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821B1 - 폐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821B1
KR101620821B1 KR1020090092279A KR20090092279A KR101620821B1 KR 101620821 B1 KR101620821 B1 KR 101620821B1 KR 1020090092279 A KR1020090092279 A KR 1020090092279A KR 20090092279 A KR20090092279 A KR 20090092279A KR 101620821 B1 KR101620821 B1 KR 10162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air
space
wastewater treatment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830A (ko
Inventor
한두원
문유진
황지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8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using electrical dis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폐수 처리 장치는 폐수 처리 공간과, 상기 폐수 처리 공간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폐수 처리 공간과 격리되는 한 쌍의 에어 처리 공간을 갖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고전압을 인가 받아 전기 방전을 일으켜 산화성 성분 및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내부에 일정 길이의 방전 전극봉을 갖고, 상기 폐수 처리 공간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에어 처리 공간을 연통시키는 유전체 방전관; 및 상기 방전 전극봉과 상기 폐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방전 전극봉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응기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를 광촉매에 노출 및 난류를 형성하여 처리하고, 이 처리된 처리수에 에어 또는 오존을 반응시키어 폐수에 재공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수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기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를 광촉매에 노출 및 난류를 형성하여 처리하고, 이 처리된 처리수에 에어 또는 오존을 반응시키어 폐수에 재공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폐수중의 유기물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초임계 유체 산화, 전기화학반응, 오존산화, 전자빔조사공정, 자외선 조사 공정, 초음파처리, 자외선광촉매산화 등의 여러 종류의 산화 기술들을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유기물의 제거성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유기물로 적용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해 여러 산화기술들을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예컨대, 자외선 광촉매 산화기술과 오존 산화기술의 결합, 초음파 처리기술과 오존 산화기술의 결합 등을 통해 유기물의 제거 성능은 향상될 수 있고, 이의 적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에 언급되는 다수의 폐수처리 기술들은 이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처리할 수 있는 유기물이 극히 제한적이고 처리 성능도 하락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에 언급되는 다수의 공정들을 서로 결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전기 에너지의 사용량이 증가되며 처리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운전 조건과 장치 운영에 요구되는 사항이 증가됨에 따라 현실적으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 폐수를 처리하는 일련의 처리 공정에서 폐수에 포함되는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유기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장치의 사이즈도 줄일 있고 조작이 현실적으로 실용성을 갖는 폐수 처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기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광촉매에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키어 이동시킴과 아울러 난류를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수가 처리되어 유출되는 처리수에 에어 또는 오존을 강압 분사함으로써 처리수와 에어 또는 오존이 효과적으로 반응하도록 하여 이 반응된 처리수를 다시 폐수에 공급함으로써 재순환 처리할 수 있는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폐수 처리 장치는 폐수 처리 공간과, 상기 폐수 처리 공간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폐수 처리 공간과 격리되는 한 쌍의 에어 처리 공간을 갖는 반응기와; 상기 반응기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고전압을 인가 받아 전기 방전을 일으켜 산화성 성분 및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내부에 일정 길이의 방전 전극봉을 갖고, 상기 폐수 처리 공간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에어 처리 공간을 연통시키는 유전체 방전관; 및 상기 방전 전극봉과 상기 폐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방전 전극봉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응기에는, 상기 폐수 처리 공간에 폐수를 유입시키는 제 1유입구와, 상기 제 1유입구와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폐수 처리 공간에서 처리되는 처리된 폐수가 유출되는 제 1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에어 처리 공간 중 하나에 에어 또는 산소를 주입하는 제 2유입구와, 상기 에어 처리 공간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방전 전극봉에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에어 또는 오존을 유출하는 제 2유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폐수 처리 공간은 난류 형성 막들을 구비하되, 상기 난류 형성 막들은 상기 제 1유입구와 상기 제 1유출구의 사이에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다중으로 배치되며, 다수개의 관통홀들을 갖고 상기 유전체 방전관의 외벽과 상기 반응기의 내벽을 연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류 형성 막들 간의 관통홀의 형성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류 형성 막들의 외면에는 광촉매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기에는 상기 제 1유입구와 실질적으로 동일 레벨을 이루는 제 1'유입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는 기액 혼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기액 혼합부는, 상기 처리된 폐수를 상기 폐수 처리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유출구와 상기 제 1'유입구를 잇는 처리수 공급 라인과,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는 펌프와, 상기 제 2유출구로터 에어 또는 오존을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2유출구와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과 연통되는 기체 공급 라인과,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또는 오존을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처리된 폐수로 분사시키는 인젝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수 처리 공간과 상기 에어 처리 공간은 서로 격판들에 의하여 격리되되, 상기 격판들 각각은 상기 유전체 방전관의 외주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판들의 외면에는 광촉매가 더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반응기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광촉매에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키어 이동시킴과 아울러 난류를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폐수가 처리되어 유출되는 처리수에 에어 또는 오존을 강압 분사함으로써 처리수와 에어 또는 오존이 효과적으로 반응하도록 하여 이 반응된 처리수를 다시 폐수에 공급함으로써 재순환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폐수 처리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폐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액 혼합부를 갖는 폐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난류 형성 막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난류 형성 막의 외면에 광촉매가 코팅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인젝터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폐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폐수 처리 장치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고 일정 길이를 갖는 반응기(100)를 갖는다. 상기 반응기(100)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원통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에 공간을 이루는 다각을 갖는 형상이 채택될 수도 있다.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에는 양단이 개구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상의 유전체 방전관(200)이 배치된다.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은 석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양단은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 상벽과 하벽에 밀착되지 않도록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고정은 하기에 기술되는 격판들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내부에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방전 전극봉(2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방전 전극봉(210)의 일단은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일단을 관통하여 반응기(100)의 상단에 돌출되어 노출되고, 상기 방전 전극봉(210)의 타단은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 하벽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전 전극봉(210)은 외부로부터 고전압을 인가 받아 전기 방전을 일으켜 산화성 성분 및 UV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극이다.
