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739B1 - Movable work table - Google Patents

Movable work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739B1
KR101620739B1 KR1020140167201A KR20140167201A KR101620739B1 KR 101620739 B1 KR101620739 B1 KR 101620739B1 KR 1020140167201 A KR1020140167201 A KR 1020140167201A KR 20140167201 A KR20140167201 A KR 20140167201A KR 101620739 B1 KR101620739 B1 KR 101620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ain body
support
fasten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인수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박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6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7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7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work table. The movable work table comprises: a main body which is provided to be moved along a rail and allows a worker or equipment to be loaded thereon to support the worker or equipment;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which is formed in the main body and prevents the main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The main body comprises: a moving cart which is coupled to the rail to be moved along the rail; and a support member which is formed in the moving cart to support the worker and of which the support position of the worker is changed.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cart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in the moving cart; and a support structure which is coupled to the cart structur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ain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by forming a catching unit caught in the rail.

Description

이동식 작업대{Movable work table}Movable work table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로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workbench, which is moved along a rail.

일반적으로, 중량물 운반 작업에 사용되는 천장 기중기는 일정한 구간의 주행레일을 주행차륜이 반복하여 주행하는데, 이러한 천장 기중기의 운전 중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트롤리바는 애자 등 관리 또는 유지보수 하여야 하는 일이 잦았다.Generally, a ceiling crane used for a heavy-goods transporting operation is a vehicle in which a traveling wheel repeatedly travels a running rail of a certain section. The trolley bar that supplies necessary pow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eiling crane needs to be managed or maintained such as an insulator It was frequent.

도 1은 일반적인 천장 기중기의 트롤리바와 관련된 집전장치의 부속품을 관리하거나 교환하는 장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ene in which accessories of a current collector related to a trolley bar of a general ceiling crane are managed or exchanged.

도 1을 참조하면, 트롤리바(2)와 관련된 집전장치의 정비작업시 작업자(1)가 안전로프(3)에 줄에 매달려 작업하는데,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유격훈련을 하는 것과 같이 허공에 매달려 작업하는 것과 한 구간 작업 종료 후 이동시 다시 주행부로 올라와 이동 후 안전로프를 이동하여 설치하고, 다시 작업 장소로 내려가 작업을 한다.Referring to FIG. 1, a worker 1 hangs on a line on a safety rope 3 during a maintenance work of a current collector related to a trolley bar 2. Specifically, After moving one section, move to the driving section again after moving. After moving the safety rope, move to the work place and work again.

이러한 작업은 번거롭고 교환시간이 많이 걸리며 금전적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작업자의 피로누적 및 안전이 보장받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Such a work is troublesome, takes a lot of time to exchange, has a problem of a loss of financial cost, and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accumulation of worker and safety are not guarante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work table that moves along a rai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공되고, 작업자 또는 설비를 탑재 또는 지지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되, 상기 본체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레일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대차; 및 상기 이동대차에 작업자를 지지하게 제공되되, 작업자의 지지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된 대차구조물; 및 상기 대차구조물에 체결된 지지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대차구조물과 지지구조물의 연결부분에는, 작업자 지지위치의 종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작업지점과 작업자 지지위치의 횡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대차구조물에 형성된 제1 체결단부; 및 상기 지지구조물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단부에 착탈되는 제2 체결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체결단부와 제2 체결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높이가 다르게 복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거리조절부는, 상기 제1 체결단부에 형성된 제1 체결지점; 및 상기 제2 체결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지점에 착탈되는 제2 체결지점;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체결지점과 제2 체결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작업지점과의 거리가 다르게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ilway vehicle comprising: a main body which is provided to move along a rail and mounts or supports an operator or a facility; And a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separating from the rail,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moving carriage that is coupled to the rail and moves along the rail;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to support the operator on the moving truck, the support member being configured to change a support position of the operator, the support member comprising: a truck structure installed on the moving truck; And a support structure fastened to the truck structure, wherein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ruck structure and the support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a he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er supporting position, Wherei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end portion formed on the carriage structure; And a second fastening end formed on the support structure and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fastening en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astening end and the second fastening end is disposed at a plurality of different heights, A first fastening point formed at the first fastening end; And a second fastening point formed at the second fastening end and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fastening poin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astening point and the second fastening point has a plurality of And a movable work table.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상기 레일에 이동되게 체결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본체에 제공되면서 상기 본체의 레일이탈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ain body may be movably fastened to the rail, and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rail.

