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379B1 - 방열튜브 - Google Patents

방열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379B1
KR101620379B1 KR1020150043131A KR20150043131A KR101620379B1 KR 101620379 B1 KR101620379 B1 KR 101620379B1 KR 1020150043131 A KR1020150043131 A KR 1020150043131A KR 20150043131 A KR20150043131 A KR 20150043131A KR 101620379 B1 KR101620379 B1 KR 10162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raight
heat
pipe member
straigh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4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663Bell-type furnaces
    • C21D9/677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관부재와 "U"자형 곡관부재를 연속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지점을 용접하되, 용접부가 버너의 열기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연결지점의 관 내부에 보호관을 이중으로 내장하고, 상기 보호관에는 적열수단을 마련하여 버너의 미연소가스가 적열수단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완전연소되도록 한 방열튜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직관부재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상기 직관부재들의 양단을 곡관부재로 용접하여 하나의 연속된 방열튜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직관부재의 외주면에 위쪽으로 돌출된 반원호형의 볼록부가 연속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직관부재와 상기 곡관부재의 용접부 내주면에는 상기 직관부재 및 곡관부재의 내경에 밀착되어 상기 용접부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관이 내장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방열튜브{The radiant tube}
본 발명은 방열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관부재와 "U"자형 곡관부재를 연속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지점을 용접하되, 용접부가 버너의 열기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연결지점의 관 내부에 보호관을 이중으로 내장하고, 상기 보호관에는 적열(赤熱)수단을 마련하여 버너의 미연소가스가 적열수단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완전연소되도록 한 방열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소둔 설비(Continuous Annealing line)는 냉연강판을 복사열을 이용하여 열처리함으로써 금속 재질을 향상시키는 설비로, 탄소 성분 및 성분 원소에 따라 강판을 가열하여 압연 조직을 재결정, 성장시켜 내부응력을 제거하여 연화시켜 적절한 인성을 가진 조직의 강을 제조한다.
이러한 소둔설비의 소둔로에서 열처리 구간에 배치되는 래디언트 튜브 버너(RadiantTube Burner)는 4개의 히팅 구간에서 수십개가 배치되어 있다. 히팅 구간은 제 1 히팅구간, 제 2 히팅 구간, 제 3 히팅구간, 소킹 구간(Soaking section)으로 구성되며, 제 1내지 제 3 히팅구간은 4개의 존으로 구성되고, 소킹 구간은 2개의 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존에는 수십개의 래디언트 튜브 버너가 구비되어 있어, 전체적으로는 다수개가 배치된다. 구체적인 래디언트 튜브 버너의 개수는 개별 장비마다 상이하겠지만, 하나의 연속 소둔 설비에 몇백개 단위의 래디언트 튜브 버너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방열튜브는 사용개소에 따라서 U형, W형등이 있고, 이러한 방열튜브는 통상적으로 일측단부에서 가열버너(예를들면, COG Burner)에 의해 가열되며, 이때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방열튜브의 타측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방열튜브는 내열성 강재인 인코넬(Inconel 601)로 제작되고, 가열버너의 화염에 의해 직접 가열된 후, 방열튜브의 외피로 부터 열(熱)을 복사시켜 냉연강판을 간접적으로 가열시키도록 작용된다.
