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486B1 - 파렛트용 지주 - Google Patents

파렛트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486B1
KR101620486B1 KR1020140043455A KR20140043455A KR101620486B1 KR 101620486 B1 KR101620486 B1 KR 101620486B1 KR 1020140043455 A KR1020140043455 A KR 1020140043455A KR 20140043455 A KR20140043455 A KR 20140043455A KR 101620486 B1 KR101620486 B1 KR 101620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coating
angle
tube
j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838A (ko
Inventor
변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하니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하니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하니컴
Priority to KR102014004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4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1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1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8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65D2519/00432Non-integral, e.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렛트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지관과, 상기 지관의 상부 또는 하부가 끼워지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되며 방수가 될 수 있는 파렛트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렛트용 지주{PILLAR FOR PALLET}
본 발명은 파렛트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지관과, 상기 지관의 상부 또는 하부가 끼워지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파렛트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종이 파렛트용 지주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24131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종이 파렛트용 지주는 종이로 형성되어, 강도가 낮고 수분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2413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강도가 향상되며 방수가 될 수 있는 파렛트용 지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렛트용 지주는, 지관;
상기 지관의 상부 또는 하부가 끼워지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관부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관부는 상기 지관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내부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에 연장되게 상기 관부의 내부의 일부를 덮는 내측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파렛트용 지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지관과, 상기 지관의 상부 또는 하부가 끼워지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되며 방수가 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관부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관부는 상기 지관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내부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지관과 상기 연결부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관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에 연장되게 상기 관부의 내부의 일부를 덮는 내측돌출부가 형성되어, 강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박스 제조방법 순서도.
도 2는 도 1의 바닥부와 바닥부앵글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바닥부와 측벽부와 측부앵글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벽부와 상부앵글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상자에 홀딩앵글을 배치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상자에 뚜껑을 덮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상자 바닥에 지주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의 도 7의 지주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지주 정면도.
도 10은 도 7의 지주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니컴 패드 제조방법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니컴 코팅장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니컴 코팅장치 코팅부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
도 16은 도 14의 제1구동부 및 제1연결부 정면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파렛트용 지주가 파렛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박스에 설치된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슬리브박스 제조방법은, 바닥부(10)에 바닥앵글부(40a)를 끼우는 단계와, 상기 바닥앵글부(40a)를 통해 상기 바닥부(10)에 제1측벽(21)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측벽(21)에 제2측벽(22)를 측부앵글부(40b)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앵글부(40a)와 상기 측부앵글부(40b)는 제1앵글(41)과 상기 제1앵글(41)에 설치되는 제2앵글(42)을 포함하며, 상기 제1앵글(41)과 상기 제2앵글(42)은 서로 다른 면이 개방되며 직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10) 및 상기 제1,2측벽부(21,22) 중 적어도 하나는 종이재질의 하니컴패드로 형성된다.
종이재질의 하니컴패드로 형성되는 사각 판형상의 바닥부(10)의 각 변(4 변)에 바닥앵글부(40a)를 끼운다. 각 변에 끼워지는 바닥앵글부(40a)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바닥앵글부(40a)는 제1앵글(41)과 상기 제1앵글(41)에 설치되는 제2앵글(42)을 포함한다.
제1,2앵글(41, 42)은 양측에 배치되는 벽과, 양쪽의 상기 벽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2앵글(41, 42)은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을 위한 개방부(41a,42a)가 형성되는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앵글(41)과 제2앵글(42)은 서로 다른 면이 개방되며 직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제1앵글(41)과 제2앵글(42)은 개방부(41a, 42a)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접착제 등을 통해 서로 부착된다.
따라서, 바닥부(10)에 바닥앵글부(40a)를 끼우면, 바닥부(10)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제2앵글(42)이 배치된다.
바닥앵글부(40a)의 제2앵글(42)에 제1측벽(21)의 하부를 끼운다. 이를 통해, 바닥부(10)에 제1측벽(21)를 직각으로 연결한다.
측부앵글부(40b)는 바닥앵글부(40a)와 동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자 형상에 따라 길이나 폭 등이 서로 다를 수는 있다.
바닥앵글부(40a)와 측부앵글부(40b)는 종이재질로 형성된다.
