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475B1 -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475B1
KR101621475B1 KR1020140070746A KR20140070746A KR101621475B1 KR 101621475 B1 KR101621475 B1 KR 101621475B1 KR 1020140070746 A KR1020140070746 A KR 1020140070746A KR 20140070746 A KR20140070746 A KR 20140070746A KR 101621475 B1 KR101621475 B1 KR 101621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unit
imag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267A (ko
Inventor
구자견
Original Assignee
구자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견 filed Critical 구자견
Priority to KR102014007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475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의 무선 보안 관제 방법이 개시된다.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버가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의 관공서 시스템 또는 담당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행차량이 있는지 판단하고, 미행차량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 미행 차량의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가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관리를 해야할 알람조건인지 판단하고, 알람조건인 경우, 해당 차량 단말 장치에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국에 있는 해당회사 소유의 수백대의 이동차량의 실시간 영상 및 정보를 서버에서 리얼타임으로 동시에 수신하고, 주행영상과 차량속도, 현재위치(GPS), 차량정보(ECU), 차량주행경로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녹화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도난이나 교통 사고 등의 긴급 상황시 신속한 대체가 가능하고, 또한, 미행 차량이 있는 등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에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ar terminal device, wierless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at car terminal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무선보안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송 이동차량에 대하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주행차량영상과 위치 및 차량정보를 수신하고, 감시 대상인 전체 차량을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재생 또는 백업이 가능하며, 자동차의 위험 상황 또는 위험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한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편의 장치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블랙박스 등의 사고정보 기록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영상 보안 시스템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되는 범죄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시 범인 검거 등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영상 보안 시스템은 주로 CCTV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영상 보안 시스템은 CCTV 카메라를 동축케이블로 연결하고, 상기 CCTV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 등을 통해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며, 이후 녹화된 내용을 다량의 비디오 테이프를 통해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비디오 테이프 구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저장과 검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로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는 DVR(Digital Video Recoder) 시스템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DVR 시스템은 기존의 CCTV 시스템의 기술적 관리의 한계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할인점, 은행, 아파트, 학교, 호텔, 관공서, 지하철 등 사람이 밀집되어 있는 공간이나 무인기지국, 무인 변전소, 경찰서와 같이 해당 공간을 계속 감시해야 하는 곳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DVR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 보안 장치는, 이동성이 없는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됨에 따라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금을 운송하는 차량이나, 위험물(독극물)을 실어 날으는 트럭이나, 자재를 운송중인 트럭 등을 포함한 모든 차량에는 별도의 영상 보안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도로를 운행중인 차량에 도난 또는 교통사고 등의 긴급한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차량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제공되지 못함에 따라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운전자와의 연락만을 단순하게 취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인해, 긴급한 사고 발생시 사고처리가 지연되어 인사 사고가 크게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금 또는 긴급한 자재의 운송시에는 회사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등록공보 제525,172호에 차량의 안전을 위한 영상 보안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에는 위험상황 또는 위험상황을 예상하지 못하며, 교통사고 위주로만 기술되어 있어서 도난 등의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난이나 교통 사고 등의 긴급 상황시 신속한 대체가 가능한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국에 있는 해당회사 소유의 수백대의 이동차량의 실시간 영상 및 정보를 서버에서 리얼타임으로 동시에 수신하고, 주행영상과 차량속도, 현재위치(GPS), 차량정보(ECU), 차량주행경로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녹화재생이 가능한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미행 차량이 있는 등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에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안전하게 백업하여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는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오일 교환시기 등 과거 고장코드 등을 판단하여 미리 차량 관리에 관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차량 주변의 영상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위급상황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단말장치들의 정보,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상기 차량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의 관공서 시스템 또는 담당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행차량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 미행 차량의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관리를 해야할 알람조건인 경우, 해당 차량 단말 장치에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차량 단말장치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DB;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정보 DB;
상기 차량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상태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 DB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정보 관리부;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의 관공서 시스템 또는 담당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행차량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 미행 차량의 정보를 송신하는 위험 관리부;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관리를 해야할 알람조건인 경우, 해당 차량 단말 장치에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송신하는 차량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단말장치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카메라부;
차량의 진동 또는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사이렌 또는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받은 소리의 주파수 또는 상기 소리의 크기 또는 진동의 크기에 근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사고 발생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이렌을 울리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위급상황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미행차량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미행차량의 정보와 후방의 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고지 반경 소정거리 이내에 진입한 경우, 차고지 서버에 상기 영상정보를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수신되면,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공급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부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며, 차량 주변의 영상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위급상황신호를 송신하는 차량 단말 장치로서,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카메라부;