이때 방열튜브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온도가 매우 높게 가열됨으로서 과도한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발생된다. 종래 실용공개 제1994-0009526호는 방열튜브의 열화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교체주기를 연장시키고, 그에 따른 작업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방열튜브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대를 몸체부에 부착하고, 상기 지지대의 몸체부에 다수개의 환형링을 일정간격으로 결합시켜 휨방지용 방열튜브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방열튜브의 외주면에 지지대를 용접하고, 환형링을 용접해야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또한 용접에 따른 표면조직의 변화로 인하여 버너에서 900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되었을 때 용접부위의 파손이 우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공개 제97-59376호는 버너와 직접 연결되는 제1직관의 외주면에 다수의 링체를 부착하고, 나머지 관들에는 길이방향의 돌출부를 형성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공개 제1995-0026993호는 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리브를 형성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실용공개 제97-59376호는 링체와 돌출부를 용접의 수단으로 형성해야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또한 특허공개 제1995-0026993호는 방열튜브의 재질이 주물로 구성된 상태에서 주물을 제작할때 리브를 함께 형성해야 되므로 주물제작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방열튜브가 가열되는 과정에서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데 따른 대비책이 없으므로 튜브의 용접부위가 터지거나 또는 갈라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버너의 연소과정에서 미연소가스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미연소가스는 질소산화물을 다량 발생시켜 대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방열튜브의 외주면에 반원호형 볼록부를 연속으로 일정구간 형성하여 신축변형이 보완되도록 하고, 또한 방열튜브의 외주면에 원호형 오목부를 일정구간 연속으로 형성하여 내부압력 변화에 견디도록 하되,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방열튜브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복사열이 대상물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한 방열튜브를 특허출원 제2015-0032442호로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선출원중인 특허를 개량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관부재와 "U"자형 곡관부재를 연속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지점을 용접하되, 용접부가 버너의 열기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연결지점의 관 내부에 보호관을 이중으로 내장하고, 상기 보호관에는 적열수단을 마련하여 버너의 미연소가스가 적열수단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완전연소되도록 한 방열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직관부재에 반원호형 볼록부를 파형으로 연속 형성하여 신축변형이 보완되도록 하되, 상기 보호관에 상기 볼록부의 내부로 끼워져 걸리는 체결부를 일체로 다수개 절곡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호관을 직관부재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용접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방열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직관부재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상기 직관부재들의 양단을 곡관부재로 용접하여 하나의 연속된 방열튜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직관부재의 외주면에 위쪽으로 돌출된 반원호형의 볼록부가 연속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직관부재와 상기 곡관부재의 용접부 내주면에는 상기 직관부재 및 곡관부재의 내경에 밀착되어 상기 용접부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관이 내장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튜브는 직관부재의 외주면에 반원호형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연속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이들 볼록부는 반원호형 연결부를 통하여 파형으로 연속 형성되어서 방열튜브 내부가 900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 튜브의 터짐 및 변형을 방지시킨다.
또한 상기 방열튜브는 직관부재와 "U"자형 곡관부재가 연속으로 연결되는데, 이들 직관부재와 곡관부재가 연결되는 지점의 내부에는 이들의 내경에 밀착되는 보호관이 내장된다. 상기 보호관은 직관부재와 곡관부재를 연결하는 용접부에 버너의 화염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접부의 열화에 따른 경화 및 조직변화를 방지시키고, 용접부의 균열이 억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은 직관부재와 곡관부재의 내경에 밀착되어 직관부재와 곡관부재의 중심을 일치시키므로 용접부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은 상기 직관부재의 볼록부로 끼워져 걸리는 체결부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되어서 체결부가 탄성적으로 상기 볼록부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상기 보호관이 상기 직관부재 및 곡관부재의 내부에 고정되므로 별도의 용접작업이 생략되어 방열튜브의 제작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보호관에는 상기 직관부재의 중심으로 향해 경사진 원추형의 적열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적열수단은 버너의 열기에 의해 900도 이상 가열되는 것으로서, 버너의 연소중에 발생되는 미연소가스가 상기 적열수단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완전연소되어 배출되므로 대기오염이 감소되고, 버너의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등이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방열튜브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적열수단을 갖는 보호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호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적열수단을 갖는 보호관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보호관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직관부재의 신축변화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적열수단을 갖는 보호관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호관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방열튜브는 W타입으로 형성되기 위하여 4개의 직관부재(10)가 필요하다. 4개의 직관부재(10)가 일렬로 구비되고, 이들 직관부재(10)는 U자 형태로 절곡된 곡관부재(11)를 통하여 연속으로 연결되어 방열튜브가 된다. 그리고 이들 곡관부재(11)와 직관부재(10)는 용접부(15)를 통하여 긴밀하게 연결되며, 양쪽의 곡관부재(11)에는 지지대(12)가 구비되어 소둔로 내부에서 방열튜브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직관부재(10)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는 버너가 설치되는 입구관(13) 및 버너 열기가 배출되는 출구관(14)이 결합된다.
상기 직관부재(10)는 외주면에 볼록부(20)가 연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볼록부(20)는 반원호형으로써 상기 직관부재(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데, 상기 볼록부(20)들은 반원호형의 연결부(21)를 통하여 연속으로 연결된다. 이때 볼록부(20)와 연결부(21)는 경사지게 사선으로 연결된 연장부(22)를 갖는데, 이 연장부(22)는 직관부재가 신축변형될 때 경사지게 늘어나면서 볼록부(20)와 연결부(21)를 이어준다.
