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871B1 -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및 그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및 그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871B1
KR101621871B1 KR1020150055050A KR20150055050A KR101621871B1 KR 101621871 B1 KR101621871 B1 KR 101621871B1 KR 1020150055050 A KR1020150055050 A KR 1020150055050A KR 20150055050 A KR20150055050 A KR 20150055050A KR 101621871 B1 KR101621871 B1 KR 10162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ynthetic fiber
roller
tube
fiber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석
Original Assignee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섬유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for imparting multiple twist, e.g. two-for-one twist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방적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와 세컨드롤러 사이에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천연섬유를 원료로 한 링정방기 방적기술의 한계인 F/140(1/70Nm)이상의 세 번수 방적이 가능하여 경량 의류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종래의 사이로필(siro-fil; 정방교연 방적방식)대비 미터식 번수(Nm)는 30%이상의 세번수화, 의류중량은 25%이상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방적사의 외관차별화, 물성개선, 촉감 등이 개선된 방적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및 그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Ring Spinning Machine Having Yarn―Fibrillation―Nozzle And Process Of Spinning Fine Yarn}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는 통상적인 링방적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링방적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와 세컨드롤러 사이에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에 관한 것이다.
양모섬유, 면섬유등을 이용한 종래의 단섬유 방적공정에서는 일정범위의 섬유장을 가진 원료를 사용하여 방적사를 제조하였다. 동일한 종류의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종의 원료를 혼합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드래프트구간의 조정을 위하여 원료섬유의 섬유장을 동일하게 맞추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이종섬유를 혼합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섬유간의 물성의 차이로 인해 균일한 혼섬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섬유간의 결속력약화로 인한 균제도, 강신도등의 방적사의 물성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듯 혼합방적사의 제조의 경우 원료섬유의 섬유장에 따른 드래프트구간이 한정적이어서 다양한 섬유장을 가진 섬유를 혼합한 혼합방적사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특허공개제10-2004-0041520호 및 대한민국특허공개제10-2008-0077069호에서는 장단섬유 복합사 및 복합사 제조용 개섬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복합방적사는 연속 및 불연속 섬유제조시 방적현장의 온ㆍ습도(온도; 18~28℃, 상대습도; 60~85%)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전처리 처방이 최적화되지 않아, 높은 전압과 전류를 사용하여 작업자와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상용화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제10-2004-0041520호(2004년05월17일 공개) 대한민국특허공개제10-2008-0077069호(2008년08월21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합성섬유필라멘트섬유에 공기분사력(Air blowing force)과 정전기력(Electrostatic force)을 최적화하여 합성섬유필라멘트섬유를 분섬화(Fibrillation)시킨 후 혼섬(混纖) 방적하여 분섬된 합성섬유필라멘트가 단섬유 스테이플섬유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방적사를 제공함으로써 원사의 세 번수(Fine count)와 물성 및 촉감(Handle)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적장치 및 방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링방적기에 있어서,
링방적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와 세컨드롤러 사이에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는 통상적인 링방적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링방적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와 세컨드롤러 사이에 분섬노즐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조공정까지는 일반적인 링방적공정에서 사용되는 방적시스템과 동일하나, 링정방기의 구성이 특이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는 통상의 연조공정에서 공급되는 연조슬라이버와 별도로 공급되는 합성섬유필라멘트를 링방적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에 함께 공급하여 방적사의 단면상으로 합성섬유필라멘트와 연조슬라이버의 구성섬유가 균일하게 혼섬되어 있는 방적사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는 통상적인 링방적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방적기의 에이프런롤러(100)의 프런트롤러(10)와 세컨드롤러(20) 사이에 분섬노즐부(30)를 더 가지는데, 상기 분섬노즐부는 합성섬유필라멘트를 통과시키면서 분섬함으로써 방적사에서 천연섬유와 화학섬유의 필라멘트가 고르게 분산되어 촉감이 상승되는 효과를 부여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분섬노즐부(30)은 상기 에이프런롤러의 연조슬라이버의 공급각과 15~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연조슬라이버의 구성섬유와 분섬노즐부로부터 공급되는 합성섬유필라멘트간의 분산성향상에 좋다. 상기 분섬노즐부는 상기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로부터 30~50㎜ 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합성섬유필라멘트의 분산효과에 바람직하다.
