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416B1 -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416B1
KR101620416B1 KR1020150115341A KR20150115341A KR101620416B1 KR 101620416 B1 KR101620416 B1 KR 101620416B1 KR 1020150115341 A KR1020150115341 A KR 1020150115341A KR 20150115341 A KR20150115341 A KR 20150115341A KR 101620416 B1 KR101620416 B1 KR 101620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limit switch
gear
motor unit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우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Priority to KR102015011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의 과권을 방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는 모터부와, 모터부에 연결되는 감속기를 구비하는 감속기부와, 체인, 감속기부에 연결되어 체인을 권상하하는 로드 시브 및 체인의 하단부에 배치된 스프링을 구비하는 체인부와, 모터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부와, 전력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고, 체인부는 제1 리미트 스위치에 연결되어 제1 리미트 스위치가 이동할 때 회전 이동하는 체인 가이드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체인이 권상하여 사전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해 제1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여 모터부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고, 체인이 사전 설정된 위치보다 권상하는 경우에는 체인 가이드의 회전에 의해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여 모터부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다.

Description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ELECTRIC CHAIN HOIST INCLUDING LIMIT SWITCH}
본 발명은 전동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인의 과권(過捲)을 방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hoist)는 창고, 철도역, 금형공장, 주조공장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조립에 사용되는 장비로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올린 다음 이송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호이스트는 체인의 끝에 장착된 후크(hook)를 이용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후 횡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위치에 화물을 옮긴다.
호이스트는 일반적으로 작동 방식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체인을 움직여 조작하는 수동 호이스트와 모터를 사용하여 조작하는 전동 호이스트로 구분된다. 또한, 사용하는 장소와 기계의 구조에 따라서 천장이 낮은 곳에서 사용하는 로 헤드형, 2개의 레일 위를 주행하는 더블 레일형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 중 전동 호이스트는 소형의 모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 체인이 감긴 블록,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등을 좁은 용기 공간에 집중시킨 소형 권상기(捲上機)로서, 지브(jib) 끝에 붙이거나 또는 아이(I)형 빔의 아래쪽 플랜지를 레일로 주행하며 화물을 오르내려 운반하는 데 사용하며, 주로 호이스트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작동한다.
이러한 전동 호이스트에서 체인이 과도하게 감기는 경우, 즉 과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관련 부품 및 화물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물의 낙하 등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체인의 과권을 방지하기 위해, 전동 호이스트에서의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하여 소정 위치 이상 체인이 감기는 경우에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알려진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한 과권 방지 기술은 그 구현 방식이 다소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전동 호이스트의 장시간 사용 등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가 제 기능을 잃는 경우에 있어서는 과권을 방지할 안전 장치가 없게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형태로 과권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체인 호이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 호이스트에서 과권을 위한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가 제 기능을 잃는 경우에 있어서도 과권 방지 기능을 유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는 모터부와, 모터부에 연결되는 감속기를 구비하는 감속기부와, 체인, 감속기부에 연결되어 체인을 권상하하는 로드 시브 및 체인의 하단부에 배치된 스프링을 구비하는 체인부와, 모터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부와, 전력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한다.
체인이 권상하여 사전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스프링에 의해 제1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여 모터부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다. 또한, 체인부는 로드 시브 주위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가이드를 더 구비하여, 체인이 사전 설정된 위치보다 권상하는 경우에 체인 가이드의 회전에 의해 제2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여 모터부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다.
제1 리미트 스위치의 하부에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스프링이 상승하여 사전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 스토퍼가 이동하여 제1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다.
체인 가이드의 단부에는 스위치 레버가 설치되어, 체인 가이드가 회전할 때 스위치 레버가 이동하여 제2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다.
감속기부는 모터부의 로터 샤프트에 연결된 제1 구동축, 제1 구동축에 설치된 제1 기어, 제1 구동축에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제2 구동축, 제2 구동축에 설치된 제2 기어 및 제3 기어, 제2 구동축에 나란히 배치되고 체인부의 로드 시브에 결합된 제4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부는 제1 디스크와, 제1 디스크 및 제2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크와, 각각 제2 디스크와 제1 디스크 사이 및 제2 디스크와 제2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하여 과권을 방지하는 전동 체인 호이스트를 간단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안전망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가 제 기능을 잃는 경우에 있어서도 여전히 과권을 방지하여 부품 및 화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에서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 스위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의 제1 리미트 스위치의 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를 통해 화물을 들어올리기 전 모습과, 전동 체인 호이스트를 통해 화물을 들어올려 제1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를 체인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10)는 모터부(100), 감속기부(200), 체인부(300), 브레이크부(400) 및 전력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모터부(100)는 모터 케이스(130) 내에 스테이터(stator) 및 로터(rotor)(110)를 구비한다. 이 중 스테이터(110)는 모터 케이스(130)에 고정되어 있고, 로터는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 샤프트(120)에 고정되며, 로터 샤프트(120)는 스테이터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모터부(100)의 일단에는 브레이크부(400)가 설치된다. 브레이크부(400)는 모터부(100)의 구동 전에는 로터 샤프트(120)를 잡아 주어 브레이크 기능을 하다가 모터부(100)의 스테이터로 전력이 공급되면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모터부(100)에 전력이 공급되어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의 동력은 감속기부(200)를 통해 체인부(300)로 전달된다.