그리고,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은 한 쌍의 격판들(130)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격판들(130)은 반응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이 끼워지는 홀(13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격판들(130)은 상부 격판(131)과 하부 격판(13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판들(130)의 외면에는 광촉매가 더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격판(131)은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에서 상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격판(131)의 홀(130a)에는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일단부가 끼워져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격판(131)의 홀(130a)과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일단부 외주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격판(131)의 외주는 상기 반응기(1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격판(132)은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에서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 격판(132)의 홀(130a)에는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타단부가 끼워져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격판(132)의 홀(130a)과 상기 유전체 방전 관(200)의 타단부 외주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격판(132)의 외주는 상기 반응기(1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 격판(131)과 하부 격판(132)의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폐수 처리 공간(A)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격판(131)과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 상벽의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하나의 에어 처리 공간(이하, 제 1에어 처리 공간(B1)이라 한다.)이다. 또한, 상기 하부 격판(132)과 상기 반응기(100)의 내부 하벽의 사이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다른 하나의 에어 처리 공간(이하, 제 2에어 처리 공간(B2)이라 한다.)이다.
또한, 상기 폐수 처리 공간(A)이 위치되는 반응기(100)에는 제 1유입구(110)와 제1 유출구(11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유입구(110)는 상기 폐수 처리 공간(A)에서 상단부에 위치되며 외부에서 폐수를 폐수 처리 공간(A)에 유입시킬 수 있고, 상기 제 1유출구(111)는 상기 폐수 처리 공간(A)에서 상기 제 1유입구(110)보다 저부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된 폐수가 처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반응기(100)에는 상기 제 1유입구(110)와 실질적으로 동일 레벨을 이루는 제 1'유입구(110')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에어 처리 공간(B1)이 위치되는 반응기(100)에는 외부에서 에어 또는 산소를 유입시킬 수 있는 제 2유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에어 처리 공간(B2)이 위치되는 반응기(100)에는 유전체 방전관(20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에어 또는 오존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제 2유출구(1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폐수 처리 공간(A)에는 난류 형성 막들(300)이 구비된다.
상기 난류 형성 막들(300) 각각은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난류 형성 막들(300) 각각에 형성되는 중앙홀(301)에는 유전체 방전관(200)이 끼워지고,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외주는 상기 중앙홀(30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난류 형성 막들(300)은 상기 제 1유입구(110)와 상기 제 1유출구(111)의 사이에서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적층되도록 다층 또는 다중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난류 형성 막들(300) 각각에는 다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난류 형성 막들(300) 간의 관통홀의 형성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난류 형성 막들(300)이 3단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최상단의 난류 형성 막(310) 및 최하단의 난류 형성 막(330)에 형성되는 관통홀들(311,331)은 반응기(100)의 내벽측에 위치되고, 상기 최상단의 난류 형성 막(310)과 최하단의 난류 형성 막(330)의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 난류 형성 막(320)의 관통홀들(321)은 유전체 방전관(200)의 외주 측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하여,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난류 형성 막들(300)의 외면에는 광촉매(300b)가 코팅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 반응기(100)는 기액 혼합부(400)를 구비한다.