상기 분섬노즐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합성섬유필라멘트(1)가 통과하는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2); 상기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의 외부를 감싸고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튜브(3); 상기 전기튜브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세라믹튜브(4); 상기 전기튜브 및 세라믹튜브를 감싸는 외부튜브(5); 및 상기 외부튜브 및 하부 세라믹튜브를 관통하면서 상기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의 하부에 각도 60~70°로 접하도록 설치된 에어튜브(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섬노즐부는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2)를 통과하는 합성섬유필라멘트(1)는 상기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전기튜브(3)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각각의 합성섬유필라멘트가 정전기를 받아 분섬되는 것이다.
정전기는 전하가 정지 상태로 있어서 전하의 분포가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전기이다. 전기력의 힘을 나타내는 정전기현상은 쿨롱의 법칙에 의해서 정량적으로 표현이 된다. 이런 힘을 이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통상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시켜주는 정전기 발생장치를 이용한다. 멀티필라멘트의 분섬효과를 위한 직류전류는 0.2~0.5mA이며, 전압은 5,000~15,000Volt이다. 더욱 추천되는 최적구간의 직류전류는 0.3~0.4mA이며, 전압은 6,000~9,000Volt인 것이 방적생산성 및 안정성에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튜브(3)는 합성섬유필라멘트에 음전하(-)부여를 하기 위한 튜브(tube)형태의 내층전기튜브와 양전하(+)부여를 통하여 정전기력을 줌으로써 합성섬유필라멘트를 외곽으로 분산시켜주는 외층전기튜브의 2단계로 구성된다. 내층전기튜브는 전도성 금속을 사용한 튜브로서 내부지름이 0.15~0.30mm, 튜브길이가 30~60mm의 전후가 추천된다. 더욱 추천되는 구간은 0.20~0.25mm, 튜브길이가 40~55mm의 전후이다. 외층전기튜브는 전도성 금속을 사용한 지름이 0.35~0.7mm, 길이 5~12mm 전후가 추천된다. 더욱 추천되는 구간은 0.4~0.6mm, 길이는 8~11mm가 추천된다.
상기 전기튜브의 상단 및 하단에는 세라믹튜브(4)로, 외층전기튜브의 외부는 절연물질로 5mm이상의 두께로 이루어진 외부튜브(5)로 감싸야한다. 그리고 내층전기튜브와 외층전기튜브와의 끝단의 길이차이는 0.25mm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정전기력 효율 및 관리를 위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전도성금속물질은 구리, 동, 황동, 알루미늄, 니켈 아연 납 등이 추천된다. 이러한 2개층으로 제작된 전기튜브구간을 합성섬유필라멘트가 통과하면 대전압 차이로 인해 각각의 합성섬유필라멘트로 분섬되게 된다. 발생되는 전류값과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장력이 일정할 때, 발생되는 전압이 높을수록 분섬되는 합성섬유필라멘트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결국 분섬노즐부에 의해 분섬된 합성섬유필라멘트와 연조슬라이버의 단섬유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섞이게 되어 장단섬유 분포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분섬노즐부에는 상기 외부튜브 및 하부 세라믹튜브를 관통하면서 상기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의 하부에 각도 60~70°로 접하도록 설치된 에어튜브(6)가 형성되는데, 방적공장의 공조조건은 그대로 유지하되,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2)를 통과하는 합성섬유필라멘트가 분섬되는 구간에서의 공기의 상대습도를 40%이하로 낮추어주고, 합성섬유필라멘트 제조 및 패키징 작업시 압착된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응집을 풀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천되는 공기압은 5~10g/㎠수준이 바람직하다. 공기를 분사시키는 에어튜브는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와 60~70˚각도를 가지도록 하여 분섬된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진행을 방해하지 말아야한다.
이때 분섬노즐부(30)의 첫 번째 작용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압이 전기튜브(3)를 통하여 합성섬유필라멘트(1)에 전달되어 대전되게 한다. 두 번째 작용은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를 통해 내려 온 합성섬유필라멘트(1)는 하부에 각도 60~70˚로 설치된 에어튜브(6)의 공기분사력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이때 에어튜브의 작용은 크게 2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습도가 높은 방적공장 내부에서 합성섬유필라멘트에 분섬노즐부(30)의 상대습도를 낮추어 상대적으로 고전압(30kV이상)을 저전압(10kV이하)으로 유지시켜 작업환경과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완해주고, 합성섬유필라멘트(1)의 응집을 풀어주어 쉽게 분섬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결국 전기튜브(3)와 에어튜브(6)를 통과한 합성섬유필라멘트(1)는 전기튜브 하단의 세라믹튜브(4) 위치에 와서는 음전하(-)로 대전되고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세 번째 작용은 내층에 위치한 전기튜브(3)에서 대전된 합성섬유필라멘트(1)는 외경이 큰 외부튜브(5)나 세라믹튜브(4)의 전압차이로 인하여 분섬작용을 나타나게 한다. 이때 외부튜브(5)나 세라믹튜브(4)에 인가하는 전하는 양전하(+)나 접지처리부로 연결할 수 있으나, 안전상 접지처리부로 연결하는 것이 추천된다.