차량의 진동 또는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사이렌 또는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받은 소리의 주파수 또는 상기 소리의 크기 또는 진동의 크기에 근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사고 발생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이렌을 울리거나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으로 위급상황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의 무선 보안 관제 방법은,
상기 차량 단말장치들의 정보,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상기 차량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차량 주변의 영상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위급상황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의 무선 보안 관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서버가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의 관공서 시스템 또는 담당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행차량이 있는지 판단하고, 미행차량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 미행 차량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관리를 해야할 알람조건인지 판단하고, 알람조건인 경우, 해당 차량 단말 장치에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난이나 교통 사고 등의 긴급 상황시 신속한 대체가 가능한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국에 있는 해당회사 소유의 수백대의 이동차량의 실시간 영상 및 정보를 서버에서 리얼타임으로 동시에 수신하고, 주행영상과 차량속도, 현재위치(GPS), 차량정보(ECU), 차량주행경로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녹화재생이 가능한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행 차량이 있는 등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에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안전하게 백업하여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는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오일 교환시기 등 과거 고장코드 등을 판단하여 미리 차량 관리에 관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방법에서 차고지에서 백업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차량 주변의 영상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위급상황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으로서, 서버(210), 데이터베이스부(220), 입력부(230), 표시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30)는 운영자의 선택을 입력받으며, 운영자들이 전체 차량 또는 임의의 차량을 선택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 또는 위치 등을 보기 위해 선택을 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서버(210)의 정보 관리부(211)가 입력부(230) 선택에 따라 제공하는 전체차량 또는 특정 차량의 위치나 현황등을 표시한다.
데이터베이스부(220)는 상기 차량 단말장치(100)들의 정보,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상기 차량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상태정보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지리정보를 저장한다.
서버(210)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의 관공서 시스템 또는 담당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행차량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 미행 차량의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서버(210)는 입력부(230)의 선택에 따라 전국에 있는 해당회사 소유의 수백대의 이동차량의 실시간 영상정보와 차량 상태정보를 리얼타임으로 수신하고, 모든 차량의 주행영상과 차량속도, 현재위치(GPS), 차량정보(ECU), 차량주행경로를 한꺼번에 표시부(240)에 표시하거나 선택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녹화재생이 가능하다.
상기 서버(210)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관리를 해야할 알람조건인 경우, 해당 차량 단말 장치에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20)는,
상기 차량 단말장치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DB(221);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정보 DB(222);
상기 차량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상태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 DB(223)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210)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입력부(230)의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관리부(211);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의 관공서 시스템 또는 담당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행차량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 미행 차량의 정보를 송신하는 위험 관리부(212);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관리를 해야할 알람조건인 경우, 해당 차량 단말 장치에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송신하는 차량 관리부(213)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단말장치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카메라부(120);
차량의 진동 또는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180);
사이렌 또는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192);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50);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60);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70);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받은 소리의 주파수 또는 상기 소리의 크기 또는 진동의 크기에 근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사고 발생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이렌을 울리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위급상황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170)는 LTE 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네트워크망(300)은 무선망 또는 유선통신망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서버(210)로부터 무선송수신부(170)를 통해 미행차량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미행차량의 정보와 후방의 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차고지 반경 소정거리 이내에 진입한 경우, 차고지 서버에 상기 영상정보를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의 ECU(600)로부터 차량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210)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210)로부터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수신되면,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전원이 공급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부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각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에 시동을 걸어 전원이 인가되면, 카메라부(120)의 다수의 카메라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출력하고 필요에 따라 카메라부(120)의 출력신호가 아날로그신호인 경우 영상변환부(130)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때, 차량의 실내, 차량의 후방, 차량의 전방, 차량의 측방 등 다양한 차량 주변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80)는 차량의 진동 또는 차량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부(180)를 통해 입력받은 소리의 주파수 또는 상기 소리의 크기 또는 진동의 크기에 근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사고 발생인 경우 상기 스피커(192)를 통해 사이렌을 울리거나 상기 무선송수신부(170)를 통해 상기 서버(210)로 위급상황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저장장치(150)에 저장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관리 대상인 다수의 차량의 차량 단말 장치(100)는 차량 주변의 영상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위급상황신호를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200)에 송신한다. 여기서, 차량 상태정보는 RPM, 속도, 현재차량온도, 차량 오일온도, 차량 경고등 과거 고장내역, 현재고장 사항 등이 포함된다.