상기 직관부재(10)와 곡관부재(11)의 용접부(15)에는 이들의 내경으로 끼워져 밀착되는 보호관(30)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관(30)은 상기 직관부재(10)와 곡관부재(11)의 내경과 밀착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관(30)은 상기 직관부재(10)의 내부로 먼저 끼워져 조립되고, 이후 상기 직관부재(10)에 곡관부재(11)를 끼워서 대향면을 용접한다.
상기 보호관(30)은 상기 직관부재(10)의 볼록부(20)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다수의 체결부(31)를 갖는다. 상기 체결부(31)는 상기 볼록부(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절곡되며, 상기 보호관(3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한 뒤 상기 보호관(30)의 끝단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30)의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31)와 간섭되지 않도록 적열수단(32)이 마련된다. 상기 적열수단(32)은 상기 직관부재(10)의 중심으로 향해 축소 경사진 원추형 원통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타공부(33)가 천공된다.
상기 적열수단(32)은 상기 버너의 열기가 직접 닿아 900도 이상 가열되는 것으로서, 버너에서 발생되는 미연소가스가 적열수단(32)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적열에 의해 완전연소되며, 일부 미연소가스는 상기 타공부(33)로 빠져나가면서 완전연소된다.
상기 적열수단(32)은 상기 보호관(3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절개부(34)를 통하여 방사상으로 분할되고, 각 분할된 부분들은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원추형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로써, 별도로 제작된 원추형의 적열수단을 상기 보호관(30)의 끝단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결합시킬 수 도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방열튜브는 위쪽으로 버너가 내장되는 입구관(13)이 구비되고, 하단은 열기가 빠져나가는 출구관(14)으로 형성된다. 상기 직관부재(10)의 내부가 버너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면 최대 200mm 까지 직관부재(10)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처럼 직관부재(10)가 늘어나면 상기 볼록부(20)와 연결부(21)가 연장부(22)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22)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때 볼록부(20)와 연결부(21)의 위치 편차가 발생되는데, 상기 볼록부(20)들의 개수 만큼 위치 편차가 발생되어 결국 직관부재(10) 전체의 길이가 도 6에서와 같이 D에서 D'로 변화되어 직관부재(10)가 강제로 늘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강제로 직관부재(10)가 늘어나는데 따른 용접부(15)의 터짐이나 국부적인 반복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20) 및 연결부(21)는 반원호형으로 절곡되어 강도가 보강된 것이므로 직관부재(10)의 국부적인 압력변화 발생시 관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관(30)은 상기 직관부재(10)와 곡관부재(11)의 용접부(15) 내부에 이들의 내경과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버너의 화염이 상기 용접부(15)에 직접 닿지 않고 상기 보호관(30)에 의해 차단되므로 용접부(15)의 열화현상이 억제되어 용접부가 보호된다. 또한 상기 보호관(30)은 상기 직관부재(10)와 곡관부재(11)의 용접부(15) 및 상기 직관부재(10)와 출구관(14)의 용접부(15)에도 설치되므로 이들의 용접부(15)가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30)은 끝단에 적열수단(32)이 마련되므로 버너의 열기에 의해 상기 적열수단(32)이 가열된다. 따라서 버너의 미연소가스가 상기 적열수단(3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표면 충돌에 의해 순간적으로 완전연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부 미연소가스는 상기 타공부(33)을 타고 빠져나면서 완전연소되므로 적열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적열수단(32)은 각 직관부재(10)마다 구비되므로 버너의 열기가 이들 직관부재(10)를 연속으로 거치면서 미연소가스가 완전연소된다.