상기 분섬노즐부에 의해 분섬된 합성섬유필라멘트와 연조슬라이버의 단섬유간 분포상태의 변화를 위해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장력, 전기튜브의 전압 및 분섬노즐부의 위치조정을 설정함으로써 복합적인 구조를 가진 방적사의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합성섬유필라멘트를 상기 분섬노즐부내부에서 직류전압으로 효과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해 전도성 물질로 전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섬노즐부의 상부에 조제처리부를 추가로 가지도록 하여 전처리를 한다.
상기 조제처리부는 디핑방식, 로울러방식, 나이프방식 등의 여러 가지 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급되는 합성섬유필라멘트에 조제처리디바이스의 픽업(Pick-up)롤러를 지나 조제가 묻어있는 스폰지를 지나 스퀴징(Squeezing)롤러를 거쳐서 분섬노즐로 향하는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픽업되는 조제량은 섬유중량대비 20~60%수준이며, 더욱 추천되는 조제량은 섬유중량대비 25~50%수준이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정전기력을 극대화하는 것에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에서는 링방적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와 세컨드롤러 사이에 분섬노즐부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통상의 연조공정에서 공급되는 연조슬라이버와 별도로 분섬노즐부를 통해 공급되는 합성섬유필라멘트를 링방적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에 함께 공급하여 드래프트를 하고 트래블러를 통과시키고 보빈에 감아 방적사를 제조함으로써 방적사의 단면상으로 합성섬유필라멘트와 연조슬라이버의 구성섬유가 균일하게 혼섬되어 있는 방적사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에 의해 방적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에 의한 방적법은 개섬공정, 연조공정까지는 일반적인 단섬유를 소재로 한 링방적공정과 동일하며 양모를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즐모 및 전방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적법에서는 단섬유슬라이버를 정방기에 공급하는 것과는 별도로 합성섬유필라멘트를 별도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가닥으로 모아져있는 합성섬유필라멘트를 연조슬라이버의 단섬유와 균일한 혼섬을 하면서 방적사로 집속시켜주는 것으로서 적은 양의 정전기력으로 합성섬유필라멘트를 분섬시키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의 경우 각 단위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직경이 3denier(약 17.5micron)이하가 되어야 한다. 더욱 추천되는 단위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직경은 2denier(약 14.3micron)이하가 되어야한다.
이와 같이 별도로 공급되는 합성섬유 필라멘트에는 조제처리부를 통해 조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합성섬유필라멘트를 분섬노즐부내부에서 직류전압으로 효과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해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조제로써 전처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도체인 섬유고분자물질은 전기를 가해도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섬유고분자물질을 대전시키기 위해서는 약간의 전하를 지니고 있을 정도의 조제를 처리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제종류로는 전도성기능조제(대전방지제), 오일, 유화제, 기타첨가제 등이다. 대전방지제의 성분으로는 알킬술포네이트금속염, 알킬술포네이트, 알킬술포네이트염, 알킬벤젠술포네이트염, 알킬포스페이트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4급암모늄클로리스, 4급암모늄술페이트, 4급암모늄니트레이트, 알킬베타인, 알킬이미다졸린, 알킬알라닌 등이 있다. 오일성분으로는 미네랄오일, 2-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이며, 유화제로는 PEG디올레이트, 올레일알콜, POE알킬페닐에테르 등이 있다. 추천되는 전도성기능부여조제로는 알킬술포네이트금속염, 알킬술포네이트, 알킬술포네이트염, 알킬벤젠술포네이트염, 알킬포스페이트염이며, 더욱 추천되는 물질은 알킬술포네이트금속염이다. 전도성기능부여후 폴리에스터원사의 최적 전기저항구간은 5~80 Mega Ohm(측정환경; 측정장비-Electric tester(FLUKE사), 온도-25, 상대습도-40%)이다.
이렇게 조제가 도포된 합성섬유필라멘트를 정방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와 세컨드롤러 사이에 별도로 설치된 분섬노즐부의 내부로 통과시켜 정전기와 공기에 의해 합성섬유필라멘트를 분섬한 후, 연조공정으로부터 별도로 공급되어 세컨드롤러를 통과하는 연조슬라이버와 함께 프런트롤러로 공급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분섬노즐부의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를 통과하는 합성섬유필라멘트는 상기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전기튜브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각각의 합성섬유필라멘트가 정전기를 받아 분섬된다.