상기 기액 혼합부(400)는 상기 처리된 폐수를 상기 폐수 처리 공간(A)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유출구(111)와 상기 제 1'유입구(110')를 잇는 처리수 공급 라인(430)과,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430) 상에 설치되는 펌프(440)와, 상기 제 2유출구(121)로부터 에어 또는 오존을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430)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2유출구(121)와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430)과 연통되는 기체 공급 라인(410)과, 상기 기체 공급 라인(410)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또는 오존을 상기 기체 공급 라인(41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처리된 폐수로 분사시키는 인젝터(420)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되는 인젝터(420)를 구비하여 기체(에어 또는 오존)와 액체(처리된 폐수)를 서로 용이하에 접촉시킬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폐수 처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 하면, 고전압 인가부(500)는 전선(510)을 구비하고, 상기 전선(510)의 일단은 폐수에 연결되어 접지되고, 타단은 방전 전극봉(210) 상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폐수는 전극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고전압 인가부(500)는 방전 전극봉(210)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전 전극봉(210)이 내부에 위치되는 유전체 방전관(200)은 산화성 성분 및 UV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량의 폐수는 제 1유입구(110)를 통하여 반응기(100) 내부의 폐수 처리 공간(A)으로 유입되고, 에어 또는 산소는 제 2유입구(120)를 통하여 제 1에어 처리 공간(B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UV는 폐수에 직접 조사됨과 아울러 폐수 내에 설치되는 난류 형성 막들(300)에 코팅되는 광촉매(300b)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전압 인가부(500)을 통하여 전달되는 고전압은 방전 전극봉(210)에 인가되며 폐수는 접지되어 폐수자체가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 1에어 처리 공간(B1)으로부터 유전체 방전관(200) 내에 에어나 산소가 유입되면, 상기 에어 또는 산소는 전기 방전을 일으키고 이어 UV와 오존, 산소라디칼, 수산화라디칼 등 각종 산화성 성분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에어 또는 오존 등은 유전체 방전관(200)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유전체 방전관(200)의 하단과 연통되는 제 2에어 처리 공간(B2)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제 1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는 폐수 처리 공간(A)에서 처리수로 처리될 수 있다.
즉, 상기 폐수 처리 공간(A)으로 유입된 폐수는 유전체 방전관(200)에서 발생되는 UV에 의하여 살균 및 세정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폐수는 다수의 난류 형상막들(300)의 관통홀들(311,321,331)을 통과하면서 난류를 형성하여 제 1유출구(111)가 형성되는 폐수 처리 공간(A)의 저부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류 형성 막들(300)은 서로 상하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는 타입으로 다층 또는 다중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구성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난류 형성 막들(300)은 3개의 층을 이룰 수 있다.
먼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유입구(110)로 유입된 폐수는 일차적으로 페수 처리 공간(A)의 내부 상벽과 최상단의 난류 형성 막(310) 사이의 상부 공간(a)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공간(a)에 위치되는 폐수는 UV에 노출됨과 아울러, 최상단의 난류 형성 막(310)에 형성되는 관통홀들(311)을 통하여 최상단의 난류 형성 막(310)과 중앙 난류 형성 막(3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공간(b)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중앙 공간(b)으로 유입된 폐수는 이차적으로 UV에 재 노출됨과 아울러, 중앙 난류 형성 막(320)에 형성되는 관통홀들(321)을 통하여 중앙 난류 형성 막(320)과 최하단의 난류 형성 막(330)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공간(c)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c)에 유입되는 폐수는 삼차적으로 UV에 노출됨과 아울러, 반응기(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유출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 1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는 다단 또는 다중으로 배치되는 난류 형성 막들(300)을 통과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난류 형성 막들(300) 각각에서의 관통홀들(311,321,331)은 그 형성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공간(a), 중앙 공간(b) 및 하부 공간(c)으로 폐수가 각 난류 형성 막들(300)에 형성되는 관통홀들(311,321,331)을 통과함으로써, 난류를 형성하며 각각의 공간들(a,b,c)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난류 형성 막들(310,320,330)의 관통홀들(311,321,331)에 스파이럴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경우에, 상부 공간(a)에서 중앙 공간(b)으로, 상기 중앙 공간(b)에서 하부 공간(c)으로 이동되는 폐수는 각 관통홀들(311,321,331)에 형성되는 스파이럴 돌기에 의하여 와류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폐수가 난류 형성 막들(300)을 다중으로 통과하면서 유동되기 때문에, 각 공간들(a,b,c)에서 위치되는 시간이 일정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폐수는 각각의 처리 공간인 