제1측벽(21)의 측부와 제2측벽(22)의 측부를 측부앵글부(40b)의 개방부에 각각 끼워넣어서, 제1측벽(21)의 측부와 제2측벽(22)의 측부를 연결한다. 즉, 측부앵글부(40b)를 통해 제1측벽(21)와 제2측벽(22)를 서로 직각으로 연결한다.
제2측벽(22)의 하부도 제1측벽(21)와 동일하게 바닥앵글부(40a)를 통해 바닥부(10)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측부앵글부(40b)는 바닥앵글부(40a)의 상부에 배치된다.
측부앵글부(40b)는 최상단이 제1,2측벽(21, 22)의 최상단보다 낮도록 형성된다.
제3,4측벽(23,24)도 제1,2측벽(21, 22)와 동일하게 바닥앵글부(40a)와 측부앵글부(40b)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2,3,4측벽(21, 22, 23, 24)를 포함하는 측벽부(20)도 종이재질의 하니컴패드로 형성된다.
측벽부(20) 및 측부앵글부(40b)의 상부에 상부앵글(50)을 끼워넣는다.
상부앵글(50)은 전술한 제1,2앵글(41, 4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박스에 뚜껑(30)을 씌운다.
뚜껑(30)은 상면(31)과, 상면(31)의 하부를 둘러싸는 뚜껑측벽(32)을 포함한다. 뚜껑측벽(32)은 상자의 측벽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뚜껑(30)의 씌워진다.
뚜껑(30)을 씌울때 뚜껑(30)과 박스의 모서리 사이에 홀딩앵글(60)을 배치시킨다.
홀딩앵글(60)은 박스의 측벽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두개의 판이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홀딩앵글(6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의 하부에 지주(70)를 접착제 등을 통해 설치한다. 지주(70)는 여러개 구비되어 바닥부(10) 하부에 격자상으로 배치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70)는 지관(71)과, 상기 지관(71)의 상부 또는 하부가 끼워지는 관부(76)와 상기 관부(7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74)를 포함하는 연결부(72)를 포함한다.
지관(71)은 상하부가 개방된 관이며, 종이재질로 형성된다.
연결부(72)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지주(70)의 강도가 향상되며 방수가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부(72)는 아크릴수지와 방수재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72)는 지관(7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지관(71)은 상부 또는 하부가 관부(76)의 내부에 끼워진다.
관부(76)와 지관(71) 사이에 접착제가 배치되어 서로 접착된다.
관부(76)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이며, 지관(71)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내부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지관(71)과 연결부(72)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플랜지부(74)와 관부(76) 사이에는 보강리브(73)가 형성되어,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관부(76)에는 플랜지부(74)에 연장되게 관부(76)의 내부의 일부를 덮는 내측돌출부(75)가 형성되어, 강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내측돌출부(75)는 온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74) 및 내측돌출부(75)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주(70)가 바닥부(10)의 하부에 설치된다. 내측돌출부(75)로 인해 접착면적이 넓어져서 접착강도가 향상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본 실시예의 슬리브박스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부 둘레에 배치되는 측벽부(20)와,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측벽부(20)를 연결하는 앵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앵글부는 제1앵글(41)과 상기 제1앵글(41)에 설치되는 제2앵글(42)을 포함하며, 상기 제1앵글(41)과 상기 제2앵글(42)은 서로 다른 면이 직각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10)와 상기 측벽부(20) 중 적어도 하나는 종이재질의 하니컴패드로 형성된다.
측벽부(20)는 서로 분리되는 제1,2,3,4측벽(21,22,23,24)을 포함한다.
상기 앵글부는 바닥부(10)와 측벽부(20)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바닥앵글부(40a)와 각각의 측벽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측부앵글부(40b)를 포함한다.
상기 앵글부와 바닥부(10) 및 측벽부(20)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된다.
바닥부(10)와 측벽부(20)를 포함하는 상자는 뚜껑(30)에 의해 개폐된다.
바닥부(10)의 하부에 지주(70)가 설치되어, 박스에 파렛트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니컴패드는 상부라이너와 하부라이너와 상기 상부라이너와 상기 하부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하니컴을 포함하며, 상부라이너와 하부라이너와 하니컴은 준불연 또는 난연 코팅된다.