이렇게 분섬노즐부를 통과하면서 분섬된 합성섬유필라멘트는 프런트롤러를 통과하기 전에 단섬유로 이루어진 연조슬라이버와 만나게 된다. 이때 분섬된 합성섬유필라멘트는 중심축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분산되어 연조슬라이버의 단섬유들 사이에 분포되게 된다. 분포된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중심축과 분포거리는 방전 전압과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장력에 의해 조절된다. 합성섬유필라멘트를 단섬유의 중심축에 가까이 하기위해서는 장력을 상승시키거나 컨덴서(fiber condenser) 혹은 컬렉터(fiber collector)를 사용한다. 프런트롤러를 통과한 합성섬유필라멘트와 단섬유는 서로 평행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트래블러와 보빈의 회전에 의해 꼬임효과를 받으면서 결집되면서 장단섬유 복합사(complex yarn)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컨덴서는 방출하는 원사의 굵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코어(core)방적사용 컨덴서가 추천된다. 그러나 정방기 펜듈럼과 합성섬유필라멘트 가이드의 중심 일치성이 확보된 상태라면 정방기 컨덴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합성섬유필라멘트의 분섬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연조슬라이버는 면, 마, 양모등의 천연섬유 단섬유를 원료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양모 슬라이버(Sliver)의 경우에 평균섬도는 16.0~20.5마이크론(Micron)사이의 양모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라이버의 선밀도(linear density)는 0.2~0.4g/m를 유지해야한다. 이때 세 번수 가능 방적번수는 F/100~F/200(1/50~1/100Nm)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링방적기에 의해서 제조된 복합방적사는 일반적인 천연섬유를 원료로 한 링정방기 방적기술의 한계인 F/140(1/70Nm)이상의 세 번수 방적이 가능하여 경량 의류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종래의 사이로필(siro-fil; 정방교연 방적방식)대비 미터식 번수(Nm)는 30%이상의 세번수화, 의류중량은 25%이상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방적사의 외관차별화, 물성개선, 촉감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발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의 정방구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분섬노즐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와 프런트롤러간의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방적기에 의해 제조된 방적사의 단면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방적기에 의해 제조된 방적사의 측면사진이다.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를 사용하여 방적사를 제조하는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평균섬도 16.0~20.5마이크론(Micron)의 양모원료를 사용하여 즐모 및 전방공정을 거쳐 선밀도(linear density) 0.2~0.4g/m인 슬라이버를 준비하여 링정방기에 공급하고, 여러 가닥으로 모아져있는 단사직경 1.5데니어(12.4㎛)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9데니너/6필라)를 대전방지제로 알킬술포네이트금속염(중량비 농도20%)으로 이루어진 조제를 이용하여 전처리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섬노즐부(발생전압 9,000볼트, 발생전류 0.3밀리암페어, 필라멘트장력 5그램)를 통과시켜 정전기력으로 합성섬유필라멘트를 분섬시켜 합성섬유필라멘트간 거리를 8밀리미터로 조정하였다. 전도성기능부여후 폴리에스터원사의 최적 전기저항구간은 5~80 Mega Ohm(측정환경; 측정장비-Electric tester(FLUKE사), 온도-25, 상대습도-40%)이다. 이때 장단섬유 분포율은 67%로서 상기 장단섬유 분포율은 원사단면 절단시 장섬유의 분섬유(fibril)가 정전기력에 의해 섬유 전체단면에 퍼져있는 비율로 수치가 높을수록 고르게 분포되었음을 의미한다. 장단섬유분포율은 아래 관계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식1) ---- 장단섬유분포율(%)=(인접하지 않은 장섬유 수/전체 장섬유 수)*100
이렇게 분섬된 폴리에스터필라멘트를 연조공정으로부터 별도로 공급되어 세컨드롤러를 통과하는 연조슬라이버와 함께 프런트롤러로 공급하여 드래프트한 후 트래블러와 보빈의 회전수 차이에 의해 실의 굵기는 1/100Nm, 꼬임수는 1320tpm(twist per meter)인 방적사를 만들었다.