여기에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 양측의 측부홈에 삽입지지되는 이탈방지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engaging means may include an escape prevention roller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ide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rail.

이때, 상기 이탈방지롤러는, 회전축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레일과 수직되게 배치되고, 롤러회전면이 상기 측부홈의 상면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ng roller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rotation axis thereof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rail, and the roller rotation surface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groove.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 양측의 측부홈에 삽입걸림되는 이탈방지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reventing jaw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side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rail.

이때, 상기 이탈방지턱은, 단부가 상기 측부홈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 may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groove.

이에 더하여,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본체의 전후단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gag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oller install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while suppor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rai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례로서, 상기 제1 체결지점과 제2 체결지점은 홀 형상을 취하며,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fastening point and the second fastening point take a hole shape and can have a structure that they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한편,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대차구조물에 체결된 구조물프레임; 상기 구조물프레임에 횡방향 장착되되, 복수 개가 서로 종방향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리브; 및 상기 지지리브에 안착되는 받침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structure may include a structure frame fastened to the truck structure; A support rib transversely mounted on the structure frame, the support ribs hav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spaced apart members; And a support member that is seated on the support rib.

이때,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행차륜을 가진 대차프레임; 상기 대차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주행차륜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대차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기; 및 상기 대차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대차프레임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대차차륜;을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ing truck includes: a truck frame having at least one running wheel that is seated on the rail and moved along the rail; A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bogie frame and driving the traveling wheel; A self-generator installed in the bogie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o supply power to the drive motor; And a bogie wheel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bogie frame.

아울러, 상기 이동대차는, 복수 개가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웨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moving truck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configured to stack a plurality of moving trucks.

상술된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은 천장 기중기 이동용 부재이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천장 기중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전장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the rail is a ceiling crane mov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can be disposed on the power collector side that supplies power to the ceiling cran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는, 레일에 걸림되는 걸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체가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변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지지위치가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movabl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main body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ail by providing the engaging means for engaging with the rail and has the effect that the support position of the operator can be changed by having the variable support member.

도 1은 일반적인 천장 기중기의 트롤리바와 관련된 집전장치의 부속품을 관리하거나 교환하는 장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식 작업대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동식 작업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이동식 작업대의 전면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이동식 작업대에서 주행차륜, 대차차륜, 및 가이드롤러가 제거된 것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동식 작업대에서 가이드롤러가 제거된 것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이동식 작업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A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의 지지구조물이 종방향 높이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2의 지지구조물이 작업지점과 거리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ene in which accessories of a current collector related to a trolley bar of a general ceiling crane are managed or exchanged.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movable work table of Fig. 2;
4 is a plan view of the mobile work table of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of the mobile work table of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traveling wheel, the vehicle wheel, and the guide roller are removed from the movable work platform of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guide roller is removed from the movable work table of Fig.
8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ovable work table of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of Fig.
Figs.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Fig. 2 being longitudinally adjusted. Fig.
Figs.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support structure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로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components in different drawings,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작업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이동식 작업대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이동식 작업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eft side view of the mobile work table of FIG. 2,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mobile work table of FIG.

또한, 도 5는 도 2의 이동식 작업대의 전면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이동식 작업대에서 주행차륜, 대차차륜, 및 가이드롤러가 제거된 것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이동식 작업대에서 가이드롤러가 제거된 것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이동식 작업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traveling wheel, the counter wheel, and the guide roller are removed from the movable workbench of Fig. 2,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workbench of Fig.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work table of Fig. 7;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레일(1)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공되고, 작업자(1) 또는 설비를 탑재 또는 지지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되 본체가 레일(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설비는 정비용, 도장용, 계측용 설비 등 어떠한 설비도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rovided to move along a rail 1 and mounted or supported by a worker 1 or a facility, and a main body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separating from the rail 1. [ And includes a departure-preventing portion that is configured. For reference, the above-mentioned equipment can be applied to any equipment such as fixed costs, painting and measuring facilities.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는 레일(1)에 이동되게 체결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본체에 제공되면서 본체의 레일이탈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may be movably fastened to the rail 1, and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may be provided with an engaging means provided to prevent the rail from deviating from the main body.