이하, 전술한 하니컴 패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하니컴 패드 제조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니컴(110)에 준불연 또는 난연 코팅을 하는 제1코팅단계와, 상기 하니컴(110)을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니컴(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라이너(120)를 합지하여 하니컴패드(13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코팅단계에서 코팅액을 분사하는 분사부(310)를 상기 하니컴(110)의 이송방향 또는 이송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나, 상기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코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에 말린 원지를 커팅하여 적층 접합한다.
적층 접합된 블록을 커팅하여 직사각형 코어블록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코어블록을 펼치면 종이재질의 하니컴(110)이 형성된다.
하니컴(110)에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다수개의 육각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니컴(110)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기술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코팅단계는 하니컴(110)에 준불연 또는 난연 코팅을 한다.
코팅액은 규산 나트륨 난연수지 또는 실리카, 아크릴 하이브리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코팅단계에서 이하 서술되는 코팅액을 분사하는 분사부(310)를 상기 하니컴(110)의 이송방향 또는 이송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나, 상기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코팅한다. 하니컴(110)을 코팅하는 코팅장치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코팅된 하니컴(110)을 건조시킨다. 건조온도는 110℃가 될 수 있다.
하니컴(110)의 상부 및 하부에 종이재질의 판형상의 라이너(120)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합지하여 하니컴패드(130)를 형성한다.
라이너(120)에 준불연 또는 난연 코팅을 하고, 하니컴패드(130)를 건조로를 통과시켜서 건조시킨다. 라이너(120)를 코팅하는 코팅장치도 상기 제1코팅단계의 코팅장치와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상기 제1코팅단계에서 코팅액을 분사하는 분사부(31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하니컴(110)의 이송방향 또는 이송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코팅할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제1코팅단계에서 코팅액을 분사하는 분사부(310)를 회전시키지 않고,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만 이동시켜서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팅단계에서 코팅액을 분사하는 분사부(310)를 상기 하니컴(110)의 이송방향과 이송반대방향으로 왕복하며 회전시키고, 상기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코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니컴 패드는 하니컴(110)과 하니컴(11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라이너(120)를 포함하며, 하니컴패드(130)는 종이재질로 형성되고, 하니컴패드(130)의 내외부는 준불연 또는 난연 코팅된다.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니컴 또는 라이너 코팅장치는, 코팅액을 분사하는 분사부(310)와, 상기 분사부(310)를 하니컴의 이송방향 또는 이송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나, 상기 하니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코팅부(300)와 분사부(310) 등이 설치되는 작업대(210)와, 하니컴(110) 또는 라이너(120)를 포함하는 하니컴패드(130)를 이송하는 이송부(220)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210)는 여러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작업대(21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여러개의 수직프레임(212)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여러개의 수직프레임(212)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211)과, 수직프레임(212)의 중간부분을 연결하는 중간프레임(215)과, 수직프레임(212)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프레임(217)을 포함한다.
수직프레임(212)의 외측에는 하니컴(110)의 하류를 지지 및 이송하는 롤러(229)가 설치된다.
상부프레임(211)과 중간프레임(215) 사이에는 제2분사부설치프레임(213)이 수평하게 배치된다. 나아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2코팅부설치프레임(213)과 중간프레임(215)을 연결하는 제1지지프레임(214)이 구비된다.
한편, 중간프레임(215) 및 제2분사부설치프레임(213)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중간프레임(215) 하부에는 롤러승강부(290)가 연결되어, 이하 서술되는 하니컴(110)을 이송하는 롤러(228) 및 디스크 어셈블리(22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중간프레임(215)과 하부프레임(217)을 연결하는 제2지지프레임(216)이 구비된다.
하니컴(110)의 유입되는 쪽의 수직프레임(212)에 수평한 이송부지지프레임(214)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송부(220)는 컨베이어벨트(221)와 다수개의 롤러와 다수개의 디스크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212)과 이송부지지프레임(214)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컨베이어 벨트(221)가 경사지게 배치된다. 하니컴(11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쪽의 높이가 더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수직프레임(212) 및 상부프레임(211) 및 수직프레임(212)에 설치된 롤러설치대(224)에는 하니컴(110)을 가이드하는 롤러(222, 223, 225)가 각각 설치된다.