그러면 서버(210)의 정보 관리부(211)가 상기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정보 DB(222)에 저장한다(S410).
또한, 상기 서버(210)는 입력부(230)의 선택에 따라 전국에 있는 해당회사 소유의 수백대의 이동차량의 실시간 영상정보와 차량 상태정보를 리얼타임으로 수신하고, 모든 차량의 주행영상과 차량속도, 현재위치(GPS), 차량정보(ECU), 차량주행경로를 한꺼번에 표시부(240)에 표시하거나 선택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녹화재생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차량의 사고, 물품의 도난이나 현금 도난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도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음, 서버(210)의 위험 관리부(213)가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S420).
운전자가 위급하다고 판단하여 미리 지정된 키입력부(110)의 비상버튼을 누르거나 제어부(140)가 판단하는 위급상황인 경우에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서버(210)의 위험 관리부(213)는 외부의 관공서 시스템(400) 또는 담당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S430).
그러면 관공서 시스템(400) 또는 담당자는 위급 상황에 대한 대처를 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물품의 도난이나 현금 도난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도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상기 단계(S430) 이후에, 상기 서버(210)의 위험 관리부(213)가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행차량이 있는지 판단한다(S450).
미행차량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단말장치(100)에 미행 차량의 정보를 송신한다(S460). 그러면 차량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서버(210)로부터 무선송수신부(170)를 통해 미행차량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미행차량의 정보와 후방의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
그러면 운전자는 미행 차량을 확인하고 조취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미행차량이 없거나 상기 단계(S460) 이후에, 상기 서버(210)의 차량 관리부(212)가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S470) 차량 관리를 해야할 알람조건인지 판단한다(S480).
알람조건인 경우, 차량 관리부(212)가 해당 차량 단말 장치(100)에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송신한다(S490). 그러면 제어부(140)는 상기 서버(210)로부터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알람 조건을 참조하여 차량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진오일 교환시기, 기타 오일 교환시기 또는 고장 이력 정보 등을 알람정보로 제공하여 차량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차량 유지 비용을 절감 및 유지보수에 효율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차량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전원이 공급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부팅을 한다. 예를 들면, 차량 시동 후 부팅시간 조절이 10초~30초로 가능하며, 시동 끈 후 시스템 작동 시간을 1분~8시간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어부(140)에는 내부 타이머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저 전압 경보기능 적용으로 설정 전압 이하 시 장비 자동으로 셋다운(Shut Down)하여 차량 메인터넌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차고지 부근에 가면 데이터 백업이 가능하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보안 관제 방법에서 차고지에서 백업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GPS(191)의 위치정보와 차고지 위치를 비교하여 차고지 반경 소정거리(100m~200m) 이내에 진입한 경우, 차고지 서버(500)에 상기 영상정보를 백업하고, 차고지 서버(500)는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한다.