감속기부(200)는 두 개의 구동축과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기어들로 구성된다. 제1 구동축(210)은 모터부(100)의 로터 샤프트(120)에 연결되어 로터 샤프트(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제1 구동축(210)에는 제1 기어(211)가 제1 구동축(210)과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제2 구동축(220)은 제1 구동축(210)과 이격된 채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구동축(220)에 형성된 제2 기어(221)가 제1 기어(211)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제2 구동축(220)에는 제3 기어(223)도 설치되어 제2 기어(221)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3 기어(223)는 이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4 기어(231)에 연결되고, 제4 기어(231)는 체인 블록(320) 내의 로드 시브(load sheave)(321)와 연동하여 함께 회전한다.
감속기부(200)는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디스크(241), 제2 디스크(243) 및 마찰패드(245)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는 화물의 하중에 의해 과부하가 걸릴 때 제1 디스크(241)와 제2 기어(221)가 제2 디스크(243)를 사이에 두고 밀착 연결되어 이들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을 멈추게 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마찰 패드(245)는 브레이크 장치 작동 시 제1 디스크(241)와 제2 기어(221)에 직접 접촉하여 이들을 연결하면서 접촉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모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체인부(300)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하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체인(310)과, 체인(310)이 상하 왕복 이동할 때 이를 감을 수 있도록 내부에 로드 시브(321)를 구비하는 체인 블록(320)과, 체인 블록(320)의 외부에 배치되어 체인(310)을 감아두는 체인 박스(330)와, 체인(31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화물을 매달 수 있는 후크(340)와, 후크(340) 상부에 장착된 범퍼(350) 및 스프링(360)을 갖는다.
체인(310)은 중량이 무거운 화물을 인양하기 위해 철재 고리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후크(340)는 화물을 견고하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스냅식으로 이루어진다. 체인 블록(320)은 후크(340)에 걸린 하중을 인장력으로 감아 올려 체인(310)에 전달되는 동력이 단절되어도 감아 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340)에 체인(310)이 한 줄로 연결되어 있으나 견딜 수 있는 화물의 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체인(310)을 두 줄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부(500)는 커패시터와 마그네틱 커넥터를 구비하며, 전원에 연결되어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전달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력 제어부가 인버터로 구성되어 인버터의 동작으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10)는 이 밖에도 상부 후크(600) 및 로드 리미터(700)를 더 구비한다. 상부 후크(600)는 천정에 설치된 레일에 결합되어 전동 체인 호이스트(10)가 레일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로드 리미터(700)는 전동 체인 호이스트(10)에 매달린 화물이 정격 하중을 초과한 경우 발생하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모터의 작동을 차단함으로써 화물의 이동 중 체인이 손상되거나 화물이 탈락하는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10)는 작동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동 체인 호이스트(10)의 작동 개시 또는 정지 조작을 제어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 블록(320)의 내부 하단에 제1 리미트 스위치(371), 스토퍼(373) 및 체인 가이드(380)가 설치된다. 이들은 전동 체인 호이스트에서 체인의 과권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들의 세부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에서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 스위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의 제1 리미트 스위치 부분의 다른 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체인 블록(320)의 내부 하단에 제1 리미트 스위치(371) 및 스토퍼(373)가 설치된다. 제1 리미트 스위치(371)는 케이블을 통해 전력 제어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가 작동하면 전력 제어부(500)에서 모터부(100)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케이블을 통해 전력 제어부(500)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리미트 스위치(371)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된다.