상부프레임(211) 및 롤러설치대(224)에 설치되는 롤러(223, 225)에 의해 하니컴(110)의 방향은 전환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프레임(215)에는 디스크 어셈블리(226)가 다수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다수개의 디스크 어셈블리(226)는 하니컴(110)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디스크 어셈블리(226)는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축(226a)과, 다수개 구비되어 축(226a)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디스크를 포함한다.
상류와 하류에 배치되는 인접한 디스크는 중첩되도록 디스크 어셈블리(226)는 배치된다. 따라서, 상류와 하류에 배치되는 디스크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디스크가 엇갈리게 배치된다.
여러개의 디스크 어셈블리(226) 중간 부분에 이격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부(300)는 제1코팅부(300b)와 제2코팅부(300a)를 포함한다.
제1코팅부(300b)는 중간프레임(215)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1코팅부(300b)의 제1분사부(310b)는 상기 이격 공간부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코팅부(300a)는 제2코팅부설치프레임(213)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2코팅부설치프레임(213)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2코팅부설치프레임(21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는 피스톤이나 모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21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코팅부(300b)보다 제2코팅부(300a)는 하니컴(110) 이송방향으로 기준으로 하류측에 배치된다.
제1,2코팅부(300b, 300a)는 분사부(310)와 구동부를 각각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310)는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축(313)과,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분사노즐(311)을 포함한다.
분사노즐(311)은 여러개 구비되고, 여러개의 분사노즐(311)은 서로 이격되게 하니컴(1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분사노즐(311)은 축(313)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분사노즐(311)은 상류를 향하도록 하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분사노즐(311)은 코팅액이 나오는 끝단의 양측에 첨단부(3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첨단부(312)는 끝단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또한, 분사노즐(311)은 첨단부(312) 사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호형상부가 형성된다.
첨단부(312)는 상기 원호형상부보다 더 돌출된다.
첨단부(312) 및 상기 원호형상부에서 코팅액이 분사되게 된다.
첨단부(312)를 통해서는 육각형상의 벌집공간 내부 및 내측 모서리까지 근접시켜서 코팅액을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첨단부(312)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코팅이 잘 안될 수 있는 모서리 부분까지 고압으로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원호형상부로는 육각형상의 벌집공간 내부 뿐만 아니라 하니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효과적으로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311)이 형성되어 하니컴(110)의 내외부를 효과적으로 코팅할 수 있다.
분사노즐(311)에 연결된 코팅액 저장탱크는 원탱크(미도시)와 보조탱크(미도시)를 포함한다.
코팅장치에는 분사노즐(311)을 통해 분사되어서 하니컴(110)에 코팅되지 않고 떨어지는 코팅액을 수거하는 수거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수거부를 통해 수거된 코팅액은 상기 보조탱크로 유입되어 코팅액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1,2코팅부(300b, 300a)는 분사부(310)와 구동부가 설치되는 제1코팅브라켓(380)과 제1코팅브라켓(380)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제2코팅브라켓(320)이 구비된다.
제1코팅브라켓(380)은 작업대(210)의 제2코팅부설치프레임(213)이나 중간프레임(215)에 설치된다.
제1코팅브라켓(380)은 두개의 프레임으로 구비되며,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코팅브라켓(320)은 제1코팅브라켓(38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코팅브라켓(320)은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두개의 폭방향프레임과, 두개의 폭방향프레임의 양끝단 및 중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 상부에는 베어링(314)이 설치되고, 베어링(314)에는 축(313)이 설치된다.
따라서, 분사부(310)는 하니컴(11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313)을 중심으로 제2코팅브라켓(320)에 대해 회전가능해진다.
제2코팅브라켓(320) 양측에는 분사부(310)를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31)이 설치된다.
제1코팅브라켓(380)과 제2코팅브라켓(320) 사이에는 베어링(332)이 배치된다.
베어링(332)은 LM가이드로 구비되고, 제1코팅브라켓(38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분사부(310)를 하니컴(110)의 이송방향 또는 이송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341)와, 분사부(310)를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342)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341)와 제2구동부(342)는 모터로 각각 구비된다.
구동부브라켓(361)이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코팅브라켓(320)에 설치된다.