상부 공간(a), 중앙 공간(b) 및 하부 공간(c)에서의 처리 시간이 증가되기 때문에 UV에 일정 시간 이상으로 충분히 노출되어 효율적으로 살균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의 난류 형성 막들(300)의 외면에는 광촉매(300b)가 더 코팅되기 때문에, 각 공간들(a,b,c)에서 유입되는 폐수는 광촉매(300b)에 직접적으로 접촉 및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폐수는 각각의 공간에서 상기 광촉매(300b)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살균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폐수 처리 공간(A)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는 격판들(130)의 외면에 광촉매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에어 처리 공간(B1)에서의 에어 및 산소, 제 2에어 처리 공간(B2)에 유입되는 에어 및 오존 역시 광촉매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폐수 처리 공간(A)의 내부에서 반응기(100)의 내벽에도 역시 광촉매 코팅이 더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폐수 처리 공간(A)을 다수의 공간들(a,b,c)로 구성됨으로써, 폐수가 UV에 노출되는 시간 및 광촉매에 접촉되는 시간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의 상태를 정리하면, 폐수는 다단 또는 다중의 난류 형성 막들(300)을 통과하면서 난류를 형성하고 하부 공간(c)에 일시 저장되고, 제 2에어 처리 공간(B2)에는 에어 또는 오존이 일시 저장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르는 기액 혼합부(400)는 하부 공간(c)에 일시 저장되는 처리수에 에어 또는 오존을 반응시키어 폐수 처리 공간(A)으로 재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기액 혼합부(400)는 처리된 폐수(또는 처리수)를 재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펌프(440)가 작동되면, 하부 공간(c)에 일시 저장되는 처리수는 제 1유출구(111)를 통하여 유출되어 처리수 공급 라인(430)을 따라 유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 2에어 처리 공간(B2)에 일시 저장되는 에어 또는 오존은 제 2유출구(121)를 통하여 기체 공급 라인(410)을 따라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430)과 기체 공급 라인(410)은 서로 일단이 연통되고, 이들이 서로 만나는 위치에는 인젝터(420)가 설치된다. 상기 인젝터(420)는 기체 공급 라인(410)에서 유동되는 에어 또는 오존을 처리수 공급 라인(430)으로 강제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 또는 오존은 처리수 공급 라인(430)에서 유동되는 처리수로 분사되고 상기 처리수와 반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오존은 처리수에 용이하게 용해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에어 또는 오존이 용해된 처리수는 처리수 공급 라인(430)의 타단을 따라 유동되어 제 1'유입구(110')를 통하여 폐수 처리 공간(A), 즉 상부 공간(a)으로 재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폐수에는 제 1'유입구(110') 를 통하여 유입되는 처리수와 연속적으로 섞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폐수는 처리수와 연속적으로 희석됨으로써 자체의 오염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폐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액 혼합부를 갖는 폐수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난류 형성 막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난류 형성 막의 외면에 광촉매가 코팅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인젝터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반응기 130 : 격판들
200 : 유전체 방전관 210 : 방전 전극봉
300 : 난류 형성 막 310 : 최상단 난류 형성 막
320 : 중앙 난류 형성 막 330 : 최하단 난류 형성 막
400 : 기액 혼합부 410 : 기체 공급 라인
420 : 인젝터 430 : 처리수 공급 라인
440 : 펌프 A : 폐수 처리 공간
B1 : 제 1에어 처리 공간 B2 : 제 2에어 처리 공간

Claims (7)

  1. 폐수 처리 공간과, 상부 격판과 하부 격판에 의해 상기 폐수 처리 공간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폐수 처리 공간과 격리되는 한 쌍의 에어 처리 공간을 갖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에서 고전압을 인가 받아 전기 방전을 일으켜 산화성 성분 및 UV를 발생시키도록 내부에 일정 길이의 방전 전극봉을 갖고,
    상기 폐수 처리 공간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에어 처리 공간을 연통시키는 유전체 방전관; 및
    상기 방전 전극봉과 상기 폐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방전 전극봉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에어 처리 공간은 상기 상부 격판과 반응기 내부 상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에어 처리공간과 상기 하부 격판과 반응기 내부 하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에어 처리 공간이고,
    상기 폐수 처리 공간에 폐수를 유입시키는 제 1유입구, 상기 제 1유입구와 실질적으로 동일 레벨을 이루는 제 1'유입구와 상기 제 1'유입구와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폐수 처리 공간에서 처리되는 처리된 폐수가 유출되는 제1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에어 처리 공간에 에어 또는 산소를 주입하는 제 2유입구와, 상기 제2 에어 처리 공간에 상기 방전 전극봉에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에어 또는 오존을 유출하는 제 2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는 기액 혼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기액 혼합부는, 상기 처리된 폐수를 상기 폐수 처리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유출구와 상기 제 1'유입구를 잇는 처리수 공급 라인과,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 상에 설치되는 펌프와, 상기 제 2유출구로부터 에어 또는 오존을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2유출구와 상기 처리수 공급 라인과 연통되는 기체 공급 라인과, 상기 기체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또는 오존을 상기 기체 공급 라인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처리된 폐수로 분사시키는 인젝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공간은 난류 형성 막들을 구비하되,