모터부(100)가 구동됨에 따라 체인(310)이 감겨 올려질 때 체인(310)의 하단부(360)에 설치된 범퍼(350) 및 스프링(360)도 함께 올려진다. 체인 블록(32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된 제1 리미트 스위치(371)의 바로 아래에는 스토퍼(373)가 배치되어, 스프링(360)이 스토퍼(373)에 이르게 되면 스토퍼(373)는 스프링(360)이 올려지는 힘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360)이 스토퍼(373)의 위치까지 상승하는 경우에는 스토퍼(373)가 위쪽으로 가압되어 제1 리미트 스위치(371)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전력 제어부(500)로 전기 신호가 전달되어 모터부(100)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360)이 스토퍼(373)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모터부(100)의 구동이 멈추게 되어 체인(310)이 사전 설정된 정도를 초과하여 감기는 것, 즉 과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반복되는 과권에 의해 스프링(360)이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관련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리미트 스위치(371)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프링(360)이 스토퍼(373)의 위치에 도달하더라도 모터부(100)의 구동이 멈추지 않아 체인(310)이 지속적으로 감기는 힘을 받게 되며, 이에 의해 주변 부품들과의 마찰 저항 등에 의해 체인 및 주변 부품들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리미트 스위치(37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과권을 방지하여 체인 및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 즉 이중 안전 구조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체인 블록(320) 내에는 체인(310)이 감기는 위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체인 가이드(380)가 설치되고, 체인 가이드(380)의 일단부는 스위치 레버(393)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 레버(393)는 제2 리미트 스위치(391)과 연결되어 스위치 레버(393)가 회전하는 때에 제2 리미트 스위치(391)가 작동된다.
제2 리미트 스위치(391)는 제1 리미트 스위치(371)와 마찬가지로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전력 제어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가 작동하면 전력 제어부(500)에서 모터부(100)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전력 제어부(500)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제2 리미트 스위치(391)의 구체적인 작동 태양은 다음과 같다.
모터부(100)의 구동에 의해 체인이 감겨 올려지면서 스프링(360)이 스토퍼(373)를 위쪽으로 가압할 때 제1 리미트 스위치(371) 또는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모터부(100)의 구동이 정지되지 않고 계속하여 체인(310)을 감아 올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리미트 스위치(371)는 체인 가이드(380)의 일단부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모터부(100)의 구동이 계속되면 순차적으로 스프링(360), 스토퍼(373) 및 제1 리미트 스위치(371)를 통해 체인 가이드(380)가 가압되어 회전력을 받게 된다. 체인 가이드(380)의 타단부에는 캠 형상의 스위치 레버(393)가 배치되어, 체인 가이드(380)가 회전함에 따라 스위치 레버(393)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 레버(393)가 회전하면 제2 리미트 스위치(391)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전력 제어부(500)로 전기 신호가 전달되어 모터부(100)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만약 제1 리미트 스위치(371)가 고장 나거나 또는 제1 리미트 스위치(371)와 전력 제어부(50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여 체인(310)이 사전 설정된 위치에 이르더라도 모터부(100)의 구동이 정지되지 않는 경우, 즉 , 즉 스프링(360)이 스토퍼(373)에 이르더라도 모터부(100)의 구동이 정지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체인 가이드(380)를 통해 제2 리미트 스위치(391)를 작동시킴으로써 여전히 과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리미트 스위치(371)와 제2 리미트 스위치(391), 2개의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중으로 과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할 때 스프링(360)이 사전 설정된 위치, 즉 스토퍼(373)의 위치를 넘어서야 비로소 모터부(100)의 구동이 정지하는 경우에는 제1 리미트 스위치(371) 또는 그 전기적 연결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과권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제1 리미트 스위치(371)의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여 작동 상의 문제 없이도 신속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체인 호이스트를 통해 화물을 들어올리기 전 모습과, 전동 체인 호이스트를 통해 화물을 들어올려 제1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화물(W)을 이동시키기 위해 체인부의 후크(340)에 화물(W)을 연결하고 전력 제어부(500)를 통해 모터부(100)를 구동시켜 이를 들어올리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모터부(100)의 구동에 의해 체인(310)이 감겨 지속적으로 화물(W)이 들어올려지게 되는데, 체인(310)이 사전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 즉 체인(310) 하단부의 스프링(360)이 스토퍼(373)에 도달할 때 제1 리미트 스위치(371)가 작동하여 모터부(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만약, 제1 리미트 스위치(37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360)이 압축되면서 지속적으로 스토퍼(373)와 제1 리미트 스위치(371)를 위쪽으로 가압하게 될 것이고, 이에 의해 체인 가이드(380) 및 스위치 레버(393)가 회전하여 제2 리미트 스위치(391)를 작동시킴으로써 모터부(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전동 체인 호이스트 100: 모터부
110: 스테이터 및 로터 120: 로터 샤프트
200: 감속기부 210: 제1 구동축
211: 제1 기어 220: 제2 구동축
221: 제2 기어 223: 제3 기어
231: 제4 기어 300: 체인부
310: 체인 320: 체인 블록
321: 로드 시브(load sheave) 330: 체인 박스
340: 후크 350: 범퍼
360: 스프링 371: 제1 리미트 스위치
373: 스토퍼 380: 체인 가이드
391: 제2 리미트 스위치 393: 스위치 레버
400: 브레이크부 500: 전력 제어부
600: 상부 후크 700: 로드 리미터(load limiter)

Claims (5)

  1. 모터부(100)와,
