링 수단이 동시 적용된 절토사면 보강용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2015183366A (ja) 盛土構造体の構造および構築方法
KR101462814B1 (ko) 중력식 2열 흙막이 합성 소일벽 시공방법
KR101993609B1 (ko) 콘크리트 블록 정착형 앵커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498342B1 (ko) 앵커를 이용한 자연암반 형태의 인공벽 설치구조
KR101443241B1 (ko) 국부적 사면 유실에 대한 보수 보강 공법
KR101733507B1 (ko) 지반에 고정된 전단보강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JP5800546B2 (ja) プレキャスト製基礎板、プレキャスト製構造物の基礎および土留め用構造物の施工方法
KR102043124B1 (ko) 기능성 앵커 지압판
JP6252860B2 (ja) 免震建物の施工方法
KR101534058B1 (ko) 하중 지지 영구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73801B1 (ko) 웨지, 이를 이용한 색채패널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78684A (ko) H빔으로 이루어진 엄지 말뚝을 구비한 지지말뚝, 이를이용한 합성 벽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