    상기 난류 형성 막들은 상기 제 1유입구와 상기 제 1유출구의 사이에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다중으로 배치되며, 다수개의 관통홀들을 갖고 상기 유전체 방전관의 외벽과 상기 반응기의 내벽을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형성 막들 간의 관통홀의 형성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형성 막들의 외면에는 광촉매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공간과 상기 에어 처리 공간은 서로 격판들에 의하여 격리되되,
    상기 격판들 각각은 상기 유전체 방전관의 외주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는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판들의 외면에는 광촉매가 더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KR1020090092279A 2009-09-29 2009-09-29 폐수 처리 장치 KR10162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279A KR101620821B1 (ko) 2009-09-29 2009-09-29 폐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279A KR101620821B1 (ko) 2009-09-29 2009-09-29 폐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830A KR20110034830A (ko) 2011-04-06
KR101620821B1 true KR101620821B1 (ko) 2016-05-18

Family

ID=4404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279A KR101620821B1 (ko) 2009-09-29 2009-09-29 폐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8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79B1 (ko) * 2017-07-31 2018-01-11 주식회사 이앤에프 수산화라디칼 수 분사 장치
KR101950021B1 (ko) 2018-06-26 2019-05-02 재단법인 한국환경산업연구원 와류 유도형 오염수 정화 장치
KR20210048183A (ko) 2019-10-23 2021-05-03 엄수진 산화반응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오폐수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3653B (zh) * 2012-02-03 2013-12-04 T&H美国集团有限公司 辉光放电等离子水处理装置
CN116675371B (zh) * 2023-06-03 2024-03-08 杭州古伽船舶科技有限公司 一种自由基氧化处理高cod污水的一体化装置及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747A (ja) * 1999-07-26 2001-02-06 Shimadzu Corp 光化学酸化分解方法及び光化学酸化分解反応器
JP2003310741A (ja) * 2002-04-22 2003-11-05 Chiyoda Kohan Co Ltd 紫外線照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747A (ja) * 1999-07-26 2001-02-06 Shimadzu Corp 光化学酸化分解方法及び光化学酸化分解反応器
JP2003310741A (ja) * 2002-04-22 2003-11-05 Chiyoda Kohan Co Ltd 紫外線照射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979B1 (ko) * 2017-07-31 2018-01-11 주식회사 이앤에프 수산화라디칼 수 분사 장치
KR101950021B1 (ko) 2018-06-26 2019-05-02 재단법인 한국환경산업연구원 와류 유도형 오염수 정화 장치
KR20210048183A (ko) 2019-10-23 2021-05-03 엄수진 산화반응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오폐수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830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821B1 (ko) 폐수 처리 장치
KR100686191B1 (ko) 화학적 수처리 장치
KR101918147B1 (ko) 플라즈마 수처리 장치
JP2017537783A (ja) 気液接触装置のための流体分配装置、気液接触装置、およびガスを液体に添加する方法
KR20130053205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0948652B1 (ko) 탈취 효율이 높은 와류 회절 믹서 탈취기
KR20080050316A (ko) 각종 산업 폐수 중 난분해성 유기물의 처리방법 및 이를위한 처리장치
JP4806821B2 (ja) 超音波殺菌装置
CN107176647B (zh) 一种微波光催化-陶瓷膜耦合净水装置
JP4265043B2 (ja) 光触媒を用いた水処理方法及び装置
CN210874762U (zh) Uv微纳米废气处理装置
JPH09234479A (ja) オゾン反応槽
KR20110010501U (ko) 난분해성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WO2019231424A1 (en) Sqnoelectrochemical--photo catalytic water treatment reactor
KR20200080938A (ko) 오존가스를 병용한 자외선 수질 정화장치
KR102344197B1 (ko)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JP4357316B2 (ja) 排水処理装置
JP2018149498A (ja) 汚泥処理装置
TW2009365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containing water
KR20100136088A (ko) 악취제거장치 및 스크러버
KR100505942B1 (ko) 폐수처리용 반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RU110084U1 (ru) Фотохимический реакто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и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KR20010088986A (ko) 마이크로파 플라즈마에 의한 폐수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02254088A (ja) 水質浄化装置および水質浄化方法
JP2007029817A (ja) 紫外線照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