여기에서, 상기 본체는 레일(10)에 체결되어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대차(100)와, 상기 이동대차(100)에 작업자(1)를 지지하게 제공되는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일(10)은 일례로서 천장 기중기 이동용 부재이며, 상기 지지부재(200)는 천장 기중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전장치 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main body includes a moving carriage 100 which is fastened to the rail 10 and moved along the rail 10 and a supporting member 200 which is provided to support the operator 1 on the moving carriage 100 . At this time, the rail 10 may be a ceiling crane moving member, for example, and the supporting member 200 may be disposed on the power collecting apparatus side that supplies power to the ceiling crane. A detailed description of such a main body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걸림수단은 본체에 설치되어 본체가 레일(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수단은 이탈방지롤러(310), 이탈방지턱(320) 및 가이드롤러(3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engaging means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separating from the rail (10). To this end, the engaging means may include a release preventing roller 310, a release preventing jaw 320, and a guide roller 330.

여기에서, 상기 이탈방지롤러(310)는 본체의 이동대차(100)에 장착되며, 레일(10) 양측의 측부홈(10a)에 삽입지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 release preventing roller 310 may be mounted on the moving carriage 100 of the main body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ide grooves 10a on both sides of the rail 10. [

이때, 상기 이탈방지롤러(310)는 회전축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되 레일(10)과 수직되게 배치되고, 롤러회전면이 측부홈(10a)의 상면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롤러(310)는 측부홈(10a)의 상면에 대응되게 테이퍼진 구조를 지닐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ng roller 31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rotation axis thereof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rail 10, and the roller rotation surface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groove 10a. In addition, the release preventing roller 310 may have a taper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groove 10a.

본체의 이동대차(100)가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측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레일(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데, 상술된 이탈방지롤러(310)가 레일(10)의 측부홈(10a) 상면에 걸림에 따라 본체의 이동대차(100)가 레일(1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레일(10)의 측부홈(10a) 상면에 걸림 시 회전지지됨에 따라 이동대차(100)가 레일(10)을 따라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departure-avoidance roller 310 can be separated from the rail 10 by being tilted sideways in the process of moving along the rail 10, The moving carriage 100 of the main body can be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rail 10 due to the engagemen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10 and further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groove 10a of the rail 10, (100) can proceed smoothly along the rail (10).

또한, 상기 이탈방지턱(320)은 본체의 이동대차(100)에 장착되며, 레일(10) 양측의 측부홈(10a)에 삽입걸림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턱(320)은 본체의 이동대차(100)가 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롤러(310)와 함께 구성되는 이탈방지 이중구조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jaw 320 may be mounted on the moving carriage 100 of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side grooves 10a on both sides of the rail 10. [ The release preventing jaw 320 may serve as an escape preventing double structure that is configured with the escape preventing roller 310 to prevent the moving carriage 100 of the main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10. [

아울러, 바람직하게 상기 이탈방지턱(320)은 단부가 측부홈(10a)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턱(320)은 측부홈(10a)의 하부가 아닌 상부에 배치되어 측부홈(10a)의 상면에 근접됨으로써, 본체의 이동대차(100)가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측방향으로 기울어지자마자 레일(10)의 측부홈(10a) 상면에 곧바로 걸림에 따라 이탈방지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release preventing jaw 320 may protrude from the main body so that the end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groove 10a. In other words, the release preventing jaw 32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groove 10a, not on the lower side thereof, so as to approach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groove 10a, thereby moving the moving carriage 100 of the main body along the rail 10 It is possible to make the departure-avoidance structure more rigid by catching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groove 10a of the rail 10 as soon as it is tilted in the lateral direction.

이와 더불어, 상기 이탈방지턱(320)은 탈거를 차단하는 잠금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잠금구조는 이동대차(100)의 대차프레임(110)에 형성된 고리(111)와, 이탈방지턱(320)에 상기 고리(111)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슬릿(320a)과, 상기 고리(111)에 걸림되어 잠겨지는 자물쇠(340)에 의해 구현될 있다.
In addition, the release preventing jaw 320 may have a locking structure for blocking the detachment. The locking structure may include a ring 111 formed in the bogie frame 110 of the moving bogie 100, A slit 320a formed to allow the ring 111 to pass therethrough and a lock 340 that is locked by the ring 111 to be locked.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330)는 레일(10)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본체 이동대차(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 guide roller 330 can support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moving carriage 100 while suppor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rail 10.