    상기 모터부(100)에 연결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감속기부(200)와,
    체인(310), 상기 감속기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체인(310)을 권상하하는 로드 시브(321) 및 상기 체인(310)의 하단부에 배치된 스프링(360)을 구비하는 체인부(300)와,
    상기 모터부(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부(500)와,
    상기 전력 제어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 리미트 스위치(371) 및 제2 리미트 스위치(391)와,
    상기 감속기부(200) 내에 위치하며 제1 디스크(241), 제2 디스크(243) 및 마찰 패드(245)로 구성되어 마찰력에 의해 모터부(100)에 연결되는 축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와,
    모터부(100)에서 발생하는 과전류를 검출해, 과전류 발생시 모터부(100)의 작동을 차단하는 로드 리미터(700)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310)이 권상하여 사전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360)이 상승하여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371)의 하부에 설치된 스토퍼(373)를 이동시켜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371)가 작동하여 상기 모터부(10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고,
    상기 체인부(300)는 로드 시브(321) 주위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가이드(38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37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상기 체인(310)이 사전 설정된 위치보다 권상하는 경우에 상기 체인 가이드(3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391)가 작동하여 상기 모터부(10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전동 체인 호이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가이드(380)의 단부에는 스위치 레버(393)가 설치되어, 상기 체인 가이드(380)가 회전할 때 상기 스위치 레버(393)가 이동하여 상기 제2 리미트 스위치(391)를 작동하는, 전동 체인 호이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부(200)는 상기 모터부(100)의 로터 샤프트(120)에 연결된 제1 구동축(210), 상기 제1 구동축(210)에 설치된 제1 기어(211), 상기 제1 구동축(210)에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제2 구동축(220), 상기 제2 구동축(220)에 설치된 제2 기어(221) 및 제3 기어(223), 상기 제2 구동축(220)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체인부(300)의 로드 시브(321)에 결합된 제4 기어(231)를 포함하는, 전동 체인 호이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부(200) 내에 위치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장치는, 제1 디스크(241)와, 상기 제1 디스크(241) 및 상기 제2 기어(22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크(243)와, 각각 상기 제2 디스크(243)와 상기 제1 디스크(241) 사이 및 상기 제2 디스크(243)와 상기 제2 기어(221)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 패드(2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 체인 호이스트.
KR1020150115341A 2015-08-17 2015-08-17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KR101620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41A KR101620416B1 (ko) 2015-08-17 2015-08-17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41A KR101620416B1 (ko) 2015-08-17 2015-08-17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416B1 true KR101620416B1 (ko) 2016-05-13

Family

ID=5602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341A KR101620416B1 (ko) 2015-08-17 2015-08-17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4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089A (ja) * 2001-12-05 2003-06-17 Hitachi Ltd 電動巻上機
KR200468048Y1 (ko) * 2012-09-17 2013-07-19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된 클러치타입의 전기체인호이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089A (ja) * 2001-12-05 2003-06-17 Hitachi Ltd 電動巻上機
KR200468048Y1 (ko) * 2012-09-17 2013-07-19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된 클러치타입의 전기체인호이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1790B2 (en) Method for braking a traction sheave elevator, traction sheave elevator and use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CN213537043U (zh) 一种电动单梁桥式起重机
CN204093053U (zh) 一种舞台马戏变频高空表演提升机
CN111908286A (zh) 电梯主机、抱闸坏后电动提拉轿厢救援装置
KR101620416B1 (ko)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CN206705598U (zh) 一种自升式平台齿轮齿条升降机
KR101533044B1 (ko) 3단 감속기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KR101379841B1 (ko) 와이어로프 이탈 방지 장치를 구비한 권취장치
US3233746A (en) Hoist safety device
CN203474351U (zh) 大吨位单梁钢丝绳电动葫芦
CN204873325U (zh) 限速器
CN204310635U (zh) 一种安全电梯
KR200479293Y1 (ko) 방전 저항을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CN112850525A (zh) 一种用于汽车起重机的限动保护装置
JP6610914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検査方法
KR200468048Y1 (ko)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된 클러치타입의 전기체인호이스트
CN112211097A (zh) 一种斜拉索检修小车
CN212356356U (zh) 一种具有恒功率控制装置的起升机构
KR20210020222A (ko) 지능형 리프트 장치
RU153539U1 (ru) Механизм подъема груза крана эстакады
CN214611275U (zh) 一种电动葫芦
CN202766186U (zh) 带双限位器的钢丝绳电动葫芦
CN215666739U (zh) 一种带高压预警的吊装装置
CN210084816U (zh) 一种改进的电动葫芦
CN203845731U (zh) 一种混凝土吊装小车起升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