1 : 합성섬유필라멘트 2 :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
3 : 전기튜브 4 : 세라믹튜브
5 : 외부튜브 6 : 에어튜브
10 : 프런트롤러 20 : 세컨드롤러
30 : 분섬노즐부 100 : 에이프런롤러

Claims (4)

  1. 링방적기에 있어서,
    링방적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와 세컨드롤러 사이에 분섬노즐부 가지고,
    상기 분섬노즐부는 내부에 합성섬유필라멘트가 통과하는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
    상기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의 외부를 감싸고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기튜브;
    상기 전기튜브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세라믹튜브;
    상기 전기튜브, 세라믹튜브를 감싸는 외부튜브; 및
    상기 외부튜브 및 하부 세라믹튜브를 관통하면서 상기 합성섬유필라멘트통로의 하부에 각도 60~70°로 접하도록 설치된 에어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섬노즐부의 상부에 조제처리부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
  4. 개섬공정, 연조공정 및 정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링방적기에 의한 방적사 제조방법에 있어서,
    별도로 공급되는 합성섬유필라멘트에 조제처리부를 통해 조제를 도포하는 공정,
    상기 조제가 도포된 합성섬유필라멘트를 정방기의 에이프런롤러의 프런트롤러와 세컨드롤러 사이에 별도로 설치된 분섬노즐부의 내부로 통과시켜 정전기와 공기에 의해 합성섬유필라멘트를 분섬한 후, 연조공정으로부터 별도로 공급되어 세컨드롤러를 통과하는 연조슬라이버와 함께 프런트롤러로 공급하는 공정,
    상기 프런트롤러로부터 드래프트되면서 이송되는 상기 연조슬라이버와 합성섬유필라멘트의 혼합사조를 트래블러를 통과시켜 보빈으로 권취하면서 방적사를 만드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
KR1020150055050A 2015-04-20 2015-04-20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및 그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 KR10162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50A KR101621871B1 (ko) 2015-04-20 2015-04-20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및 그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50A KR101621871B1 (ko) 2015-04-20 2015-04-20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및 그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871B1 true KR101621871B1 (ko) 2016-05-17

Family

ID=5610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050A KR101621871B1 (ko) 2015-04-20 2015-04-20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및 그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8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8769B2 (ja) 2003-06-20 2008-01-30 東洋紡績株式会社 長短複合紡績糸
KR101431577B1 (ko) * 2013-03-14 2014-08-20 사단법인 코티티시험연구원 링 정방기에서의 패치사 제조장치
JP2014152438A (ja) * 2013-02-13 2014-08-25 Maschinenfabrik Rieter Ag 紡績機の紡出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8769B2 (ja) 2003-06-20 2008-01-30 東洋紡績株式会社 長短複合紡績糸
JP2014152438A (ja) * 2013-02-13 2014-08-25 Maschinenfabrik Rieter Ag 紡績機の紡出部
KR101431577B1 (ko) * 2013-03-14 2014-08-20 사단법인 코티티시험연구원 링 정방기에서의 패치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8436A (en) Process for spreading or dividing textile materials
US20140331455A1 (en) Method and machinery for making nanofibres
CN107988665B (zh) 一种批量化环锭纺纳米纤维/短纤包芯纱的装置及方法
CN104762704A (zh) 一种新型纳米级静电摩擦纺纱装置
CN105506809A (zh) 一种阻燃抗熔滴高强缝纫线
CN108796682A (zh) 一种连续高效增强纳米纤维成纱的装置及纺纱方法
CN102517704A (zh) 一种电洁纺纱方法
US2721440A (en) Process for producing direct spun yarns from strands of continuous fibers
CN104562355B (zh) 一种具有永久性阻燃抗静电功能复合纱的加工方法
CN107916480A (zh) 一种纳米纤维和普通纤维混纺复合纱的制备方法及应用该方法的复合纱制备装置
CN108611688A (zh) 用于多股纳米纤维复合纱线的加工装置及纱线的制备方法
US36578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reading or dividing yarn, tow or the like
CN110205724B (zh) 纳米纤维/短纤混纺纱制备均匀化装置和方法
CN102337620A (zh) 棉型抗静电包芯纱的制备方法
Gharahaghaji et al. Cluster-spun yarn—a new concept in composite yarn spinning
KR101621871B1 (ko)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및 그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
CN112251868A (zh) 一种连续制备纳米纤维包芯纱的装置及其方法
CN104947291A (zh) 一种防静电的色织斜纹布面料及其制造方法
Perumalraj et al. Tensile properties of copper core yarn
CN115058813A (zh) 一种双组分聚酯纤维仿毛纱线的生产方法
KR20210112691A (ko) 분섬노즐부를 가지는 링방적기 및 그에 의한 세번수 방적사 제조방법
JP2005009048A (ja) 複合紡績糸からなる生地および用途
CN112239905A (zh) 一种导电纤维羊毛混纺纱线制备工艺
CN109666996A (zh) 基于泰勒锥形电场的静电设备
CN110359150A (zh) 一种跨尺度在线包芯亚微米纤维纱的赛络纺纱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