이러한 가이드롤러(330)는 본체의 이동대차(100) 전후단 각각에 설치되어 레일(10) 양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100)의 단부에서 먼저 지지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 이동대차(100)가 이동 시 레일(10)방향에 대응되게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본체의 이동대차(100)가 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guide roller 330 is install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oving carriage 100 of the main body so as to support both side surfaces of the rail 10, The guide can be guided. Accordingly, when the main body moving carriage 100 moves smoothly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rail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ing carriage 100 of the main body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ail 10. [

한편, 본체의 지지부재(200)는 작업자(1)의 지지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support member 200 of the main body can be configured to change the support position of the worker 1,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3. Fig.

도 9는 도 2의 A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2의 지지구조물이 종방향 높이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2의 지지구조물이 작업지점과 거리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of Fig. 2, Figs.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at the support structure of Fig. 2 is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Figs. 12 and 13 are cross- And the distance and the distance are adjusted.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200)는 이동대차(100)에 설치된 대차구조물(210)과, 상기 대차구조물(210)에 체결된 지지구조물(22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upport member 200 may include a carriage structure 210 installed on a moving carriage 100 and a support structure 220 fastened to the carriage structure 210.

이러한 지지부재(200)는 작업자(1)의 지지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대차구조물(210)과 지지구조물(220)의 연결부분에 높이조절부와 거리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support position of the worker 1. For this purpose, a height adjusting portion and a distance adjus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arriage structure 210 and the support structure 220 have.

즉, 상기 대차구조물(210)과 지지구조물(220) 연결부분에는, 작업자(1) 지지위치의 종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작업지점과 작업자(1) 지지위치의 횡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ruck 210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220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longitudinal height of the supporting position of the worker 1 and a height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working point and the supporting position of the operator 1 A distanc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부는 대차구조물(210)에 형성된 제1 체결단부(211)와, 지지구조물(220)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단부(211)에 착탈되는 제2 체결단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end portion 211 formed on the carriage structure 210 and a second fastening end portion 221 formed on the support structure 220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fastening end portion 211 .

이때, 상기 제1 체결단부(211)와 제2 체결단부(221) 중 적어도 하나는 높이가 다르게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바람직하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단부(211)와 제2 체결단부(221) 각각 복수 개가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astening end portion 211 and the second fastening end portion 221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fastening end portion 211, And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end portions 221, respectively.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조물(220)의 제2 체결단부(221)가 대차구조물(210)에서 높이가 높은 제1 체결단부(211)에 체결된 경우에는 작업자(1)의 지지위치가 높아지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구조물(210)에서 높이가 낮은 제1 체결단부(211)에 체결된 경우에는 작업자(1)의 지지위치가 낮아질 수 있다.
10, when the second fastening end 221 of the supporting structure 220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end 211 having a high height in the carriage structure 210, The support position of the worker 1 may be lowered when the support structure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end 211 having a low height in the truck structure 210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거리조절부는 제1 체결단부(211)에 형성된 제1 체결지점(211a)과, 제2 체결단부(221)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지점(211a)에 착탈되는 제2 체결지점(221a)을 구비할 수 있다.The distance adjusting uni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int 211a formed on the first fastening end 211 and a second fastening point 211a formed on the second fastening end 221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fastening point 211a 221a.

이때, 상기 제1 체결지점(211a)과 제2 체결지점(221a) 중 적어도 하나는 작업지점과의 거리가 다르게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바람직하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지점(211a)과 제2 체결지점(221a) 각각 복수 개가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fastening point 211a and the second fastening point 221a may be disposed at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working point.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points 211a and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points 221a may be disposed.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조물(220)의 제2 체결지점(221a)이 대차구조물(210)에서 작업지점과 거리가 가까운 제1 체결지점(211a)에 체결된 경우에는 작업자(1)의 지지위치가 작업지점과 가까워지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구조물(210)에서 작업지점과 거리가 먼 제1 체결지점(211a)에 체결된 경우에는 작업자(1)의 지지위치가 작업지점과 멀어질 수 있다.12, when the second fastening point 221a of the support structure 220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int 211a close to the working point in the truck structure 210, When the support position of the operator 1 approaches the work point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int 211a far from the work point in the truck structure 210 as shown in Figure 13, The position may be far from the work point.