제1구동부브라켓(361)으로 인해 제1구동부(341) 및 이하 서술되는 제1연결부가 제2코팅브라켓(320)에 설치된다.
따라서, 분사부(310)가 하니컴(1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 제1구동부(341) 및 상기 연결부도 같이 이동된다.
제2구동부(342)는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구동부브라켓(362)을 통해 제1코팅브라켓(380) 및 작업대(210)에 설치된다. 제2구동부브라켓(362) 하부에는 보강리브(363)가 추가로 설치된다.
제1구동부(341)와 분사부(310)를 연결하는 상기 제1연결부와, 제2구동부(342)와 분사부(310)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는 일측이 분사부(310)의 축(31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캠(354)과, 일측이 캠(354)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구동부(341)의 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353)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341)의 축에는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동시에 감속하는 제1기어부(351)가 연결되고, 제1기어부(351)의 축에는 제1연결디스크(352)가 연결된다.
제1링크(353)의 타측은 제1연결디스크(35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링크(353)의 타측은 제1연결디스크(352)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게 배치된다.
캠(354)의 일측에는 분사부(310)의 축(313)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1링크(353)의 일측이 연결된다.
축(313)은 제1링크(353)의 타측의 회전반경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분사부(310)의 회전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구동부(341)가 작동하면, 제1연결디스크(35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링크(353)의 타측도 회전하게 된다. 제1링크(353)의 타측이 회전함에 따라 제1링크(353)의 일측도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캠(354)도 일정각도 범위 내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가 구비되어, 분사부(310)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어서, 분사부(3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되는 판형상의 하니컴(110)에만 효과적으로 코팅액을 분사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코팅부(300b)의 제1분사부(310b)의 회전 각도 범위(b)와 제2코팅부(300a)의 제2분사부(310a)의 회전 각도 범위(a) 중 적어도 겹치지 않는 부분이 일정각도 이상되도록(겹치지 않는 부분이 일정각도 이상되도록) 제1분사부(310b)와 제2분사부(310a)는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분사부(310b)는 축(313)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제2분사부(310a)는 축(313)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단순한 구성으로 하니컴(110)의 상하부 뿐만 아니라 육각형상의 벌집공간 내부 전체에 효과적으로 코팅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는 일측이 제2구동부(342)의 축에 편심되게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358)와, 제2링크(358)의 타측은 분사부(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단순한 구조로 더욱 효과적으로 하니컴 내외부에 코팅할 수 있다.
제2구동부(342)의 축에는 구동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동시에 감속하는 제2기어부(356)가 연결되고, 제2기어부(356)의 축에는 제2연결디스크(357)가 연결된다.
제2링크(358)의 일측은 제2연결디스크(357)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링크(358)의 일측은 제2연결디스크(357)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게 배치된다.
제2링크(358)의 타측은 분사부(310)에 연결된 연결바(359)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바(359)는 가이드레일(331)에 고정설치된다.
분사부(310)의 폭방향 이동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2구동부(342)가 작동하면 제2연결디스크(357)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링크(358)의 일측도 회전하게 된다. 제2링크(358)의 일측 회전함에 따라 제2링크(358)의 타측도 회전하면서 폭방향으로도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분사부(310) 및 제2코팅브라켓(320) 및 제1구동부(341) 및 상기 제1연결부 및 가이드레일(331)도 베어링(332) 및 제1코팅브라켓(380) 및 작업대(210)에 대해 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나아가, 작업대(210)에는 건조장치(400)가 설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400)는 송풍기(401)와 송풍기(401)에 연결된 덕트(402)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코팅작업을 하는 동시에 건조까지 한꺼번에 할 수 있다. 히터가 추가로 구비되어, 덕트(402)를 통해 나오는 공기의 온도는 높을 수 있다. 덕트(402)는 두개가 구비되어 제2분사부(310a)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덕트(402)에는 에어탱크(미도시)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탱크는 주탱크와 보조탱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보조탱크를 구비하여, 주탱크로 공기압이 부족할 경우 상기 보조탱크를 통해 공기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팅 및 건조가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팅장치에 포함된 건조장치(400)를 통해 건조하거나 하니컴(110)을 별도의 건조로로 통과시켜서 건조시킬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코팅장치의 코팅과정을 설명한다.