따라서, 안전하게 이중 삼중으로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난이나 교통 사고 등의 긴급 상황시 신속한 대체가 가능하고, 또한, 미행 차량이 있는 등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에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그리고,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안전하게 백업하여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고,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오일 교환시기 등 과거 고장코드 등을 판단하여 미리 차량 관리에 관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장치로부터, 차량 주변의 영상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위급상황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 단말장치들의 정보,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상기 차량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차량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의 관공서 시스템 또는 담당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행차량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 미행 차량의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장치는,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카메라부;
    차량의 진동 또는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사이렌 또는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받은 소리의 주파수 또는 상기 소리의 크기 또는 진동의 크기에 근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사고 발생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이렌을 울리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위급상황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전원이 공급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부팅을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관리를 해야할 알람조건인 경우, 해당 차량 단말 장치에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차량 단말장치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DB;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정보 DB;
    상기 차량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상태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정보 관리부;
    위험을 알리는 위급 상황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의 관공서 시스템 또는 담당자에게 위험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미행차량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 단말장치에 미행 차량의 정보를 송신하는 위험 관리부;
    차량의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관리를 해야할 알람조건인 경우, 해당 차량 단말 장치에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송신하는 차량 관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미행차량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미행차량의 정보와 후방의 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고지 반경 소정거리 이내에 진입한 경우, 차고지 서버에 상기 영상정보를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차량 관리를 해야함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수신되면,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8. 삭제
  9.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며, 차량 주변의 영상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위급상황신호를 송신하는 차량 단말 장치로서,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카메라부;
    차량의 진동 또는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사이렌 또는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받은 소리의 주파수 또는 상기 소리의 크기 또는 진동의 크기에 근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사고 발생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사이렌을 울리거나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으로 위급상황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전원이 공급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부팅을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단말 장치.
  10. 삭제
KR1020140070746A 2014-06-11 2014-06-11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2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746A KR101621475B1 (ko) 2014-06-11 2014-06-11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746A KR101621475B1 (ko) 2014-06-11 2014-06-11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67A KR20150142267A (ko) 2015-12-22
KR101621475B1 true KR101621475B1 (ko) 2016-05-16

Family

ID=5508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746A KR101621475B1 (ko) 2014-06-11 2014-06-11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5831A (zh) * 2016-11-03 2017-01-2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红外探测的车内生命防困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581B1 (ko) * 2016-07-29 2018-06-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경고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347A (ja) * 2004-03-01 2004-08-19 Toshio Kaneshiro 監視カメラ装置
KR101196738B1 (ko) 2011-11-17 2012-11-07 이승진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347A (ja) * 2004-03-01 2004-08-19 Toshio Kaneshiro 監視カメラ装置
KR101196738B1 (ko) 2011-11-17 2012-11-07 이승진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5831A (zh) * 2016-11-03 2017-01-2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红外探测的车内生命防困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67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2460A1 (en) Integrating vehicle alarms, cameras, and mobile devices
CN109962970B (zh) 信息收集系统以及服务器装置
US20150307048A1 (en) Automobile alert information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US20180339719A1 (en) Locomotive decision support architecture and control system interface aggregating multiple disparate datasets
KR101397453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8117B1 (ko) 건물 내외 시설물의 전력 케이블 도난방지를 위한 원격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im et al. Intelligent surveillance and security robot systems
SE16503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ft detection in a vehicle
KR101495319B1 (ko) 지능형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
JPH1055496A (ja) 自動車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1061129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
CN204055720U (zh) 一种汽车预警防盗系统
KR20150060626A (ko) 능동형 무인 경비 시스템
JP7012472B2 (ja) 宅配レンタカーカメラシステム
US20150229884A1 (en) Systems and methods concerning integrated video surveillance of remote assets
KR101621475B1 (ko) 차량 단말 장치, 이를 이용한 무선 보안 관제 시스템 및 방법
US10446068B2 (en) Vehicle messaging system
KR101729985B1 (ko) 영상정보를 이용해 다수의 터널통합방재장치를 통합 관리하는 터널 통합 방재 방송 시스템
KR101386126B1 (ko) 역주행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56845B1 (ko) 실시간 관제 기능을 갖는 avm 시스템
US20130182065A1 (en) Vehicle event data recorder and anti-theft alarm system with 360 degree panograph function
KR200448956Y1 (ko) 이동이 가능하고 tft lcd 화면으로 화재 영상을 체크를 할 수 있는 이동형 전기 화재 감시 시스템
JP5106225B2 (ja) 車両監視システム
KR101957637B1 (ko) 버스 정보 안내기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TW201523535A (zh) 行動控制單元,設施管理系統,行動單元控制系統,設施管理方法及行動單元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