상술된 상기 제1 체결지점(211a)과 제2 체결지점(221a)은, 바람직하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형상을 취하고 체결부재(230)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체결단부(21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단부(221)가 삽입되는 체결홈(211b)가 형성됨으로써, 체결구조를 더욱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oint 211a and the second fastening point 221a described above may have a structure that takes a hol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is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fastening member 230. [ 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end 211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211b in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end 221 is inserted, as shown in FIG. 9, so that the fastening structure can be further strengthened.

한편, 본체의 이동대차(100)와 지지부재(2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moving carriage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of the main body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상기 이동대차(100)는 대차프레임(110)과 함께, 상기 대차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주행차륜(120), 구동모터(130), 자가발전기(140), 대차차륜(150), 및 웨이트(160)를 구비할 수 있다.The moving truck 100 includes a traveling wheel 120, a driving motor 130, a self-generator 140, a balancing wheel 150, and a weight 160 installed on the bogie frame 110, (160).

여기에서, 상기 주행차륜(120)은 레일(10)에 안착되어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성될 수 있으며, 대차프레임(11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프레임(110)의 전측과 후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traveling wheels 120 may be mounted on the rail 10 to be moved along the rail 10. The traveling wheels 120 may be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rail 10, And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ame 110, respectively.

또한, 상기 구동모터(130)는 주행차륜(120)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구동축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스프로킷(131), 주행차륜(120)의 회전축 단부에 장착된 종동스프로킷(132), 및 상기 구동스프로킷(131)과 종동스프로킷(132)을 감아서 연결하는 체인(133)에 의해 주행차륜(120)에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The drive motor 130 includes a drive sprocket 131 mounted on the end of the drive shaft and a driven sprocket 132 mounted on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wheel 120. [ And a chain 133 that winds and connects the drive sprocket 131 and the driven sprocket 132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running wheels 120. [

그리고, 상기 자가발전기(140)는 구동모터(130)와 전원케이블(14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구동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의 전원공급부로부터 구동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는데, 이때는 이동대차(100)의 이동에 따라 전원케이블의 배치가 한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대차(100)에 장착되어 자가발전되는 자가발전기(140)가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lf-generator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30 by a power cable 141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motor 130.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power to the driving motor 130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In this case,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power cable can be limit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car 100 , And a self-generator (140) mounted on the mobile truck (100) is used.

참고로, 상기 구동모터(130)의 제어는 자가발전기(140)에 제어수신부가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구동모터(130)로서 서브모터가 활용되어 제어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동모터(130)의 제어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the control of the drive motor 130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 receiver of the self-generator 140, or a sub motor may be used as the drive motor 130 to perform control reception. Needless to say, the control of the driving motor 130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또한, 상기 대차차륜(150)은 대차프레임(110)의 양측에 장착되어 대차프레임(110)의 수평을 유지시킴으로써, 이동대차(100)의 이동 시 수평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대차차륜(150)은 대차프레임(110)의 전단부 양측과 후단후 양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The bogie wheels 150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110 to keep the bogie frame 110 in a horizontal position so that the bogie wheels 150 can stably maintain the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bogie 100 moves. At this time, the counter wheel 15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ar frame 110, respectively.

이와 더불어, 상기 웨이트(160)는 대차프레임(110)의 상면에 복수 개가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웨이트(160)에 의해 작업자(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0) 측으로 이동대차(100)가 기울어지지 않음으로써 레일(1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이트(160)는 바람직하게 지지홀이 형성됨으로써 대차프레임(110)에 장착된 지지바(161)에 지지홀을 맞추어 내림에 따라 적층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홀이 두 개가 형성됨으로써 적층된 후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The weights 160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weights 16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gie frame 110. The weights 16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member 200 supporting the operator 1, Can be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rail (10). The weights 160 may be stacked as the support holes are aligned with the support bars 161 mounted on the bogie frame 110 by forming the support holes, and more preferably, two support holes are formed So that it can be stably fixed in position without being rotated by external impact after being laminated.

한편, 상기 지지구조물(220)은 대차구조물(210)에 체결된 구조물프레임(227), 상기 구조물에 횡방향 장착된 지지리브(228), 및 상기 지지리브(228)에 안착되는 받침부재(229)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structure 220 includes a structure frame 227 fastened to the carriage structure 210, a support rib 228 transversely mounted on the structure, and a support member 229 ).