하니컴(110)이 컨베이어 벨트(221) 및 롤러(222, 223, 225)를 통해 이송되어 디스크 어셈블리(226) 상부로 공급된다. 코팅과정 중에 하니컴(110)은 일정 속도로 이송된다. 코팅시 분사부(310)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축(313)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로 회전하면서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코팅부(300b)를 통해 하니컴(110)의 전방 내벽 및 측부 내벽 및 하부가 코팅되고 나서, 제2코팅부(300b)를 통해 하니컴(110)의 후방 내벽 및 측부 내벽 및 상부가 코팅된다. 이어서, 덕트(402)를 통해 하니컴(110)에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건조한다. 이어서 하니컴(110)을 롤러(228)를 통해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하니컴(110)을 이송시키면서 코팅 및 건조까지 한번에 하여 길이가 긴 하니컴도 연속적으로 코팅할 수 있으며, 코팅작업 시간 및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코팅 두께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부 20 : 측벽부
30 : 뚜껑 40a : 바닥앵글부
40b : 측부앵글부 41 : 제1앵글
42 : 제2앵글 50 : 상부앵글
60 : 홀딩앵글 70 : 지주
71 : 지관 72 : 연결부
73 : 보강리브 74 : 플랜지부
75 : 내측돌출부 76 : 관부

Claims (4)

  1. 지관;
    상기 지관의 상부 또는 하부가 끼워지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관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에 연장되게 상기 관부의 내부의 일부를 덮는 내측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지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관부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지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는 상기 지관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내부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지주.
  4. 삭제
KR1020140043455A 2014-04-11 2014-04-11 파렛트용 지주 KR101620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55A KR101620486B1 (ko) 2014-04-11 2014-04-11 파렛트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455A KR101620486B1 (ko) 2014-04-11 2014-04-11 파렛트용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38A KR20150117838A (ko) 2015-10-21
KR101620486B1 true KR101620486B1 (ko) 2016-05-12

Family

ID=5440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455A KR101620486B1 (ko) 2014-04-11 2014-04-11 파렛트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4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698A (ja) * 1998-11-16 2000-05-23 Genzaburo Fukumoto 段ボール組立体の構造
KR200457015Y1 (ko) 2009-11-17 2011-12-01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골판지 팔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698A (ja) * 1998-11-16 2000-05-23 Genzaburo Fukumoto 段ボール組立体の構造
KR200457015Y1 (ko) 2009-11-17 2011-12-01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골판지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38A (ko)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5813C (en) Drier module for a drier
KR102324639B1 (ko) 필름형 시편 도장장치
US8512102B2 (en) Sandblasting apparatus
KR101620486B1 (ko) 파렛트용 지주
KR101362292B1 (ko) 개선된 필름 양면 코팅 장치 및 방법
KR200435914Y1 (ko) 파이프용 자동 도장 장치
JP2013169542A (ja) 塗装装置
KR101596310B1 (ko) 하니컴 코팅장치
US10533797B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objects
JP2012232269A (ja) 基板浮上型搬送機構用スリットコート式塗布装置
ITBG20100068A1 (it) Cabina di verniciatura per impianti di verniciatura di manufatti.
CN101972731B (zh) 抗静电低温热封涂覆机
KR20150117837A (ko) 슬리브박스 및 슬리브박스 제조방법
CN216704840U (zh) 一种阻燃剂生产用智能喷淋装置
CN209944894U (zh) 一种用于清除瓶身水雾的全自动处理装置
JP5902524B2 (ja) 基板の貼り合わせ方法及び貼り合わせ装置
JP5506852B2 (ja) 多孔質板の両面塗装方法
JP5205119B2 (ja) 塗装ブース
JP3737423B2 (ja) 小型滑走艇の製造装置
CN110843265A (zh) 自动化控制瓦楞纸板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CN212827459U (zh) 一种便捷包装打印机
KR101565072B1 (ko) 발포판재에 대전방지제를 도포하는 장치
CN210884720U (zh) 一种智能烘干墙纸印花包装一体机
CN211887609U (zh) 保温一体板涂装设备
CN112295810B (zh) 一种水漆震荡干膜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