또한 직관부재(10)와 곡관부재(11)의 용접부(15)를 보호하는 보호관(30)에는 적열수단(32)이 구비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구비할 수 도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호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직관부재(10) 및 상기 곡관부재(11)의 연결지점에 내장되는 상기 보호관(30)의 끝단에 상기 체결부(31)와 적열수단(32)이 일체가 되도록 연속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31)는 상기 직관부재(10)의 볼록부(20)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절곡되고, 상기 적열수단(32)은 원추형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30)의 다른 끝단에는 다수의 절개부(34)를 방사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체결부(31)가 있는 곳까지 연장하여 상기 체결부(31)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직관부재(10)와 곡관부재(11)의 연결지점에 내장되는 상기 보호관(30)의 끝단에 상기 체결부(31)가 일체가 되도록 연속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31)는 상기 직관부재(10)의 볼록부(20)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절곡되고, 상기 보호관(30)의 다른 끝단에는 다수의 절개부(34)를 방사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체결부(31)가 있는 곳까지 연장하여 상기 체결부(31)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보호관(30)의 끝단에 체결부(31)와 적열수단(32)이 일체로 절곡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34)는 체결부(31)가 있는 곳까지 연장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체결부(31)를 직관부재(10)의 볼록부(20) 내측으로 끼워 넣을 때 상기 절개부(34)에 의해 상기 체결부(31)가 탄성변형되면서 끼워진 뒤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용접작업으로 상기 보호관(30)을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
10 : 직관부재 11 : 곡관부재
12 : 지지대 13 : 입구관
14 : 출구관 15 : 용접부
20 : 볼록부 21 : 연결부
22 : 연장부 30 : 보호관
31 : 체결부 32 : 적열수단
33 : 타공부 34 : 절개부

Claims (5)

  1. 직관부재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상기 직관부재들의 양단을 곡관부재로 용접하여 하나의 연속된 방열튜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직관부재의 외주면에 위쪽으로 돌출된 반원호형의 볼록부가 연속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직관부재와 상기 곡관부재의 용접부 내주면에는 상기 직관부재 및 곡관부재의 내경에 밀착되어 상기 용접부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관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반원호형의 연결부를 통하여 연속으로 연결되고,
    상기 볼록부와 연결부 들은 사선방향의 연장부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직관부재가 늘어나는 동안 상기 연장부가 기울어지면서 상기 볼록부와 연결부의 위치편차가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튜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의 끝단에는 상기 볼록부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다수의 체결부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튜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의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직관부재의 중심으로 경사진 원추형의 적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적열수단에는 다수의 타공부가 형성되어 미연소가스를 완전연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튜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의 끝단에 상기 직관부재의 볼록부 내주면과 밀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직관부재의 중심으로 경사진 원추형의 적열수단이 연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적열수단에는 다수의 타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관의 반대쪽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 쪽으로 연장된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체결부를 탄성변형으로 상기 볼록부에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튜브.
KR1020150043131A 2015-03-27 2015-03-27 방열튜브 KR10162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31A KR101620379B1 (ko) 2015-03-27 2015-03-27 방열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31A KR101620379B1 (ko) 2015-03-27 2015-03-27 방열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379B1 true KR101620379B1 (ko) 2016-05-12

Family

ID=56025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131A KR101620379B1 (ko) 2015-03-27 2015-03-27 방열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1423A (zh) * 2021-12-03 2022-03-01 青岛新力通热工科技有限公司 一种辐射管烧嘴用烟气双极换热器制作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791Y1 (ko) 2002-04-01 2002-08-23 정승호 튜브 히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791Y1 (ko) 2002-04-01 2002-08-23 정승호 튜브 히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1423A (zh) * 2021-12-03 2022-03-01 青岛新力通热工科技有限公司 一种辐射管烧嘴用烟气双极换热器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2843B2 (ja) 工業プラントなどのための放射管状要素
KR101620383B1 (ko) 방열튜브
KR101620379B1 (ko) 방열튜브
KR101620382B1 (ko) 방열튜브
MX2010006119A (es) Termopermutador del tubo de humos.
US11619387B2 (en) Liner for a combustor of a gas turbine engine with metallic corrugated member
CN103697476B (zh) 一种扁双p型辐射管
KR101568817B1 (ko) 방열튜브
KR101611239B1 (ko) 방열튜브
KR20160108951A (ko) 방열튜브
KR102235961B1 (ko) 방열튜브 연결장치
KR102229433B1 (ko) 열교환기, 라디언트 튜브식 가열 장치 및 열교환기의 제조 방법
KR20000008536U (ko) 열전달핀을 구비한 열교환기
CN108458477A (zh) 圆筒型管式加热炉
JP5728314B2 (ja) 熱交換装置
CN208205409U (zh) 圆筒型管式加热炉
KR20000014368U (ko) 연속 소둔로의 복사관 구조
JP2007163006A (ja) 熱吸収用フィンを付けたボイラ
JP6537864B2 (ja) 貯湯式給湯機
KR100944427B1 (ko) 국소 막냉각 방식 복사관 유니트
KR20170031554A (ko) 라디언트 튜브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8673A (ko) 라디안트 튜브
JP2010185438A (ja) 燃焼器ライナユニットおよび燃焼器ライナユニットの組立方法
JP2023092973A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
JP2010091219A (ja) 腐食性ガス用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