여기에서, 상기 지지리브(228)는 구조물프레임(227)에 횡방향 장착되되, 복수 개가 서로 종방향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ribs 228 are mounted transversely to the structure frame 227, and a plurality of the support ribs 228 may be longitudinally spaced from one another.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가 복수 개의 지지리브(228) 중 높이가 높은 지지리브(228)에 안착된 경우에는 작업자(1)의 지지위치가 높아지고, 높이가 낮은 지지리브(228)에 안착된 경우에는 작업자(1)의 지지위치가 낮아질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edestal is seated on the support ribs 228 having a high height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228, when the support position of the worker 1 is increased and the support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ribs 228 having a low height The supporting position of the worker 1 can be lowered.

결과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10)에 걸림되는 걸림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체가 레일(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변되는 지지부재(20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1)의 지지위치가 변경할 수 있다.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etachment of the main body from the rail 10 by providing the engaging means for latching the rail 10, and by providing the variable support member 200, 1 can be chang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번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작업자 10 : 레일
10a : 측부홈 100 : 이동대차
110 : 대차프레임 111 : 고리
120 : 주행차륜 130 : 구동모터
131 : 구동스프로킷 132 : 종동스프로킷
133 : 체인 140 : 자가발전기
141 : 전원케이블 150 : 대차차륜
160 : 웨이트 161 : 지지바
200 : 지지부재 210 : 대차구조물
211 : 제1 체결단부 211a : 제1 체결지점
211b : 체결홈 220 : 지지구조물
221 : 제2 체결단부 221a : 제2 체결지점
227 : 구조물프레임 228 : 지지리브
229 : 받침부재 230 : 체결부재
310 : 이탈방지롤러 320 : 이탈방지턱
320a : 슬릿 330 : 가이드롤러
340 : 자물쇠
1: worker 10: rail
10a: side groove 100: moving carriage
110: Balance frame 111: Ring
120: traveling wheel 130: drive motor
131: drive sprocket 132: driven sprocket
133: chain 140: self-generator
141: Power cable 150: Balance wheel
160: weight 161: support bar
200: support member 210: carriage structure
211: first fastening end 211a: first fastening point
211b: fastening groove 220: support structure
221: second fastening end 221a: second fastening point
227: Structure frame 228: Support rib
229: support member 230: fastening member
310: Disengagement prevention roller 320:
320a: Slit 330: Guide roller
340: Lock

Claims (15)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공되고, 작업자 또는 설비를 탑재 또는 지지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되, 상기 본체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레일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대차; 및
상기 이동대차에 작업자를 지지하게 제공되되, 작업자의 지지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된 대차구조물; 및 상기 대차구조물에 체결된 지지구조물;을 구비하며,
상기 대차구조물과 지지구조물의 연결부분에는, 작업자 지지위치의 종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작업지점과 작업자 지지위치의 횡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대차구조물에 형성된 제1 체결단부; 및 상기 지지구조물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단부에 착탈되는 제2 체결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체결단부와 제2 체결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높이가 다르게 복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거리조절부는, 상기 제1 체결단부에 형성된 제1 체결지점; 및 상기 제2 체결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지점에 착탈되는 제2 체결지점;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체결지점과 제2 체결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작업지점과의 거리가 다르게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A body provided to move along the rails and to mount or support an operator or a facility; And
And a release preve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being configured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separating from the rail,
The main body includes:
A moving truck coupled to the rail and moved along the rail;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to support the operator on the moving truck, the support member being configured to change the support position of the operator;
And,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carriage structure provided on the moving carriage; And a support structure fastened to the truck structure,
A height adjuster for adjusting a height of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worker's supporting position and a distance adjuster for adjusting a lateral distance between a worker's position and a worker's supporting position are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argo structure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end portion formed on the truck structure; And a second fastening end formed on the support structure and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fastening en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astening end and the second fastening end is disposed at a plurality of different heights,
Wherein the distance adjust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fastening point formed at the first fastening end; And a second fastening point formed at the second fastening end and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fastening poin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astening point and the second fastening point has a plurality of Wherein the movable table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레일에 이동되게 체결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본체에 제공되면서 상기 본체의 레일이탈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s fastened to the rail to be moved,
Wherein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falling off the rai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 양측의 측부홈에 삽입지지되는 이탈방지롤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ngaging means includes:
A release preventing roll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inserted and supported in side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rail;
Wherein the movable work table is provided with a movable tab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롤러는,
회전축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레일과 수직되게 배치되고, 롤러회전면이 상기 측부홈의 상면에 대응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anti-
Wherein the rotary shaft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rail, and the roller rotation surface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 양측의 측부홈에 삽입걸림되는 이탈방지턱;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ngaging means includes:
A release protrusion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side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rail;
Further comprising: a movable table for supporting the movable t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은,
단부가 상기 측부홈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6. The method of claim 5,
Preferably,
And an en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본체의 전후단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ngaging means includes:
Guide rollers installed at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to guide movement of the main body while suppor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rail;
Further comprising: a movable table for supporting the movable t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지점과 제2 체결지점은 홀 형상을 취하며,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int and the second fastening point take a hole shape and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대차구조물에 체결된 구조물프레임;
상기 구조물프레임에 횡방향 장착되되, 복수 개가 서로 종방향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리브; 및
상기 지지리브에 안착되는 받침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structure comprises:
A structure frame fastened to the truck structure;
A support rib transversely mounted on the structure frame, the support ribs hav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spaced apart members; And
A supporting member that is seated on the supporting rib;
Wherein the movable work table is provided with a movable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행차륜을 가진 대차프레임;
상기 대차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주행차륜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대차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기; 및
상기 대차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대차프레임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대차차륜;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bogie,
A truck frame having at least one running wheel that is seated on the rails and moved along the rails;
A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bogie frame and driving the traveling wheel;
A self-generator installed in the bogie fram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o supply power to the drive motor; And
A bogie wheel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bogie frame;
Wherein the movable tabl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는, 복수 개가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웨이트;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ing truck comprises: a weight configured to stack a plurality of trucks;
Further comprising: a movable table for supporting the movable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천장 기중기 이동용 부재이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천장 기중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전장치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il is a ceiling crane mov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is disposed on a power collector side that supplies power to the ceiling crane.
KR1020140167201A 2014-11-27 2014-11-27 Movable work table KR101620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201A KR101620739B1 (en) 2014-11-27 2014-11-27 Movable work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201A KR101620739B1 (en) 2014-11-27 2014-11-27 Movable work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739B1 true KR101620739B1 (en) 2016-05-13

Family

ID=5602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201A KR101620739B1 (en) 2014-11-27 2014-11-27 Movable work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73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074Y1 (en) * 2008-03-27 2008-07-21 조동명 Lift truck for maintanance of train
JP2013252833A (en) * 2012-06-08 2013-12-19 Mitsubishi Electric Corp Carriage
KR101360958B1 (en) * 2013-08-12 2014-02-24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A folding type worktable carriage for railroad tun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074Y1 (en) * 2008-03-27 2008-07-21 조동명 Lift truck for maintanance of train
JP2013252833A (en) * 2012-06-08 2013-12-19 Mitsubishi Electric Corp Carriage
KR101360958B1 (en) * 2013-08-12 2014-02-24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A folding type worktable carriage for railroad tu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930B1 (en) Article storag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system
DE202010008730U1 (en) Transport device for printing plates
KR20110131595A (en) Working vehicle for monorail
US20150300090A1 (en) Ladder lift system
KR100591111B1 (en) Stacker crane
CN106495007A (en) A kind of nacelle device in melt pit
KR101620739B1 (en) Movable work table
JP5327655B2 (en) Transport equipment
CN105836631A (en) Mother-child type loader-unloader
DE102013018268A1 (en) transport system
KR20140123769A (en) Painting machine of rail traveling
JP5810928B2 (en) Tracked vehicle system
JP2007290826A (en) Method for carrying in/out component of passenger conveyor, method for modifying passenger conveyor using the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in/out component of passenger conveyor used for the method
KR100932287B1 (en) Work vehicle system
EP3260348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equipment under floor of rail vehicle
KR20220142866A (en) A heavy object carrying apparatus for vertical ladder
CN110356782B (en) Bogie transfer system
RU2571318C1 (en) Rail handling crane
JP2013256370A (en) Production facilities
KR101714845B1 (en) Apparatus for changing cable hanger
JP3879632B2 (en) Transport device
CN112238886A (en) Multifunctional electrical equipment transfer trolley for building construction
JP6840160B2 (en) Track construction vehicle for track construction work
JP6385229B2 (en) Rail spacing adjustment device
KR20200120334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of frame for installing high weight g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